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句麗의 孫盛 『晉春秋』 受容과 그 歷史的 意義

        노용필(Noh, Yong-pil)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7

        고구려인들은 『사기』를 비롯한 여러 중국 역사서를 수용함으로써 사학사상을 위시하여 역사 편찬의 체재는 물론이고 서술의 방식에 대해서도 익히 알게 되었고, 자신들의 역사 편찬에 이를 극력 활용하였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삼국사기』의 기록에 『유기』 100권을 태학박사 이문진이 영양왕 11년(600)에 『신집』 5권으로 '산수(刪修)'하였다고 하였음에서 드러나듯이, 옛 기록을 정리하고 그 이후의 새로운 사실을 추가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다고 보인다. 고구려 당시 역사학의 이러한 발전은 중국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은 것이었다. 당시 중국의 역사학은 위진남북조시대에 이르러 각 민족 자체의 역사학 발전과 더불어 여러 종류의 역사서들이 나타나 경학 다음으로 학술영역에서 중요한 독립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 권의 역사책이 세상에 나오면 빠른 속도로 전파되었으며, 곧 필사하여 널리 읽히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중국에서만 한정된 게 아니라 고구려에서도 역시 그러하였다고 가늠된다. 지방민들로 구성되었을 경당에서까지 밤낮으로 독서와 활쏘기를 하였다고 하였음이 이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손성이 『진춘추』의 서술을 통해 유학의 도의를 앞세워 상고의 예제를 회복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노장에 반대하는 입장을 명확히 밝히는 사론을 강력히 표방하고 있었는데, 고구려에서 이러한 손성의 『진춘추』를 애용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의 역사학에서도 유교적인 사관에 입각하여 ‘술이부작’의 춘추필법에 의거해 역사를 편찬하는 전통이 있었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고구려에서 손성의 『진춘추』을 통해 익히 잘 알고 있었던 이러한 춘추필법에 토대를 둔 직필의 역사 서술 방식을 취한 것 중의 하나가 『고려고기』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고구려 말기의 멸망 과정과 그 이후 신라 이주 고구려인들의 역사 편찬과 관련하여 손성의 『진춘추』가 고구려의 역사학에는 물론이고 통일신라의 그것에 끼친 영향의 구체적인 일단을 이 『고려고기』의 찬술에서 찾을 수 있겠다. It is assumed that people of Koguryŏ may have become to know historical studies, system of history compilation as well as methodology of its description by adopting a number of chinese history books including Historical Records(Shih chi史記), and may robustly have used these for their history compilation. And thu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Lee Mun-jin(李文眞), who was the university professor then, refined and republished 100 volumes of Yugi(留記, Extant Records) into Sinjip(新集, New Compilation) in the 11th year of Yŏngyang Wang(嬰陽王, 600 A.D.), showing their preference to method of compiling the old records and adding new facts thereto. Koguryŏ's such development of historical studies was substantially influenced by China. As far as Chinese historical studies at the time was concerned, a diverse range of history books appeared at the period of Six Dynasties along with development of historical studies of each dynasty, taking up an independent position next to Confucianism studies. Along the way, once a history book was published, it used to be propagated rapidly and was widely read by means of transcription. This trend seems to have prevailed not only in China, also in Koguryŏ. This can be evidenced by the historical records saying that local people read the books and exercised archery day and night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t the time. Son Sŏng(孫盛) emphasized to restore ancient manners and practices by suggesting Confucian morals in the style of "chun-qiu history-writing style(春秋筆法)" through his authoring of Jin chun-qiu, and strongly advocated historic stance opposing to Taoism. And people of Koguryŏ mainly utilized Son Sŏng's Jin chun-qiu.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Koguryŏ's historical studies had the tradition of compiling history using the Confucian way of criticism, based on Confucian historical view. And Koryŏ-gogi(Past history book of Koguryŏ)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books describing history as it is, based on this Confucian way of criticism in the style of "chun-qiu history-writing style(春秋筆法)" known through Son Sŏng's Jin chun-qiu(晉春秋). And accordingly, this Koryŏ-gogi may provide some insight into specific influences of Son Sŏng's Jin chun-qiu on historical studies of Koguryŏ as well as that of Unified Silla in connection with process of fall of Koguryŏ and history compilation by people of Koguryŏ emigrated to Unified Silla thereafter.

      • KCI등재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羅唐關係

        최희준(HeeJoon Choi)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7 No.-

        본 논문은 신라의‘党項城’에 대해서 기존연구들이 가지고 있던개략적인 이해를 비판하면서, 그 구체적인 연혁을사료에입각하여새롭게밝혀보고자한 결과물이다. 党項城은신라의對唐교류에있어교두보이자관문과같은역할을담당한城이다. 본래신라는당항성을“唐으로 가는 길목의 城”이라는 의미로 ‘唐項城’이라 한자 표기하고, 治所로 삼아남양 지역 일대를唐城郡으로편제하였다. 여기서唐城郡의‘唐城’은‘唐項城’에서‘項’자를생략한뒤郡의명칭으로 삼은 것이다.이후 신라는 善德王2년(633)에 ‘唐項城’의 한자 표기를 ‘党項城’으로 수정하였다. ‘党項’이란隋•唐代중국의 서쪽 변경에서 활동하던 이민족, 탕구트(党項, Tangut)를 가리키는 특수한단어였는데, 신라가이를 對唐교류의 관문성명칭으로차용했던것이다. 여기에는전해(632)에 있었던 당 태종의 탕구트 복속과 서쪽으로의 당 영토 확장을 축하하는 의미뿐만 아니라,당 태종이 탕구트에 대해 펼친 위무책으로 인해 서방 진출의 중요한 발판을 확보할 수 있었던사실을환기시키고, 이에견주어선덕왕에대한책봉을긍정적으로재검토하게끔만들명분을 제시하고자한계산까지도담겨있었다. 이는새롭게왕위에오른善德王이여왕의왕위계승문제를 두고 불거진 정통성과 정당성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꺼내든 여러 외교적 카드 중하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이후党項城은7세기삼국통일전쟁과정에서도지속적으로對唐통교의관문으로서핵심적인 역할을수행하였다. 그러다가삼국통일전쟁이종결되자신라는 神文王代전국적으로지방행정구역의 정비를 단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당항성에 위치해 있던 唐城郡의 治所가 평지로이전되게 되었다. 이에 党項城이 지니고 있던 郡治로서의 지위와 對唐관문으로서의 역할은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Sill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党項城) w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and bridgeheadof diplomat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illa and Tang. Originally, the name of the castle hadbeen written 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唐項城). in Chinese characters, meaning a “castleon the road to Tang.” Silla organized Namyang region into Tangsŏng county(唐城郡), with TanghangCastle as the capital city of the county. The name of the county, Tangsŏng(唐城), came from theTanghang Castle, omitting the word “hang(項)” from Tanghang Castle(唐項城).Later, Silla changed Chinese characters of the name from Tanghang sŏng(唐項城) to Tanghangsŏng(党項城) in the second year of King Sŏndŏk(善德王). The new Chinese characters for the castle,Tanghang(党項), referred to Tangut(党項), an ethnic group in the west frontier of the Tang Dynasty.Silla’s intention to change the name was to congratulate the Emperor of Tang on Tangut’s submissionto his rule. It was a desperate diplomatic measure of King Sŏndŏk, who was embroiled in controversyabout her legitimacy of succession because of her gender; the king attempted to conciliate EmperorTaizong(太宗), who had boycotted installation of King Sŏndŏk, and ultimately pacify the oppositionin the political sphere of Silla.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cation war in the 7th century, Tanghang Castle consistently playeda critical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from Silla. Yet after the end of the war, Silla reorganizedthe system of regional governments on a nationwide scale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神文王).In this process, the capital city of Tangsŏng county transferred to flatland, and evidently TanghangCastle lost its status as a capital city, and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 KCI등재

        中國 唐宋 勅牒 樣式의 變化

        沈永煥(Shim, Young-hwa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8 泰東古典硏究 Vol.24 No.-

        이 글 은 중국 당 송(唐宋 ) 시 대 의 문 서 의 하 나 인 칙 첩 (勅 牒 ) 양 식 의 변 화를 살펴 보 고자 하였 다 . 당(唐)의 칙첩은 왕언(王言) 중에서 가장 작은 일[小事, 細事]에 사용하는 문서 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서의 운용은 관부(官府)나 관인(官人)의 상주에 대하여 황제가 재가를 하여 중서문하(中書門下)에 내려 준다. 중서문하는 다시 첩 (牒)의 양식으로 상주한 관부나 관인에게 회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때 중서문하는 상주한 내용을 모두(冒頭)에 적고 첩식 양식으로 재가한 내용을 그 다음에 적고 연월일 뒤에 재상들의 구관 성명(具官姓名)을 기입함으로써 문서는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오대(五代) 후당(後唐)의 칙첩은 재상들의 서명(署名) 부분이 당의 칙첩에는 성명(姓名)을 기록한 반면에 후당에서는 성(姓)만을 기록한 것이 다른 점이다. 북송(北宋)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당의 칙첩 양식과 동일한 문서 양식을 운용하였지만 재상들의 서명 부분은 오대의 전통에 따라 성(姓)만을 기재하였다. 이러한 칙첩의 양식은 원풍(元豊) 관제 이전까지는 동일하게 지속되었다. 북송은 원풍 관제의 개혁으로 다시 당의 3성(省) 6부(部)의 체제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이때 여러 제도를 개혁하였는데 문서의 운용도 그 중의 하나였다. 원풍관제의 개혁으로 이전의 중서문하에서 발급하던 칙첩은 상서성(尙書省)에서 발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재상들도 상서성의 관원들로 바뀌고 관인도 중서문하지인(中書門下 之印)에서 상서성지인(尙書省之印)으로 바뀌었다. In this pape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rm on Chikcheop which is document in Tang and Sung period. We demonstrated that the Chikcheop in Tang period had been used for the smallest work among the Wangun. The documents were managed through an approval by the emperor presented by the Gwanbu (government organization) or Gwanin (government official), which were subsequently delivered to the Chungsŏmunha. Chungsŏmunha consisted of replying form to Gwanbu or Gwanin as the form of Cheop. Consequently, the Chungsŏmunha wrote all contents at the head form (冒頭) and successively entered all sanctioned articles in Cheop style. The document finally became effective by inscribing the names and the titles of the premiere officials (具官姓名). There was recorded family and given name (姓名) on the signature part of minister in the Chikcheop of Tang period. On the contrary, there was recorded only family name on the signature part of minister in the Chikcheop of Later Tang period. Even under the Northern Sung s sovereignty, the Tang s Chikcheop document system was equally in place. However, the names of the premiere offici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Five Periods and only recorded their surnames. These forms of Chikcheop were equally continued until Wonpung official regulation. Northern Sung dynasty attempted to return to samsŏng(three chancelleries) Yukpu(six ministries) as the reform of the party s control Wonpung. Northern Sung dynasty reformed many systems including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With the reform of the Wonpung govnernment regulations, the Chikcheop that was once issued at the Chungsŏmunha was turned over to the Sangsŏsŏng (Secretariat for State Affairs). Therefore, prime ministers changed to gwanwon of the Sangsŏsŏng. Also, Gwanins changed to Sangsŏsŏng‘s seal from Chungsŏmunha s seal.

      • KCI등재

        박지원 산문에 나타나는 ‘명(名)’의 문제에 대한 고찰

        장진엽(Jang, Jin-youp)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3

        본고는 연암 박지원의 산문 가운데 「선귤당기」, 「관재기」, 「발승암기」, 「영재집서」에 나타난 ‘명(名)’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선귤당기」는 이름의 공허함과 구속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름의 공허함이 오히려 그 이름 밖의 ‘실체’를 찾으려는 노력을 요구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 「관재기」는 아(我)와 명(名)을 비롯한 일체의 사물을 “순순히 받아서 보내라”는 가르침을 통해 사물의 소멸과 변화 그 자체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한다. 두 편의 글은 이름의 공허함을 논하면서도 한편으로 그 역설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발승암기」는 이름을 남기려는 시도를 계속할 수밖에 없는 인간, 나아가 문인 지식인의 모순적인 존재 조건을 부각하고 있으며, 「영재집서」는 문학을 통해 이름을 남기려는 행위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에 대해 사색하게 만든다. 이상의 분석과 관련하여 박지원의 정론(政論)인 「명론」을 참조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름, 즉 명예를 추구하는 속성을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근원적인 요소로 보는 관점이 발견된다. 요컨대 위 작품들은 이름 짓기와 이름 남기기에 대한 부정의 글이 아니라 이에 대한 연암의 고민 그 자체를 보여주고 있는 글이다. 강한 부정과 회의 속에서 그 가능성과 필연성을 비틀림과 반전, 숨김과 유머를 통해 우회적인 방식으로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name (myŏng, 名)” in Pak Chiwŏn’s prose works Sŏn’gyultanggi (蟬橘堂記), Kwanjaegi (觀齋記), Palsŭngamgi(髮僧庵記), and Yŏngjaejipsŏ (泠齋集序). While Sŏn’gyultanggi discusses the emptiness and constraints of names, it also expects that they will induce efforts to discover the “true form” of the things themselves. Kwanjaegi observes how all things, from the self (ah, 我) to the name(myŏng, 名), change and die through the teaching of “obediently receiving and conveying.” While both works talk about the emptiness of names, they paradoxically also demonstrate their possibilities. Moreover, Palsŭngamgi highlights the contradictory existential condition of humans’, particularly literary intellectuals, ceaseless attempts to make a name for themselves, while Yŏngjaejipsŏ explores what this means through literature. The analysis can also be contrasted with Pak’s political treatise Myŏngnon(名論) in which he describes how the property of pursuing fame, that is, making a name for oneself, is a fundamental element that decides human action. In sum, the aforementioned works do not refute the making of names and making a name for oneself, but reflect Pak’s anxieties regarding such actions. Within his strong repudiation and doubt, he indirectly expresses the possibilities and necessity of leaving a name behind through humor, concealment, reversal, and twists.

      • KCI등재

        하므??의 번역자 설정식과 연희전문 문과의 영어영문학 교육

        윤혜준(Yoon, Hye-Jo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8 No.-

        이 논문은 영문학자이자 번역가로서 설정식의 아비투스 형성에 그의 모교인 연희전문 문과가 기여했으리라고 추정되는 지점들을 탐구한 다. 한국전쟁 발발 직전에 설정식이 번역 출간한 하므??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원문에서 직접 우리말로 옮긴 최초의 완역본이라는 문학 사적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이 번역 작품은 동과 서, 한자어와 순수한 우리말을 적절히 배합하려는 흥미로운 시도를 담고 있는 바, 이는 연희전문(조선기독대학)의 교육 내용 및 방침과 무관하지 않다고, 즉, 그가 연희전문에서 받은 영어영문학 및 교양교육의 결실이라고 추론할 여지들이 적지 않다. 설정식이 다닌 연희전문은 초교파적 기독교 개신교 정신에 덧붙여 일제 감정기에 조선어(한국어) 어문학 교육을 보호 하고 장려하므로 설정식을 비롯한 조선인 청년 들에게 언어·문화적 대안공간을 마련해주었다. 좌익계열 문인으로 활동한 설정식의 시에서 자주 발견되는 ‘예언자적 목소리’와 성서 인용, 또한 한국전쟁 북측 통역관으로 활동한 후 숙청당한 그의 비극적인 행적은 기존 연구에서 집중적 으로 다뤄진 반면, 그의 번역가 및 영문학자로서의 면모와 연희전문 교육이 그에게 미쳤으리라고 생각되는 측면들은 지엽적으로만 다뤄진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한편으로는 연희전문의 영어영문학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을 재구성하고 다른 한편 영문학자이자 번역가로서 설정식의 성취의 일각을 조명하므로 설정식에 대한 논의에서 배제되어온 측면들을 보완하여 서양문 학의 ‘한국적 수용’의 한 전범으로서 그를 새롭 게 인식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reconstructs the influence on Sŏl Chŏngsik as a student and translator of English literature considering the college education he received in Korea. His Hamŭlet, published only one year before the Korean War, was the first complete translation of the iconic classic into Korean directly from the English original. It demonstrates an interesting conjuncture of the west and the east, of the Sino-Korean and vernacular Korean, which bears the marks of the curriculum and pedagogy of his alma mater, Chosen Christian College (Yonhui College), where effective training in English skills was combined with a literary education on Western and Eastern classics. Moreover, in the ambiance of ecumenical Protestantism, Sŏl Chŏngsik s undergraduate college fostered Korean studies, setting up an enclave of linguistic and cultural freedom within the tightly regimented Japanese colonial regime. The grafting of Leftist politics on the prophetic tone of his poetry enriched with allusions to the Bible, and his involvement in the Armistices Talks as the main interpreter for the Communist side, have puzzled and fascinated schola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lthough a passing reference to what he seems to have acquired at Yonhui College is not entirely missing in the discussions by the critics of Sŏl s creative writing, the exceptional role which Sŏl s undergraduate school had played in the formation of his habitus deserves closer scrutiny. Similarly, his contributions as a translator of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tend to be relegated to footnotes (if remembered at all) in Korean literary studies. However, Hamŭlet by this hapless writer and translator, who quite exceptionally in colonial Korea had studied English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stands as an impressive historical model of transforming English literature into an abiding asset for Korean literary culture.

      • KCI등재

        선종 초기전래설의 재검토 -「단속사신행선사비문(斷俗寺神行禪師碑文)」의 분석-

        최병헌(CHOI, Byong-hon)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법랑과 신행은 보리달마 계통 선종의 최초 전래자로서 한국선종사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인물들이다. 법랑은 4조 도신(580~651)에게 선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신행(704~779)에 전하였고, 신행은 다시 당에 유학하여 북종선을 전수해 온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학계 일각에서 법랑의 스승 도신과 신행 사이의 생존 연대상의 차이로 인하여 법랑의 전법 사실의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가 없지는 않았으나,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대세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법랑에 관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인 「신행선사비문」에 의거하는 한 법랑이 신행의 스승이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그가 당에 유학하거나 도신의 선을 전수한 사실은 없었던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필자가 이러한 진부한 문제를 새삼스럽게 다시 검토하게 된 동기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 여부를 밝혀보려는 것만이 아니다. 오늘날 불교사학계의 안이한 연구자세와 자료비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반성을 촉구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거시적인 불교사의 흐름은 도외시한 채로 인물 개인이나 단편적인 사건에만 매달려 쉽게 결론을 내리는 안이한 연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자료의 해석에서 전체적인 맥락은 고려하지 못하고 단편적 문구에만 매달려 편의적인 해석을 주저하지 않는 연구가 횡행하고 있음은 연구방법상의 문제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법랑과 신행에 관한 이해는 그 동안 우리 학계에서 보여주고 있는 연구방법상의 문제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라는 점에서 본고를 집필하게 된 것이다. 한국선종사의 출발점이 되는 법랑과 신행에 대한 이해에서 혼란을 일으키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자료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이 문제에 관한 자료로서는 「신행선사비문」(813년)과 「지증대사비문」(893년 무렵) 두 편의 비문이 전부인데, 각기 다른 사실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인 「신행선사비문」에 의거하는 한 신행은 법랑에게서 공부한 다음에 당에 가서 북종선을 전수해 왔다는 사실이 전부이다. 그런데 80년 뒤에 찬술된 「지증대사비문」에서는 법랑이 당에 유학하여 도신의 선법(동산법문)을 전수한 사실을 새로 추가하고, 또한 신행의 북종선 전법 사실을 빠뜨리는 대신에 「신행선사비문」에서 없었던, 신행과 당 숙종의 사이에서 시문을 교환한 사실을 추가하는 등 내용상의 차이점을 나타내 줌으로서 혼란이 야기되었다. 그런데 필자가 문제점으로 지적하려는 것은 두 비문 내용 사이의 차이점은 고려하지 않고, 안이하게 양자의 내용을 혼합하여 전법계보설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치는 학계의 안이한 연구자세이다. 한편 오늘날 전해지는 자료에 의거하는 한에서는 최초의 선법 전래자로는 법랑이 아닌 신행으로 볼 수밖에 없으며, 그 연대는 경덕왕 원년(742) 무렵으로 추정된다. 신행은 704년 출생하여 733년 30세 즈음에 출가하여 운정율사(運精律師)에게서 2년 동안 수학하였다. 그리고 735년 32세 때에 호거산의 법랑에게 찾아가서 3년 동안 수업하고, 법랑이 입적하자 738년 35세로 당에 유학가서 북종선의 신수의 손제자인 지공(志空) 문하에서 3년 동안 수업하여 인가받고, 742년 무렵에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귀국한 뒤 혜공왕 15년(779) 단속사에서 입적할 때까지 37년 동안 북종선의 기본사상인 좌선간심(坐禪看心)과 󰡔대승무생방편문(大乘無生方便門)󰡕의 방편법문(方便法門)을 홍포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신행선사비문」에서 그의 귀국 이후의 활동에 관한 기록이 소략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것으로 보아 그에 의한 북종선의 전래와 행화(行化)는 당시의 신라 불교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행이 입적한 뒤 34년이 지나서 그의 사법제자인 삼륜선사(三輪禪師)에 의해 현창사업으로서 영당과 부도, 그리고 비석이 수립되고 있었던 것을 보아 북종선은 그의 문도들에 의해서 단절되지 않고 계승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비석이 수립되는 헌덕왕 5년(813) 무렵 신라 불교계에서 북종선을 전승하고 있던 인물들은 신행의 문도 이외에도 더 있었던 것 같다. 최치원이 찬술한 「낭혜화상비문」에 의하면 신행선사비가 수립되기 1년 앞서 낭혜화상 무염이 13세로 출가하여 법성선사(法性禪師)에게 수업하고 있었는데, 그 법성은 일찍이 당에 유학하여 능가선, 즉 북종선을 전수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염은 법성의 당 유학 권유를 받아들이지 않고 부석사의 석징대덕(釋澄大德)에게 찾아가 화엄학을 배우고, 뒤에 당에 가서도 화엄종의 본거지인 지상사를 찾아가 계속하여 화엄을 공부하였던 것을 보아 법성의 북종선은 Beomnang and Shinhaeng are regarded as the two earliest disseminators of the Sŏn (Ch. Chan meditation) tradition of Bodhidharma to Korea, and thus occupy the highest positions amongst Korean Sŏn patriarch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ccount, Beomnang studied in China under the fourth patriarch Daoxin (580~651), and upon his return to Silla, he transmitted the teachings to Shinhaeng (704~779). Shinhaeng visited China and is believed to have introduced the Northern Chan tradition to Silla. A few scholars have cast doubts on the veracity of Beomnang’s transmission because of the excessive time lag between Beomnang’s master Daoxin and Shinhaeng, but most have accepted the story at face value.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earliest extant record on Beomnang,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reveals that there is little doubt that Beomnang was the master of Shinhaeng; therefore,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he traveled to Tang China, or that he transmitted Daoxin’s tradition. I have decided to investigate this unresolved problem once more not only out of a mere desire to ascertain historical facts, but also to reveal the lack of rigor in the approach and drawback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urrent scholarship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my hope that this essay will motivate scholars to engage in self-introspection and reflect critically on the limitations of current scholarship. Most studies focus only on individual monks or single facts, and furthermore, fail to demonstrate an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context within which Buddhism developed. They concentrate on only a few sentences of the text without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issues raised by the topic, arriving at highly simplistic conclusions. These types of studies dominate contemporary scholarship, and we cannot help but indicate the incorrectness of such an approach and methodology. Available studies on of the relation between Beomnang and Shinhaeng demonstrate these problems of methodology. Misleading notions about Beomnang and Shinhaeng in extant works of scholarship derive from the inability to grasp the problem in the sources. The only records available today are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813) and the “Stone Inscription of Great Master Jijung” (ca. 893); each of them presents different facts. The former states that Shinhaeng first studied under Beomnang before traveling to Tang China, and upon returning to Silla, he transmitted the teachings of the Northern branch of Sŏn. However, according to the latter text, composed 80 years later, Beomnang sailed to Tang China where he received the transmission of the faith from Daoxin. The difference in content between the two inscriptions has resulted in confusion. Extant Korean scholarship has not delved deeply into this issue, and a rigorously analytical approach would have led scholars to clearly understand the tex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scriptions. Instead, existing research has merely extrapolated a line of transmission of the Dharma. Today, according to extant records, we are left with no other option than to consider not Beomnang, but Shinhaeng as the person who introduced Sŏn to Korea around 742. From the time he returned to Silla to the year he died at Dansok Temple in 779, for 37 years he propagated the cultivation methods of “sitting in meditation and looking inward at the mind” and the “expedient means for attaining non-arising in Mahayana.” However, on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all facts relating to his activities have been omitted, and his transmission of the Northern line of Sŏn was not regarded a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Silla Buddhist circles of that time.

      • KCI등재

        Hyobong Sŭnim and “Studying Chinul” (Hangnul 學訥) : The Centrality of Chinul’s Excerpts (Chŏryo 節要) to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Robert E. Buswell. Jr.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서 기념하고자 하는 효봉스님(曉峰, 1888-1966)은 지눌(知訥, 1158-1210)과 지눌이 선도했던 수행접근법을 매우 존중했던 분이다. 효봉스님은 ‘지눌을 공부함’이라는 뜻을 담은 ‘학눌(學訥)’을 법호로 삼았을 만큼, 송광사 선맥의 선진자였던 지눌을 향한 존경심이 대단히 깊었다. 최근에 완성된 저자의『절요』에 관한 책은 지눌의『절요』가 한국불교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저작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절요』에 밝혀져 있는 지눌의 해탈을 위한 독특한 돈오점수론(頓悟漸修論)은 실제로 한국불교역사에 있어 유일하게 주류 수행접근법으로 여겨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눌을 공부할 것’을 권장했던 효봉스님을 본보기삼아 왜 지눌의『절요』가 한국불교의 핵심의 위치에 재정립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Hyobong Sŭnim, whom we are commemorating at this conference, had great respect for Chinul 知訥 (1158-1210) and the approach to practice that he pioneered; in fact, Hyobong Sŭnim’s sobriquet Hangnul 學訥, “Studying Chinul,” indicates how profound was his respect for his predecessor in the Songgwangsa 松廣寺 monastic lineage. I have recently completed a new book on Chinul’s Excerpts (Chŏryo 節要), which I believe demonstrates conclusively that it is the single most influential work ever written by a Korean Buddhist author. I am similarly convinced that Chinul’s distinctive soteriological approach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漸修) as recounted in his Excerpts constituted the mainstream-really, the only stream- of Korean Buddhism throughout virtually all of history. In this brief paper, I seek to emulate Hyobong Sŭnim’s own encouragement to “Study Chinul” (Hangnul 學訥) and outline in very broad swath why I believe Chinul’s Excerpts deserves to be restored to its rightful place at the very center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 KCI등재

        成海應의 「草榭談獻」 硏究

        손혜리(Son, Hye-ri)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본고는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의 「草榭談獻」을 서지적으로 검토하고 내용상 특징과 의미에 대해 규명한 글이다. 첫째, 草野의 奇傑之士들이 인멸되는 과정과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둘째, 노비·기녀·광대·백정 등 다채로운 여성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성해응은 이들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였으며, 나아가 창기제도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셋째, 입전 인물의 확장을 통해 일국적 시야를 넘어선 세계 인식을 탐색할 수 있다.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네덜란드인으로 뛰어난 사적을 남긴 이들을 기록하고, 특히 역법과 의 술 등 서양의 선진 기술을 수용하여 經世濟民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초사담헌은 성해응의 하층민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 및 개명적, 실학적 사유와 인식이 표출된 저술로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ased on the text Ch'osadamhŏn(「草榭談獻」) First, this paper studies on process and cause for disappearance of weird and preeminent scholars who live in a remote village through diverse example. Second, Ch'osadamhŏn has so many documents of female character which are excel at literary figuration included in private house woman, female servant, clown and daughter of butcher. Sŏng Haeŭng criticizes system of gisaeng(courtesans) and insists on abolishment. Third, this paper reveals a global perspective over a perspective of the nation through extension of figure. Ch'osadamhŏn records of outstanding people who live in Chosŏn, China, Japan and Namman(南蠻). He also emphasizes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accepting advanced technology. So, Ch'osadamhŏn is an important text which has affective view on the lower class, and expresses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practical science (實學) by Sŏng Haeŭng.

      • KCI등재

        ‘근대’의 체감 : 『귀의 성』의 수용미학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이인직의 신소설 『귀(鬼)의 성(聲)』(1907)의 ‘근대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당대의 ‘문명’·‘개화계몽’ 담론을 지시하는 ‘근대성’이나 이론적·사적(史的) 차원에서 구성된 ‘근대성’에 비교하여 볼 때, 이 논문이 초점을 맞춘 ‘근대성’은 『귀의 성』을 통해 당대 독자가 획득하게 된 세계의 변동에 대한 성긴 인식과 감각, 느낌을 포괄하는 영역에 있다. 수용미학 이론은 이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논문은 이로써 『귀의 성』이 비근대적·전근대적이라는 일반적 결론을 수정하고 해석 지평을 확장하려 하였다. 이 논문은 『귀의 성』의 주요인물 길순과 점순을 분석하기 위해 야우스가 구축한 인물-독자 동일시 모델을 활용하였다. 먼저 독자와 길순의 사이에는 카타르시스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고소설(특히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귀의 성』 초입부터 길순을 선한 주인공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길순 서사가 익숙한 지평을 따라 전개될 것, 즉 여러 중대한 고난을 겪게 되겠지만 결국 끝에는 행복해지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한 가정소설 구조를 따라 진행되던 서사는 길순의 참혹한 죽음이라는 뜻밖의 결말을 맞는다. 이 충격적 결말에 의해 독자는 길순에 대한 감정적 동일시를 넘어, 기대가 좌절된 상황 자체를 문제로 인식하는 미학적 반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독자는 길순이 상징하던 구 도덕·세계관·사회 질서의 붕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자신이 알던 견고한 세계로부터 쫓겨나 갑자기 ‘중간과 끝’을 새롭게 모색하도록 내몰리는 경험을 획득한다. 이는 ‘유동적 근대’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개인적인 감각적 경험이다. 한편 독자와 점순의 사이에는 불완전한 아이러니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악비(惡婢) 점순은 전형적인 악인형 주요인물로, 역시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점순 서사의 전개와 결말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길순을 해하려는 의도는 좌절되고 징벌받으리라는 기대다. 그러나 길순의 죽음과 동시에 서사가 마치 점순이 행복해질 것 같이 진행하는 시점에서 독자의 기대는 또다시 배반당한다. 기대가 부정된 독자는 기존의 인식을 지탱하던 세계관을 의문시할 수 있는 관점을 얻는다. 독자는 점순을 통해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근대 특유의 욕망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발견함으로써 독자의 참조점은 자신이 처한 전환기의 조선 사회 전체로 확장되고, ‘바람직한 중간과 끝’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하도록 인도된다. 텍스트는 점순을 살해하여 서사적 패배를 안겨주고, 결론적으로 익숙한 미학과 그 배면의 도덕적 세계를 아슬아슬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귀의 성』의 독서 동안 독자는 기존의 기대를 배반하는 결정적 형식들과 여러 차례 대면한다. 구(舊) 세계는 분명 붕괴하고 있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세계의 상은 모호하다. 이 혼란 속에서 독자는 변화의 전모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확실히 세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피할 수 없다는 감각, 전통적 모범이 쓸모없어졌으므로 무언가 새로운 삶의 형태를 모색해야만 한다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귀의 성』의 ‘근대성’은 이와 같은 수용자의 종합적 반응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ty of Lee Injik’s Kwiŭi sŏng(1907) from an receptive aesthetic perspective. Compared to the concept modernity, which is composed at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level, or modernity, which directed to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of the time, the “modernity” in this paper focused on the sense of the world acquired by readers of the tim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se the general conclusion that Kwiŭi sŏng is non-modern or pre-modern narrative an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horizon. This paper utilizes the hero-reader identification model established by Jauss to analyze the receptive aesthetics of main character Gilsoon and Jeomsoon. First, cathartic identif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ader and Gilsoon.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recognize Gilsoon as a good character from the beginning of the text. Therefore, the reader can expect that Gilsoon’s narrative will unfold along the familiar horizon, that is, various serious hardships, but eventually become happy in the end. However, the narrative, which follows the familiar structure, has an unexpected ending to Gilsoon’s tragic death. By this shocking ending, the reader can move beyond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of Gilsoon to the aesthetic reflection stage, which recognizes the situation in which expectations are frustrated as a problem. At this stage, readers can recognize the collapse of the old moral, worldview, and social order that Gilsoon symbolized. Through the reading, the reader gains the experience of being kicked out of the solid world he knew and suddenly being forced to seek a new “middle and end.” This is a direct and personal sensory experience of fluid modernity. Meanwhile, an incomplete ironic identification between the reader and Jeomsoon is established. Jeomsoon is a typical villainous character whom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predict the development and ending. The intention to harm Gilsoon is expected to be frustrated and punished. However, the reader’s expectations are betrayed again when the narrative progresses as if she will be happy as soon as Gilsoon dies. Readers whose expectations are denied gain perspectives that can question the worldview that supported existing perceptions. Readers can find a modern desire to accumulate economic wealth and climb up a social ladder. By discovering the common desire which the reader and Jeomsoon can share, the reader’s interpretive repertories extends to the society in rapid transition he is in, and is guided to think about what “desirable middle and end” is in this time. Text kills the villain and accordingly protects familiar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moral world behind it. However, during the reading, the reader faces several decisive forms that betray the original expectations related to them. The old world is clearly collapsing, but a new world to replace it is still vague. In this confusion, the reader can not only know that the significant change is going on, but feel that collapse of the old world is inevitable, and that traditional examples have become absolete. So they are driven to seek new forms of life suitable for the world coming on. From a receptive aesthetic point of view, the modernity of Kwiŭi sŏng can be found in this overall response of the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