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조세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소득세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유한욱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社會科學硏究 Vol.44 No.2

        Income tax expenditures in Korea is superior to VAT expenditures as well as to corporate tax expenditures. They amount to about 21 trillion won a year, accounting for 55% of total tax expenditures and 30% of total income tax revenue. In order to improve vertical equality of tax system, Korean government has shifted many of income tax expenditure items, which were operated as income deductions to the tax credits since 2014. Recognizing that it is time to evaluate this key institutional shift, we analyze its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in two aspects, changes in tax-free income level and statutory income tax by income level, and show that the effect i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not onl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ax credit methods, but also the distortion of the entire income tax expenditure system due to the excessive tax credits for children and to the provisional expansion of labor income tax credits. Based on the analysis, we also propose mid - to long term policy directions along with short term prescription to reinforce income redistribution function of income tax expenditures. 소득세 관련 조세지출은 연간 21조원 정도로 전체 조세지출(연간 38조원)의 55%를 차지하고 있고 소득세수 대비 비중 또한 30%에 달하고 있어, 다른 세목 관련 조세지출에 비해 그 규모가 월등하다. 정부는 2014년부터 과세형평성 제고를 위해 소득공제 방식으로 운영되던 소득세 관련 조세지출 항목의 상당수를 세액공제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상당한 규모의 제도전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면세점과 소득수준별 근로소득세 부담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득재분배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같은 결과가 세액공제 방식의 고유한 특성과 함께 자녀세액공제 수준의 과다 설정, 근로소득세액공제의 임시방편적 확대조치 등으로 인한 제도 전반에 걸친 왜곡으로부터 기인되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소득세 관련 조세지출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단기적 처방(근로소득세액공제 축소)과 함께 중장기적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이월세액공제 기업의 소득 이전 행위에 대한 실증연구

        배성호 ( Seong Ho Bae ),오광욱 ( Kwang Wuk Oh ),최경수 ( Kyung So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월세액공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의 소득이전 유인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조세특례제한법에서는 해당 기간에 적용받을 수 있는 공제·감면세액을 적용한 후 납부세액이 관련 규정에 따라 계산되는 최저한세액보다 작아지는 경우 공제 감면액의 일정부분의 적용을 배제하여 차후 일정기간동안 법인세 납부세액에서 공제해주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직전년도에 최저한세를 납부한 기업은 당해 연도 법인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이월 세액공제·감면액이 있는 기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월 세액공제로 형성된 조세 편익(tax cushion)으로 인해 소득이전 성향이 관찰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소득이전 성향이 특수관계자 간 거래 비중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에 최저한세 납부로 인해 형성된 조세 편익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당기에 매출총이익률의 변화와 매출총이익률 괴리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세 편익으로 인해 당기에 매출 거래를 이용하여 소득을 해당 기업으로 이전시키는 성향이 강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득이전 성향은 특수관계자 거래 성향이 증가하는 기업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관계회사와의 거래 규모가 커지는 경우 소득의 일부가 특수관계자에게 이전됨을 의미한다. 특히, 매출 및 수익거래와 매입 및 비용거래롤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특수관계자에게 공정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출 거래를 일으키는 방식을 주로 활용하여 소득을 이전시키는 성향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비조세 비용을 고려한 분석에 따르면, 시가총액 그룹 상위 집단에서 위와 같은 소득이전 성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 비조세 비용이 높은 기업은 조세비용을 낮추기 위한 행위를 지양할 가능성이 큼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조세 편익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자신에게 소득을 이전할 뿐 아니라 해당 소득의 일부를 특수관계자에게 이전하고 있다는 점은, 조세특례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도 관계사 간 조세 편익을 소득이전을 통해 분배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를 고려한 조세정책의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1) whether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shift income upward (2) whether they shift income outside using intercompany transaction to share their performance with related parties using 1,972 listed companies from 2003 to 2010.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Section 144, firms levied Alternative Minimum Tax(hereafter ``AMT``) following the Section 132 are limited in entirely using tax exemption or credit thereby bearing carried forward tax credit which can be used during next 5 years. Carried forward tax credits can be regarded as tax cushion because they can save explicit tax cost corresponding to increased taxable income. Prior literatures indicate that firms levied AMT are likely to decrease their financial income in order to reduce taxable income.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firms levied AMT in prior year can shift their financial performance to the next fiscal year. Futhermore, it is to possible to interpret that firms with tax cushion by the AMT are more affordable to share the performance because carried forward tax credit may provide increased disposable income. For this, related literature finds that FDIs under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and Section 121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have more intercompany transaction to transfer their earnings. Moreover, their behavior was accelerated as they have more tax benefits. This finding indicate that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can shift their income to related parties To enhance external validity for these empirical issues to domestic firms, we established following two alternative hypotheses using the indicator of income shifting (1) whether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shift their income upward (2) whether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increase intercompany transaction to shift their earning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increased their earning by enlarging the sales margin. Second,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are more likely to shift their income to related parties. These findings are collaborated in large firms and we observe that firms with carried forward tax credit shift their income by manipulating sales price rather than purchase pric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ax exemption policies by enhancing data to domestic firms with tax benefit.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hould also provide policy makers with insights on how to mix targeted tax incentives with overall tax relief measures.

      • KCI등재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이익의 가치관련성

        김철환,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학 연구 Vol.2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ook-tax income differences on value relevance. The research samples are 1,953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listed firms and research period is 5-years from 2000 to 2004. I use Ohlson(1995) model as a main research model. My work is motivated primarily by recent fraudulent accounts and academic research demonstrating the role of book-tax income differences. There are two kinds of corporation's reporting income:book income(accounting income) and taxable income. Book income is for financial reporting purposes under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GAAP) and taxable income is to determine the corporation's tax liabilities under tax law. I define book-tax income differences that after deducting income before income tax expense to each business year taxable income, dividing by weighted average current stocks number. The differences between book and taxable income may be large in spite of both book and taxable being prepared on an accrual basi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followed:First, I find that taxable income has the value relevance as accounting income's benchmark. Second, I examine that the firm-years with large book-tax income differences have value relevance that are less than firm-years with small book-tax income differences. Finally, I find that managers use the temporal differences than the permanent differences when they manage earning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f book-tax income differences would likel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would assist the information users including investors that they analysis value relevance. Second, I indicate the necessity of the public announcement about book-tax income differences when the companies announce the information. Large book-tax income differences as disclos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will show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value relevance of current earnings. 본 연구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1,953개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5년을 연구기간으로 Ohlson(1995)모형을 이용하여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서 각사업연도소득금액을 차감한 값을 가중평균유통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이익뿐만 아니라 과세소득도 기업가치를 설명함으로써 회계이익이 주가를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 과세소득이 하나의 벤치마크(benchmark)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금액이 회계이익이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부분 이외에 추가적인 가치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기업의 이익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의 질이 낮으므로 가치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세포탈죄의 적극적 은닉의도에 관한 고찰 ― 그 필요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

        김천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조세와 법 Vol.13 No.2

        Tax evasi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ther crimes, given the indirect and incidental nature of income and property taxation as products of private economic activities, and the legislative intent to punish any act reducing tax revenues while granting the National Tax Service(“NTS”) an investigation right to balance private economic activities and tax revenues. The tax evasion has a dual structure – (1) ‘an infringement on tax receivables by false tax reporting → a reduction in tax revenues,’ and (2) ‘an income concealment → the NTS’s failure to exercise its right to tax.’ Given that the infringement on tax receivables by false tax reporting has a very simple structure and what really distinguishes tax evasion from other crimes is the income concealment and the NTS’s failure to exercise its right to tax,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legal structure of tax evasion mainly from ‘the concealment of income → the NTS’s failure to exercise its right to tax’ point. The income concealment comprises of three stages – (1) deceiving the NTS, (2) the NTS’s failure to exercise its right to tax, and (3) the infringement on the NTS’s right to tax. Because of varying reasons at each stage, the actor’s intent to deceive and hinder the NTS from exercising its right to tax, and to infringe upon the NTS’s right to tax is required in order to accept the income concealment. First, for the income concealment – that is not yet exposed and remain in the taxpayer’s domain before tax evasion is completed – to be in contact with the NTS, the intent to deceive the NTS at the time of income concealment is needed. Second, as the intent to use an innocent agent is an element comprising the structure of ‘the Principal through Innocent Human Agent,’ the intent to deter the NTS from exercising its right to tax at the time of income concealment by using the NTS as ‘an innocent agent’ is required. Finally, considering the general nature of taxation’s legal relations, the actor’s intent to make infringement on the NTS’s right to tax by forming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 and the NTS is essential to attribute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such infringement to the actor. However, if the income concealment occurred out of the actor’s intent to deceive the NTS at any stage, and not in the natural process of private economic activiti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infringement on the NTS’s right to tax can immediately be attributed to the actor. As such, the income concealment itself does not constitute tax evasion by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The income concealment should have been acted out of intent to infringe the NTS’s right to tax – specifically the subjective element of affirmative intent to conceal. Consequently, the affirmative intent to conceal cannot be assumed only with the income concealment act; thus, the actor’s specific motive, circumstances and context of committing income concealment need to be considered to distinguish the affirmative intent to conceal income. The affirmative intent to conceal here refers to the intent or purpose of income concealment act by hindering and infringing the NTS’s right to tax. Thus,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comprising tax evasion cannot be accepted only with the fact that there is income concealment act related to tax reduction and that the actor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the NTS to find the income concealment. Only when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other than the income concealment, indicating the actor’s intent to hinder the NTS, even if the NTS lawfully investigated, from exercising its right to tax, the tax evasion by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can then be recognized. 사적 경제활동의 산물인 소득과 재산에 대하여 부수적, 간접적으로 과세하는 조세법률관계의 속성에다 사적 경제활동의 보장과 세수확보의 균형을 위하여 과세관청에 실지조사권이라는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되 이를 무력화시키는 세수감소만을 처벌하기로 하는 입법적 결단이 더하여져, 조세포탈죄는 다른 형사범죄와 다른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세포탈죄는 허위신고-세수감소로 인한 조세채권 침해와 소득은닉행위-과세권 불행사로 인한 과세권 침해라는 이중적 결합구조를 갖게 되었는데, 그 중 허위신고로 인한 조세채권 침해 부분은 그 구조가 매우 간명할 뿐 아니라 조세포탈죄를 다른 형사범죄와 구분 짓는 결정적 부분은 소득은닉행위-과세권 침해 부분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조세포탈죄의 법리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득은닉행위는 과세관청에 대한 기망-과세권 불행사-과세권 침해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단계별로 각기 다른 이유에 의하여 소득은닉행위 당시 과세관청을 기망하여 과세권을 불행사하게 함으로써 과세권을 침해할 의도가 필요하다. 먼저, 조세포탈죄가 완성될 때까지 소득은닉의 내용이 현출되지 아니하여 납세자의 영역에 머물러 있는 소득은닉행위가 과세관청과의 접점을 갖기 위하여서는 소득은닉행위 당시 과세관청을 기망하기 위한 의도가 필요하다. 다음, 소득은닉행위를 통하여 과세관청을 도구로 이용하여 과세권을 불행사하게 하는 간접정범 귀속구조에 의하여 소득은닉행위 당시 과세관청으로 하여금 과세권을 불행사하게 할 의도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세권 침해라는 결과를 소득은닉행위를 한 행위자에게 책임을 귀속시키기 위하여서는 조세법률관계의 일반적 성격에 의하여 과세권 침해라는 결과를 행위자와 특별한 관계로 귀속시킬 수 있는 과세권을 침해할 의도가 필요하다. 다만 어느 한 단계, 예를 들어 소득은닉행위가 사적 거래활동 과정에서 다른 이유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과세관청을 겨냥하여 과세관청을 기망하기 위한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그 의도에 의하여 각 단계가 요구하는 의도가 충족되어 그 소득은닉행위로 인한 과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소득은닉행위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조세포탈죄의 사기 그 밖의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그 소득은닉행위가 과세관청을 겨냥하여 과세권을 불행사하게 하여 과세권을 침해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주관적 요소로서의 적극적 은닉의도가 필요하고, 그 당연한 귀결로서 소득은닉행위만으로는 적극적 은닉의도를 단정할 수는 없으니 그 소득은닉행위의 구체적 동기, 경위 등 외부적 정황을 통하여 적극적 은닉의도가 나타나는 사정이 소득은닉행위에 덧붙여져야만 적극적 은닉의도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그 적극적 은닉의도는 과세권을 불행사하게 하여 과세권을 침해하기 위하여 소득은닉행위를 과감하게 실행하는 내심으로서 소득은닉행위의 행위의도・목적을 말한다. 따라서, 조세포탈죄의 사기 그 밖의 부정한 행위는 세수감소와 관련 있는 소득은닉행위가 있다거나 그 소득은닉행위의 객관적 속성에 의하여 항상 수반되는 과세관청이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과세관청이 찾을 수 없게 하기 위한 의도에서 소득은닉행위를 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득은닉행위 이외...

      • KCI등재

        대규모기업집단의 소득이전과 조세부담

        박종국(Jong-Kook Park),김혁(Hyuk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 중에서 대규모기업집단소속기업들이 집단전체의 조세부담완화를 위해 조세부담이 높은 계열사에서 낮은 계열사로 소득이전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특성상 1인소유경영자의 지배체제 하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소유경영자는 기업경영의 의사결정에 있어 개별기업의 이익 보다는 자신의 이익이나 집단전체의 이익 내지는 집단의 확장을 목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세부담 측면에서도 차별적 세금주체들 간의 서로 다른 조세부담을 그들의 동맹관계를 이용하여 평준화시키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조세부담에 따른 소득이전현상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득이전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Collins et al.(1998)의 다국적 기업모형과 Gramlich et al.(2004)의 게이레츠모형을 수정보완 한 수익률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소득이전유인이 있는 집단과 수익률간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소득이전가설의 검증결과, 조세부담이 높더라도 이를 다른 경제주체를 통해 완화 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독립된 기업에 비해 대규모기업집단들은 조세부담이 높은 계열사에서 조세부담이 낮은 계열사로 소득이전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이러한 조세부담에 따른 소득이전에는 소유경영자의 지분율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아울러 밝혔다. 즉, 대규모기업집단 중에서도 소유경영자의 통제권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소득이전현상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각기 독립된 세금주체로서의 기업들은 조세전문가의 활용이나 유리한 법개정을 위한 영향력 행사 등을 통해 조세부담을 완화하고 있음을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확인한 바 있다. 여기서 나아가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들은 독립된 기업들의 조세부담완화를 위한 수단들 이외에도 계열사 간 소득이전을 통해서 집단전체의 조세부담을 완화하고 있음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대규모기업집단에 대한 경제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규제당국이나 정책결정자의 의사결정에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massive income of conglomerates which a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market are shifting from the high income subsidiary to the low income subsidiary in order to alleviate tax burden. Korean companies make decisions under the circumstance of a one owner domination structure, reflecting their unique management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y have a tendency to make decisions in accordance with not their own interest but the interest of owners and conglomerates or expansion of the collective group. Therefore they may equalize tax burden of the distinctive tax subjects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alliance. In order to verify the phenomena of income transfer concerning the tax burden, (a modified version of the) return yield model, which originates from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model of Collins et al.(1998) and the Gayrets model of Gramlich et al.(2004), is used.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a hypothesis of income shi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shifting-motivated company group and annual return shows the followings. It is positively verified that conglomerates are more likely to shift income from high tax burden companies to low tax burden companies than the independent company, which has no means to transfer income.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owner"s holdings affects the shift of income caused by tax burden. That is, the groups in which the owner"s power of domination is greater have shown a remarkable phenomena of income shifting compared to those in which the owner"s power of domination is weak. It is confirmed by precedent studies that companies, as respectively independent tax subjects, alleviate tax burden through use of tax experts or exercise influence for revision of corporate friendly laws. This study additionally verified that conglomerates alleviate collective tax burden through income transfer among their subsidiaries in addition to the measures for tax evasion used by independent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very useful for decision making of policy makers and regulatory authorities concerning the current activization of economic argument over conglomerates.

      • KCI등재

        소득세법상 추계과세제도에 관한 연구

        丁智善(Chung, Ji-Sun),崔天奎(Choi, Cheun-Gyu)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1

        Tax systems can be divided into a self-assessment system and a government-assessment system. Most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pply the self-assessment system to most items including the income tax, the corporate tax and the value added tax. In the case of the income tax under the self-assessment system, the tax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rect materials such as the taxpayer’s account, which is referred to as ‘actual amount-taxation.’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investigate the direct materials and thus to calculate the actual amount, however, there is no alternative but to estimate the tax amount from indirect materials, which is referred to as ‘estimated taxation.’ In South Korea, the amount of income was estimated by the standard income rate in the past. However, the standard income rate violates the ability-to-pay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tax equity as well, with which many problems had constantly brought up against the standard income rate. At this, the standard income rate was changed into the basic expense rate (simple expense rate) in 2002, but there is no denying that is also cannot solve the existing problems; to be concrete, the standard income rate is calculated by being multiplied by the amount of income, and the basic expense rate is calculated by being subtracted from the amount of income. In short,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ubstance. As a result, the estimated taxation system also violates the ability-to-pay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tax equity as well. Thus, it needs to be changed as in the following: Under the current law, the methods of estimated taxation are regarded as illustrative regulations. The problem is that tax amount varies depending upon the method of estimated taxation, and so it is not advisable in terms of predictabil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more concretely specify ‘the other methods that are accepted by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tax service as reasonable’ in item 3 of clause 3 of article 14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come tax act in order to give taxpayers predictabil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stimated taxation is the basic expense rate or the simple expense rate. Nevertheless, in Korea, the current two rates are destitute of rationality; more specifically, the basic expense rate is at a very low level, but the simple expense rate is at a very high level. As the case stands, the two rates need to be balanced with each other. Obviously, estimated taxation is a method to determine the tax amount; hence, the method needs to be refi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ability-to-pay principle.

      • KCI등재

        토지거래허가에 관한 조세법적 문제

        이중교(Lee Joong kyo) 한국세법학회 2013 조세법연구 Vol.19 No.3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대하여 토지거래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 조세법분야에서는 유동적 무효인 거래이든 토지거래허가를 배제하거나 잠탈할 목적의 확정적 무효인 거래이든 사법상 무효이므로 소득세법상 양도가 아니라는 입장을 상당 기간 유지하였다. 그 후 대법원 2011.7.21.선고 2010두23644전원합의체 판결은 토지거래허가를 배제하거나 잠탈할 목적의 확정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 과세를 긍정하여 종전 판례의 입장을 부분적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소득세법 제110조 제1항은 토지거래허가일을 기준으로 신고납부기한을 정하고 있으므로 유동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는 여전히 양도소득세 과세를 부정하는 입장에 있다. 현재로서는 유동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 과세가 불가능하고,확정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 과세가 가능한 것이다. 위 전원합의체 판결은 사법상 계약이 무효라는 형식보다 매도인에게 경제적 이익이 귀속되었고 그것의 원상회복 가능성이 없다는 실질을 중시하여 매도인에게 양도소득세를 과세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원상회복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유동적 무효인 거래는 확정적 유효를 향해 나가는 거래로서 일반적 무효와 달리 원상회복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없으므로 대금이 청산된 시점에서 일단 과세하고 후에 원상회복이 되면 그때 가서 조정하는 것이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득세법 제110조 제1항을 개정하여 유동적 무효 상태인 거래에 대하여도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금청산 후 토지거래허가를 받아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는 경우나 위 전원합의체판결에 따라 확정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는 경우 모두 양도시기와 신고납부기한, 부과제척기간의 기산일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동적 무효인 거래에 대하여 양도소득세 과세를 긍정하면 다른 거래와 마찬가지로 대금청산일을 기준으로 신고납부기한과 부과제척기간을 정하게 되므로 양도시기와 신고납부기한, 부과제척 기간 기산일의 불일치를 해소하여 과세체계의 일관성도 확보할 수 있다. Until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stated that when a land transaction is void through failure to get permission in an area where it is required, tax office cannot impose transfer income tax on the selling party because it is not “transfer”of the Article of Income Tax Act 88(1).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declared that transfer income tax should be imposed when contractors have excluded or secretly avoided land transaction permission. by the ruling(2010Du23644), on July 21, 2011. However, the Article 110(1)of Income Tax Act regulates due date of filing return based on the land transaction permission, namely the selling party should make a return on the tax base of transfer income to the tax office from May 1 to 31 of the year following the year where belongs the date when the permission is obtained for the land transaction, so transfer income tax is not imposed untill and transaction is permitted in the state of fluid nullity. The above Supreme Court Decision considered the substance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form on the grounds that the selling party ultimately acquired economic profit and there was not possibility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In this case, if transfer income tax is not subject to the selling party, it is against justice and equality in taxation. Furthermore, the land transaction in the state of fluid nullity does not stand a high chanc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so we should impose transfer income tax even if the selling party does not obtain land transaction permiss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revise Article 110(1) of Income Tax Act so that we may impose transfer income tax on the transaction in the state of fluid nullity. On the other hand, in case transfer income tax is imposed after land transaction permission. there are problems resulting from mismatch between time of transfer, due date of filing return and period for excluding assessment of tax. If we impose transfer income tax on the selling party regardless of land transaction permission, we can solve mismatch between time of transfer or acquisition, due date of filing return and period for excluding assessment of tax.

      • KCI등재

        재산세의 소득재분배 효과와 탄력성 요인분해 분석을 통한 재분배 기여도 분석

        성명재 한국재정학회 2022 재정학연구 Vol.15 No.2

        This paper estimates the progressivity and income redistributive effects of property ownership taxes,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income redistribution by factor decomposition for income elasticities of these taxes, both using the NaSTaB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survey data sets for the seventh through thirteenth years. They are regressive in income and, thus, have negative income redistributive effects (-0.17∼-0.34%). It is well known that the income redistributive effect of a tax is positive, when its income elasticity exceeds one, and vise versa. The income elasticities of property ownership taxes are far below one: 0.008∼0.26 for Property Tax and 0.004∼00.33 for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respectively. The income elasticities of property ownership taxes can be decomposed into three factors: tax-base elasticities of property ownership taxes, real asset elasticities of tax bases, and income elasticities of real assets. It can be mathematically expressed as the products of the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exceeds one over the range between 1.09 and 1.62, because Property Tax and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have progressive tax rate schedules. Despite these, the second and third factors are sufficiently smaller than one: 0.26∼0.72 and 0.26∼0.66, respectively. They contribute to mitigating the progresivity of the property taxes. As a result, all property ownership taxes turn out to be income inelastic and have negative income redistributive effects, because their income elasticities are far below one. In general, real asset elasticities of tax bases and income elasticities of real assets are hardly controllable by any policy measure. Therefore, strengthened property ownership taxation would be highly unlikely to enhance income redistribution. 본 연구는 재산세의 소득재분배 효과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재산세의 소득탄력성을 요인분해하고, 누진도와 소득재분배 효과를 추정․분석하였다. 7∼13차 재정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는 소득역진적이고 (-)의 소득재분배효과(-0.17∼-0.34%)를 나타내었다. 조세의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크면 (+), 1보다 작으면 (-) 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며, 역도 성립한다. 재산세와 종부세의 소득탄력성은 각각0.008∼0.26과 0.004∼0.33으로 1보다 작으며, 따라서 소득역진적이고 (-)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산세와 종부세의 소득탄력성을 요인분해하면, ① 재산세․종부세의 과표탄력성, ② 과표의 부동산자산탄력성, ③ 부동산자산의 소득탄력성의 세가지 요인의 곱으로 표현된다. 재산세(총계)와 종부세는 누진세율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표탄력성(①)은 각각 1.24∼1.62와 1.09∼1.41로 1을 초과한다. 과표의 부동산자산탄력성(②)이 각각 0.26∼0.42, 0.40∼0.72로 1보다 작고, 부동산자산의 소득탄력성(③)도 각각 0.31∼0.66. 0.26∼0.52로 1보다 작다. 재산세․종부세의 누진과세체계로 인해 세율체계의 소득탄력성이 1을 상회함에도 불구하고 과표의 부동산자산탄력성과 부동산자산의 소득탄력성이 모두 1보다 충분히 작기 때문에, 이들 3개 요소를 곱한 형태로 표현되는 재산세와 종부세의 소득탄력성이 1에 미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재산세 과표의 부동산자산탄력성이나 부동산자산의 소득탄력성은 조세정책을 통해 통제 불가능한 요인이기 때문에 재산보유과세를 강화하더라도 (+)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이연법인세 도입이 기업의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성식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50 No.-

        Pretax accounting income in financial accounting is not generally equal to taxable income in tax accounting. Therefore, matching pretax income with taxes payable calculated from taxable income may contort a firm's financial position and operating performance. To avoid this problem, the revised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in Korea introduced a new provision of accounting for Interperiod tax allocation, a provision of matching pretax income with tax expense computed from pretax income. Empirical analyses on temporary differences are conducted mainly by one different method as follows. The influence of the tax effect of temporary differences on Income measurement and Balance Sheet amounts is performed by comparing its ratio to total assets and to sales with materiality criteria used in the auditor judgment. Empirical tests show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pretax income adjusting permanant differences and taxable income is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temporary differenc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The reported tax and the reported net income om Income Statement are not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wo amounts adjusting the tax effect of temporary differences, but also especially for listed companies and audited companies the tax effect of temporary differences has a material effect on imcome measurement, though not on Balance Sheet amounts. These various results mean that the introduction of accounting for Interperiod tax allocation in the revised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is valid. Furthermore, empirical analyses above and additional theoretical reviews indicate that comprehensive allocation, asset-liability method, the recognition of a valuation allowance for the deferred income tax debit, and the disclosure of current and non-current amount respectively are desirable out of each alternative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이연법인세 도입 후 10년이 지난 현재 이연법인세 도입에 따른 이연법인세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연법인세 도입 전·후 각 9년간 공시되어진 실재 기업의 재무제표자료를 근거로 하여 이연법인세 회계정보가 기업의 재무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연법인세 도입이전과 이후의 재무수치를 비교해보면 전반적으로 이연법인세도입 이후의 재무수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간의 전반적인 재무수치 비교 결과 이연법인세자산이 공시된 기업의 재무수치들이 이연법인세부채가 공시된 기업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연법인세 도입이전과 이후의 재무비율을 비교해보면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공시된 기업의 유동비율이 도입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도입후에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는 반면, 이연법인세 부채 공시기업의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공통적으로 유동비율과 음(-)의 관계를,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과는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의 증가에 따라 유동성은 감소하는 반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이연법인세의 도입전·후의 재무비율의 차이검증결과 수익성비율은 이연법인세 도입전·후에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지만 고정자산회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유동비율은 이연법인세 부채 공시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자기자본비율은 이연법인세 도입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이연법인세가 도입된 이후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간 재무비율 중 유의한 차이가 발생한 재무비율은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서 나타났다. 여섯째,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분석기간동안 공통적으로 유동비율에 음(-)의 영향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립세 전환에 따른 지방소득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유재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Since 2014, local income tax has been converted into independent tax from the type of surtax on the national income tax such as individual and corporate income tax. The introduction of independent local income tax in the name of taxation sovereignty of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tax administrative costs such as collection costs and taxpayer cooperation costs. Current local income tax shares taxation object and tax base with national income tax. Local government can just exercise tax autonomy through adjustments of flexible tax rate and tax credit and reduction. However, if the local governments plunge into tax competition by exercising taxation sovereignty, the taxation system of local income tax will become more complicated and taxpayer burden will grow heavier. This study indicates defect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relation to the conversion of local income tax into independent tax.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he previous surtax on national income tax, the current independent local income tax is more complicated and increases tax administrative costs such as collection costs and taxpayer cooperation costs. Surtax or tax sharing system may b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the current independent local income tax. Second, the more local governments expand tax autonomy, the more harmful effects of tax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ax administrative costs are expected. Therefore, tax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should be restricted appropriately. Third, the requirement of accompanying documents which is almost same as for the national tax report aggravates taxpayer's burden in reporting tax base and tax amount of local income tax. So, the local government should get such documents in cooperation with National Tax Service instead of laying a burden on the taxpayers. Fourth, considering that local income tax shares tax base with national income tax, tax investigation for local income tax by the local government may result in wasted administrative power and double the burden on the taxpayers. Thus, investigation for taxable income should be conducted by National Tax Service and tax appeal proceeding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repetitious work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stly, the discriminatory application of tax incentives between individual and corporation undermines tax equity. 지방소득세는 2014년부터 종전의 부가세과세방식에서 독립세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강화한다는 명분하에 지방소득세를 독립세로 전환하였지만, 이로 인해 징세비용과 납세 협력비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현행 지방소득세가 독립세라고는 하지만 과세대상과 과세표준을 국세인 소득세 및 법인세와 공유하고 단지 세율과 세액공제·감면을 지방자치단체가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지방자치단체가 과세자주권을 행사하여 조세경쟁이 이루어질 경우 지방소득세제도는 더욱 복잡해 지고 납세자의 부담도 커질 것이다. 본 연구는 독립세로 전환된 현행 지방소득세 과세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세과세방식으로 전환된 현행 지방소득세제도는 종전의 부가세방식에 비해서 훨씬 더 복잡하고 징세비용과 납세협력비용도 크게 늘어났다. 따라서 지방소득세과세제도를 종전처럼 국세의 부가세방식으로 다시 바꾸거나 국세와 지방소득세를 공동과세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 행사가 강화되면 지방자치단체 간 조세경쟁의 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징세비용과 납세협력비용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은 가급적 제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액신고 시 국세 신고를 위해 세무서에 이미 제출한 서류를 대부분 중복하여 제출하도록 하는 것은 납세협력비용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국세청과 지방 자치단체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여 납세자가 이미 국세청에 제출한 서류를 지방자치단체가 이중으로 징구하는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넷째, 국세와 과세표준을 공유하는 지방소득세 과세체계에서 지방자치단체에게 독자적인 지방소득세 세무조사를 허용하는 것은 동일한 세원에 대한 중복 업무로 행정력이 낭비되고 납세자에게 이중의 세무조사 부담을 지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소득 과세에 관한 세무조사 기능은 국세청으로 일원화하고, 조세불복절차에 있어서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업무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감면을 전면 배제시킨 것은 법인에 대한 차별적인 조세정책으로 조세의 형평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재고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