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포츠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김상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08 스포츠와 법 Vol.11 No.3

        With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environmental issues became the issue of life itsel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acid rain, ozone depletion, yellow sand phenomenon and marine pollution, are now posing a serious threat to human life over vast area and time. The domain of sports is not an ex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Since sports activities and facilities are closely related with environment, sports and environment are unthinkable separately. Sports activities are restrained be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sports facilities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sports facilities that mostly cause problems. Sports facilities are getting larger in size and more various regarding their function. At the same tim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se sports facilities are increasing and getting more seriou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ports activities and facilities, but most of them are soil damage, noise pollution and marine pollution. Many people use their vehicle to reach sports facilities mostly located far away from the city, which causes air pollution. Garbage and waste from sports activities harm the environment and the noise which comes from sports activities disturb the residents in adjacent areas. Environmental problems are often discussed regarding energy issues nowadays, and sports cannot be excluded from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In Korea, construction of a sports complex or golf field must go through environment evaluation beforehand.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surface in most cases unexpectedly. Therefore, it is hard to prevent the problem completely, although enough pre-evaluation and prevention effort were preceded. In this aspect, gener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law must be applied to sports law as well. With the application of related environmental law, environmental problems could be overcome more effectively. Environment-friendly sports is a vital way to guarantee the basic right of the future generation and to enhance development in sports. 21세기는 환경의 시대이다. 지구상의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면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온난화현상은 지구의 생태계에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오존층의 파괴, 산성비의 증가, 황사현상, 해양의 오염으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파괴 등 환경오염은 다양하게 발생하면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있다. 이런 환경오염의 문제는 스포츠영역이라 하여 예외는 아니다. 무엇보다도 스포츠활동이나 스포츠시설은 환경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스포츠와 환경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스포츠활동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스포츠활동은 환경오염 때문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경우이나, 스포츠시설은 오히려 그 시설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경우이다. 스포츠시설은 대형화되면서 다양화되고 있다. 스포츠시설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는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오염의 정도도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스포츠시설이나 스포츠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는 그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자연환경의 훼손이나 소음으로 인한 문제 및 해양오염 등이 주로 나타나게 된다. 스포츠시설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서 떨어져 있는 스포츠시설에 가기 위하여 차량을 이용함으로써 대기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경기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폐기물 등의 처리문제 등이 있다. 또한 경기로 인한 관중의 소음발생의 문제는 인근 주민들의 평온한 생활을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에너지와 관련하여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스포츠 역시 환경문제를 피해갈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종합운동장이나 골프장 건설의 경우 환경평가를 받고 건설한다. 그렇지만 환경문제는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분히 사전평가와 방지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었다 하여도 차후 발생하는 것을 완전 차단할 방법은 없다. 그런 점에서 스포츠법에 있어서도 환경법상의 제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고, 이와 함께 관련 환경법의 적용을 통하여 환경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야 할 것이다. 친환경적 스포츠가 미래세대의 기본권이 환경권을 보장하고 스포츠의 발전을 꾀하는 길이 된다.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환경문제’와 ‘환경이슈’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철기(Cho, Chul-K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는‘환경문제’와‘환경이슈’의 차별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제대로 구현되어 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교육과정에서 쟁점중심 접근이 왜 도입되기 시작했는지를 검토 한 후, 문제와 이슈(쟁점)의 차이점에 대해 검토하고 논쟁적 이슈(쟁점)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학교 8종의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경문제와 환경이슈의 관점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환경이슈의 의미, 제시된 사례 및 학습활동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환경문제와 환경이슈를 명료하게 구분하지 못하고 때로는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소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이를 바탕으로 집필된 사회 교과서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환경이슈가 환경문제와 어떻게 다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일부 교과서는 환경문제와 환경이슈를 구분을 하지 않거나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와 환경이슈의 예시로 각각 제시된 것들 역시 그 분류 기준에 따라 모호한 것이 많았다. 특히 환경이슈의 예시로 제시된 사례들이 왜 이슈가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고 문제점만 나열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환경이슈에 대한 학습활동 역시 단순히 문제를 조사하거나 해결하는 수준에 머문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환경이슈를 환경문제와 구분하여 다루는 것이 교사와 학생들에게 유의미하려면 사회과 교육과정 수준에서부터 사회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xamine whether they are implemented properly. We first examined why issue-based approach was introduced in the school curriculum,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problems and issues, and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bout controversial issues. We also examined how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were present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ight school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issues, examples presented, and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Sometimes they are used in combination, causing some confusion. Although most social studies textbooks specifically addressed how environmental issues differed from environmental problems, some textbook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addition, each exampl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was ambiguou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ere was no explanation of why environmental issues were issu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problems were listed. In addition, learning activities of environmental issues have often been at the level of investigating or solving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level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o that they are meaningful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deal with environmental issues separately from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후보

        환경갈등 예방을 위한 철학교육 - 강정마을 해군기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윤용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19

        The starting point of philosophy is our reality and life which are full of problems. To announce the availability of philosophy to the public and the non-philosophical professionals we need to reveal the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contained in our real problems. Until now, environmental issues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being reduced to a matter of social scienc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requently tend to be excluded. However, the deep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flict problems makes us see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problems of philosophy. Environmental conflict problems contain the facts and values, the dignity of humans and other life, the utility and distributive justic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he cause of such conflict lie mostly in facts, interests, social structure, often derived from differences in human relationships, values and identity. So in environmental conflicts there are many philosophical question to be addressed in ontology, epistemology, value theory, the legal philosophy, political philosophy and economic philosophy. Therefore, to analyze the essential causes of environmental conflic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to seek an alternative view meet with philosophical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environmental conflicts of the naval base in Gangjeong village, and reveals the philosophical meaning that they imply.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quired to prevent or mitigate environmental conflicts; but they are also, as a training ground of philosophy education, quite fruitful. Discussions about various philosophical topics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conflicts will give us an opportunity to vitalize the stagnant philosophy and also to solve the complex environmental problems at the same time. 우리 철학계가 사회 각 분야에서 터져 나오는 갈등에 대해 조언이나 대안을 거의 제시하지 못하다보니 철학이 일반대중과 비전공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철학의 출발점은 문제투성이인 우리의 삶과 현실이라야 한다. 철학 비전공자들에게 철학의 효용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우리 현실 문제 속에 들어 있는 다양한 철학적 논제들을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환경문제가 사회과학과 환경공학 등의 문제로 축소됨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배제되는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환경갈등 속의 여러 문제를 분석하다보면 그것이 철학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경갈등 논쟁 속에는 사실과 가치, 인간과 다른 생명의 존엄성, 공리와 분배적 정의, 소집단과 대집단 및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권리와 책무 등 다양한 문제가 들어 있다. 갈등 원인은 사실관계, 이해관계, 사회구조, 인간관계, 가치관, 정체성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경갈등 문제 속에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의 철학의 기초영역뿐만 아니라 법철학, 정치철학, 경제철학, 생명철학, 과학철학 등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여러 영역에서 다뤄야 할 철학적 논제들이 들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생겨난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갈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함축하는 철학적 의미를 드러내고, 그를 통해서 현실 문제를 철학교육에 접목해보는 데 있다. 환경갈등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환경갈등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도 필요하지만, 철학교육의 훈련장으로서도 유효하다. 환경갈등이라는 주제로 철학적 논의를 벌이는 것은 복잡한 환경문제를 푸는 데 일조함과 동시에 침체된 철학에 생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구체적인 현실 문제와 추상적인 철학적 논제를 접목하는 훈련을 위한 환경갈등을 주제로 한 철학교육은 장기적으로 볼 때 환경위기, 사회위기, 철학위기를 어느 정도 해소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 환경문제에 대한 재인식 -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딜레마-

        원동욱 ( Dong Wook W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환경정책연구 Vol.5 No.1

        개혁개방정책에 의해 시장경제체제로의 신속한 전환을 진행해 온 중국은 현재까지 연평균 9% 이상의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시기 중국의 환경은 급속한 도시화와 공업화로 인해 대기 및 수질 오염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등 심각한 악화의 길을 걸었다. 중국은 현재 임계치에 달한 환경오염과 생태파괴로 인해 도리어 경제발전의 발목을 잡는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이제 중국의 환경문제는 단순한 오염문제에서 벗어나 사회변동의 도화선이 되어가고 있다. 중국 환경문제의 근원과 배경으로는 우선적으로 개혁개방 이전 환경문제에 대한 중국 당국의 인식결여와 정치 및 이데올로 기적 편향에 따른 그릇된 경제정책을 들 수 있다. 또한 개혁개방 이후 경제의 고속성장에 따른 약탈적 자원개발과 이용, 그리고 발전 속도에만 치중하고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제우선주의’가 결국 중국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더해 준 요인이자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중국의 방대한 인구와 빈곤문제는 환경문제의 가속페달로서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으며, 환경문제 해결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중국 정부는 그간 관련 법·제도를 구축하였고, 환경투자를 강화하였으며, 제한된 범위이긴 하나 NGO 및 대중의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노력은 발전단계의 제약에 따른 환경투자의 부족, 법 집행의 구조적 한계와 지방보호주의, 비정부조직(NGO)의 정치적 독립성의 한계와 대중 참여의 부족 등으로 실제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 중국은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해 국내외로부터 이중적 압력에 직면해 있다. 한편으로는 환경오염과 생태파괴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면서 중국 대중들의 항의와 시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국제사회 특히 주변국가들에게 환경적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압력에 직면하여 중국은 에너지 다소비형 업종의 구조개혁과 환경적 법 집행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 ‘순환형 경제’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 중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협력은 보다 점진적이고 실제적이며 중국 자체의 문제해결능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hina has achieved great economic growth above 9% annual since it changed to more of a market economy system by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At the same time, China has experienced severe ecological deterioration, such as air and water pollutions caused by its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hina is now confront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terioration at a critical point, at which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is limited. Moreover, environmental problems in China have become a lit fuse for social fluctuation beyond pollution problems. The root and background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China, firstly, are its governm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se problems and incorrect economic policies affected by political and ideological prejudice. Secondly, the plundering of resources,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first’ which didn`t conside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 another source of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China. In addition, a huge population and poverty in China have increased the difficulty in solving its environmental problems, and in fact have accelerated them. The Chi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many environmental laws and institutions, increased environmental investments, and is enlarging the participation of NGOs and the general public in some limited scale to solve its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it has not obtained effective results because of the lack of environmental investments owing to the government`s limit of the development phase, a structural limit of law enforcement and local protectionism, and the limit of political independency in NGOs and the lack of public participation in China. It seems that China remains in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first, environmental protection second’, contrary to its catch-phrase of ‘the harmony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hina is now confronted with dual pressure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because of deepening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are growing public`s protests and demonstrations in China in response to the spread of damage owing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terioration.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society, in particular neighboring countries, regard China as a principal cause of ecological disaster. In the face of this dual pressure, China is presently contemplating a ‘recycling economy’ that helps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structural reform of industries using too much energy and through more severe law enforcement than now.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mote regional cooperation more progressively and practically in the direction of building China`s ability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환경 문제, 시민지식 그리고 시민과학 - 시민과학의 환경 문제 해결 가능성과 과제 -

        박진희 ( Park Jin Hee ),강윤재 ( Kang Yunjae ) 한국환경철학회 2018 환경철학 Vol.0 No.25

        환경 위험이 지니는 복잡성이 전문 지식의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환경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가치와 과학적 사실이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환경 문제 해결에 시민 지식이 기여한 바가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는 점, 확대된 시티즌십 논의 등이 환경 문제 해결에의 시민참여에 정당성을 부여해왔다.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제도화된 합의회의, 배심원제 등 숙의형 시민참여제도는 전문가 중심의 환경 문제 해결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해왔다. 이들 제도는 위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정책 결정에 시민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정책 수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제도가 정부에 의해 지정된 의제만을 다룰 수 있고 참여 시민이 제한적이고 시민 지식의 기여도 또한 제한적이며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이 극히 협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 시민의 자연에 대한 호기심에서 점차 생태계 보존의 차원으로 진행되어 온 시민과학이 기존 시민참여 제도를 보완해 줄 또 다른 시민참여형 환경문제 해결 방안이 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시민과학이 지니는 대량의 데이터 수집의 가능성과 글로벌 연계는 기후, 환경과학이 마주하는 지식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거나 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환경문제 해결에 나섰던 국내외 시민과학 사례들은 시민과학이 전문가 지식을 보완하여 문제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제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민지식에 근거한 대안 방법과 기술개발을 통해 과학 연구에의 시민참여 확장을 가능하게 했고 환경정책 개선을 결과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민과학은 데이터 품질 관리, 전문가와 시민간의 지속적 협업 확대, 지원 정책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It became more difficult to find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because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al risks amplified uncertainty of expert knowledge. The citizen participative problem solving in the area of environment gains legitimation on the ground of extended citizenship, value-embedded scientific facts and ignorance of citizen knowledge. The deliberative democratic institutes like consensus conference and citizen jury helped to enhance public acceptance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to activate risk communication. However they are criticized in terms of citizen’s limited role. In the consensus conference or citizen jury only the issues determined by government are discusse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citizen and expert is also constrained. Citizen Science has been evolved from the by curiosity driven nature observation activity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This citizen science can be a new form of citizen participativ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 uncertainty of knowledge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science could be lowered on the behalf of mass data collection and global research by citizen science. The cases of citizen science which focused on the local environmental problems showed that citizen science could contribute to local problem-solving by collecting and analysing expert-complementary data. We found also that citizen science extended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ethod based on citizen knowledge. The practice of citizen science could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 policies. Although citizen science has positive effects, it should overcome various obstacles such as low quality of data, weak cooperation between experts and citizen, deficit of systemized governmental support.

      • KCI등재

        패스모어의 인간중심적 환경철학에 관한 고찰

        이상헌 한국환경철학회 2023 환경철학 Vol.- No.36

        이 논문은 이른바 인간중심주의 환경철학의 대표자로 거론되는 존 패스모어의 철학을 고찰한다. 1964년에 역사학자인 린 화이트는 지구의 생태 위기의 뿌리를 유대-기독교적 전통에 있다고 지적하고, 그 뿌리 위에서 성장한 중세 이후의 서구 문명과 과학기술을 생태 위기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했다. 나아가 화이트는 지구의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새로운 종교, 새로운 윤리, 새로운 세계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당시 환경론자들의 주장을 대변하는 화이트의 이런 도발적 주장에 대해 처음으로 철학적으로 응대한 패스모어는 환경 문제의 뿌리에 대한 화이트의 역사적 해석의 편협함과 오류를 지적하고, 서구의 전통과 사상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강조한다. 그는 서구 전통 속에서 화이트가 지적한 자연에 군림하는 폭군으로서의 인간 개념 이외에 두 가지를 더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런 인간 이해를 토대로 과학기술의 확대와 확산으로 우리 사이에 만연한 무지를 제거하는 것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환경 문제는 과학자, 기술자, 경제학자, 정치인, 관료 등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인 문제이지 종교적 신념이나 형이상학을 바꿔서 해결될 수 있는 추상적인 문제가 아니다. 그리고 환경 문제의 해결로 나가는 길을 막고 있는 무지몽매함을 제거하는 일을 철학자의 과제이다. 이와 같이 주장한 패스모어의 환경철학은 ‘계몽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of John Passmore, who is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so-called anthropocentric environmental philosophy. In 1964, American historian Lynn White pointed to the roots of the Earth's ecological crisis i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and pointed to Western civiliz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at grew on that roots since medieval age as the direct cause of the ecological crisis. Furthermore, White emphasized the need for a new religion, new ethics, and a new world view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earth. Passmore, who was the first to respond philosophically to White's provocative claims representing the claims of environmentalists at the time, points out the narrowness and fallacy of White's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root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emphasizes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Western traditions and ideas. He argues that in the Western tradition, two more can be found besides the concept of man as a tyrant over nature pointed out by White. And based on these human understandings, it is argued that the way to solve ecological problems is to eliminate the widespread ignorance among us through the expansion and diffusion of science and knowledge. Passmore sees that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al problems that can be solved ‘only by the joint efforts’ of everyone, including scientists, technologists, economists, statesmen and administrators, but not abstract problems that can be solved by changing religious beliefs or metaphysics. And he argues that it is a philosopher's task to remove ‘some of the rubbish that lies in the way to knowledge’, i.e. the ignorance and obscurity that blocks our way to the solution of ecological problems. In this context, his environmental philosophy can be said to be ‘enlightened’ anthropocentrism.

      •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서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As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its severity recently the area of environment in the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has become crucial and come to the fore newly. It is probably because environmental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human survival in the future and ‘education’ is expected to perform a central role in all the areas as a long-term and fundamental countermeasure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 re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ublic sector of education, such as schools or universities, presents the phenomenon of marginalization and reveals clear discords or gaps between the philosophical aims and practical progra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rowth of modern education system has been based on the paradigm of classical physics,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rn scientific era. If so, to which direction does environmental education, as basic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y in the society of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proceed? With a critical min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methods and alternatives: First, this study indicates and criticizes that fundamental blame for the environmental crisis of today is in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s the paradigm of separatism, namely a dominant and mainstream world view of the West,and presents an educational method of methodological holism as the paradigm of modern physic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vism. Second, focusing on J. Miller, a proposer of holistic education that is connected with methodological holism, this study examines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nts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n establishes the base of direction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among ‘organic body holism’ and ‘organic holism’, classified by Han Myeon-hui of Korea, this study indicates that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proceed with organic holism. Third, as the contents of holistic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method of which ideology is eco justice and the eco-sensibility to which Emmanuel Kant’s sensibility theory is applied. Fourth, as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e education of ecological new method of living according to the model of Lucas who systematically categoriz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72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NAAEE (1996). All the global community members’ conversion of consciousness via their self-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possible when they are mature via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based on holism of which core contents are rationality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the value system/world view of nature-friendly paradigm that cultivates ecological wisdom of including sensibility and spirituality.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에서 환경관련 영역은 그 중요성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환경교육이 미래 인간생존과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으로 ‘교육’이 모든 부문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학교와 대학등 공교육 부문의 현실에서 환경교육은 주변화되고 환경교육의 철학적 목적과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 간에는 명백한 불일치와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근대 교육제도는 바로 근대 과학시대부터 발전한 고전물리학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그렇다면 산업문명사회의 대학에서 교양 기초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 되어야 하는가? 여기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에선 다음과 같은 방법과 대안을 주장하였다. 첫째, 서구에서 주류를 이룬 지배적 세계관인 분리주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개체론은 오늘날 환경위기의 근원적 책임이 있다고 지적 비판함으로써 여기에 연계주의적 성격을 갖는 현대물리학의 패러다임으로 방법론적 전체론의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전체론과 연결되어있는 홀리스틱 교육의 제안자인 존 밀러( J.Miller)를 중심으로 이교육의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내용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의 방향과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내 한면희가 분별한 유기체 전일론과 유기적전체론 중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유기적 전체론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셋째,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내용은 생태정의(eco justice)를이념으로 한 학문 연계적 방법과 칸트의 감성이론을 적용한 생태적 감성(ecosensibility)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네째, 환경교육의 목표는 북미환경협회(NAAEE,1996)정의에 따라 1972년 환경교육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한 Lucas의 모델에 따라 생태학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의 실천교육을 제시하였다. 지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의식전환은 교육을 통해 성숙되어질 때 가능하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방향은 생태의식을 배양해 줄 수 있는 합리성(이성)교육과 감성과 영성의 요소까지 담고있는 생태지혜를 길러주는 자연친화적 패러다임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핵심내용으로 삼고 있는 홀리즘에 기반을 둔 교육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환경정책철학의 원리와 한국의 환경정책

        한면희 한국환경철학회 2008 환경철학 Vol.0 No.7

        Environmental problems have appeared as the urgent matter for each countries and international society. At this point approaches of policy will be demanded in order to solve the matter. If correct ideas and philosophies did not lead the policies into the right way, they would curry favor with the powerful and the republic, and drift about at the mercy of the waves. Thus environmental policies must depend on the philosophy of environmental policy for the purpose of normative justification.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s, I select the four principles of democracy, utilities, justice, and ecological soundness as those of environmental policy.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ies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valuable combination of four principles, any policy basically must pay regard to four principles.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brought about the complex situation that should consider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agenda of the undeveloped and the environmental agenda of the developed at global dimension. The idea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ppeared on the stages to solve this dilemma. With so much embodiment surrounding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construct the concrete ver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right time Neil Carter identified five fundamental principles which, nevertheless, seem to underpin all vers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Here I introduce principles of equity, democracy, policy integration, planning, and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policy. Korea accessed the OECD in 1996 and received the OECD's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same with the other developed countries of the OECD. In recent OECD published 2006 OECD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for Korea. This report announced that the environmental outcomes of Korea were more better than before, but evaluated that further and strengthened efforts will be needed on the road towards environmental convergence within the OECD areas. Also, if I evaluate the present situations of Korea according to philosophic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policy, it seems that Korea's policy has many problems. Therefore Korea should propose and carry out actual policies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discipline of environmental policy. 환경문제가 각 나라와 국제사회의 현안으로 대두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정책적 접근이 요청된다. 이때 정책은 올바른 이념이나 철학이 인도하지 않으면, 시류에 편승하게 됨으로써 목표 달성에 이르지 못한 채 표류하기 십상이다. 따라서 환경정책은 규범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 환경정책철학에 의거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조망할 때 정책철학의 원리로 민주주의와 효용성, 정의 그리고 생태적 건전성의 원리를 분별할 수 있다. 이런 복수의 원리 가운데 어느 것에 가중치를 두느냐에 따라 사회적 성격이 달라지겠지만, 어떤 정책도 기본적으로 네 가지 원리를 유념해야 한다. 다만 환경문제는 지구적 차원에서 후진국의 사회발전 요구와 선진국의 자연보호 주장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을 조성했다. 이 딜레마를 타개할 방안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이 제기되었다. 이 개념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환경정책철학의 원칙으로 형평성과 민주주의, 사전예방, 정책통합, 그리고 계획의 원칙을 우선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한국은 1996년 말에 OECD 가입국이 됨으로써 다른 선진국과 함께 공통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가장 최근에 ‘2006 OECD 한국 환경성과평가보고서’가 나왔다. 이것에 의거하면, 한국의 환경성과는 점차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제시한 환경정책철학의 원리에 의거하여 평가를 하면, 그것은 여전히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환경정책을 입안하거나 시행할 때, 정책철학의 원리에 보다 분명하게 의존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한국은 환경문제 해결에 보다 책임있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화된 수업 모형과 비구조화된 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분석

        이향미,최돈형 한국환경교육학회 2007 環境 敎育 Vol.20 No.2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model is an instructional strategy to accomplish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sues of the commun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instructional effect of the structured model with the unstructured model of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tructured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nstructured instruction. There did not appear to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regard to knowledge but in regard to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attitude. In regard to investigating skill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regard to environmental action skills. To foster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a number of methodologies must be considered and learners must be trained to become problem-solving citizens. It was noted that the structu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unstructured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where environmental issues were not taught as an independent

      •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송병주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환경연구 Vol.21 No.-

        An environmental problem has many characteristics - territorial, wide area, specialty, competitiveness - which is contrary to each other. Therefore local government has to face with affirma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to manag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order to effectively handle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must review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systems of central government and that of local government because each of the systems is closely linked with the other functionally. Then the administrative system is derived from the division of roles. We can summarize the desirabl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s follows; The roles of Department of Environment; a macro and long-term national goal manage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a coordin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and other departmen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highly specialized problems. The roles of the field office of central government; setting up the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area, coordinationg of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local governments, slightly specialized problems, supporting for local governments.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feeding up the environmental needs for residents, implementing and designing the system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egulating, guiding and control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gather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encouraging residents to do environmentally affirmative 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