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서 본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양은희 한국미술이론학회 2017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4
이 논문은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설립과 이후의 맥락을 고찰하며 한국관이 한국현대미술 과 세계미술의 공감대 형성과 문화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확산의 장으로 구축된 과정을 살펴 본다. 한국미술계의 염원과 백남준의 적극적 개입으로 1995년 출범한 한국관이 1990년대 글로 벌 미술계의 변화와 베니스 비엔날레의 탈중심화 기조 속에서 한국미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 여 광주비엔날레의 설립과 이어진 국내 비엔날레 확산, 글로벌 미술의 포용뿐만 아니라 예술가 의 초국가적 활동과 초문화적 가치 수용으로 이어졌음을 밝힌다. 특히 그동안 한국미술의 주요 논리였던 민족주의와 지역성의 문제를 넘어 타문화와 소통하는 예술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가 치를 수용하며 보편적인 ‘현대미술’을 지향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Initiated by leading Korean artists and Nam June Paik,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acted as bridge between Korean contemporary and global arts. Built in 1995 during the centennial of the Biennale it represented the binaries of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event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of the art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Venice Biennale’s Korean Pavilion venue in three parts. First, it implemented the idea of a large-scale biennial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ju Biennale. Second, the Pavilion gradually became a showcase of young, experimental, Korean national and expatriate artists (Jheon Soo-cheon, Kang Ik-Jung and Lee Bul) who by winning a series of prizes promoted the idea of transcultural contemporary art in Korea. Third, the newly-emerged artists, influenced by Paik, shared the values of cosmopolitanism of art and art community, shying away from the emphasis of the ideas of 'Korean-ness.’
고야(Francisco de Goya)의 ≪검은 회화들≫ 속의 노년의 고야
한국미술이론학회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0
≪검은 회화들≫은 고야가 1819년부터 1823년 사이 마드리드 외곽에 있던 “귀머거리의 집”에 그린 14점의 벽화를 칭한다. 이 그림들은 1874년부터 1878년 사이 쿠벨스에 의해 캔버스로 옮겨졌고, 1889년부터 프라도미술관에 걸려있다. 필자는 고야가 1790년대 중반 계몽주의에 대한 회의와 스페인의 권력변화와 연결시킨 마녀, 악마, 신화, 종교재판과 같은 주제들을 가지고 벽화들에서는 그가 다시 앓은 중병에 따른 죽음에 대한 공포, 그의 늙음과 그의 동반자의 젊음 사이의 갈등, 다시 변한 스페인 정국을 피해 스페인을 떠나야 할 시점의 회한과 체념 등으로 뒤섞인 그의 심리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미술가가 미술을 ‘치료사’로 보고 자신과 세계와의 갈등을 표현한 것은 고야와 낭만주의자들에게서 맹아가 발견되는 현대미술의 특징들 중의 하나다. The Black Paintings are fourteen oil murals by Goya made between 1819 and 1823 in the “House of the Deaf Man.” They were transferred to canvas by Cubells between 1874 and 1878. In 1881 they were donated by their owner, Baron d’Erlanger, to the Prado Museum, where they have been exhibited since 1889. The paintings have been described as enigmatic or diabolic, and regarded difficult to interpret. I made the analysis that themes such as witches, devils, superstition, inquisition, etc. have been considered as anti theses of religion and enlightenment, and linked, directly or indirectly, to reality in his works of the late 1790’s, but in the Black Paintings represented the artist’s psychological state, which resulted from Caprichos; his conflicts between his old age and his ‘partner’ Leocadia’s youth, his angst over death, political terror, etc. These murals functioned as a healer for their producer, which is one of the dominant elements of modern art.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서 본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양은희 한국미술이론학회 2017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4
Initiated by leading Korean artists and Nam June Paik,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acted as bridge between Korean contemporary and global arts. Built in 1995 during the centennial of the Biennale it represented the binaries of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event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of the art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Venice Biennale’s Korean Pavilion venue in three parts. First, it implemented the idea of a large-scale biennial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ju Biennale. Second, the Pavilion gradually became a showcase of young, experimental, Korean national and expatriate artists (Jheon Soo-cheon, Kang Ik-Jung and Lee Bul) who by winning a series of prizes promoted the idea of transcultural contemporary art in Korea. Third, the newly-emerged artists, influenced by Paik, shared the values of cosmopolitanism of art and art community, shying away from the emphasis of the ideas of 'Korean-ness.’ 이 논문은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설립과 이후의 맥락을 고찰하며 한국관이 한국현대미술 과 세계미술의 공감대 형성과 문화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확산의 장으로 구축된 과정을 살펴 본다. 한국미술계의 염원과 백남준의 적극적 개입으로 1995년 출범한 한국관이 1990년대 글로 벌 미술계의 변화와 베니스 비엔날레의 탈중심화 기조 속에서 한국미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 여 광주비엔날레의 설립과 이어진 국내 비엔날레 확산, 글로벌 미술의 포용뿐만 아니라 예술가 의 초국가적 활동과 초문화적 가치 수용으로 이어졌음을 밝힌다. 특히 그동안 한국미술의 주요 논리였던 민족주의와 지역성의 문제를 넘어 타문화와 소통하는 예술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가 치를 수용하며 보편적인 ‘현대미술’을 지향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