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과 자원봉사의 중요성 인식 및 참여태도의 관계

        김욱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olunteer education,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ttitudes of volunteer activities among college students. Student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volunteer education were compared in order to learn whether participating the volunteer education related to their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attitud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83 college students(117 participants and 266 non-participants of volunteer education), attending a college. They wer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6.0 for Window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volunteer educ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mportance recogni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ttitudes(duration and activity involvement) of volunteer activitie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olunteer activities was related to participant attitudes(volunteer time and activity involvement) of volunteer activiti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receiving volunteer education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olunteer activities, followed by sex(femal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years in school(3rd year and 1st year), receiving volunteer education, and age played important roles in explaining dur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receiving volunteer education played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activity involvement of volunteer activities. Receiving volunteer education, after contro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 still turned out to be one of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importance recognition and participant attitudes(duration and activity involvement) of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과 자원봉사의 중요성 인식 및 참여태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정도와 그들이 지각하는 자원봉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측정하고, 자원봉사 참여태도를 참여시간, 참여기간, 그리고 참여강도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측정하여,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여부가 자원봉사의 중요성 인식 및 참여태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3명(자원봉사 교육경험자 117명, 교육비경험자 2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SPSS 16.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원봉사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에 비해 자원봉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았으며, 참여기간이 길고, 참여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이 자원봉사활동을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참여시간이 많고 참여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적 특성과 자원봉사 교육경험여부를 포함하여 실시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자원봉사 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여학생일수록 자원봉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았고, 3학년과 1학년 학생일수록, 자원봉사 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자원봉사 참여기간이 많았으며, 자원봉사 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자원봉사 참여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원봉사 교육경험은 인구사회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자원봉사의 중요성 인식과 참여기간 및 참여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교육과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돕기 위한 정책, 실천, 그리고 후속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본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이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21세기 과학기술 시대를 맞아 인성교육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인성교육은 대학에서주로 교양교육 담당자가 맡아서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교양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 가운데서 대학생봉사활동과 관련된 교과, 비교과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봉사는 자발성에 기인하는데,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봉사는 자발성보다는 대학 입시에서 유리한 점수를 얻거나 대학 졸업 요건을맞추기 위한 반 타의적, 강제적 활동으로 여기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봉사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강화되고, 자발성도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생 해외봉사활동은나눔과 섬김이라는 봉사의 기본적 훈련을 하고 섬김의 리더십을 기르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비교과활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덕여자대학교와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라는대학협의체를 통한 해외봉사활동의 실제 운영 사례를 들어 대학생 인성교육으로서의 봉사활동의 운영현황을 살펴 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봉사활동이 대학생 봉사자 개인의 인격 성장과 인성교육에 어떠한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따져 보았다. 대학생의 해외봉사활동은 교양교육으로서의 한 축으로 기능하는 인성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용한 교육 수단임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21st century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humanity education is becoming more prominent. Humanity education is mainly conduc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any given university. Among humanity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hesis focused on subject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 volunteer activities and non-subject activities. Volunteer work often stems from spontaneit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the Korean educational field, volunteer work is regarded as either an anti-arbitrary and compulsory activity allowing for the attainment of favorable scores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or to meet university graduation requirements.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service can be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spontaneity can be established. In this respect,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extracurricular endeavors when it comes to training the basic training of services, such as sharing and serving and cultivating the leadership of serving. In this paper, the actual operation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a university council called the Korean University Council For Social Service were examined as human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volunteer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character growth and humanity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e also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re very useful educational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ity education, which functions as one of the pillars of liberal arts education.

      •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

        이경상,조용하,이재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양극화, 개인주의의 강화 등으로 인해 약화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사회공동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봉사, 물질기부 등 청소년 나눔활동의 개념, 영향요인, 참여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외 주요 청소년 나눔활동 관련 정책현황의 특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셋째,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에 대한 양적, 질적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한 다음, 넷째, 정책협의회 등을 거쳐 청소년 나눔활동에 대한 최종적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1년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83.9%가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51.8%가 물질기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눔활동 관련 사회자본, 도움기회, 주변인 인지, 개인규범, 이타적 동기, 나의 즐거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청소년들의 나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눔활동 중 기부활동,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봉사활동의 순으로 청소년들의 개인적, 사회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조사결과에서도 양적 조사와 비슷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전문가 FGI에서는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의 확대 필요, 봉사관련 동아리활동의 활성화 필요, 청소년 기부활동의 신중한 활성화의 필요, 청소년 나눔활동 교육의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시간 확대, 청소년 나눔활동 교육 강화, 봉사관련 동아리활동의 활성화, 청소년 기부활동의 제한적 활성화, 청소년 나눔활동의 지역사회 연계강화, 청소년 나눔활동 전문 코디네이터의 신설, 청소년 나눔활동 담당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policies related to sharing activities of adolescents such as volunteering and donating goods to strengthen the social communal character of adolescents that has been weaken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bipolarization and individualism,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For this, first, the concept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and donations, impact factor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on participation effects were examined. Second, after taking a brief look at the features of policies related to major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of Korea and abroad, thir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After conducting expert FGI on experts, fourth, final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on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through policy meeting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83.9% of Korea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past year and 51.8% made donations.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related to sharing activities such as social capital, opportunity to make contributions, awareness of friends and family, personal norms, altruistic motivation, and personal enjoyment affected adolescents in participation of sharing activities. Also, sharing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personal and social growth of adolescents in the order of donation activities,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planned out as school educational courses. Similar results were deduced in qualitative studies as well. In the expert FGI, need to expand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need to promote volunteer-related club activities, need for careful activation of adolescent don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of sharing activity education for adolescent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policy tasks such as increased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y time, strengthened adolescent sharing activity education, activation of volunteer-related club activities, limited promotion of adolescent donation activities, strengthened linking with community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establishment of expert coordinators for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and strengthened incentives for teachers in charg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성인 자원봉사활동의 평생교육적 의미탐구

        이은화,김성길 한국성인교육학회 202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6 No.2

        Through global crises, lifelong education has become necessary to think about new initiatives for community coexistence. So, this study focused on volunteering. Volunteering is a self-directed activity for neighbors and communities, and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its experience. However, studies so far have dealt volunteering and lifelong education seperate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adult volunteers to explor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olunteering.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adult volunteering activities a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self-directed nature of adult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is possible. Second, adult volunteering activities become a learning to fill the gap between oneself and the competency required by volunteer work. Third, adult volunteering activities form a learning network by interacting through volunteering. Fourth, adult volunteering activities grow oneself through introspection, which is a core of adult learning.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lifelong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adult volunteering activities as above. 평생교육이 그동안 개인 능력함양을 위한 교육력 강화에 집중해 왔다면, 코로나19와 같은 전 세계적 위기를 겪으며, 평생교육은 공동체 상생을 위한 새로운 구상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생겼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주목했다. 자원봉사활동은 자기주도적인 선택으로, 이웃과 공동체를 위한 활동이며 봉사과정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학습이 가능해 평생교육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자원봉사 관련 연구들은 자원봉사활동과 평생교육을 분리해서 다뤄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이 가지는 평생교육적 의미 탐구를 위해 성인 자원봉사활동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그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자원봉사활동은 성인학습의 자기주도성을 주요 특징으로, 경험학습이 가능하다. 둘째, 성인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이 가진 역량과 봉사활동이 요구하는 역량 사이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한 학습이 된다. 셋째, 성인 자원봉사활동은 봉사를 매개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망을 구성한다. 넷째, 성인 자원봉사활동은 성인학습의 핵심적 요소인 성찰을 통해 자신을 성장시킨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성인 자원봉사활동의 평생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해외 교육 봉사활동 체제에 대한 연구: 니카라과를 중심으로

        한재영 ( Han Jae-young ),서혜애 ( Seo Hae-ae ),차정호 ( Cha Jeong-ho ),홍준의 ( Hong Jun-euy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1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단기 해외 교육 봉사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이 봉사활동의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봉사활동 준비, 수행, 정리 단계의 현황을 파악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봉사활동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분석하고 봉사활동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니카라과에서 수행된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탄자니아, 필리핀, 동티모르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봉사단장이 작성한 일지와 결과 보고서 등을 수집하였고, 문화역사활동이론에 따라 6가지 요소별로 봉사활동을 정리하였다. 봉사활동의 주체는 예비 교사, 현직 교사, 대학 교수로 구성되며, 객체에는 수업, 현지 요청 활동, 사후관리, 행사, 홍보, 휴식, 준비, 정리 등이 포함된다. 봉사활동의 도구에는 언어와 비언어, SNS, 수업 교보재, 시설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에는 한국과 현지의 대학 구성원, 대사관이나 현지의 한국인, 현지 코티처, 현지 학교 구성원, 안전이나 건강, 학교 운영과 관련된 현지 상황과 음식 등이 있다. 규칙에는 사업 지침, 비행기 탑승 규정, 현지 학교의 규정, 예절, 문화, 단체 활동 규칙 등이 있으며, 역할 분담은 주체와 커뮤니티의 인적 자원들이 각자 맡는 다양한 역할을 말한다. 봉사활동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6가지 요소 내 갈등과 요소 간 갈등으로 구분하여 논의했으며, 전체 봉사활동 체제를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 교사의 해외 교육 봉사활동에 대하여 7년간 장기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기초가 된다.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NIIED) supports a short-term overseas education volunteer activity for ODA countrie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is volunteer activity in the stages of preparation, performance and wrapping-up by analyzing the system of the volunteer activit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analyze the conflict in the volunteer activity and discuss a development plan. We analyzed the volunteer activity performed in Nicaragua, and compared it with the cases in Tanzania, Philippines and Timor-Leste. We gathered the data such as the journals written by the director and final reports, etc.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frame of six element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research subject includes pre-service teacher, in-service teacher and professor, and the object consists of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requested by ODA countries, post management, event, advertisement, rest, preparation and evaluation. The tool included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social media, educational materials and classroom facilities. The community consisted of university staff, embassy, co-teachers, foreign school members, foreign situation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and food, etc. The rule included NIIED regulations, airplane regulations, foreign school rules and culture, and group rules. The division of labor refers to the various roles which the subjects and the community members are taking part in. The conflicts in the volunteer activity were classified into those inside the element and those between elements. The system of the volunteer activity was represented in a fig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basis of long-term research on the overseas education volunteer activity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공동체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 Parker Palmer의 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focusing on Parker Palmer's community theory.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for 11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the educational service activity course in the D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were creating a space for possibility that could be challenged in the beginning stage, creating a space of trust and tolerance that recognizes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stage, and creating a space of practice that can grow in the organizing stage. Seco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is the voluntary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 in terms of the goal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personal encounters where they can experience the atmosphere of openness, boundaries, and hospitality in term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nd learning and teaching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erms of the method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ere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 경험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arker Palmer의 공동체 이론을 이론적 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D대학교 교직과정의 교육봉사활동 강좌의 수강생인 예비교사 11명으로 질적 접근인 성찰일지 작성하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경험은 시작 단계에서 도전할 수 있는 공동체 공간을 만드는 과정, 참여 단계에서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공동체 공간을 만드는 과정, 정리 단계에서 실천할 수 있는 공동체 공간을 만드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은 교육봉사활동의 목표 면에서 공동체 공간 구성을 통한 예비교사의 자발적인 변화의 목표 지향, 교육봉사활동의 내용 면에서 개방, 경계, 환대의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는 인격적 만남의 내용 구성, 교육봉사활동의 방법 면에서 공동체 활동에서의 배움과 가르침의 방법 활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공동체의 관점에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단기 해외 한국언어문화 교육봉사 활동의 실제 : 라오스국립대학교에서 진행된 활동을 중심으로

        최권진(Choi Gw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이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단기 해외봉사단이 2019년 7월 6일부터 20일까지 2주 동안 라오스국립대학교 한국어과에서 한국언어문화 교육을 수행한 교육의 실제를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제일 먼저 한국 대학생의 단기 해외봉사활동의 현황과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봉사활동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해외봉사활동의 실제를 ‘파견 전 준비 사항-파견 중 활동-파견 후 마무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파견 전 준비 사항’에서는 라오스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 파악, 현지 안내인 확보, 봉사단 구성, 봉사 장소 섭외 및 출국 준비, 한국어 수업 참관, 봉사 일정표 작성, 봉사단 정체성 확보, 교구 확보의 내용을 다루었다. ‘파견 중 활동’에서는 한국어 교육 그리고 k-pop과 k-dance 교실, 한국문화 체험 수업, 한국어 말하기대회 및 수료식, 만족도 조사 등 현지에서 실제로 진행된 봉사활동의 주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고 이루어졌는지를 제시했다. ‘파견 후 마무리’에서는 해외봉사활동을 마치고 귀국한 후에 봉사단원들이 모여 자신들이 느낀 점을 공유한 간담회를 다루었다. 그리고 유사한 봉사활동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했다. This study dealt with how an overseas volunteer group composed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racticed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National University of Laos for about 2 weeks, i.e., from July 7th to 20th, 2019. This study presented the actuality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in three parts: ‘Preparation before dispatch, Activities during dispatch, and Follow-up activity’. ‘Preparation before dispatch’ covered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the overall situation of Laos, securing a local guide, forming a volunteer group, securing service places and preparing for departure, visiting Korean classes, preparing a schedule for the service, securing an identity of the volunteer group, and securing teaching materials. ‘Activities during dispatch’ mentioned the detailed schedule actually conducted in the service place, and the main contents of volunteer activitie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pop and k-dance classes, Korean culture experience classes, the Korean speaking contest and the completion ceremony, and satisfaction surveys. ‘Follow-up activity’ handled the volunteer group members’ feelings after their returning from overseas service activitie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so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n efficient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similar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미용전공대학생의 미용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모정희(Jeong Hee Mo)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7 No.4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llege level cosmetology majors’ participation in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and self-esteem regarding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For data analysi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wenty-six poorly answered ones samples were thrown out and 324 copies were chosen for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1.0.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cosmetology) by motivation in participating in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F=5.167, p<.01).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and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In satisfaction with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cosmetology) (β value=.240, t-value=4.436, p<.001) while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if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y programs are linked with cosmetology in a way to increase college-level cosmetology majors’ percep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s, better results are expected in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 KCI등재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이효신(Lee Hyo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student teacher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t and to mak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To do this, the study employs a case study, in which seven university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with 13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ritten documents regarding six-day activities and written interviews with seven student teachers using the behavioral interview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at the student teachers also experienced the growth of knowledge, skill, emotion, and meta-learning competency required by the student teachers. It was found that readines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eam factors, and external conditions affec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mprising teaching, student life guidance an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ffected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includ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core-competences required by the student teachers. Finally, suggestions to improve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were made. They were the measures to secure their sustainability and the need to expand their horizon to volunteer learning. 본 연구는 대학생 재능캠프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활동을 사례로 교육봉사가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요인을 분석한 후 교육봉사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대학생 7명이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교육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2019년 하계방학 때 5박 6일간 실시된 교육봉사 활동 관련 자료와 행동사건면담 방식을 적용한 서면면담으로 2019년 10월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활동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고, 참여 대학생들도 예비교사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인 지적 역량, 기술 역량, 정서적 역량, 메타학습 역량 개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개인적 특성, 팀 요인, 외부여건으로 구성되는 준비도가 교과·학생생활지도와 지원활동으로 구성되는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실행은 참여 학생 만족도와 참여자 역량개발 효과로 구성되는 교육봉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봉사의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과 봉사학습으로의 지평 확대 필요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육봉사 경험과‘봉사’의 의미구성 과정에 대한 연구

        김미란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ervic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operating in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rocess by which university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of 'servi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activities of an educational service club at a university.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considered educational service as a meaningful activity in that they could help poor children and youth without financial compensation, and participated in educational service at local children's centers. However, due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which are mainly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the conflict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hildren at the center gradually intensified. This study explores how everyday conflicts are manifested in local children's centers, what are the reasons or backgrounds that cause conflicts, and interprets, and discusses the changes in volunteers' role percep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service' in this process. Finally, I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cusing on policy issues related to child welfare and volunt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