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관광 이미지 효과의 메타분석

        고명숙(Ko, Myeong Sok),전정현(Jun, Jung Hyun),최지호(Choi, Ji 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관광산업의 성장에 따라 관광 이미지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 또한 관련 학문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관광 이미지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상당히 많은 연구들이 누적되어 있기 때문에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정리될 시점이다. 아울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관광 이미지라는 주제로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 이미지 메타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그리고 상황변수와 같은 3가지 변수를 분석 틀로 삼은 후, 각 변수별로 기존 연구에서 주요 내용으로 포함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독립변수의 경우, 관광 이미지의 대상 차원, 내용 차원, 그리고 형성 시점 차원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종속변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계층모형에 기초하여 인지, 태도, 행동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상황변수에는 응답자의 특성, 척도의 유형, 척도점의 수, 분석방법, 척도개발 유무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 독립변수 중 이미지의 대상과 이미지의 차원 효과의 크기는 차이가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이미지의 형성 시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속변수에서 이미지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황변수의 경우 분석방법은 이미지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응답자의 특성과 척도개발 유무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척도의 유형과 척도점의 수는 이미지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도출되었다. 메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기초하여 관광 이미지 효과 관련 연구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요약함과 동시에 관광 이미지 효과 관련 연구들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s tourism industry has grown up in domestic market, studies of t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have been cumula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time to provide integrative summary and research directions of 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We have executed meta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total size of 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and effect difference of main variables such and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situational variables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 journals from1999 to 2015. There are three factors including content dimension of image, object dimension of image, and formation time point of image i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is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 that are included in communication hierarchy of effect model. Factor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cale type, number of scale point, analysis method, and scale development are considered as situational variables. Meta analysis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In the case of independent variables, object and content dimension of imag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age effect but formation time point of image effect is not differen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mage effect in 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 of situational variables, analysis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s. Als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scale development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We discussed about constructive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destination image effects research on results of meta analysis. 관광산업의 성장에 따라 관광 이미지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 또한 관련 학문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관광 이미지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상당히 많은 연구들이 누적되어 있기 때문에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정리될 시점이다. 아울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관광 이미지라는 주제로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 이미지 메타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그리고 상황변수와 같은 3가지 변수를 분석 틀로 삼은 후, 각 변수별로 기존 연구에서 주요 내용으로 포함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먼저 독립변수의 경우, 관광 이미지의 대상 차원, 내용 차원, 그리고 형성 시점 차원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종속변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계층모형에 기초하여 인지, 태도, 행동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상황변수에는 응답자의 특성, 척도의 유형, 척도점의 수, 분석방법, 척도개발 유무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 독립변수 중 이미지의 대상과 이미지의 차원 효과의 크기는 차이가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이미지의 형성 시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속변수에서 이미지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황변수의 경우 분석방법은 이미지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응답자의 특성과 척도개발 유무는 부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척도의 유형과 척도점의 수는 이미지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도출되었다. 메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기초하여 관광 이미지 효과 관련 연구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요약함과 동시에 관광 이미지 효과 관련 연구들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s tourism industry has grown up in domestic market, studies of t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have been cumula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time to provide integrative summary and research directions of 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We have executed meta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total size of our destination image effects and effect difference of main variables such and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situational variables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 journals from1999 to 2015. There are three factors including content dimension of image, object dimension of image, and formation time point of image i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is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 that are included in communication hierarchy of effect model. Factor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cale type, number of scale point, analysis method, and scale development are considered as situational variables. Meta analysis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In the case of independent variables, object and content dimension of imag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age effect but formation time point of image effect is not differen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mage effect in 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 of situational variables, analysis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s. Als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scale development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We discussed about constructive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destination image effects research on results of meta analysis.

      • KCI등재

        ‘경주’의 도시 이미지 분석과 향후 과제

        박선진(Park Seon jin),김억조(Kim Eok 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경주’의 도시 이미지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경주’는 신라 천년의 고도로 누구나 인정하는 문화관광 도시이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관광 도시의 이미지는 줄어들고 다른 이미지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가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도시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경주’ 이미지를 분석하고 향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주의 이미지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관광 도시로서 경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바 있지만 대부분이 국내 혹은 경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의견이 주로 반영되어 온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문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국제화 시대에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과 전국 대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가 느끼는 최근 ‘경주’의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신문기사 키워드 분석을 통해 ‘경주시’의 도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주의 도시 이미지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문화관광 도시’로 인식되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문화관광 이미지와 더불어 ‘원자력 도시’의 이미지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설문을 통해 ‘경주’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는데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비교하였다. 경주는 천년 고도로 신라를 대표하는 곳이라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여행하기 좋은 곳’과 ‘문화적 다양성이 많은 곳’으로 문화·관광의 이미지도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도 경주는 ‘역사의 도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원자력 도시’도 보통 이상의 인식 정도로 나타난다는 것은 경주의 도시 이미지 인식 변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2장의 결과와 일치한다. 경주의 도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국내와 국외 학생들간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2장과 3장의 결과를 토대로 4장에서는 ‘경주’ 이미지 제고를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통시적 신문 기사 키워드 분석과 국내와 국외의 청년들을 대상 ‘경주’의 도시 이미지 설문을 분석하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이 연구의 결과가 ‘경주’의 도시 이미지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ity image of “Gyeongju” and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tasks. Gyeongju is the ancient city of Silla of a thousand years, which i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recognized by everyone. However, upon entering the 2000s, its image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decreased and a different image came to the 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Gyeongju until now as a way to restore its image 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culture and tourism in South Korea and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tasks. Previous studies on the image of Gyeongju mainly proposed the directions in which Gyeongju should proceed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in most of them, only the opinions of the people residing in Korea or Gyeongju have been reflected, which is a limitation. Thu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analysed newspaper materials that reflect the opinions of foreig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nationwide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his, the latest image of Gyeongju in younger generations was analyzed objectively.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2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through a newspaper article keyword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ity image of Gyeongju had been recognized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from the 1950s through the 1990s. However, it turned out that upon entering the 2000s, it has gained the image of a “nuclear energy city” in addition to the image of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Chapter 3 show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on the image of Gyeongju based on a questionnaire.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commonly think that Gyeongju is an ancient city with a history of a thousand years and a place that represents Silla. In addition, the image as a city of culture and tourism was high as a “good place for a trip” and a “place with a lot of cultural diversity”. The ancient city Gyeongju mostly had the image of a “city of history”. However, it had the image of a “nuclear energy city” 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ve the average, which is an aspect of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2.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ju between domestic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tailed in Chapters 2 and 3, Chapter 4 proposes directions and tasks to promote the image of Gyeongju. The results of the diachronic newspaper keyword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city image of Gyeongju with domestic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he city image of Gyeongju.

      • KCI등재

        A Review of Image Analysis in Biochemical Engineering

        Sang-Kyu Jung 한국생물공학회 2019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4 No.1

        The purpose of image analysis is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images. Since modern image analysis allows fast, accurate, and reliable quantitative analysis, it is widely used at present in many area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image analysis methods that are commonly used in biochemical engineering, for which the subjects of the image analysis vary from molecules or cells to whole animals or biomaterials. Images captured by imaging hardware, which is not limited to digital cameras, are processed in multiple steps by applying various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o extract quantitative features. Image analysis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diverse applications, ranging from simple densitometric evaluation to animal phenotyping and biomass analysis. Although machine learning is poised to become an increasingly common method of image analysis, traditional methods utilizing blob extraction from binarized images are likely to remain in use for the foreseeable future.

      • 실험 방광암 모델에 있어서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이 발현되는 세포들의 색상-화상 분석

        이현무,이태수,김원재,차은종,송형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3 忠北醫大學術誌 Vol.3 No.1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에 의해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된 세포들의 평가에 있어서 색상-화상 분석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BBN 투여 기간에 따라 Fisher 344 백서 방광에 정상 상피로부터 단순 과증식, 결절성 혹은 유두상 과증식 및 표재성 방광암에 이르는 순차적인 병리세포학적 변화가 발생함을 관찰한 후, 이를 색상-화상 분석과 육안적 분석을 통해 PCNA에 대한 평균 labeling index를 구한 결과 두가지 방법에서 모두 각 병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색상-화상 분석을 이용하여 구한 평균 labeling index의 변이계수가 육안적 분석을 이용하여 구한 평균 labeling index의 변이계수에 비해 전 병변에 대하여 낮게 나타나, 종양화과정이 진행함에 따라 PCNA에 대한 평균 labeling index가 증가하고 평균 labeling index가 높을 수록 증식도가 더 큼을 나타낸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색상-화상 분석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가 육안적 분석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보다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면역조직화학염색에 대한 색상-화상 분석을 통한 세포역동학적 연구는 정량화 및 재현성의 향상을 통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의 평가에 있어 보다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제공하여줄 것이며, 이를 통해 방광종양의 증식도 및 악성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role of color-image analysis in evaluation of immunohistochemically labeled cells using anti-PCNA/cyclin monoclonal antibody. Sequential cellular changes(normal, simple hyperplasia,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and transitional cell carcinoma-Ta, T1) were observed in Fisher 344 rat urinary bladder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BBN administration. The mean PCNA labeling index obtained by color-image analysis and visual analysis in normal, simple hyperplasia,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and bladder tum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histological group. But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mean PCNA labeling index obtained by color-image analysis were lower than those using visual analysis in all lesions. Higher PCNA labeling indices indicated greater biological malignant potential, and mean labeling index in each histological group obtained by both color-image and visual analysis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tumorigenesis, bu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ith color-image analysis was lower than that with visual analysis in general, therefore, the evaluation of labeling indices obtained using color-image analysis was more reliable than that obtained using visual analysis. The data suggest that cell kinetic evaluation using color-image analysis may provide more reliable information to evaluat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erms of quantitation and reproducibilit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proliferative activity and malignant potential for bladder tumor.

      • Raining State Study using Gaussian Mixture Model

        Jeongwon Lee,Choong Ho Lee ASCONS 2020 IJASC Vol.2 No.3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tract a characteristic study of the raining situation based on the GMM (Gaussian mix model) within the raining image and perform the raining phenomenon in real time. Methods/Statistical analysis: Since the Gaussian Mixture Model is a good model for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the Gaussian Mixture Model was used in many fields. In this study, an OpenCV library provided by a Pytho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rain video using CV2 library. Findings: A test video image object was created, and the frame size was set to create a gray scale image and an image for accumulating color frames. A video frame was acquired, and an average image was calculated using the accumulated images for color image frames and gray scale images, and displayed in a window. An error rate occurs during the initial image analysis, but the accuracy increases over time. By analyzing the raining image, the motion of the rain was detected using the findObjectAndDraw() function to remove the noise. In the image of the detected rain, it was marked with a red bounding rectangle to confirm the rain. Improvements/Application s: In this study, a Gaussian mixture model was used, but the K-NN model was applied to make a more accurate analysis through comparison between various models.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인식에 관한 연구

        한지연,김홍범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8

        This study aims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through a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Big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if a tourist’s awareness of destination image favorably affects competitiveness of tourist destination. A web crawler was employed to gather online review data from 117 destinations and tourism products in Seoul, Korea using Tripadvisor. This web crawler is representative of the online travel community used throughout global tourism industry. Specifically, 23 image factors and 200 components composing two aspec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were derived using a system of text mining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and enhance destination competitiveness by investigating a tourist’s awareness in terms of their destination image. This was measured using indicators of network analysis that wer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7 image components help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tourist awareness in terms of destination image. Second) 14 image components feel psychologically close to tourists in terms of destination image. Third) 8 image components favorable influence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estination. Fourth) 11 image components have a greater impact greater than the others when tourists have a perceived destination imag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by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for measuring destination image based on Big data. 본 연구는 관광지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광지 이미지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온라인 여행 커뮤니티인 트립어드바이저로부터 서울의 117개의 관광지 및 관광상품에 해당하는 최근 5년간(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작성된 리뷰를 분석단위로 활용하였다. 특히, 관광지 이미지를 인지적·정서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23개의 구성개념과 200개의 이미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인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여 관광지의 경쟁력 제고에 필요한 이미지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창출에 도움이 되는 구성개념은 7개, 관광지 이미지에 대하여 여행객이 심리적으로 가깝게 느끼는 구성개념은 14개, 관광지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이미지 구성개념은 8개, 여행객이 관광지 이미지를 인식하는데 있어 파급력이 높은 구성개념은 11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지 이미지의 세부적인 인식조사는 실현가능한 마케팅 전략 수집에 기초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관광분야의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체계와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후보

        항공촬영(UAV) 기법을 이용한 발파암 파쇄도 이미지 분석

        강대우 ( Dae-woo Kang ),허원호 ( Wonho Hur ),이하영 ( Ha-young Lee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7 화약발파 Vol.35 No.1

        발파암의 파쇄도 분석에는 이미지 엣지 검출기법을 응용한 사진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들 이미지 획득은 주로 파쇄암의 정면에서 디지털 이미지로 획득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미지 분석은 정면촬영이 아닌 평면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게 되어 있으나, 거대한 암반 사면을 평면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정면 촬영된 이미지를 임의 왜곡 또는 확대하여 평면 촬영 각도와 유사하게 조절함으로서 해결하였다. 근래에 이르러 무인항공기(UAV)가 발전하면서 이를 통해 발파암의 파쇄 상황을 간단히 고화질디지털 이미지화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파쇄암이 쌓여있는 각도에 최대한 평면인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용 카메라를 이용해 발파 파쇄암의 정면 및 평면 디지털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하고 각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 결과가 기존 정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In Analysis of Fragmentation of rock blasted, The photo analysis method has been mainly used and these image acquisitions are mainly obtained by digital image from the front of the crushed rock. However, Image analysis is basically advantage of the image of planar shooting not front shooting but There is no way to take a photograph of huge plane rock slope. Thus, Unavoidably It is resolved by distorting or extending the image filmed at the front as well as adjusting it similar to its angle of plane shooting. Lately, With advancing unmanned aerial vehicle, It can simply image the fragment conditions of blasted rock of a high-definition digital image and Through it, It can acquire the most planar image to angle which accumulate cataclastic rock and also can make image analysis. In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olerance value of analysis result of image filmed flatly is markedly lower than the existing front filmed image.

      • KCI등재

        모래 입도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디지털 이미지 처리 방법

        허주영(Ju-Yeong Hur),천세현(Se-Hyeon Che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5 No.6

        백사장 모래의 입도분포는 해빈의 침식과 퇴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모래의 입도분포 분석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체가름시험은 분석 시간이 길고 개별 입자의 형상과 색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가름시험법 보다 측정 과정이 간편하고 효율적인 스마트폰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입도분포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분석 과정 중 이미지 기울기(Image Gradient) 계산을 통한 입자 경계 추출로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스마트폰 디지털 이미지의 배경으로부터 입자를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경상북도 4곳의 해수욕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경계 추출 이미지 분석법과 경계를 추출하지 않는 분석법을 각각 체가름시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은 D<SUB>50</SUB>에서 평균 8.21%의 평균 오차율을 보여 경계를 추출하지 않는 분석법 보다 65% 낮은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스마트폰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입도분포 분석은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체가름시험에 준하는 정확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coastal erosion and sediment deposition. The commonly used sieve analysis for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has limitations such as time-consuming processes and the inabilit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particle shapes and colors. In this study, we propose a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method using smartphone digital images, which is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sieve analysis method. During the image analysis process, we effectively detect particles from relatively low-resolution smartphone digital images by extracting particle boundaries through image gradient calculation.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four beaches in Gyeongsangbuk-do, we compare and validate the proposed boundary extraction image analysis method with the analysis method that does not extract boundaries, against sieve analysis results. The proposed method shows an average error rate of 8.21% at D<SUB>50</SUB>, exhibiting a 65% lower error compared to the method without boundary extraction. Therefore,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using smartphone digital images is convenient, efficient, and demonstrated accuracy comparable to sieve analysis.

      • KCI등재

        광조건 표준화에 의한 잔디의 엽색평가 이미지 분석

        이상국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4

        Visual evaluation suggested by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NTEP) is most widely used to measure turf color. However, there are inconsistent evaluation results because of subjective measures by evaluators and different conditions of evaluation timing. To complement visual evaluation, digital image analysis is used in recent resear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urf Color of zoysiagrass with image analysis with normalization of various brightness mean value. The nitrogen applications were made with the rate of 0 to 7 g m-2 increased by 1g m-2. The brightness mean value (BMV) level consists of a total of 5 levels which are 50, 70, 90, 110, and 130, and applying it to all images to calculate dark green color index (DGCI).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DGCI values derived from visual evaluation and image evaluation.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found at BMV 130, and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from that of the original im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greenness and the increase in brightness of the image were found to be necessary requirem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isual evaluation and image analysis. 잔디의 엽색평가를 위해 육안평가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평가자들 간의 주관적 평가 차이, 엽색평가 측정 시기에 따른 차이 등 단점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디지털 이미지 분석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zoysiagrass (Zoysia spp.)의 엽색평가에서 육안평가와 표준화된 brightness mean value의 차이에 따른이미지분석 결과값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Zoysiagrass의 엽색 변화를 위해 질소가 1g N m-2 부터 1g씩 증가하여 7g N m-2까지,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8단계의 농도로 처리가 되었다. Brightness mean value (BMV) 단계는 50, 70, 90, 110, 130의 총 5단계로 구성이 되어 모든 이미지에 적용 후 Dark green color index (DGCI) 값이 도출되었다. BMV 130에서가장높은상관관계유사도가나타났으며,이미지촬영시원본이미지의 brightness 차이는 상관관계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녹색도의 차이와 이미지의 brightness 증가는 육안평가와 이미지 분석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필요한 요건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관계획을 위한 도시 이미지 설정 방안 연구 ― 과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홍관종 ( Hong Kwan-jong ),정윤희 ( Jung Yun-hee ),신영선 ( Shin Young-sun ),강영은 ( Kang Young-eun ),권윤구 ( Kwon Yoon-ku ),유미경 ( Yoo Mi-kyoung ),변재상 ( Byeon Jae-sang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09 한국경관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경관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경관계획의 기본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시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살펴보고,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경관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도시 이미지를 설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과천시를 대상으로 현재 과천시의 이미지 및 미래의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를 대응일치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과천시를 대표하는 지형지물의 이미지 및 도시 전체 이미지를 다차원 척도법(MDS)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한 후 과천시에 적합한 대표 지형·지물 및 랜드마크 이미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과천시의 도시 유형은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과천시의 바람직한 도시 유형 또한 전원도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국의 주요 도시 유형과 도시들 간의 관계를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과천시는 자연도시, 전원도시의 특성을 다른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천시 대표 지형 및 지물로는 ‘관악산’과 ‘서울대공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천시 대표 지형지물의 이미지와 과천시 전체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과천시 이미지에 부합하는 랜드마크는 중앙공원과 시민회관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도시 이미지 형성 및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도시 이미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 기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n devising landscape planning by examining the image, the identity of citie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image of the cities as a method to deduce a fundamental course of landscape planning before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derived city image of Gwacheon and appropriate city image of the future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then present appropriate representative geographic form, man made feature and landmark image by applying MDS(Multi dimension scaling), the method to compare each other to represent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present, the city type representing Gwacheon is a garden city resulted from the previous study and also the future city type from the research resulted as a garden city, the most suitable city type of Gwacheon. 2. Gwachen city has more characteristics as a green city and a garden cit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jor cities nationwide and their classification of cities and the by Correspondence analysis as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city image. 3. The representative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of Gwacheon city are 'Gwanak mountain' and 'the Seoul Grand Park', and also the landmark corresponding with Gwacheon city image are 'Choongang park' and 'city community center' that resulted from analyzing representative image of topography and man-made feature in Gwacheon city between the entire image of Gwa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landscape planning method for forming city image and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as a fundamental basis to improve city imag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