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동물의 사이를 사유하기: D. H. 로렌스의 동물시

        윤영필 ( Young Phil Yoon ) 한국로렌스학회 2014 D.H. 로렌스 연구 Vol.22 No.2

        D. H. Lawrence’s Birds, Beasts and Flowers has been acclaimed for the poet’s remarkable sensitivity to the inhuman otherness of natural beings. In it, he parts resolutely from the legacy of English nature poems since the Romantics that were in the habit of projecting human feelings onto the natural objects. Instead he penetrates into the inner being of each living thing he encounters and presents what it is in itself. Focusing on the poems collected in the “Creatures” section, this paper aims not only to show how the poet responds to and captures the strange otherness of such small animals as mosquito, bat and fish, but also how he highlights the limits of human perception and puts into question the dominant position of human subjectivity. In addition, it points out that these poetical works compose an integral part of Lawrence’s lifelong efforts to challenge and subvert anthropocentrism embedded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cultural discourses and practices.

      • KCI등재

        A Unified Approach to the Get-Passive

        이은석(Eun Suk Lee) 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연구 Vol.59 No.-

        This paper attempts to adopt a unified approach to the diverse semantic properties of the get-passive. The get-passive, as opposed to the similar be-passive, possesses the following semantic properties: (i) it is used only with dynamic verbs, and not with stative verbs; (ii) it is used when a situation occurs in a sentence due to the subject`s certain intentional causal action or when the subject is responsible for the situation; (iii) it is used when the subject feels that the situation is good or bad, or when the situation is well or badly reflected in the subject; (iv) it is used with a human or animate subject. Singling out those properties of the get-passive,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unified approach: The get-passive is a kind of linguistic expression that describes an event related to a patient, while simultaneously emphasizing the patient. (Daegu University)

      • KCI등재

        「애완동물 기르기」의 교육 내재적 가치에 관한 연구

        마상진(Ma Sang Ji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intrinsic values of the ‘Fostering Companion Animal’ lesson in Practical Arts subject.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①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ompanion interaction and humane education which is an teaching approach to foster in young people a functional ethic embodying a balanced sensitivity for all living creature, animal as well as people, ②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ompanion interaction and the naturalist intelligence of Gardner(1999) which could be found in naturalist demonstrating expertise in the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numerous species of his or her environment, and ③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ompanion interaction and child development which include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From the investigations, this study found the evidence of the untransferable educational value of the ‘Fostering Companion Animal’ lesson as one lesson of Practical Arts subject and as core learning experiences for children.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사이보그의 알레고리에 대한 연구 : 아르 오리앙테 오브제의 <아마도 내 안에 말이 살고 있을지도 몰라>(2011)를 중심으로

        이재은 한국미술이론학회 2016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2

        본 연구의 주제는 포스트휴먼 시대 사이보그의 알레고리이다. 아르 오리앙테 오브제의 퍼포먼스, <아마도 내 안에 말이 살고 있을지도 몰라>(2011)에서 마리옹 라벨 장테는 인간과 동물, 기계가 혼합한 하이브리드 유기체가 되었다. 인간에서 ‘켄타우로스 사이보그’ 변신은 우리에게 인간과 비인간 사이 경계의재배열과 재조정이 나타나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지형학을 바라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해 준다. 본 연구자의 화두는 그녀의 변신 과정에서 동물과 기계가 결합한 타자되기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인간이 포스트휴먼 주체가 되는가이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은 아르 오리앙테 오브제의 사이보그가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새로운 신체인 하이브리드 유기체로서 뿐만 아니라 포스트휴먼 주체 생성과정의 알레고리로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yborg's allegory in the Post/human Era. Marion Lavel-Jeantet became a hybrid organism incorporating the human, animal and machine in Art Orienté Objet's 2011 performance, May the Horse Live in Me. The metamorphosis of human into a Centaur-like cyborg gives us a chance to see the new geography of the post/human era, where the boundaries of human and nonhuman are rearranged and renegotiated. The central issues I was concerned with are what it means to become ‘the other’, the combination of animal and machine and how the human became post/human subject in the course of her transformation. Through these exploring this perspective, this essay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cyborg by Art Orienté Objet functions as an allegory of becoming post/human subject as well as a new body, hybrid organism in the contemporary ar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Current Practice in Research Integrity by Korean Biomedical Researchers

        Byung-in Choe,Gwi-hyang Lee,Jin-suk Kim 한국실험동물학회 2006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2 No.4

        The first survey on the practice of research integrity in Korean biomedical research community was conducted. An electronic survey was used to gauge current practice in bioethics by Korean biomedical researchers that include medical doctors professors of biomedicine, research technicians,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so forth. The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number of biomedical researchers is practicing improper authorship. 10% said that they have an experience of manipulating research data. Education on bioethics mostly took place at work after students graduate from higher education.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on bioethics and professional standards of research integrity is believed to foster current practice.

      • KCI등재

        남당과 외암의 ‘인물성론’을 통해 본 ‘주체’와 ‘타자’ 인식

        이영자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1 No.-

        본고에서는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론과 이들의 주체와 타자 인식을 고찰하였다. 그 사상적 배경에는 공맹유학이나 주자 성리학의 주체와 타자 인식 안에 이중적 해석의 여지와 논리적 간극이 내재함을 밝히었다. 또한 한원진과 이간이 활동했던 18 세기 초중반은 대외적으로 동아시아 패권국으로서의 청의 성장과 문화적 영향, 서구문물과 서학의 도입 등 정치, 사회적 변화로 인한 기존의 가치관과 세계관의 붕괴로 근대적 자아의식 형성의 맹아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인물성동이론은단순한 학술논변을 떠나 정치, 사회적 배경과 결합된 문제였기에 기존의 보수적 세계관을 준수하느냐, 새로운 세계관을 도입하느냐와 결부시켜 주체와 타자를 이해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한원진의 주체와 타자 인식은 이간에 비해 인간과 동물 사이의 분별과 인간의 우월적 주체의식을 강조하는 성향이 강한 편이다. 이것은 군자와 소인, 양반과 상민(노예)의 구분이 엄격히 준수되어야 한다는 차등적인 지배구조 옹호와 직결되기도하였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도덕적인 인간(성인, 군자, 중화, 소중화)이 동물(범인, 소인배, 청, 일본, 서양)들이 판치는 잘못된 세상을 앞장서서 바로잡아야 한다’는대외관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대체로 구한말 위정척사파(衛正斥 邪派)로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반면 이간을 중심으로 한 낙론계의 주체와 타자 인식은 한원진에 비해 유연한 평등의식과 개방적인 타자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호론의 지나친 분별을 경계하고,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을 긍정하였던 만큼 비교적 개방적인 사회관과 세계관을 갖고 봉건지배 질서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연하고 평등적인 타자관의 영향으로 낙론 일부에선 청과 적극적 교류를 주장하였던 북학파가 태동될수 있었고, 서양, 일본과 교류를 주장하였던 개화파로 발전할 수도 있었다. 200여 년이 넘는 인물성론에 바탕한 주체와 타자 인식 속에서 조선은 가치적 혼란을 겪으며 서서히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가고 있었다.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론은 이러한 면에서 무의미한 탁상공론이 아닌 기호 성리학이 논리적으로 정교화되고 심화되면서 타자의 시선에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근대적 자아 인식의 첫 출발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이송호(Lee, Song-Ho),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6

        2005년 소위 ‘황우석교수 사태’ 이후에 국내의 연구윤리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실태파악과 이에 대비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기관 및 연구자의 윤리의식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윤리에 대한 정부의 개입수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여전히 이견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대학연구윤리제도를 확립하고 발전시킨 미국의 연구윤리에 대한 정부개입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한국의 연구윤리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과 법령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계에서 연구윤리원칙이나 가이드라인이 먼저 제시된 이후에 연방정부의 입법 및 규제 정책이 수립되었다. 둘째, 연구윤리에 대한 책임은 연방정부와 연구기관이 공유하되, 1차적 책임은 연구기관이 지고 연방정부는 2차적 최종 책임을 지고 있다. 셋째, 연방정부는 비윤리적 연구에 대한 최소한의 엄격한 규제를 가하고 있다. 넷째, 비윤리적 연구의 책임을 개인 차원에서 구조적 차원으로 확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Korea is striving to establish a research ethics system, but there is still a disagreement as to the level of government involvement in research eth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research ethic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sought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s research ethics policy.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research ethics policy and laws of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ⅰ) the establishment of regulatory system is done only after the principles of the research ethics or the guideline are presented first in the academic fields; ⅱ) the responsibility for research ethics is to be shar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research institute, and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research is given to the research institute and the secondary responsibility to the government; ⅲ) the government has imposed a minimum extent of strong regulation on unethical research; and ⅳ)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esponsibility of unethical research from the individual level to the structur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