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시에 표현된 비움에 관한 연구

        강소영(Kang, So Young),김도식(Kim, Do Si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시각디자인에서 이미지의 소통을 향상하기 위해 과잉된 그래픽의 불필요한 요소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보는 바, 그래픽 분야에서 간과 되어온 조형요소 중 네거티브 공간인 비움(emptiness)의 관점으로 시각시에서 비움의 운용과 유형, 의미작용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 동?서양에서 발표된 시각시 중 실험적 시도로 주로 거론 된 10편의 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2단계 분석을 거쳐 진행하며 1단계 분석은 비움의 공통 분석 기준으로 수동적, 능동적 비움의 유형을 파악하고 2단계 분석은 롤랑 바르트의 2단계 모델을 기준으로 비움의 의미작용을 심도(深到) 있게 분석하였다. 1단계 분석 결과, 총 10편의 시 중 2편은 능동적 비움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논지 대상으로 하여 2단계 분석에서 비움의 유형과 의미작용을 분석한다. 그 결과, 이상의 <삼차각설계도-선에 관한 각서1>은 우주의 공간을 상징하며 3차원 탈형상적 비움의 초현실적시ㆍ공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말라르메의 <주사위 던지기>는 부재를 상징하며 1차원 단층적 비움의 휴지(休止) 공간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20세기 초반의 시각시에서 비움은 텍스트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시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기위한 텍스트의 가시화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양은 개별적 "사물"을 보고 있고 동양은 연속적인 "물질"을 보는 지각의 차이를 비움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20세기 초반, 실험시 활동이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영향을 주었으며 시각시를 타이포그래피의 효시로 상정하는 바, 시각시에서 비움의 관점으로 연구함으로써 디자인의 사조에서 비움의 가치를 재조명하는데 기여했으며 앞으로 비움의 조형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sed on the view that any unnecessary elements in excessive graphic should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of image in the visual design, a study is conducted for applications, types and significations of Emptiness, the negative space in the formative elements that has been ignored in the graphic area. For this study, the ten poetries that frequently mentioned for experimental trials in visual poetries introduced in the East and the West are selected. The analysis is processed through two levels of analysis: The first level analysis covers the finding for the types of passive and active emptiness based on the emptiness"s common analysis criteria. And, the second level analysis is conducted in depth by separating the signification of emptiness as the first meaning and the second meaning based on Roland Barthes" Two Orders of Signif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level analysis result, it is found that two of the ten poetries uses active emptiness. And the result of the second level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 shows that Lee Sang"s ‘A Three Dimensional Angle Design-Memorandum 1 regarding Line‘ symbolizes the space of the universe and displays surrealistic poetry and space of the three dimensional non-figurative emptiness, and Mallarme"s dice shooting expresses the idle or deadlock space of the one dimensional flat emptiness.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emptiness confirm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the West sees an individual "object" while the East sees a continuous "material". According to the assumption that the experimental activities in the easy 20th Century impacted on the modern typography and the visual poetry was the start of typography, this study contributes for re-hightailing the value of emptiness is the trend of design by researching in the perspective of emptiness in the visual poetry while the formative element of emptiness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ties and viewed in perspectives in the future.

      • KCI등재

        The Meaning of Emptiness for the Enlightened Ones

        한성자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8 No.-

        The concept of emptiness, or Śūnyatā in Sanskrit, Suññatā in Pali, is mainly known as the fundamental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As is becoming known through recent interest in Theravāda Buddhism, however, there are sufficient discourses of the Buddha in the Pali Nikāya dealing with emptiness. This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Pali Suttas dealing with emptiness to find its exact meaning and see whether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emptiness developed in the Mahāyāna scriptures like the Prajñāpāramitā Sūtra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emptiness. The concept of emptiness can be viewed in three different meanings. Firstly, emptiness means the final deliverance of mind from the finest meditative attainments. Secondly, it refers to the nature of persons or things which is empty of a self or of anything pertaining to a self. Finally, the last and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emptiness is related to the practice of abiding in emptiness through which all the Enlightened Ones avoid contamination from the defilements of the world while still abiding in the world. This last meaning of emptiness provides the basis for the concept of the Bodhisattva in Mahāyāna Buddhism. How the Bodhisattva remains in the secular world without being contaminated by its defilements is accomplished by abiding in emptiness concentration.

      • KCI등재

        아니슈 카포(Anish Kapoor): 공과 색, 이름을 넘어서

        김융희 현대미술학회 201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 No.14

        This essay aims to interpret the works of Anish Kapoor by the concept of 'Emptiness' which is one of the core concept of Mahajana Buddhism. The concept of 'emptiness'had developed by Nagarjuna who was a Mahajana Buddhist scholar through the theory of middle way. Nagarjuna insisted that the 'emptiness' of the being should be explained by middle way only, why the 'emptiness' is neither object nor non-oject. The main phrase of Paramita Sutra, 'the emptiness is objectness, the objectness is emptiness' has been considered as a epigram which expresses a truthful reality of being. A series of works of Anish Kapoor which are made of mirror surface, <Cloud Gate>, <Sky Mirror>, <Vertigo> etc. can be interpreted by the Mahajana Buddhist concept of 'emptiness', the reason why they arouse a ambiguous perception, neither of objectness nor non-objectness. Actually Anish Kapoor have been a Buddhist, he had made the work in the name of <Void Field>. Hommi Bhabha insisted that a series of works of Kapoor aimed to 'making emptiness' by arousing the doubt of identity of works to the spectators. Many of Kappors works have the uncertainty and non-determinancy of identity. For exemple, in <1000 names>,spectators can't discern the identity which is made by a heap of colour powder or painted colour surface. In <Svayambh>, it is uncertain who makes the works. In <Marsyas>, it is uncertain where is inside or outside. The ambiguity of perception leads the spectator to doubt to the commonly perception, and then to the emptiness of the meaning of names, the emptiness of the commonly judgement, and the emptiness of subject of judgement. Mahajana Buddhist teaches 'there is no subject in sensation, perception, representation, action, conscience','there is no subject in Dharma(universal law).' The man who gains enlightenment have not attachment anymore and anywhere, he frees from pain of life, he lives in peace. The core guidance of Majajana Buddhism is '4 holy law', that is 'pain-attachment-elimination-nirvana', that is who can understand the truth which the pain is aroused by attachment, therefore to eliminate the attachment, he reach the nirvana(peace). The root of attachment is illusion; there is a substantial subject, there is a substantial object. The deep understanding of non-substantiality of everything leads us to peace. Some of works of Kapoor are present the emptiness of names, subjects, objects, and substances. By the way he make us to experience 'the Middle Way', the peace.

      • KCI등재

        龍樹(Nāgārjuna) 空思想의 論理的 접근

        박용조(Park, Yong-J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4 가톨릭신학 Vol.5 No.-

        It is not too much say that a Buddhist creativity is derived from the idea of the Emptiness(Sunya). An idea of the Emptiness is early formulated. but systematization is by the unique perception and theory of Nagarjuna(龍樹). About the emptiness of Buddhism In-sun(印順) Buddhist teacher spoke that is the emptiness of Agama(阿含) emphasizes to polish the way of liberation(解脫道), and the emptiness of several branch(部派) s studies the true meaning, and the emptiness of Prajna(般若) is the emptiness as a profound experience, and the emptiness of the Nagarjuna integrates false names, the nature of the emptiness, a 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 and the golden mean.(中道) Thereby, the emptiness of the Nagarjuna is called as the golden mean. This does not stay the emptiness idea on scientific aspect of epistemology or logic. and because grasping contradictiveness of speculation in the perception and logical aspect preferably, can know that escape from confrontation and discord and is connoting religious side view that intend the absolute world. If examine little more concretely. the essential dogma of Buddhism in a viewpoint of no ego(無我) points all of all by mutable thing and impermanence(無常). And it saw that disappear while also what occurred in relation of only individual elements. This is A 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說) that is view of the world of Buddhism justly. However, thereafter, the better part of several branches in Abhidharma Buddhism(部派佛敎) can directly recognize the real(Dharma; 法) existence that is objective existence in sensibility or spoke that can know to indirect deduction. and as a result. professed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法有) that recognize the dharma as objective real existence. Nevertheless, the real existence in Mahasamghika(大衆部) that become Mahayana(大乘佛敎) relationship foundation that is no more than in idea. Genuine real existence transcends over the idea, which is unconcerned with idea. Approaching to the real existence is not based on awareness in intelligence but in practice. So, this that effected bodhisattva(菩薩) with arambha that is the starting point becomes prajnaparmittam-sutra(般若經) s subject by an ideology that the emptiness nuts and bolts side is formed being emphasized. Prajnaparamitlam-sutra criticized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 seeing things through several braches s dharma. Dharma denied situation of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 thoroughly and that could not see real image of things because of the idea s production. This negation means transcendence as expression that is paradoxical not that means simple negation. That is, because flowing through negation, it is that must deny the subjective cognition and the objective object connected with it as well as phenomenon of all and time and space throughly as that go forward by positive and the truth that all is emptiness. The emptiness of the prajnaparamitam-sutra is World everything does emptiness.(一切皆空) by a word. This is a more developed meaning of nothing has a perfect selflessness.(諸法無我) that is rooted in the foundational dogma of Buddha. Nothing has a perfect selflessness. denies all things(一切法) simply, but world everything does emptiness. derives self-reflection as well as show an unreal and false(虛妄不實) of all things . This means that is magnified for practice and religious side. A person who reclaim newly and develop Buddhism i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aspect accepting this prajnaparamitam-sutra s the emptiness is nagrjuna. He made plain clearly through thoroughly demonstration that prajnaparamitam-sutra s emptiness has contradictory meaning and affirmative meaning at the same time, but do not have theoretical system. 불교의 독창성은 空(Sunya)思想에서 유래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공에 대한 관념은 불교의 초기부터 형성되었으나 체계화된 것은 龍樹(Nagarjuna)의 독특한 認識과 論理에 의해서였다. 불교의 空에 대해 印順 法師는 “阿含의 공은 解脫道를 닦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部派의 공은 法義를 연구하는데, 그리고 般若의 공은 심오한 체험으로서의 공이며, 龍樹의 공은 般若經의 假名ㆍ空性과 阿含經의 緣起와 中道를 통합한 공이다.”라 하여 용수의 공사상을 中道라고 하는데, 이는 공사상을 인식론이나 논리학의 학문적인 면에만 머물지 않고, 오히려 인식과 논리적인 측면에서 사유의 모순성을 지적하여 대립과 갈등을 벗어나 절대의 세계를 지향하는 종교적인 측면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불교의 근본교의는 ‘無我說’의 견지에서 일체의 모든 것들은 변화하여 영속하지 않는 無常한 것으로 보았다. 그 어떤 것도 오직 개별적인 요소들의 ‘관계’에서만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세계관인 緣起說이다. 그러나 이후 아비다르마(abhidharma)불교의 대부분의 부파들은 감각으로 객관적인 존재인 實在를 직접 認知할 수 있다거나 또는 간접적인 推論으로 알 수 있다고 하여 객관적인 실재로서의 ‘法(dharma)’을 인정한다는 ‘法有思想’을 표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大乘佛敎의 토대가 된 대중부(Mahasamghika)에서는 실재라고 하는 것은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진정한 실재는 사유에 의한 구성에 조금도 포함되지 않는 사물, 즉 實在란 觀念을 떠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실재에 대한 접근은 결코 知性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을 통한 깨달음이 그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 출발점인 ‘發菩提心’을 바탕으로 菩薩思想을 성립시켰는데 이는 공의 실천적인 면이 강조되면서 형성된 사상으로 반야경의 주제가 된다. 일단 반야경은 여러 부파들의 法을 통해 사물을 보는 ‘법유론’을 비판하였다. 법은 思惟의 所産기에 사물의 실상을 제대로 볼 수 없다하여 法有的인 입장을 철저히 부정하였다. 이때의 부정은 단순한 부정을 나타낸 것이라기보다는 역설적인 표현으로서 곧 超越을 뜻한다. 즉 철저한 否定을 거쳐 絶對肯定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일체현상은 물론이고 그것과 관련된 주관인식 및 객관대상 그리고 時ㆍ空까지도 철저히 부정할 뿐 아니라 一切가 空이라는 그 사실까지도 부정해야한다는 것이다. 반야경의 공사상은 한마디로 ‘一切皆空’사상이다. 이는 붓다의 근본 교의인 ‘諸法無我’의 의미를 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제법무아가 일체법을 단순히 부정하나 ‘一切皆空’은 一切法의 虛妄不實함을 드러낼 뿐 아니라 자기반성까지도 유도한다. 이것은 공이 실천 및 종교적인 면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반야경의 공사상을 수용하여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면에서 불교를 새롭게 개척하고 발전시킨 이가 용수이다. 그는 반야경의 공이 否定的인 意味와 肯定的인 意味를 동시에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으로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을 철저한 論證을 통해 명백하게 밝혔다. 그의 저서인 중론(Mdhyakakarika)에서 밝힌 용수의 논증은 형식적으로는 서구의 변증법과 비슷하나 추구하는 바는 歸謬法(prasnga)과 같다. 그가 사용한 논증은 ‘四句否定(Tetralemma)’의 논증형식으로 이는 中論 第18觀法品 8偈(MK, 18, 8)에 ‘일체는 진실이다. 진실이 아니다. 진실이기도 하고 진실이 아니기도 하다. 진실이 아니며 또 진실이 아닌 것이 아니다. 이것은 모두 부처님의 법이라 부른다.(一切實非實 亦實亦非實 非實非非實 是名諸佛法)’의 게송 중에 잘 나타난다. 앞의 세 命題들은 인간이 논리상으로 내어놓을 수 있는 견해들을 대표하는 논증 양식이다. 그러나 마지막 네 번째 명제는 앞의 명제들을 모두 否定하는 것으로 超越 내지는 無執着, 나아가 ‘如實 즉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고자함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수는 공의 논리를 중론 의 ‘八不’을 통해서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八不’은 일체 사물의 現存 양식을 여덟 가지로 대별하여 그것이 실체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相互依存의 無自性, 즉 연기적인 것임을 드러냈다. 그리고 일체가 思惟로부터 생겨나는데 이러한 사유는 인간의 인식활동이며 언어에 의해 형성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언어와 그것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실상은 결코 일치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言語나 槪念 및 定義 또한 이런 측면에서 보면 항상 오류를 가지게 된다.

      • KCI등재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 -맛지마 니까야의 『소공경』 과 『대공경』을 중심으로-

        담마끼띠 ( Dhammakithi Bhikkhu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공(空)은 붓다가 설한 다양한 주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사상이다. 초기 경전에서는 空의 단어가 여러 차례 언급되는데, 그 중에서도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aya)의 『소공경』과『대공경』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맛지마 니까야에서는 무아를 중심으로 공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아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의거해서 공을 관찰하는 것은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최초의 공성이다. 공성은 맛지마 니까야에서 이미 언급된 것으로, 반야나 중관 등 여러 대승불교사상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주제이다. 이 때, 공성에 대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견해 차이가 존재한다. 초기불교의 경우 주로 아공(我空)을 말하고 있는 반면, 대승불교의 경우는 법공(法空)을 위주로 교설이 전개 된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에서 강조하고 있는 法空의 개념은 초기경인 『소공경』에 주로 등장한다. 이 경을 살펴보면 수행자는 자기 마음에서 나타나는 일체를 현현(vinnapti)일 뿐이라고 간주한다. 이를 통해 차례대로 일체에 대한 집착을 마음에서 제거함으로써 무상삼매(無相三昧)를 얻게 된다. 일찍이 많은 학자들은 주석에서 무상삼매가 我空을 뜻한다고 주장하였지만, 이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며 我空이 아니라 法空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논자는 붓다가 我空만을 공성으로 본 것이 아니라 『소공경』, 『대공경』등의 경전에 나타나는 일체공, 즉 法空의 의미도 공성에 포함시켰다고 본다. 『니까야』에서의 공성은 오직 我空뿐이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주석서에 法空이 언급되어 있지 않는 것은 전통에 따르기 위한 노력이었을 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我空과 法空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부파불교가 여러 학파로 나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Unlike the theory of self-begetting mutation by Brahmanism which argues that many appear from on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 may be the revelation of truth from many to one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Here, one refers to Dharma as the fundamental teaching by Buddha. Emptiness, including that of Dhamma itself, is the foremost among the key concepts taught by Buddha. The word ‘emptiness’ is mentioned in many discourses of early Buddhism. Among those, Small Discourse on Emptiness(Culasunnata-sutta) and the Great Discourse on Emptiness(Mahasunnata-sutta) of the Majjhima Nikaya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Majjhima Nikaya, the nature of emptin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ion of no-ego. The early Buddhist view of emptiness is basically the non-attachment to any view of self or any other phenomena. Emptiness is the central theme in the Mahayana Madhayamaka system. It is also a key concept in Mahayana in general. The concept of emptiness features prominantly in the Mahayana Prajna Paramita sutras. Subsequently it was developed by Nagarjuna as the key concept in the Madhayamaka system developed by him.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Buddhism and Mahayana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Emptiness is, while the former(early Buddhism) lays emphasis predominantly on the emptiness of self, the latter(Mahayana) extends it to cover the entire phenomena. If we look for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emptiness applicable to all phenomena in the Mahayana tradition we see that it is found in such discourses as Culasunnata-sutta and Mahasunnata-sutta found among early discourses. According to the Culasunnata-sutta, a practitioner may acquire the formless Samadhi by removing the attachment from the mind for everything by developing a perspective that everything is only an object of knowledge in the mind. Although the formless samadhi means the emptiness of self according to the annotations by many scholars, the arguments for this appeared from the early times with the appearance of the argument that it should be identified not by the emptiness of self but by the Emptiness of Phenomena. It is due to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of the emptiness of self and emptiness of phenomena that many divisions and various schools have appeared in the Buddhist tradition.

      • KCI등재후보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연구 -반야공관을 중심으로-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1

        A Study on the Diamond Samādhi Sūtra written by Wonhyo in his later years plays a pivotal role in understanding the accomplished version of his thought. Some similarity between the Diamond Sutra and the Diamond Samādhi Sūtra has drawn my attention. Both sutras and the study preach empty one’s mind based on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Although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Sutra is an uncanonical sutra, their logic and evidences are so weak that their argument cannot be an established theory. In the Study, Wonhyo upgraded his One-mind theory by newly introducing the 9th level of consciousness(Amala-vijnana), reinforced his hwajaeng (reconciliation of dispute) theory and developed his theory of True Son(眞禪). In the Study, Wonhyo developed triple empty theory based on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that is empty emptiness, empty again the emptiness and finally empty all emptiness. In the madhyamika Buddhism, Emptiness is called absolute truth whereas existence secular truth. The empty the emptiness means transformation of the absolute into the secular, the empty the emptiness again transforms the secular into the absolute again. The final stage of emptiness blends the secular and the absolute into the One mind. It is the result of the full perfection of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In the One mind, anyone can be free from all obstacles and disputes. As we see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Buddhism, the final stage of the Prajñā-Paramitā Thought of Emptiness is reaching the original nothingness from which the Chinese Southern Sect of Son Buddhism started. In the Study, Wonhyo also discovered the Son principle but his True Son(眞禪) emphasizing great merciful act as well as mind concentration differed from the Chinese. From triple empty theory, he drew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 theory from the theory of no- dispute theory in Buddhism. In the Study, he revealed the reality of existence through his own Buddhist logic. The Buddhist logic turned out to be more useful as the fuzzy logic in this age of complex system than the western logic originated by Aristotle. 금강삼매경론(이하 경론으로 약칭)은 원효의 후기 작품으로서 원효사상을 원숙하고 깊이 있게 종합한 작품이다. 필자는 금강경(금강반야바라밀경)과 경론의 대상이 된 금강삼매경(이하 경으로 약칭)과의 유사성 때문에 경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금강경이 반야공관을 기본사상으로 하여 비우고 또 비우는 마음공부를 가르치는데 경과 경론도 같은 기조를 가지고 있다. 비록 경이 신라나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이라는 설(說)들이 있으나 그 근거나 논리는 얼마든지 반박될 수 있는 것으로 정설이 될 수는 없다고 본다. 경론을 통해서 원효는 9식설을 도입하여 일심사상을 업그레이드하고 화쟁사상의 근거를 확고히 했으며 중국의 선종과는 구별되는 진선(眞禪)을 개발했다. 경론에서 원효는 공(空)을 세 번에 걸쳐 비우는 3공의 반야공관을 세웟다, 즉 공공(空空), 공공역공(空空亦空), 소공(所空)이 그것이다. 반야공관은 유(有)를 속제(俗諦, 세속적인 진리)로 공을 진제(眞諦, 절대적인 진리)로 나눈다. 공공이란 진제를 한번 비워 다시 속제로 된 것이고, 공공역공은 그런 진제가 다시 속제가 된 것이며 소공의 단계에 이르면 그렇게 전환된 속제와 진제가 하나로 합쳐져 융통자제한 일심의 세계가 된다는 것이다. 반야공관을 철저히 추구한 결과라고 본다. 일심 속에서 화쟁도 가능한 것이다. 중국 불교에서 보듯이 반야공관의 최종정착지는 비우고 또 비워서 아무것도 남지 않는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육조대사의 본래 무일물의 깨달음에서 남종 선종(禪宗)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파사현성(破邪顯正), 즉 삿된 것을 파하고 바른 것을 들어낸다는 불교의 목표 중에서 원효는 3공을 통해서 현정이라는 적극적 측면을 들어내었다. 그래서 원효는 쟁론을 없게 한다는 불교의 무쟁의 개념을 쟁론을 회통해서 화합으로 바꾼다는 화쟁의 개념으로 전환시켰던 것이다. 경론에서 원효는 합리적 틀에만 얽매여 실재를 파악하기 어려웠던 서양논리학이 아니라 현대의 퍼지(fuzzy)논리와 유사한 판비량론의 신인명 논리학을 사용하여 존재의 실상을 들어내고 있다.

      • KCI등재

        "여백(餘白)"의 생명미학(生命美學)에 관한 고찰

        김응학 ( Eung Hak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19 No.-

        동양예술은 ‘餘白’을 상당히 중시한다. 서예, 회화, 시가, 음악, 건축 등, 모든 예술이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餘白’에 대해서만은 일치하였다. 작품 속에 큰 공간을 남겨두는 것은 동양고유의 미학적 현상이다. 또, ‘餘白’을 좀 더 포괄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으로는 ‘無’, ‘虛’가 있다. 동양예술에서 ‘虛’는 외관상으로 ‘虛’이지만 내적으로는 ‘實’이다. ‘實’은 존재의 직접적인 암시이다. 그러나 이미 나타난 ‘實’보다 장차 나타내려고 하는 ‘虛’가 더 근본적이다. ‘虛’는 표면적인 ‘實’보다 더욱 참다운 ‘實’이며, 이미 이루어져 있는 것이 ‘實’이라면, ‘虛’란 더욱 ‘實’이 되려고 하는 경향성을 가진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虛’란 ‘實’을 낳는 ‘餘白’이라는 점이다. 동양예술에 있어서 ‘餘白’의 기법 중, ‘虛와 實’의 표현은 작가가 ‘實’을 통해서 회화의 美를 표현하고, ‘虛’를 통해서 정신의 美를 암시한다. ‘虛’는 ‘實’을 전제로 진정한 의미를 갖게 되고, ‘實’은 ‘虛’를 통해서 완성된다. 수묵화 속의 ‘實’은 黑으로 표현되며, 아무것도 표현되지 않은 ‘餘白’부분은 ‘虛’가 된다. 특히 문인화는 ‘餘白’ 속에 그림을 그린 취지나, 마음을 담은 詩句 등을 적는다. 이것은 ‘虛’가 장차 뜻을 갖게 되는 ‘實’ 이라는 의미이다. 또 ‘虛와 實’은 서로 상생한다. 이것은 예술의 창작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상과 같이, 동양의 ‘餘白’은 유가의 後素, 불가의 空, 도가의 無爲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餘白’이다. 이러한 철학적 기초를 이해하지 않으면 진정으로 동양의 ‘餘白’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동양예술도 제대로 감상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無’와 ‘虛’가 동양예술에서 어떠한 美感을 주었으며, 그것은 ‘餘白’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생명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The blank-space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in East-Asian art. All kinds of art, such as calligraphy, painting, poetry, music, architecture, and so on, held almost same view on this matter. To leave some large space for art works is an aesthetic phenomenon native to East-Asia. Nothingness and emptiness are extended meaning of the blank-space. Emptiness is just emptiness on the exterior, but it is fullness on the interior in East-Asian art. fullness directly implies being. However, emptiness is more fundamental than fullness already appeared. Emptiness is true fullness rather than superficial fullness. Fullness means what is already occurred, on the other hand, emptiness means a tendency to become fullness. Therefore emptiness mentioned above is the blank-space to give birth to fullness. In East-Asian art, the technique creating the blank-space and the expression of emptiness and fullness uncover the beauty of painting through fullness, and imply the beauty of spirit through emptiness. When emptiness is premised on fullness, it can have its true value, and when fullness is with emptiness, it can be completed. Fullness appears as black and the black-space partly becomes emptiness appearing as white on ink-and-wash painting. Especially, writings or poetries to hold the artist’s mind and intention are on painting in the confucian-scholars’ painting. This means emptiness becomes fullness with value. There is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relationship is connected with creation of art. As written above, the blank-space in East-Asia consists of the Confucian’s discussion on the black ink on the white ground, the Buddhist’s concept of emptiness, and the Taoist’s thought of nothingness. Understanding those philosophical grounds is the essential step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East-Asian art and the blank-space. The meanings of nothingness and emptiness to aesthetic se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blank-space from the view of life aesthetics are considered in this paper.

      • KCI등재

        연기와 공성 그리고 여래장에 대한 티벳 사상가들의 이해

        차상엽(CHA, Sang-yeob)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38 No.-

        폴 펠리오(Paul Pelliot)가 발견한 둔황[敦煌] 사본 중 Pt 116, plates 111.2-112.1에서는 유식(唯識)학파의 교의를 '타공(他空, gzhan stong)'적인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맹아(萌)芽가 발견된다. 또한 Pt 116, plates 114.2-3에서는 연기(緣起)와 공성(空性)을 바탕으로 하는 '자공(自空, rang stong)'의 정의도 소개되고 있다. 이 를 통해 '자공(自空)'과 '타공(他空)'에 대한 이해의 시초가 둔황에서 출토된 폴 펠리오의 초기 티벳어 사본에서 발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타공(他空)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는 주로 인도 유식학파의 논서인『보살지 』「진실의품」의 내용 중 올바르게 이해된 공[善取空, sugṛhītaśūnyatā] 이 조낭(Jo nang) 학파의 타공설(他空說)의 시원(始原)으로 소개하고 있다. 선행 연구는 타공설(他空說)의 인도불교 내 첫 출발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이 논문은 타공설 (他몇說)의 티벳불교 내 시발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성론』 제1장의 1 55번째 게송은 여래장(如來藏) 자체가 공(空)이 아니라, '비본질적인 번뇌 [客塵煩惱]가 바로 공(空)이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비본질적인 번뇌야말로 다름 아닌 공(空)이라는 내용은 될뽀빠 써랍갤챈 (Dol po pa Shes rab rayal mtshan, 1292-1361) 의 저작인『제4결집(第四結集, 까두시빠 bKa' bsdu bzhi pa)』등에 나타나는 조낭(Jo nang)학파의 핵심적인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타공(他空)적인 내용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에 반해 옥 로댄 쎄랍(rNgog Bio ldan shes rab, 1059-1109)의 『보성론요의(寶性論要義, 텍첸규래된뒤빠 Theg chen rgyud bla'i don bsdus pa)』에서는 여래장(如來藏) 그 자체를 공(空)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모든 현상[法, dharma] 이 공(空)하다'는 『반야경(般若經)』의 정의와 연결된 개념이다. 즉, 모든 현상에는 고정적인 자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명제이며, 이러한 내용은 자공(自空)적인 이해와 연결된다. 그리고 될뽀빠 쎄랍걜챈은 자공( 自空)과 타공(他空)이라는 2가지 공성(空性)을 세속제(世俗諦)와 승의제(勝義諦)라는 이제(二諦) 개념, 그리고 연기(緣起)하는 현상과 연기하는 현상 너머에 존재하는 붓다의 지혜와 공덕에 상호 배대하고 있다. 이 를 통해 티벳에서는 연기(緣起)와 공성(空性), 그리고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이해가 각 시대와 지역의 주석가 혹은 사상가들의 해석에 따라서 다양한 이해가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교의 핵심적인 교의인 연기(緣起)와 공성(空性), 그리고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이해가 고정적이고 영원불변하는 절대개념이 아니라, 역사적 추이에 따라서 항상 재해석되며 변용된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In interpreting Yogacāra doctrine, the seeds of the extrinsic emptiness (gzhan stong) viewpoint can be found in Pt 116, plates 111. 2 112. 1 of the Dunhuang manuscripts found by Paul Pelliot (1878-1945). Pt 116, plates 114. 2-3 also introduce a definition of intrinsic emptiness (rang stong) based on dependent origination (pratītyasamutpāda) and emptiness (śūnyatā). These early Tibetan manuscripts are a significant clue to the oldest understandings of intrinsic emptiness and extrinsic emptiness in Tibetan Buddhism.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 concept of extrinsic emptiness of the Jo-nang School originates from rightly grasped emptiness (sugṛhītaśūnyatā), on which the Bodhisattvabhūmi, a Yogacāra treatise in Sanskrit, expounds. That is to say, the existing research emphasizes the first development of extrinsic emptiness in Indian Buddhism, whereas this paper tries to throw light on the starting point of extrinsic emptiness in Tibetan Buddhism. The 155th verse in the first chapter of the Ratnagotravibhāga-Mahāyānottaratantraśāstra suggests that buddha-nature (tathāgatagarbha) itself is not emptiness but that 'adventitious defilements (āgantukakleśa), these indeed are emptiness.' This last point is an essential doctrine of the Jo nang School, a doctrine explained in the bKa ' bsdu bzhi pa etc. by 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1292-1361). This doctrine converges on the viewpoint of gzhan stong. On the other hand, the Theg chen rgyud bla'i don bsdus pa by rNgog Blo ldan shes rab (1059-1109) defines buddha-nature itself as emptiness, parallel to the definition that 'all phenomena (dharma) are emptiness' found in the Prajñāpāramitāsūtra. The proposition that substantial self-nature does not exist in all phenomena converges on the viewpoint of intrinsic emptiness. According to Dol po pa Shes rab rgyal mtshan, each of these two emptinesses, intrinsic emptiness and extrinsic emptiness, corresponds to each of the two truths (i.e. the surface and ultimate truths), or in other words, ' the dependent arising phenomenon' and the Buddha's transcendental wisdom. From the above argumentation it is clear that different understandings of dependent origination, emptiness, and buddha-nature have existed in Tibet, and such differences were caused by the peculiar differences of each era, region and the viewpoints of commentators or Buddhist thinkers. The fact implies again that the Buddhist essential doctrines of dependent origination, emptiness, and buddha-nature are relative notions which are always being reinterpret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historical trends, and are not eternal, immutable and absolute notions.

      • KCI등재

        승효상과 Louis I. Kahn의 건축에 나타난 `비어있음(Emptiness)`의 개념에 대한 연구

        최지연(Choi, Jee-Yeon),이영수(Lee, Young-S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5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arious kinds of emptiness that are shown in the empty space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Architecture creates the usefulness of a certain space thanks to its emptiness. The word, ‘Emptiness’ has the following meanings, ‘non-fulfillment’, ‘non-existence’, ‘emptiness’, ‘blankness’, ‘non-visibility’ and ‘non-limitation’, etc. Such concepts of emptines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ideological emptiness’, ‘aesthetic’ and ‘architectural spatial’. Comparisons regarding such concepts of emptiness as they are expres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shall be identified in this study. Hyo-sang Seung tried to leave numerous open possibilities which can contain everything into a certain space since ‘emptiness’ is not being used at this moment. Louis I. Kahn tried to contain into a space the essence and silence of that space before something that exists is created. The ‘emptines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is a specific space which can contain more kinds of non-visible spaces than some visible ones. Thus, such spaces may contain various potentials which are possible because they are empty, because of changes in nature and time, and because of silence and intentions going beyond an artist’s original intent.

      • KCI등재

        연기와 공: 연기하는 것은 공하지만 공한 것이 반드시 연기하지는 않는다

        김영진,홍창성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 Vol.89 No.-

        Nāgārjuna introduced, in his Mūlamadhyamakakārikā XXIV.18, the famous proposition that has become a standard view in the Mahayana traditions: Dependent arising is emptiness. This proposition has ever since played the role of a reminder that the concept of emptiness in the Mahayana traditions has in fact originated from and is a continuation of the concept of dependent arising in early Buddhism. This proposition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emergence of tendency to identify dependent arising with emptiness within the Buddhist society. Furthermore, the proposition has motivated some Buddhists to believe that dependent arising is emptiness and emptiness is dependent arising. In other words, the proposition that dependently arising things are empty has been understood to imply the proposition that empty things arise dependently. Adopting the rigid concept of identity used in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dependently arising things are not necessarily identical with empty things and that the concept of emptiness cannot replace the concept of dependent arising.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uses as a tool the concept of necessary identity in modal logic and possible world semantics that an identity statement is true in the actual world if and only if it is true in all possible worlds. Dependently arising things are necessarily empty, but empty things do not necessarily arise dependently. Since dependently arising things are not necessarily coextensive with empty things, dependent arising cannot be necessarily identical with emptiness. Modal logic shows us that if they are not necessarily identical in all possible worlds, they are not identical in any world. Emptiness cannot replace dependent arising because they are not ident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