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일파시즘문학의 숭고 미학적 연구

        박현수(Park Hyun-soo)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4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in the view of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a marked characteristic of pro-japanese fascist literature produced by Korean literary men in the last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rpose of fascist literature is to produce ‘fascist ecstasy’(Robert Brasillach calls it ‘fascist joy’). Fascist ecstasy that take place in fascist public political events is an emotional shock caused by the experience of unity, the feeling of being at one with the entire fascist nation. It is, in Kant’s words, ‘negative pleasure’. This feeling is a kind of the feeling of the sublime. The ecstatic crowd bereft of reason in ‘fascist spectacle’ identifies himself with the leader or with the transcendental world that the leader showed. The success or failure of fascist literature depends on that of the production of fascist ecstasy. For successful fascist literature, fascist literary men bend all their energies on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at feeling and on depicting a people’s joy in a totalitarian and mystical atmosphere. Pro-japanese fascist literature, a kind of fascist literature, aims at the production of fascist ecstasy by accepting the fascist policy of Japan. In this literature, the model of totalitarianism is the ideolog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In Kant’s aesthetic theory, we can not find the criterion of fascist ecstasy. According to Kant, true sublimity must be sought only in the mind of the one who judges, not in the object in nature. It is the dilemma of a judgement of the sublime. To solve this problem, we deconstruct the exclusive structure of the sublime or the fortress of subjectivity in the theory of the sublime. After deconstruction of this structure, we can take Wilhelm Reich’s advice: we recognize the truth of fascist ecstasy and judge reasonably the source of that ecstasy.

      • KCI등재

        잭 케루액의 『길 위에서』에 나타난 ‘그것’의 추구와 황홀경

        김호주(Kim, Ho-Joo) 한국영미어문학회 2008 영미어문학 Vol.- No.89

        This study explores the pursuit of 'IT' and ecstasy in Jack Kerouac's On the Road. The Beat Movement resisted the standardized and mechanized post-war American culture that led to the alienation of the individual and to an ideology of political supremacy. In this essay, I discuss characteristics of the Beat generation including the Beat philosophy, Eastern spirituality, and Zen Buddhism which rejected the mainstream American culture and values in the 1950s. The Beats rebelled against mechanization, positivism, and spiritual alienation. They looked for alternatives that would allow them to revitalize the individual spirit within an anonymous culture. The Beats' concern for and belief in the possibility of a whole individual stemmed from their immersion in Eastern spirituality and their appropriation of Zen Buddhism as an alternative to the American postwar mentality of normativity and political supremacy. I move on to explore the pursuit of 'IT' and ecstasy in Jack Kerouac's On the Road. On the Road is the representative novel of the Beat Generation. The pursuit of 'IT' is important thematic element in this novel. Sal's shimmering glimpse of 'IT' in the timeless shadows limns a form of Buddhist ecstasy. The Buddhist terms, concepts, and images are introduced in the novel. Dean's goal is to achieve 'IT', a state of being that cannot be defined concretely, but there are frantic methods that seem helpful in reaching that metaphorical dominion where time stops. Dean explains 'IT' to Sal through the jazz music. Sal recognized that the road is life itself and that all life is sorrowful. The pursuit of 'IT' signifies the beginning stage of American Zen Buddhism.

      • KCI등재

        탈자(Ekstase) 관념과 초기 하이데거의 전유

        김경배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본래 탈자는 신과 인간의 의식연관으로서 육체적 틀을 벗어난 자아의 상태이다. 그 의 미는 신과의 교섭을 통해 현존하는 인간이 자기의 무근거(Ungrund)를 망각하는 주술과도 같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이러한 탈자를 부조리한 죽음을 뒤집어 버리는 불안의 주술로 바 꾼다. 그것은 죽음의 숙고 속에 일상적 세계를 떠나 기투하면서 본래적인 자기로 존재할 것을 결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이데거는 죽음을 인간 존재의 기초조건으로 간주하고 인간을 본래적으로 존재하게 하는 무력한 결의를 산출한다. 이러한 실존의 양식으로 인간 의 본질을 밝히고자 했던 초기 하이데거는 많은 비판에 직면한다. 비판가들은 현존재의 본 래성에 함의된 유아론적 혐의를 확인하고 신의 이념을 전제하는 다른 유형의 인간주의라 고 말한다. 이러한 비판은 인간의 세속적 이해를 초월해야한다는 본래성 개념이 스콜라철 학의 절대성과 인격성에 손쉽게 연관 지어짐에 따른 결과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초 기 하이데거가 어떻게 탈자의 관념을 전유하는지 밝힌다. Ecstasy is originally a state of divine madness as a connection of consciousness between God and human being. The Meaning is like a magic in which a human being forgets its “Unground” through dealing with God. Heidegger, However, turns the ecstasy into a magic of anxiety that revers an absurd death of human being. It is a resolution to leave the everyday world and to be as the authentic self in the contemplation of death. In other words Heidegger counts death as a fundamental condition for human being and yields helpless resolution that makes authentically human being exist. Early Heidegger, who tries to reveal the nature of human beings in this mode of existence, faces a lot of criticism. Critics confirm the solipsistic suspicion implied in the authenticity of Dasein and criticize his thought as another type of humanism that presupposes the idea of God. This criticism is the result due to the fact that the conception of authenticity to transcend the worldly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s easily related to the absoluteness and personality of Scholar philosophy. This thesis, therefore, is intended to read how Early Heidegger appropriate the ecstasy.

      • KCI등재

        형법과 불교사상

        배종대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5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다음 두 질문에서부터 출발한다. i) 학문과 종교는 지금처럼 엄격하게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ii) 법학은 현대 학문의 큰 흐름인 ‘융합’, ‘통섭’에서 예외가 되어야 할까?이 두 물음에 대한 나의 답은 “아니다”다. 학문과 종교는 매우 이질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진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과학은 종교와의 끊임없는 갈등 가운데서 발전해왔다. 종교의 본질이 아니라 그 현상 가운데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며, 인간의 생명, 자유, 행복의 추구를 위해 이를 활용하는 것은 이 시대의 긴급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문과 종교의 벽 허물기는 양자 사이의 ‘통섭’ 내지 ‘통섭적 이해’를 의미한다. ‘통섭’이나 ‘융합’의 뿌리는 1970-1980년대 ‘신과학 운동’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점점 확대되어 이제는 학문과 불교의 만남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종교가 없는 과학은 절름발이이고, 과학이 없는 종교는 장님이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종교와 학문은 서로의 접점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사회과학은 언제나 일정한 가치관과 관련 맺지 않을 수 없는데, 이 가치관 형성의 밑바탕에는 어떤 형태로든 종교가 직간접적으로 깔려 있다. 법학, 특히 정의 관념과 긴밀히 연결된 형법에서도 그러하다. 우리나라에서 형법의 법치국가목적은 이론적인 것만큼 실무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형법이 일반인 보호와 함께 범죄인을 지켜주는 역할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선한 일반인과 악한 범죄인’이라는 구도의 출발의 불평등은 좀체 시정되지 않는다. 이 결과가 ‘전자발찌’, ‘화학적 거세’, ‘신상공개’ 등으로 이어졌으며, 가까운 시일 안에 시정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근대 법치국가사상을 바탕에 둔 ‘이기적’ 형법이론의 설명이 현실적으로 실패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인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이기적 동물이다. 그러나 모든 종교, 도덕, 철학은 이 이기심(욕심)이야말로 불행의 근본원인이고, 이것을 억제하는 일은 가장 큰 숙제라고 설명한다. 범죄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문제도 인간의 이기심에서 나온다. ‘이기적’ 형법이론은 일반인과 범죄인이 구별은 고정불변이 아니고 가변적이기에 오늘의 범죄인 문제가 내일의 ‘우리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법치국가목적을 경시하여 ‘오늘’ 범죄자를 함부로 대하면 ‘내일’ 당신이 그런 취급을 받을 텐데, 그래도 괜찮으냐고 인간의 근본적인 이기심에 호소하는 것이다. 형법의 법치국가목적은 일반인의 과도한 욕심을 억제하여 범죄인의 법치국가적 인권을 신장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선한 내용이다. 그런데 이 ‘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형법이론은 인간의 욕심을 부추기는 ‘악한 수단’을 들고 나왔다. 악한 수단으로 선한 목적이 달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근대형법이론을 향한 불교사상의 가르침은 그 이기심, 욕심이 나오는 진원지를 한 번 들여다보라는 것이다. “욕심은 ‘나’한테서 나왔고, ‘나’를 위한 것인데, 그 ‘나’는 어디에 있는가?”라고 되묻는 것이다. 나의 실재는 오히려 나의 외부에 있으며, 나의 밖에 있는 모든 것은 나를 있게 하는 인과 연으로서, 관용하고 포용하고 자비를 베풀어야 할 대상이라고 불교에서는 가르친다. 불교사상에서 나와 너의 구별, 선과 ... This article begins with raising the following questions: i) is it truly necessary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eligion and disciplinary studies, and ii) can legal studies be an exception from the current trend of interdisciplinary amalgamation in contemporaneous academia of arts and sciences? My tentative answers to both of the questions would be, no. It may seem at first glance that arts and sciences -whether it be natural sciences, social sciences or humanities- are distanced from religious studies by its essential nature, but they are internally correlated in their innermost tendency of pursuing truth. The breaking of the barrier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ould simultaneously lead to realizing consilience, or consilient tendencies. The idea of consilience as we speak of it nowadays had originated from New Age Science(or, New Science Movement) back in 1970-80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academia especially in line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instein had also shown amicable attitudes towards consilienc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for he believed that any knowledge seeking Sein(to be) should be conscious to accord with its orientation towards Sollen(ought to be). Such assertion deserves an attentive hearing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legal studies, in which the words and theories are easily encoded in such pedantic and exclusive manner. The theory of Rechtsstaat in criminal law, in its innermost principles, appeal to fundamental self-centeredness of human nature by convincing people that they might as well be placed at the subject position of tentative criminals and offenders. It may be said that criminal legal theories are constructed upon self-centered motives beneath its rhetoric of human dignity as designated in the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Then, would it be possible to explain Rechtsstaat principles of criminal law in any other way than this? Does the self-centered approach towards criminals genuinely accord with the existence conditions of human being?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s and the self truly meant to be but a repetitive, hostile antagonism? It seems tha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should be sought outside the boundary of criminal law. This article seeks Sollen of these principles in Buddhist thoughts. In Buddhist thoughts, the reckless denial of inherent self is understood as the 'emptiness' in their own being, which would lead to the state of 'ecstasy': merely as a dream, a spector, or a shadow, which is as instant as "a dewdrop or a thunderbolt." According to Heart Sutra(般若心經), not any of the five elements which forms the ego -one's flesh, feeling, perception, impulse, consciousness- may be recognised as essence of the self. Then what is the self that we normally call upon? Precisely, it is nothing but a name that we give to the aggregate of the five elements that constitute our physical and mental being. Ecstasy makes us realize that self is by nature correlated with the others, that an absolute rupture with the world is always-already impossible, that self may only be sought by universal cognition of ecstasy. Once we learn this, selfish desire and aggressive impulses may be subsided. Then, what could be the normative implication of this? As we get acquainted with Buddhist teaching and internalize the propositions such as 'I exist because of your existence' and 'I become the Other,' genuine coexistence and mutual respect between "I" and the "Other" may be realized in our daily lives. Unlike the perspectives on social behaviour which are generally applied in theories of criminal law, Buddhist conception of 'interdependent arising' is not interested in finding the way out, or an exit. The philosophical composition of "ecstasy -interdependent arising-mutual respect" is the very essence of Buddhist thoughts. From what we have just learnt, it is rather clear that the Rechtsstaat principle of criminal law which aims at the pursuit of criminals...

      • KCI등재

        형법과 불교사상

        배종대 ( Jong Dae Ba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5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다음 두 질문에서부터 출발한다. i) 학문과 종교는 지금처럼 엄격하게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ii) 법학은 현대 학문의 큰 흐름인 ``융합``, ``통섭``에서 예외가 되어야 할까? 이 두 물음에 대한 나의 답은 아니다다. 학문과 종교는 매우 이질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진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과학은 종교와의 끊임없는 갈등 가운데서 발전해왔다. 종교의 본질이 아니라 그 현상 가운데 배워야 할 점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며, 인간의 생명, 자유, 행복의 추구를 위해 이를 활용하는 것은 이 시대의 긴급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문과 종교의 벽 허물기는 양자 사이의 ``통섭`` 내지 ``통섭적 이해``를 의미한다. ``통섭``이나 ``융합``의 뿌리는 1970-1980년대 ``신과학 운동``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점점 확대되어 이제는 학문과 불교의 만남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종교가 없는 과학은 절름발이이고, 과학이 없는 종교는 장님이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종교와 학문은 서로의 접점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사회과학은 언제나 일정한 가치관과 관련 맺지 않을 수 없는데, 이 가치관 형성의 밑바탕에는 어떤 형태로든 종교가 직간접적으로 깔려 있다. 법학, 특히 정의 관념과 긴밀히 연결된 형법에서도 그러하다. 우리나라에서 형법의 법치국가목적은 이론적인 것만큼 실무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형법이 일반인 보호와 함께 범죄인을 지켜주는 역할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선한 일반인과 악한 범죄인``이라는 구도의 출발의 불평등은 좀체 시정되지 않는다. 이 결과가 ``전자발찌``,``화학적 거세``, ``신상공개`` 등으로 이어졌으며, 가까운 시일 안에 시정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근대 법치국가사상을 바탕에 둔 ``이기적``형법이론의 설명이 현실적으로 실패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인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이기적 동물이다. 그러나 모든 종교, 도덕, 철학은이 이기심(욕심)이야말로 불행의 근본원인이고, 이것을 억제하는 일은 가장 큰 숙제라고 설명한다. 범죄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문제도 인간의 이기심에서 나온다. ``이기적`` 형법이론은 일반인과 범죄인이 구별은 고정불변이 아니고 가변적이기에 오늘의 범죄인 문제가 내일의 ``우리 문제``가 될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법치국가목적을 경시하여 ``오늘`` 범죄자를 함부로 대하면 ``내일`` 당신이 그런 취급을 받을 텐데, 그래도 괜찮으냐고 인간의 근본적인 이기심에 호소하는 것이다. 형법의 법치국가목적은 일반인의 과도한 욕심을 억제하여 범죄인의 법치국가적 인권을 신장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선한 내용이다. 그런데 이 ``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형법이론은 인간의 욕심을 부추기는 ``악한 수단``을 들고 나왔다. 악한 수단으로 선한 목적이 달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근대형법이론을 향한 불교사상의 가르침은 그 이기심, 욕심이 나오는 진원지를 한 번 들여다보라는 것이다. 욕심은 ``나``한테서 나왔고,``나``를 위한 것인데, 그 ``나``는 어디에 있는가?라고 되묻는 것이다. 나의실재는 오히려 나의 외부에 있으며, 나의 밖에 있는 모든 것은 나를 있게하는 인과 연으로서, 관용하고 포용하고 자비를 베풀어야 할 대상이라고 불교에서는 가르친다. 불교사상에서 나와 너의 구별, 선과 악의 분별(``二相``)은 나의 실체를 믿은 허상의 결과일 뿐이다. 선과 악은 원래 둘이 아니다(``善惡不二``). 이처럼 우리는, 법치국가 형법의 울타리 안에 머물면서도 이기적인 주체상과 자아/타자 혹은 선/악의 이항대립으로부터 놓여날 수 있는 가능성을 불교사상 안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begins with raising the following questions: i) is it truly necessary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eligion and disciplinary studies, and ii) can legal studies be an exception from the current trend of interdisciplinary amalgamation in contemporaneous academia of arts and sciences? My tentative answers to both of the questions would be, no. It may seem at first glance that arts and sciences -whether it be natural sciences, social sciences or humanities- are distanced from religious studies by its essential nature, but they are internally correlated in their innermost tendency of pursuing truth. The breaking of the barrier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ould simultaneously lead to realizing consilience, or consilient tendencies. The idea of consilience as we speak of it nowadays had originated from New Age Science(or, New Science Movement) back in 1970-80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academia especially in line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Einstein had also shown amicable attitudes towards consilienc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for he believed that any knowledge seeking Sein(to be) should be conscious to accord with its orientation towards Sollen(ought to be). Such assertion deserves an attentive hearing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legal studies, in which the words and theories are easily encoded in such pedantic and exclusive manner. The theory of Rechtsstaat in criminal law, in its innermost principles, appeal to fundamental self-centeredness of human nature by convincing people that they might as well be placed at the subject position of tentative criminals and offenders. It may be said that criminal legal theories are constructed upon self-centered motives beneath its rhetoric of human dignity as designated in the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Then, would it be possible to explain Rechtsstaat principles of criminal law in any other way than this? Does the self-centered approach towards criminals genuinely accord with the existence conditions of human being?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s and the self truly meant to be but a repetitive, hostile antagonism? It seems tha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should be sought outside the boundary of criminal law. This article seeks Sollen of these principles in Buddhist thoughts. In Buddhist thoughts, the reckless denial of inherent self is understood as the ``emptiness`` in their own being, which would lead to the state of ``ecstasy``: merely as a dream, a spector, or a shadow, which is as instant as a dewdrop or a thunderbolt. According to Heart Sutra(般若心經), not any of the five elements which forms the ego -one`s flesh, feeling, perception, impulse, consciousness- may be recognised as essence of the self. Then what is the self that we normally call upon? Precisely, it is nothing but a name that we give to the aggregate of the five elements that constitute our physical and mental being. Ecstasy makes us realize that self is by nature correlated with the others, that an absolute rupture with the world is always-already impossible, that self may only be sought by universal cognition of ecstasy. Once we learn this, selfish desire and aggressive impulses may be subsided. Then, what could be the normative implication of this? As we get acquainted with Buddhist teaching and internalize the propositions such as ``I exist because of your existence`` and ``I become the Other,`` genuine coexistence and mutual respect between I and the Other may be realized in our daily lives. Unlike the perspectives on social behaviour which are generally applied in theories of criminal law, Buddhist conception of ``interdependent arising`` is not interested in finding the way out, or an exit. The philosophical composition of ecstasy -interdependent arising-mutual respect is the very essence of Buddhist thoughts. From what we have just learnt, it is rather clear that the Rechtsstaat principle of criminal law which aims at the pursuit of criminals` human rights and dignity is actually based upon vicious measures of inciting selfish human nature in order to realize such virtuous end. Binary code between I and the Other, as well as between the virtue and the vice, is nothing but the consequence of spectral illusion.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just like the darkness does not gain its darkness from its own chemical actions but is another face of the lightness, vice is merely the other side of the virtue.

      • KCI등재

        신명체험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하진숙 ( Jin Sook Ha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신명은 한국인의 미적 정서이자 한국문화의 핵심적 가치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신명이 어떤 점에서 미적인 특질을 지니는지,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신명 체험이 단일한 성격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대답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신명체험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공통된 특질을 미적인 차원에서 조명하고 있다. 고전 자료에 나타난 신명(神明)의 의미 구조를 살펴보면, 신명(神明)은 외재적 신(神)과 내재적 명(明)이 결합된 용어이다. 신(神)은 신령이나 신령스러운 힘을 뜻하고 명(明)은 신령스러운 힘을 드러내는 직관이나 통찰력을 뜻한다. 신(神)과 명(明)의 결합은 북을 두드리고 춤을 추어 신의 뜻을 드러내 보이거나, 정신을 밝게 하여 천지변화의 이치를 깨닫거나, 눈과 마음의 작용을 버림으로써 대상과 합일되는 경지로 설명되고 있다. 신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될 수 있으며 체험의 유형에 따라 양태나 양상이 다르다. 신명체험은 접신체험으로서의 신명, 노동체험으로서의 신명, 한풀이로서의 신명, 예술적 체험으로서의 신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유형별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신과의 일체감, 감정적 고양, 직관적 통찰, 몽환적 부유, 황홀경, 무아경, 집단적 난장(亂場), 초월, 깨어있음, 밝음, 해방감, 치유, 씻김, 충만함, 창조적 비약, 전체로서의 세계인식, 인식의 용해, 몰입, 망아, 도취, 열광 등으로 나타난다. 이를 토대로 신명체험의 질적 공통성을 뽑아보면, 첫째, 신명체험은 관심과 몰입을 필요로 하는 특징이 있다. 신명은 적극적인 관심과 몰입에 의해 상호작용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체험된다. 신명이 경험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고 집중하면서 경험 안으로 빠져들 때 일어나는 적극적인 체험이라는 점에서 관심과 몰입은 신명체험에 전제된 미적 태도라 할 수 있다. 둘째, 신명체험은 자아의 실존적 지평이 상실되면서 존재의 확장과 초월을 경험하는 특징이 있다. 관심이 지향하는 바에 깊숙이 빠지게 되면 나와 세계를 구분하는 인식 작용이 멈추면서 나라는 존재는 망각되고 세계가 통합된 전체로 들어오게 된다. 이는 접신상태에서 느끼는 신과의 일체감, 열광과 도취에 빠져 타인과 내가 하나라고 느끼는 공동체적 융합, 맺힌 것이 풀어질 때 느끼는 해방감, 직관적 통찰에 의한 대상과의 합일로 드러난다. 이들 체험은 격렬한 행위로 표출되기도 하고 정적인 형태로 표출되기도 하지만 경험 그 자체에 주목하면서 경험에 빠져들 때 일어나는 체험이라는 점에서 이는 미적 체험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셋째, 신명체험은 어떤 형태로든 정서적 쾌감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다. 체험의 양상은 다르지만 정서적으로 가장 고양된 상태에서 체험되고 밝고 즐거운 감정에 휩싸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황홀감, 권능감, 충만감, 해방감, 부유(浮游)감, 용해 등은 절정의 순간에서 맞이하는 정서적 쾌감의 성격들이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신명체험은 곧 하나의 미적 체험으로 이해될 수 있다. Shinmyong is being discussed as one of the essential values of Korean culture and Koreans` aesthetic feeling. Yet, it is difficult to answer in which ways Shinmyong has aesthetic qualifications and if various types of Shinmyong can be understood as a unique characterization. Therefore the research would classify the types of diverse Shinmyong experiences and illuminate the common characterization on its aesthetic dimension. If we clarify its significance structure of Shinmyong, the term of Shinmyong has its meaning as the external God or some mysterious power and internal Light, which means God would be holy spirit and Light means insight or intuition emerging to men. The combination aspect between God and Light could be explained into the emergence of God`s will with drumming and dancing, an awakening to the principles of varying universe with a clear mind, and uniting with things with discarding the functions of eyes and mind. Shinmyong can be experienced into diverse types and its dimensions and asp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its types of experience. The types of experi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being possessed of a spirit, experiencing hard labor, satisfying one`s resentment, and experiencing aesthetic feeling. The aspects of the types are very diverse, so they can emerge as following: identity with god, emotional enhancement, intuitional insight, dreaming float, ecstasy, forgetting oneself, collective chaos, transcendence, being awake, being light, emancipation, healing, sit-gim(washing away), fulfillment, creative jump, world consciousness as a whole, resolved recognition, immersion, and forgetting oneself, etc. On basis of the data, to extract the common qualifications of Shinmyong experiences, at first, it has the characterization to need concern, concentration, and immersion. Shinmyong has the common qualification that it can be experienced when mutual interactions get ecstasy. Concerns and immersion can be aesthetic attitudes in that Shinmyong is positive experience. Second, Shinmyong experiences has the characterization of experiencing the extension and transcendence of beings, lost in existential horizon of self. Once one comes to immerse deeply into the world of concerns, one forgets the being of ‘I’ and the world comes into the being, stopping recognizing me and the other world as a difference. This means the emergence of the unity into the things by way of intuitional insight, the beings with God, the infusion of community people immersed into passion and pleasure, and the feeling of emancipation. These experiences express passionate actions, represent static emotions, but they have the characteriz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in that it is an experience which arise when it attends to the experience itself, being immersed into it. Third, it seems that Shinmyong experiences accompany any types of emotional pleasures. The aspects of the experience are diverse, but have the common trait of pleasant feeling and light upgraded emotion. Such feelings as ecstasy, capability, fulfillment, emancipation, floating feeling, and resolve have the characterization of emotional pleasure at the moment of ecstasy.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Shinmyong can be understood as the character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 KCI등재

        라캉의 ‘Coming’의 바로크와 사유의 변곡점

        정재식(Jaesik Ch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1

        17세기 기독교 예술(더 정확히 말하면 카톨릭 반종교개혁 예술)의 정수인 바로크 계보에 속하는 사상가로 자신을 자리매김 하는 라캉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스러운 신체와 수난의 이야기가 발산하는 무한과 조우에서 체험하게 되는 근대 주체의 희열에 기반을 둔 바로크 담론을 구축한다. 재현불가능한 타자의 흔적과 그것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체험하는 쾌락 원칙을 넘어서는 과잉의 희열을 ‘고양된 외설’(the exalted obscenity)이라 이름붙이는 라캉은 빛과 어둠의 극적 대조, 선(line)과 형상(figure)의 창조적 뒤틀림으로 만들어내는 환영(illusion)을 통해서 고양된 외설성의 깊이와 창조성을 최고로 구현한 실재(the Real)의 예술로 바로크를 정의한다. 고양된 외설성에 관한 위대한 예술이라는 점에서 ‘coming’의 바로크라 이름붙일 수 있는 라캉의 바로크는 근대 이성에 기반을 둔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 즉 ‘말하는 주체’(speaking being)가 예수 그리스도의 신체에 발산되는 신성함과 조우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신비적 희열, 더 나아가 그 희열을 다시 자기의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엑스터시(ecstasy)를 실재(the Real)의 차원에서 형상화한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라캉의 바로크는 기독교적 희열의 정서의 핵심을 정확히 이어받으면서도 대타자의 결핍을 도입하여 남성적 희열과는 다른 양태, 즉 전부-아님의 여성적 희열을 바로크의 최종적 핵심으로 제시한다. 현상계를 초월한 피안의 온전한 실체를 상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독교적 바로크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만, 들뢰즈와 비교할 때 라캉의 바로크는 기독교적 바로크(특히 카톨릭적 바로크)의 전통 안에서 그 전통의 사유와 감각 그리고 이미지를 충실히 따라가면서 그 내부의 균열을 통해 초월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처럼 온전한 실체로서의 신을 상정한 기독교적 바로크 내부의 결핍을 드러내면서 탈-신학화한 비-전체로서의 정신분석학적 바로크를 제시하는 라캉의 작업은 바로크 담론 연구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기독교적 바로크와 들뢰즈 바로크 사이의 커다란 이론적 간극을 메우는 데 중요한 역할 을 수행할 수 있다. By locating himself in the discourse of the baroque, Lacan dramatizes and highlights the diverse modes of jouissance of the modern subject who encounters the infinity of the sacred body of the Jesus Christ in the discourse. Lacan, who designates exalted obscenity to be the enjoyment of the excess arising from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unrepresentable trace of the Other, defines the baroque as the art of the Real. For him, the baroque embodies the fascinating creativity of exalted obscenity as the mode of the Real with the techniques of the anamorphosis and the chiaroscuro. This paper terms Lacanian baroque to be “the baroque of coming” in the sense that it is the magnificent art that expresses exalted obscenity through the mode of the Real and jouissance. This baroque can be called as the art of the ecstasy in which the speaking being—the subject of modern reason and language—embodies the mystic jouissance that occurred from its encounter with the sacred, emanating from the sacred body of the Jesus Christ on the level of the Real and the unconscious. In the baroque, Lacan suggests the new mode of Not-All feminine jouissance as the core of the baroque of coming, cementing the lack of the Other into the core of Christian ecstasy. Likewise, Lacan differentiates his notion of baroque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 baroque without positing the absolute transcendent substance beyond the phenomenal world. Although he provides a substantial reading of the Christian core of the baroque, Lacan’s project in the baroque ultimately attempts to create the de-theological and psychoanalytic baroque of Not-All by incorporating the lack in the heart of the Christian baroque. In this sense, this baroque of coming can take a crucial step toward bridging the large theoretical gap between the traditional Christian baroque and the Deleuzian baroque that fundamentally deviates from the Christian logic of the baroque.

      • KCI등재후보

        한국 민속춤 수행에서 호흡이 갖는 중요성 -동북아시아의 사상적 관점에서-

        심민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한국문화연구 Vol.21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ion and distinctive movements in Korean dance. Especially, it focused on identifying the reason why respiration is emphasized in Korean dance, based on which function the respiration does on performing the movements. The content starts from analyzing the cultural foundation of Korean dance;the northeast Asian outlook on life, environment and body. Then, it continues with studying the features of Korean dance that is mentioned commonly in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hows that northeast Asians have an integrated mindset which emphasizes the relation of each individual. This mindset is reflected in the principles and features of Korean dance. Through this the reader will see how the northeast Asian cultural factors are mirrored in Korean dance. The respiration system of Korean dance is a vertical circulation process centered on spine. This makes the continuous connecting movement from head to toe. Moreover,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movements that matches the flow of respiration, the body moves as a whole, instead of moving in separate parts. Thus, each part of the body makes a continuous movement, making one big flow. This movement of Korean dance is shown in a curvilinear shape. This can be perceived as focusing more on the flow of small movements, not on the enumeration of highlighting movements. Furthermore, the technique of holding and releasing breath decides the general rhythm of the dance, and also the flow and the artistical characteristic of the dance. Most of all, the Korean dance, which consists of continuous repetition of inhaling and exhaling, creates simple and repeating movements. This allows the performer to experience ‘the state of ecstasy’ during the dance. ‘The state of ecstasy’ is a state where the performer overcomes the normal state of self-being. At this state of mind the performer can experience the dissolvement of boundaries between self and outside world. This can trigger the qualitative artistic improvement in one’s performance. Thus, the respiration is a core base in Korean dance, which affects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dance, but also the mental state of being that the performer has to achieve. 본 연구는 한국 춤 전공자들 사이에서 호흡을 움직임의 근원으로서 중시하는 경향이 있음에 주목하여 한국 춤에 나타나는 움직임과 호흡의 관계를 동북아시아의 사상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춤이라고 하는 문화 현상은 한 사회의 문화적 맥락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으므로 본고에서는 한국의 민속춤과 호흡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동북아시아의 세계관과 자연관, 그리고 신체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북아시아에서는 각 개체들의 유기적 관계성을 강조하는 통합적 사고를 해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 춤의 움직임 원리와 특성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민속춤을 추는 무용수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호흡의 흐름에 일치하는 움직임을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춤 움직임의 특성으로 회자되는 거의 모든 항목들은 호흡의 작용으로부터 파생된 움직임의 형태적 특성이다. 무용수는 평소에 흉부에만 머무는 호흡을 깊이 쉬기 위해서 하복부에 의식을 두고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숨과 일치된 움직임은 신체의 각 부분이 유기적 통합성을 가지고 일어난다. 그 결과 춤의 움직임은 곡선의 형태로 드러나고 춤의 전 과정은 미세한 움직임들이 연속적으로 흘러가는 양상을 띠게 되는데 이는 발레로 대표되는 서양 춤이 완결성을 갖춘 주요 동작들의 나열로 이루어진 것과 확연히 다른 점이라 하겠다. 이러한 움직임의 흐름은 등속도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호흡을 맺고 푸는 기법에 따라 움직임의 완급이 결정되고 그에 따라 춤의 리듬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무용수는 자신의 숨에 자신의 몸짓을 일치시켜 나가면서 내면을 향한 집중력을 높여나갈 수 있으며, 굴신운동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이 수반되면서 내면으로의 몰입이 더욱 가속화되어 무아경, 즉 엑스타시를 경험하게 된다. 엑스타시의 상태는 일상 의식의 초월 상태로서 자신과 외부의 경계가 사라지는 체험을 의미하며 이때 무용수는 예술 행위의 질적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민속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무용수의 호흡은 춤의 움직임은 물론 무용수가 추구해야 할 정신적 경지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 춤의 주요 기제이다.

      • KCI등재

        숲 열풍 속 ‘숲 체험의 미학적 조망’ - ‘생태적 관점의 숲 이해’의 지평 넓히기 -

        최준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ssues underlying the forest boom, an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forest understanding based on ecological perspective and corresponding practical activities by providing a aesthetic perspective on forest experience. The core of the research content is as follows. Forest experience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forest experiencer feels the unique atmosphere of the forest and at the same time senses his or her own being with the body. It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is a multi-sensory experience in which all five senses are simultaneously exerted, which cannot be imitated by any other aesthetic experience. Second, forest experience involves falling into a unique ecstasy, namely a calm ecstasy. Finally, forest experience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one's "being" is much more keenly felt in front of the silent cry calling for a departure from the anthropocentric view of nature than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other natural phenomena.

      • KCI등재

        에이젠쉬테인 영화형식의 파토스

        김종국(Jong-G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에이젠쉬테인은 1939년에 쓴 ?영화의 구조The Structure of the Film?에서 파토스(pathos)를 예술 창작의 기본 원리로 설명한다. 그의 페이소스 또는 파토스는 관객을 엑스타시(ecstasy)로 이끄는 효과로 정의된다. 관객의 감정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토스 구성은 에이젠쉬테인의 몽타주와 동일선상의 영화형식이며, 영화 표현의 핵심이다. 이 연구는 에이젠쉬테인이 예술가로서의 지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몽타주를 실험하고 그 연장에서 파토스 효과를 구축하고자 했던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에이젠쉬테인이 설명하는 예술작품에서의 파토스적 의미를 고찰하고, 관객의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의 파토스 구성을 그가 분석한 영화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위대한 영화감독 가운데 하나인 에이젠쉬테인은 영화예술의 이론화를 추구하면서, 충돌 몽타주, 지적 이미지론, 파토스 구성 등의 원리를 통해 영화의 창작과 이론을 융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Sergei Eisenstein explains pathos as the basic principles of artistic creation in “The Structure of the Film” written in 1939. The definition of pathos is embodied as effect to leap the audience in ecstasy. Pathos aiming at qualitative configuration of the audience’s emotions is film form and the core of cinematic expression as important as montage. Eisenstein as one of the greatest film directors sought to theorize cinematic art. He wanted to fuse the creative and theory of film through principles such as the collision montage, intellectual image, and construction of pathos.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that Eisenstein going beyond the status as an artist wanted to experiment with montage to lead the change in audience and build pathos effect in the extend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pathos in works of art he explained.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e construction of pathos for changing the emotion of the audience through the example of the film he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