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980년대 한국미술에서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 1988《세계현대미술제》를 중심으로
양은희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9
본 논문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부대행사로 열린 《세계현대미술제》를 중 심으로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맥락을 살펴본다. 1980년대 국제전시의 확산과 함께 대두된 《세계현대미술제》는 냉전시대의 이념갈등 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류와 소통의 공간 창출을 목표로 했으나 한국 미술계 의 이념적 차이가 노출되면서 여러 진영간 대립의 궁극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갈등은 한국이라는 특수한 지형에서 ‘세계’를 인지하고 ‘세계 문화’ 속으로 편 입되는 과정이 서구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전개과정과 다르게 1945년 이전 식민지 시대의 불편한 과거, 역사적 트라우마와의 타협과 화해 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으며, 개인적, 집단적인 차원에서 내부/외부, 피식민 지/식민주의, 지역성/세계성, 추상/구상, 전통/현대 등 20세기 구축된 여러 대 립구도가 작용했기 때문임을 밝힌다. The 1988 《Olympiad of Art》 was the largest international art festival of the decade held as a highlight program of the Seoul Olympics. However, it became not only a locus of heated debate by national artist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wanted to have a ‘fair share’ of the government-sponsored festival, but also a test site for the imaginary community of artists without borders to exchange ideas and dialogues.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of globalization and cosmopolitanism by focusing on the attitudes expressed by those groups. Despite their official demand for having a voice in selecting curators and artists, their logic reflected the unstable identity of ‘contemporary Korean art’ caught between the issues of the national/the international, the local/the global, abstract art/figurative art, and tradition/modernity, largely due to the influence of colonial modernity and westernization in Korea.
정규의 미술비평에 나타난 시대의식: 전후 시기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 모색
안유진 한국미술이론학회 2022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4
본 논문은 미술가 정규(鄭圭, 1923-1971)의 미술비평에 나타난 시대의식을 통해 그가 구상한 전후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을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창작 활동 이외에도 비평, 교육, 행정 등 미술의 다방면에서 활약한 그의 예술관 중심에는 전전(戰前)에 대한 종합적 반성을토대로 전후(戰後)라는 새 시대에 적합한 한국 현대미술의 모색이 있었다. 전후 한국미술계는 거대한 흐름을 형성한 한국 앵포르멜을 중심으로 실존주의의 불안과 부조리를 내적으로 탐구했다. 반면 정규는 실존주의의 휴머니즘에 주목하여 극복의 징후로 이해한 뒤 동시대 한국의 현실에 반응한 미술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지점은 그가 회화를 중심으로 재편되어가던 한국미술계에서낮은 장르로 취급되던 판화, 도예 등 독자적인 활동을 펼치게 추동했다. 본 연구는 초기 한국 현대미술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다각도로 이해하기 위하여 전후 시기 새로운 차원의 미술을 시도한정규를 주목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전후 시기 주요 논객으로 활동했던 그의 저술을 분석하여 그가궁극적으로 정립하고자 했던 한국 현대미술을 체계화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형성기인 전후 시기 미술에 관해 보다 입체적으로 해석할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Chung Kyu (1923-71) envisioned Korean modern art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It involves a cri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 art from the standpoint of his consciousness of time. After the war, the Korean art scene innately explored the catastrophic anxiety and absurdity of existentialism, accounting for the Korean Informel movement, which formed a main trend. In contrast, Chung Kyu noted that humanism should be existentialism’s primary concern, and sought to produce art accommodating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time. In this context, he engaged independently in printmaking and ceramics, which at the time were considered inferior genres to painting, and put forward his own vision for Korea modern art. As a prominent commentator during the postwar period, he laid out his vision in his extensive writings. This study will present a new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art.
단색화의 담론기반에 대해비평적으로 묻고 답하기 : 독자적 유파, 한국적 미, ‘Dansaekhwa’ 표기를 중심으로
심상용 한국미술이론학회 2016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1
이 논문은 오늘날 ‘단색화’로 명명되는 한국 추상화의 한 경향에 대한 세 개의 반성적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질문은 단색화를 진정 독자적인 유파로서, 긴밀한 이념과 그 실천의 집약체로서 형성된한국적 미술운동 또는 유파로 볼 수 있는가이다. 둘째 질문은 오늘날까지 관례적 정설로 자리 잡아 온 견해로서 ‘단색화는 진정 한국성 또는 한국적 미의 반영인가’이다. 셋째 질문은 단색화의 거의 공식화된 영문표기인 ‘Dansaekhwa’와 그것을 정당화하는 담론은 타당한가이다.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recent monochrome painting wave is drawn by the contemporary art market, this thesis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critical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can imply, ‘As a truly independent school, can Korean monochrome painting be seen as the Korean art movement which has developed as the close ideology and the practical integration?’ The second question is the presentation of the problem on the established theory that is to say the white color is the Korean indigenous aesthetic sense. The third and last question is about the English notation, ‘Dansaekhwa’, as a qualification which regulated monochrome painting as a crystal of vigorous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