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상계(imaginary)의 역사성과 동아시아 상상계의 유형

        박현수 ( Hyun Soo Park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4 No.-

        본고는 상상계의 문제를 문화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상상계의 유형을 설정하고 그것의 본질적 의미를 다루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상상계(imaginary)는 상상력이 작동하는 기반이 되는 각종 요소들의 총체를 말하는데, 그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상상계의 유형 분류 중에서 뒤랑의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그의 분류학이 심리적·논리적 차원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실증적인 차원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뒤랑의 이런 시각은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실증성을 바탕으로 상상계의 유형을 구성할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동아시아의 상상계는 크게 화하적(華夏的) 상상계, 묘만적(苗蠻的) 상상계, 동이적(東夷的) 상상계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고대 동북아의 문화사적 구도와 관련이 있다. 화하적 상상계는 주나라의 인문정신에 기반한 합리성과 코스모스, 논리성, 현실주의 등을 그 특징으로 지니며, 묘만적 상상계는 괴력난신과 같은 비합리성, 카오스, 초논리성, 낭만주의 등을, 동이적 상상계는 그것의 종합으로서 카오스모스를 그 특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상계의 근원적인 차이는 초월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화하적 상상계는 초월을 인정하지 않고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해결 방식을 선호하며, 묘만적 상상계는 외재적 초월을 추구하며, 동이적 상상계는 내재적 초월을 인정한다. 이런 상상계는 상극의 관계가 아니라 상생의 관계에 놓여 있다. This paper aims to set the type of the imaginary of East Asia, and deals with its essential meaning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imaginary through cultural studies. Imaginary is the totality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the basis for the imagination to work. Various classifi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its contents.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imagina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cussion of Gilbert Durand. He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psychological and logical levels, also the empirical level. Durand`s vision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to configure the type of imaginary in East Asia. The imaginary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Hwaha imaginary, Myoman imaginary and Dongyi imaginary. It is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ic structure of the ancient East Asia. Hwaha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osmos, logicality, realism, humanity based on the spirit of rationality, Myoman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 illogicality, surrealism. And Dongyi imaginary is characterized by chaosmo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imaginaries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ce. We can not find any transcendence in Hwaha imaginary, and we can find an extrinsic transcendence in Myoman imaginary. But we can find an immanent transcendence or ``beyond-here``, in Dongyi imaginary. These imaginaries are auxiliary to each other.

      • KCI등재

        줌파 라히리의 『네임세이크』와 이주시대의 상상계

        배미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60

        The term ‘the imaginary’ was first registered as meaning personal illusion or phantasy by Jacques Lacan, but it was appropriated later and its usage was expanded to social imaginary by Charles Taylor and Arjun Appadurai. After ‘the death of God’, nationalism took the task of granting identity and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individuals replacing religions and it has become a nation-building ideology of both Western and non-Western countries since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Manfred Steger properly points out, nationalism gives birth to sub-nationalism or variants such as socialism, communism and fascism. Even now when many proclaim ‘the end of ideologies' and post- nationalism we still witness nationalism is referred again and again, which makes us doubt that it possibly is the meta-ideology. But facing terrorism vs. anti-terrorism and reality vs. virtual reality, we're being asked to search for global imaginaries that go hand in hand with national imaginaries. Amartya Sen also suggests an individual should be allowed to have plural identities instead of a single identity. In this sense the U.S. is the best place for a post-national immigrant setting, which a Bengali American novelist Jhumpa Lahiri's The Namesake shows quite well.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 existence of national and global imaginaries in terms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of an individual. 찰스 테일러와 아르준 아파두라이는 사회 집단이 공유하는 어떤 이해이자 실천을 유발하는 것으로 ‘상상계’의 의미를 확장했다. 서구 근대 이전 종교가 담당하던 정체성과 소속감 부여 임무는 근대 이후 민족주의가 담당하게 되고, 민족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국민국가 수립의 기본 이데올로기가 되어 거의 최초의 전 세계적 상상계가 되었다. 맨프레드 스티거의 지적대로 민족주의는 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과 같은 하위나 변종 민족주의를 낳았을 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죽음이 공공연히 선언되고 탈민족적 담론이 확산되는 가운데에도 여전히 요청되고 언급된다. 이것은 민족주의가 메타이데올로기라는 추측까지 하게 한다. 그러나 테러-대테러 상황과 실제와 가상의 이주가 일반화되고 있는 오늘날, 민족주의라는 민족상상계가 완전히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면 민족상상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상상계를 고민해야 한다. 이것은 아마르티아 센이 단일 정체성의 위험을 지적하면서 개인의 다중 정체성을 인정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이성적 추론을 통해 자유로이 정체성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하는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미국은 가장 적절한 탈민족적 이주의 장소이며, 영국 태생 인도인이자 미국시민인 줌파 라히리의 『네임세이크』는 미국 보스턴으로 이민한 벵골인들의 이야기이다. 이 작품에서 정체성과 장소성이라는 상상계가 민족적 차원과 글로벌 차원에서 어떻게 서로 작용하며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심상 시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증상 완화 및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박정혜,김춘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치료 중에서 특히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증상완화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남 양산시 소재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의 ○병동 내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입원 기간이 3년 이상, 발병기간이 5년 이상이 된 만성 조현병 환자 14명이며, 심상 시치료 실시집단과 비실시 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2013년 1월에서 2월까지 총 12회기에 걸쳐 매주 2회, 한 회기 당 9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심상 시치료의 영역 중 매체활용적인 면에서 그림과 시를 위주로 하였다.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완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서 심상 시치료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게 각각 사전, 사후, 실시 한 달 후에는 추후까지 다면적 인성 검사(MMPI)와 간이정신진단 검사(SCL-90-R)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문장완성 검사(SCT)를 실시하고 분석하였으며,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집단을 대상으로 해서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둘째, 심상 시치료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셋째, 심상 시치료가 현상학적으로 볼 때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에게 긍정적인 변화양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whether among literary therap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could have positive effect at not only the side of ease of symptom but also the sid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are in closed ward.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fourteen chronic schizophrenics who had over five years of disease experience and three years of hospitalization experience among patients in 0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in 00 hospital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y were assigned randomly in half in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uffers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and control group that doesn’t suffer the therap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wo times a week for twelve session from January 2013 to February, and each session took ninety minutes. At the part of media utilization, it mainly used pictures and poems among the domain of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chronic schizophrenic’s ease of symptoms, MMPI and SCL-90-R were implement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test, after the test, and after a month of test, and the results of that tests were elicited statistically. Also,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CT was implemented and analyzed, and to check positive chang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perimental group. To summarize the result of research, first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ease of symptom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that effects had lasted later on. Secondl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meaningful effects on stabilizing chronic schizophrenics' mentality, and that effect had lasted later on. Finally, at the point of phenomenology, ‘Imaginary-oriented Poetry Therapy’ had positive change to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in closed ward at department of mental health.

      • KCI등재

        유아 그림책 『그름빵』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 과정 분석

        신혜선 ( Hye Seon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Lacan의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유아그림책 ‘구름빵’ 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욕망이론의 주요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세가지 측면에서 주체의 분열과정을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상상계에서 아이들은 구름을 손에 넣는 순간 상징계에 있는 엄마와 아빠를 상상계에 편입시켜 자신들의 생각에 동조하게 만든다. 상징계에서 엄마가 아빠를 걱정하는 모습은 아이들에게 아빠를 돕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이 욕망은 상상계에서 만든 구름 빵을 통해 충족된다. 실재계에서 아이들은 구름 빵을 또 먹음으로써 상징계로의 복귀를 회피하며 계속 상상계에 머문다. 왜냐하면 아빠를 돕고자 하는 주체의 욕망 충족은 상징계가 아닌 상상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다시 상징계로 돌아 왔을 때 주체는 충족되지 못한 결핍이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 상상계와 상징계의 통로 역할을 해주었던 구름 빵은 아이들에게 욕망의 충족과 결핍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또 다른 욕망을 갈망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the main character`s desire formatio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 Cloud Bread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urse of the subject`s division on the sides of the three main concepts in the desire theory, the imaginary, the symbolic order and the real ord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children made their mother and father who initially exist in the symbolic order enter the imaginary to agree with them when they lay hold of clouds in the imaginary. Mother`s concern about father in the symbolic order provokes children`s desire to help him, and this desire is met by the cloud bread created in the imaginary. Children continue to stay in the imaginary abiding their return to the symbolic order by eating the cloud bread again in the real order. This is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desire is fulfilled in the imaginary rather than in the symbolic order, and when returning to the symbolic order, the subject suffers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After all, the cloud bread, which plays the floe of a channel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order, make children feel satisfied and deficient at the same time, and serves as a motivation for yearning another desire.

      • KCI등재

        최인훈 『광장』에 나타난 욕망의 특질과 그 의의

        문흥술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2 No.-

        Applying the theory of the ‘identity of subject’, this thesis tried to discuss in an integrated view the meaning of Lee Myeong Jun’s desire in “An Open Space” and the function of ideology and love on this desire. The ‘subject’ goes through twice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le Je-idal” in l’imaginaire and “l’ideal du moi” in le symbolique. Lee Myeong Jun denies the symbolic identification due to his disappointment from the social symbolic systems of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yet desires for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However, the reality of the society and the ideologies of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repress this desire but his love with a woman reinforces it. Firstly, the “love of body” with a woman reinforces Lee Myeong Jun’s desire for the imaginary identity. Especially, Eun-Hye functions as the sole “the other” who reinforces this desire but as she dies during the war, his imaginary identity ends up with the tragic breakdown. Secondly, the ideologies of the North and the South repress Lee Myeong Jun’s desire for imaginary identity. Here, ‘an open space’ is used as the two concepts; ‘an open space of the symbolic’ and ‘an open space of the imaginary’. Connecting organically the process of making narrow and diffusing an open space with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this work criticizes “le symbolique”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rough this, Choe in-hun’s work strongly desires for the world of the imaginary identity where the human beings and the nature,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the matter and the soul are united. This world of imaginary identity is merged into the world of Lukcs’ “a priori totality” which has been the direction taken by the genres of novel that appeared since the birth of the capitalism. As the result, this work has jumped over the boundaries of the local and individual character as the division novel and entered into the boundary of the world-historic universality. In addition, as the contradiction of the capitalism becomes more aggravated, it till now holds its effectiveness. 이 글은 주체의 동일화 이론을 원용하여 『광장』에 나타나는 이명준의 욕망이 무엇이며, 그러한 욕망에 이데올로기와 사랑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통합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주체는 상상계에서의 ‘이상적 자아’와 상징계에서의 ‘자아이상’이라는 두 번에 걸친 동일화 과정을 겪는다. 이명준은 남북한의 사회상징체계에 절망하여 상징계에서의 동일화를 거부하고, 상상계에서의 동일화를 욕망하는데, 이러한 욕망을 억압하는 것이 남북한 이데올로기와 사회현실이며, 그러한 욕망을 강화하는 것이 두 여인과의 사랑이다. 먼저 이명준은 여인과의 ‘몸’의 사랑을 통해 상상계적 동일화에 대한 욕망을 강화한다. 특히 북쪽의 은혜는 이명준의 상상계적 동일화에 대한 욕망을 강화하는 유일한 타자로 기능하지만, 은혜가 전사하면서 이명준의 상상계적 동일화는 비극적 좌절로 끝난다. 다음 이데올로기 측면을 보면, 이명준의 상상계적 동일화에 대한 욕망을 남북한 이데올로기는 억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광장은 상징계의 광장과 상상계의 광장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작품은 상상계적 광장의 좁힘과 확산의 과정을 상징계의 모순과 유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남북한의 사회상징체계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인간과 자연, 개인과 사회, 물질과 영혼이 합일되는 상상계적 동일성의 세계를 강렬하게 욕망하는데, 이 상상계적 동일화의 세계는 자본주의가 태동된 이래 대두된 소설 장르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루카치적 선험적 총체성의 세계에 맞닿아 있다. 그 결과 이 작품은 한국의 분단소설이라는 지방성과 개별성의 영역을 뛰어 넘어 세계사적 보편성의 영역에 진입해 있으며, 자본주의의 모순이 첨예화되면 될수록 이 작품은 더욱 강력한 현재형의 기호로 그 유효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오인과 국가적 상상계

        정진만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현대정신분석 Vol.21 No.2

        This essay explores the striking motif of ‘misrecognition’ in F. Scott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 mainly focusing attention on two characters: Nick Carraway and Jay Gatsby. Quite favorably, Nick as a narrator elaborates and colors Gatsby as great, admiring the hero’s seemingly unsurpassable pursuit of American dream, love, and ‘Manifest Destiny’. Gatsby also idealistically and narcissistically conceives himself as the son of God and appeals to the big Other like Manifest Destiny as a guarantor of his successful achievement of desire. In order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isrecognition motif, this essay refers to Jacques Lacan’s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imaginary’, for it would help us adequately to consider both the mechanism of miscrecognition ( méconnaissance on a specular level) and its influence over the false, alienating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self. Additionally, this essay employs another term ‘the national imaginary’: a further psycho-political application of Lacan’s notion of the imaginary into a national level. This essay detects the disparate textual voices that disrupt, in a self-deconstructive manner, the personal and national misconception by suggesting its unsustainable impossibility while promoting it simultaneously. The textual inner inconsistency, a manifestation of the Lacanian real, reveals Fitzgerald’s complex attitude toward his contemporary American ideal and desire such as American Dream, American Adam, and expansionism. This essay would lead us to see that, while admiring such ideal and desire, Fitzgerald still interrogates how much they are viable, as he is within and without them. 이 글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에 두드러지는 ‘오인’의 모티프를 두 인물(닉 캐러웨이와 제이 개츠비)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한다. 닉은 상당히 우호적이고 친밀한 태도로 미국적 꿈, 사랑, ‘명백한 운명’을 탁월하게 추구하는 것 같은 개츠비를 위대한 인물로 공들여 채색한다. 개츠비 역시 자신을 신의아들로 여기는 이상주의적이고 자아도취적인 생각에 빠져 있으며, 자신의 욕망의 성공적 성취에 대한 보증자로서 명백한 운명같은 대타자에 호소한다. 오인의 모티프를 밝히기 위해, 이 글은자크 라캉의 ‘상상계’ 이론을 참조한다. 왜냐하면 이 이론은 (거울상의) 오인의 메커니즘, 그리고 그것이 미국적 자아에 대한허위의, 소외된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 글은 라캉적 상상계를 심리-정치적으로 국가적 차원에 적용시킨 ‘국가적 상상계’ 용어를 활용한다. 이 글은 개인적, 국가적 오인을 부추기면서도 그것이 유지될수 없는 불가능성을 암시하여 오인을 자기해체적으로 와해시키는 텍스트의 이질적 목소리들을 추적한다. 라캉적 실재계의 표명인 텍스트의 이런 내재적 불일치는 미국적 꿈, 미국적 아담, 팽창주의 같은 동시대의 이상과 욕망에 대한 피츠제럴드의 복합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 글은 우리로 하여금 피츠제럴드가이런 이상과 욕망의 안에도 있고 밖에도 있기에 이런 것을 찬미하면서도 그것의 실행 가능성을 여전히 심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 KCI등재

        ‘먼 나라/전원’의 상상의 지리학

        김수이(Kim Su-Yee)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This paper 1) finds out modern character in scenery of Shin's early poetry, 2) considers 'distant country/fields' as sensuous and aesthetic spacefor self-preservation of dissociate modern ego. Representation of 'nature' in Shin's early poetry is under the influence of Eastern and Western view of nature in poetry of Do Yeon-myung and Tagore etc. In this basis, his 'nature' has reborn as characteristic-aesthetic space. Negative reality and desperate inner-state has neutralized to the 'nature' called 'distant country' or 'fields' imaginarily and aesthetically. That is, it is the imaginary-geographical space as a 'reversed form of repression'. This space, as an imaginary opponent of dissociate modern ego's inner scenery, is divided into opposite form of realty. Yet, it doesn't have any individual self-regulation. Thus, it is hard to interpret the 'Mother' of his early poetry symbols Mother Earth's maturnity and redemption. The 'Mother' only functions as mere listener who receives unilateral solicitation and confession of poetic narrator.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have a hermeneutics point of view, which put a matter of monotonous, plane scenery and aesthetic itself, rather than a reflective point of view, which criticizes lack of reality-recognition, in reviewing 'nature' of his poetry.

      • KCI등재

        논문 : 무의식의 구조와 영상분석에 관한 연구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사진학회 2006 AURA Vol.0 No.15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about the unconscious and to analyze the movie, Vertigo directed by A. Hitchcock in 1958. According to Lacan, the unconscious is structured like a human language based on metonymy and metaphor. For him it means that the unconscious is composed of three orders that are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The imaginary is the world, the register, the dimension of images, conscious or unconscious, perceived or imagined. The notion of the symbolic is not icons but signifier like a language. The subject, in Lacan`s sense, is an effect of the symbolic. The real links to the symbolic and the imaginary. It stands for what is neither symbolic nor imaginary, and remains foreclosed from the analytic experience, which is an experience of speech. It is a non-signifying Other, the real, that exists as sedimentations within language which resist symbolization, remaining obscurely and intransigently material It is thus the place where the analyst can read the screen which is consist of man`s desire and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general outline of Lacan`s theory of the unconscious and to suggest its relevance to the field of visual criticism.

      • KCI등재

        거대과학의 기술적 공상과 할리우드영화의 디지털모더니즘

        박노출 ( Noh Chool Park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2 美國學論集 Vol.44 No.2

        This essay investigate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digital spectacles of contemporary Hollywood cinema in light of the technological imaginary with which the public invest modern science, and postcolonial theories. Noting that the digital spectacles visualize what transcends human`s experiential realities, this study finds their affinities with the space science which arose as part of the American Cold War politics, promising that the space technology would revolutionize human understanding about the unknown universe. It suggests that both the digital spectacles and the space science gratify the technological imagery, the collective confidence the public holds in technological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human culture and existence.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 digital spectacles inscribed in film narrative are designed to promote the spectator`s technological imaginary, which as a modern myth still subscribes to the ideological imperatives of the Cold War politics such as Western hegemony and neo-colonial domination. To prove this point the present work offers three critical discussions. First, it probes the ways in which the Hubble Space Telescope was developed as a major product of the postwar US space policy. It shows how the popular desire and its ideological bounds projected onto Big Science like the Hubble laid the groundwork for latest digital imageries. Second, it reinterprets the Hollywood blockbuster Avatar (2009) to point out that although the movie concedes the failure of the West`s technological developmentalism and advocates an ecological world view, the narrative still rests upon the myth of the technological imaginary. The oxymoron ``realistic imagination`` is proposed to indicate the way in which the aliens and their living environments in Avatar are visualized and narrativized. It is further argued that the realistic imagination constitutes the central character of the digital spectacles of Hollywood blockbusters. The final discussion examines whether the realistic imagination may also inform the narrative mode of big-budget, non-digital Hollywood movies of the globalization era. To do it the Hollywood movie Memoirs of a Geisha (2005) is compared to Pierre Loti`s travelogue Madame Chrysentheme (1887). While the latter prefigures the nonlinear narrative and stereotyping of Western modernist literature, the former mobilizes realism and fairy-tale spectacles in order to deconstruct the elements of the modernist narrative. Such a double narrative upheld by realism and fairy-tale imagination is in line with the realistic imagination of the digital spectacles. This study conclusively proposes the term ``digital modernism`` to accou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digital spectacles mediate between realism and imagism so as to visualize the new identity politics of the globalization era.

      • KCI등재

        <겨울왕국2>에 나타난 평등주의 상상계와 비폭력적 공존의 방식

        조현준 ( Cho Hyunjun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2 No.-

        이 논문은 2019년 세계적으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던 디즈니 장편 만화영화 <겨울왕국2>에 나타난 젠더 규범의 수행적 전복 양상과 평등주의 공동체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전통적으로 동화는 당대의 규범을 강화하는 텍스트인데, <겨울왕국2>는 원전인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 전편인 <겨울왕국>을 경유해 여성 젠더, 여성간 관계, 가족 규범을 더 강력히 전복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민족과의 공존 방식, 그리고 인간과 정령 혹은 인간과 자연의 공생방식을 모색했다. <겨울왕국2>의 수행성 강화와 함께 확장된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미국의 철학자이자 퀴어 이론가인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 이론 뿐 아니라 최근작 『비폭력의 힘』(2020)에 제시된 ‘평등주의 상상계’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평등주의 상상계는 상호 의존성에 기반해 상상된 평등이며, 새롭게 상상된 평등은 개인들 사이의 평등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집단적 평등을 주장한다. 평등은 그것이 표명되기 위해 점점 더 공언된 상호관계성에 의존하는 사회적 관계의 특성이다. 우리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자유와 평등을 구현하는 전지구적 상호 의존성을 존중하는 세계의 건설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ubversive performativity of gender norms and the possibility of an egalitarian community in Frozen 2. While fairy tales are the text to strengthen the current norm and gender hierarchy of the time, Frozen 2 subverts the gender norms of original fairy tale Snow Queen and enlarge the prequel Frozen in terms of female gender identity, relations between women, and family structure. It also searches for the ways of cohabitation between different ethnic or national groups or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Frozen 2 can be reinterpreted by the concept ‘an egalitarian imaginary’ based on ‘interdependence’ of Judith Butler, the American philosopher and a well known queer theorist, suggested in the recently published book The Force of Nonviolence(2020). An egalitarian imaginary is an imagined equality not between individuals but as a collective claim on society. Equality is a feature of social relations that depends for its articulation on an increasingly avowed interdependence. We need to commit to world building that honors global interdependency that embodies ideal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freedom and equality, with imagining another imagi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