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용국 ( Yong Kuk Kim ),성창훈 ( Chang Hoon Se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이 내면화하고 있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방형 설문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구성요인을 탐색한 김용국과 성창훈(2006)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70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지체장애인 303명을 대상으로 예비척도에 대한 반응 자료를 수집하였다. 척도의 타당화 과정에서는 문항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문항내적 일관성 검사 및 검사-재검사 등 내적 구조를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남성과 여성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지체장애운동선수와 비선수간의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분석을 통하여 외적 관계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구성하는 6개 요인(운동유능감, 외모, 건강, 동작능력, 신체감각능력, 체력)을 확증하였으며, 이를 측정하는 18문항 척도의 안정적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 결과는 지체장애인이 갖는 신체적 자기개념의 보편성과 차별성 및 지체장애인의 심리 측정적 타당화 논리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 to assess physical self-concept of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Eight potential dimensions of physical-concept were identified through Yong-Kuk Kim & Chang-Hoon Seong(2006)`s procedures study. They included sport competence, physique, appearance, health, motion ability, physical activeness, physical sense ability, physical fitness realm. Seventy items representing eight dimensions were developed. Item review procedures result in 54-items preliminary version. Data were obtain from a sample of 303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Item analyses, Exploratory analyses, Confirmatory analyses,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vealed six major dimension of physical self-concept of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including sport competence, appearance, health, motion ability, physical sense ability, physical fitness realm. The final version including 18 items representing the six dimensions. Athletes with physical disability scored higher on most of the dimensions compared to non-athletes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physical disabled who were more active during leisure time scored higher on most of the dimensions compared to those who were less active. And, Disabled Man scored higher on most of the dimensions compared to disabled Women. These results provided evidence of validity of the measure of physical self-concept of the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y.

      • KCI등재후보

        신체활동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유건성(Geon Sung Yoo),변재훈(Jae Hoon Bye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0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f-identit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Subjects included 198(male: 143 female: 58) with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Park Ah-Chung(1996) was used self-identity scale of Korean. It was revised by Lee Sung-Guk(1999) which consisted of 6 factors, 48 items. Construc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check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confirmed by Cronbach`s α value(.783). The data analysis wer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 and incom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identit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physical instructors, mass media, and friend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identit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physical activity period, group exercise,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identit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urth, high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raits significant difference than low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traits on self-identit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elf-ident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 other, type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ype of physical activity,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raits.

      •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김진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cial model of disability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UK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 on Korea disability society. Social model of disability considers disability as 'the results of social failure which is unable to meet the needs of disabled people. M, Oliver 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is in its position and called it social model of disability in contrast to individual model of disability. However, it is based on material viewpoints so that other perspectives such as 'idealism' and 'social nominal standpoints' have argued its short points which overlooked the aspects of culture and reinterpretation of physical/mental impair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categorised by three viewpoints: policy, implementation and methodology. First, with regard to policy aspect, this study provides tools to analyse disability policy in Korea currently and histor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odel of disability. Secondly, it provides disability service centres and organisation implement their programme tools to self-assess their duties if they are based on disabled people's needs rather than provider-oriented perspective as the extension of government policy paradigm. thirdly, it notifies that academic researches have failed to accommodate the voices of disabled people, particularly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with a viewpoint of self-representation which is based on social model of disability. However, notwithstanding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innately weakpoints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dministrative model which can explain why and how welfare states manage welfare policy for disabled people within the capacity of welfare budget which should be sustainable and manageable.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too simplified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by omitting the discussion of administrative model, as a result.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서 태동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을 탐색적으로 한국에 소개하고 이 모델이 한국 사회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은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욕구에 대해 사회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거나 이를 억압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며, 마이클 올리버(M. Oliver)는 정치경제학의 입장에 서서 사회적 억압을 타파하는 이론적 모델로서 사회적 모델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사회실재론과 유물론에 입각한 것이여서, 사회명목론 그리고 관념론적 입장에 서 있는 다양한 학자들로부터 그 문제점을 지적받았다. 장애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나 신체적․정신적 손상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이 그러하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는 크게 정책적, 실천적, 연구방법론적으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정책적 함의로서는 사회적 모델과 그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갖는 시사점과 준거틀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애인정책의 근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서는 장애인복지기관 및 시설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내용이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에 대해 얼마만큼 대응하고 있는지, 사회적 모델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장애인 욕구에 대한 파상적 대응에 불과한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론적 함의는 사회적 모델에 입각한 당사자주의가 한국내 기존 연구패러다임이 갖는 당사자(특히 정신지체인) 배제의 풍토가 척박한 연구방법론의 한계에서 출발하는 것이지 장애인 당사자의 정신적 손상에서 연유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종래의 연구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다만, 본 연구가 개인적모델과 사회적 모델로 양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복지국가에서 복지정책을 복지재정의 한계내에서 행정적으로 관리하며 국가가 수용가능한 만큼만 개인적 모델에서 탈피할 수 있음을 역설하는 장애에 대한 행정적 모델에 대한 논의를 포함시키지 못함으로써 논의를 단순화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해 둔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생활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한국과 미국의 장애인스포츠 관련법 비교

        윤석민 ( Yun Seok-mi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1

        현재 국내 장애인체육은 다양한 법과 제도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엘리트선수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장애인체육 관련법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국내 장애인생활체육의 내실화를 위한 우선 추진과제에 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추진과제로는 첫째, 장애인체육지도사의 활성화이다. 장애인스포츠지도사는 국가공인 자격으로서의 전문성에도 불구하고 배치 비율과 활용도가 극히 낮은 실정이다. 이는 자격시행이후 자격 취득자들이 실질적으로 활용되도록 스포츠시설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장애인체육지도사들을 의무적으로 배치하는 관련법의 부재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포츠시설 및 규모, 이용자에 따른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체육지도사들의 의무적 배치를 통한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생활체육 분야에서 장애인 생활체육의 체계적인 활성화가 시급하다. 장애인들의 생활 체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에 앞서 환경적 제약의 개선을 통하여 접근성 개선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인들의 생활 체육 시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법적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생활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생활체육시설 중 편의시설에 대한 설치 기준에 보다 강도 높은 규제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and compare the legislation with regard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 and to provide a policy proposal for the future policy-making.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hat promotes highly qualifi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o be placed in physical activity facilities. No policy related to the placement of highly qualifi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were found while the professionals who are skilled in teaching physical activit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s short. Second, the need of policy to eliminate environmental barriers or obstacles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legislation mandates to make all physical activity facilities accessible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equal opportunities as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ies do.

      • KCI등재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의 배경요인과 인지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김정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at living in Pusan and Kungnam city. Subjects included 196 participants(male: 113, female: 83).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yckman et al(1982) was rsed to identify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t was revised by Hong sun-ok(1996). In soon, which consisted of 2 factors, 22-item, and 13 background variables(gender, age, others 6-item, exercise participation 4-item, disability typ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was performed by Cronbach's ⍺ value(⍺=.8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n more tha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higher education were more positive on the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interest and encouragement of mother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 efficacy. Third, number years of exercise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elf efficacy. Fourth, individual exercise and group exercise according to exercise typ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physical self efficacy. Fifth, persons with the spinal cord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 whatever injury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had significant difference on physical self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이 인지하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분석하여 지체장애인들에게 효율적인 운동수행과 함께 긍정적인 심리변인의 적용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009년 현재 부산시와 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운동에 참여하는 지체장애 성인 196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홍선옥, 1996)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5명의 전문가에게 안면타당도 및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또한 신뢰성(⍺=.882)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frequency),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등의 통계분석법을 통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 중에서 성, 교육수준은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남성 지체장애인이 여성 지체장애인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았다. 둘째, 중요타자 변인 중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는 모의 관심과 격려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모의 관심과 격려가 적극적일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운동참가 정도 변인 중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는 운동기간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운동기간이 길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넷째, 운동종목 유형 변인 중에서 개인운동 집단과 단체운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체운동집단이 개인운동 집단 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다섯째, 장애유형 집단 중에서는 척수장애인과 기타장애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척수장애인이 기타장애인 집단 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 KCI등재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

        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a disabil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To this end, data of the four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he total of 712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acceptance of a disability of individual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as more or less low. As wel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cholarship, job status, marriage status, degree of needs of others' help, subjective SES, religio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degree of preparation for future life. Second, the level of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as low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scholarship, job status, marriage status, degree of needs of others' help, subjective SES, religion, and degree of preparation for future lif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pproache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a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의 각 수준 및 상호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제 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데이터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중증지체장애인(N=721) 패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추론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각 2개의 주요요인을 추출한 후,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가정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통계적 유의차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취업상태, 혼인상태, 타인의 도움 정도,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종교, 차별경험 유무, 노후준비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유의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증지체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학력, 취업상태, 혼인상태, 타인의 도움 정도,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종교 유무, 노후준비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유의차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안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이 지각하는 장애수용과 운동태도의 관계

        김용국 ( Yong Kuk Kim ),강유석 ( Yoo Seok K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장애수용과 운동태도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장애수용과 운동태도 변인간의 다차원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에 소재한 H대학의 지체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 20세 이상 129명의 반응은 심리측정적 타당성 검증을 거친 평정척도를 통하여 얻어졌다. 다변인분산 분석(MANOVA) 결과, 지체장애학생의 장애수용은 성별, 장애유형, 장애등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태도는 성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한 변인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장애수용은 운동태도의 사회적 가치학습 요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신체적 장애수용은 운동태도의 운동 유능감 요인과 건강과 체력 요인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체장애학생들의 향후 사회적 적응 측면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disability and exercise attitudes, as well 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cceptance disability and exercise attitudes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s. The subjects were selected 129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aged 20 and above) at H-university in G-province. The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disa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differently by gender,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however exercise attitudes was shown differently by gender. Secondly, social adjus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ying social values of exercise attitudes domain. Besides, the acceptance of physical disabil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motor competenc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of exercise attitudes domai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ture soci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체육의 정상화 및 특성화

        김기홍 ( Ki Hong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5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정상화 원리를 기반으로 특수체육의 특성과 체육과의 관계성을 재해석함으로써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한편 특수체육이 한국에서 특성화되어 장애학생들의 신체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특수학교 현장에서 특수체육교사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것은 그만큼 특수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떠나서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졸업 후 프로그램도 중요하다면 장애인신체활동은 그에 적합한 생애체육이라는 장기적 의미에 부합된다. 이러한 장기목표가 요구되기 때문에 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이 강조되지 않을수 없다. 미국장애인교육법(2004)에서는 특수체육을 특수교육의 한 구성요인으로 간주하지만 특수체육을 담당할 지도자는 보다 전문적인 소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특수체육교사는 체육교과의 내용을 장애학생에게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적합하고도 차별난 방법의 교과과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차별적 교육방법이란 별스러운 것이 아니라 양질의 교과내용을 토대로 장애학생의 수준에 맞추는 것이다. 특수체육에서 신체활동의 주체는 장애학생이다. 주체로서의 존재성을 체육에서 찾아볼 수 있기에 특수학교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스포츠사관학교를 제시하는 것으로 본연구를 매듭지었다.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b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normalization, and to search for the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Now, the position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s not stable at special school district in Korea which is a kind of proof of recognition lack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If the lif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graduation is important,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would be right fitted to the lifelong physical education in long term goal. Therefore,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be very professiona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DEA(2004),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regarded as a part of special education but the standard to be a teacher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is so strong connected with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Adapted physical educator should know how to develop not the special teaching methods only but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ppropriate teaching means not special but high quality fit and proper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a student with disability. Therefore, the sport academ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to make the identity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y more firm tha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KCI등재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장애수용도와의 관계

        간우선(Kan Woo-sun),조성재(Jo Song-jae),조주현(Cho Joo-hy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장애수용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7개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33부가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발생시기와 장애수용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선천성과 후천성을 기준으로 한 장애발생시기가 개인이 획득하게 된 장애 수용 정도에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장애발생시기와 장애수용도 사이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정의한 삶의 만족도가 개인의 주관적 인지에 따른 것으로서 자신의 장애발생시기보다는 현재 본인의 사회환경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발생시기를 고려한 맞춤화되고(customized) 개별화된(individualized) 직업재활 서비스제공 모델 개발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o the onset of disabilities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wo-hundreds and thirty-three adults who are registered as having a physical disability residing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mail survey were used. A result of t-test indicat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onset of disabilities. That is,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his or her disability at the earlier age of their lives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his or her disabilities a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hose onset of disability were at later years of his/her lif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onset of dis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an individu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 onset of disability as well as the level of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needed. Implication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정재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10명을 선발하였으며, 각 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8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심리적 수용 척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Mann-Whitney U 검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정하기 위해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 분석은 회기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와 행동, 작품내용을 바탕으로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의 변화양상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심리적 수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의 변화 과정에서는 지체장애인이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여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수용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검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ttending a disabled welfare center located in G city, with five participants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wice a week, with sessions lasting 8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10 sessions. Research tools included self-efficacy scales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cales,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examin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ssess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Furthermore, in qualitative data analysis, changes in language, behavior, and the content of artwork observed throughout the sessions were described to illustrate the patterns of change i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mong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ul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acceptance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ly, throughout the program's progression,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ffectively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in meaningful ways, resulting in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Conclusion: In summar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mong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