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로호 발사의 경제적 파급영향

        김광석(Kim, Gwang-Suk)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1

        본 논문은 나로호 발사 성공에 따른 경제적 파급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세계의 우주 및 우주관련산업의 시장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나로호 3차 발사 성공에 따라 한국의 우주산업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파급영향이 미칠 것인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주산업과 우주관련산업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항공우주산업의 수출과 내수 성장에 기여하며, 산업 및 연구 인력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한국의 우주 및 우주관련산업에 있어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의 시장규모 성장추이를 추산하였다. 우주관련산업에는 위성산업 및 방위산업이 포함되어 있고,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는 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까지 약 5.5조원 수준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남겼다. In this paper, the economic rimple impact of NARO launch success was analyzed. First of all, not only space industry but also space-related industry were reviewed in terms of world market. Secondly,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on through which path the effect of NARO launch success on Korean space industry will be realized. This study prospects that it has direct impacts on space and space-related industry development in Korea. Further, export and domestic demand of the aerospace industry will be expanded, and the job creation effect will be positive. Thirdly, future market size progress of Korean space and space-related industry from 2013 to 2020 was estimated. Korean market size will be increased to 5.5 trillion won by enlarging Korea"s market share in the continuously boosting world market. Last but not least, policy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develop Korean space industry.

      • KCI등재

        경제체계와 전통시장의 공간적 성격 변화 -대구 서문시장의 이전(移轉)과 그 이후의 역사적 검토-

        정재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This study is examination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spatial character of Daegu Seomun Market by tracking the process of the market’s relocation to its current location and historical transition thereafter. First of all, the process of changing the economic system was divided into pre-industrial economic systems, industrial systems, and late industrial economic system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by relating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to Daegu local community, this study identified patterns of how to local merchants, who are the spatial entity of the traditional market, have adjusted the market space as their living space under the tension caused by macroscopic changes in national economic history. Seomun Market is undergoing the process of formation, development, decline, and resurgence. Since the dual economic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mmodity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structured, Seomun Market, which has grown, is positioned as a central market in local area starting from Daegu. However,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spatial character of the market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capitalism. Its location was also moved from outside the west gate of Eupseong Fortress to the current location where filled the Cheonhwangdang Pond in the southwest. In this process, the colonial strategy of imprinting colonial Daegu on local people was projected by dismantling archaeological relics which Daegu’s history guarantees and folk relics containing the simple wishes of local residents at once. Even though Seomun Market became an economic foundation for the unrooted people who gathered in Daegu through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state-led economic growth policy. The process of Daegu’s growth as the center of the Korean textile and decline directly affected the rise and fall of the Seomun Market. Eventually, its reputation in the past faded. The current Seomun Market has improved facilities through modernization, and is seeking a new way by adjusting its spatial character by giving various values to space. Especially, the seven-year reconstruction of District 2, which was burned down by fire in 2005, served as a dramatic opportunity to newly adjust the spatial characters of traditional markets. Jung-gu Office and market merchants, the district offices having jurisdiction over Seomun Market, promoted an alternation of generation in the market by breaking the image of traditional markets. Furthermore, they are using a strategy to commercialize the market space by projecting new values such as safety, hygiene, and human rights that the existing market did not have in the space creation process.

      • Capital, Policy, and Place: A Study of Cultural Space in Beijing 798

        Shaojie Fan 동북아문화예술경영학회 2024 Journal of Northeast Asian Arts and Cultural Manag Vol.1 No.1

        Purpose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Beijing’s cultural space is formed. What are the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Beijing’s cultural space, and why are these influences created? How do policies and capital intervene in the development of the 798 Art Park? How does the 798 Art Zone, which depends on interest and weak capital, maintain a balance between art and profitability under strong capital and policy interven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Since the development of Beijing’s cultural space for more than 30 years, under the joint action of policy guidance, economic capital, and local space, cultural spaces have gradually been endowed with meanings such as enhancing Beijing’s cultural soft power and transforming and upgrading the cultural industry from the initial spontaneous aggregation, which has provided new propositions for the study of the cultural industry. Findings - The results summarize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eijing’s cultural spa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main purpose of cultural space is to provide artists with a legitimate gathering space and a place for creation and that the transformation of cultural space due to the demands of capital on artists has led to changes in cultural space. Research Implications - By studying the above issues, the logic of the development of Beijing’s cultural space is clarified, providing a 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Beijing’s cultural space.

      • KCI등재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강은영(Kang, Eun Young),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에서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총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실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채점기준을 마련하고 학생용 평가 자료 8개, 교사용 평가 자료 2개, 총 9차시의 수업⋅평가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이 평균 3.6점~4점(4점 만점)으로 내용타당도와 내용구성이 적절하다고 검증받았다. 둘째,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 과정중심평가,관심 및 흥미 3가지 영역 모두 평균 4.12~4.27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심층면접 결과를 종합해볼 때 프로그램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제시한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 동료평가및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 과정 중에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이 일부 중학생들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연구 대상및 평가의 영역,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개발하여 이론과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가정과 교육의 주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school spacedesign in the housing area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 order to achieve For thispurpose, a process-based evaluationprogram based on the theme of school space design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program was executed to a total of 93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the evaluation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a 2015-Revised Curriculum analysis, a school space design program evaluation plan was established,and two evaluation tasks were developed. Accordingly, scoring criteria were prepared and 8 evaluation materials for studentsand 2 evaluation materials for teachers were developed. A total of 9 sessions were develop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and evaluation-linked operation procedures to perform evaluation tasks. As a result of an expert validity test for the program,all items were verified to be appropriate in content validity and content composition with an average of 3.6 to 4 points (4 points). Second, after conducting the school space design program, a survey on students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all three areasof school space design class, process-based evaluation, interest scored high in average scores of 4.12 to 4.27 out of 5. Accordingto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the program provided new learning opportunities for school space design, the students were ableto reach the suggested achievement goals, and the self-assessment, peer evaluation and teacher feedback positively affected the studentsduring the learning process so that they could reflect on their learning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ubsequent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ability in that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a limited number of students, and futurestudies are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in terms of research participants, evaluation criteria, and school space design classes.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t has contribution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takethe initiatives in school space design, focusing on the housing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 KCI등재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성신제(Sin-Je Sung),이희열(Hee-Yul Lee)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과 발전단계를 제시하고,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은 세 가지 접근, 즉 규범적ㆍ규제적 요인(법, 규범)과 사회적 위치 및 경제적 시스템(믿음, 정치, 제도)을 포함하는 거시적(구조적ㆍ제도적) 접근, 외적장치(표현요인, 사회적 역할, 중요한 상징)와 배경(물리적 공간, 매개자인 기술ㆍ지식 등)을 포함하는 중시적(상호주관적) 접근, 그리고 경제행위자의 의지(가치의 내재화)와 계산(모험 및 불확실성 분석)을 포함하는 미시적(주관적) 접근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제행위자 간 상호협력이 지속됨에 따라 신뢰형성은 거시적(구조적 및 제도적) 수준에서 중시적(상호주관적) 수준, 미시적(주관적) 수준으로 점차 발전한다. 또한, 경제공간에서 경제행위자 간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경제행위자 간 장기적ㆍ반복적 상호작용, 정보공유와 호혜성, 상호의존과 자산특유성, 불확실성, 근접성, 기업의 문화 및 규범과 공식적 제도 등 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stage of development of trust building and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Conceptual framework on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is combined of in the three approaches.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includes normative and regulative factors(laws, norms), and positionality in social and economic systems(beliefs, political ideologies, institutions). The meso(intersubjective) approach contains the personal fronts(expressive factors, social cues, significant symbols) and settings(physical space, intermediary such as technologies & knowledges). The micro(subjective) approach comprises the willingness(internalization of value) and calculation(risk and uncertainties analysis) of economic actors. According to sustainable cooperation among economic actors, trust building to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level, the meso(intersubjective) level, and the micro(subjective) level develop by stages. The factors such as long-term and repeated interaction, information sharing and reciprocity, interdependence and asset specificity, uncertainty, proximity, and culture & norm of corporate and formal institution are determinants on the trust building across economic actors in economic space.

      • KCI등재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과 프로젝트 교수·학습안 개발 및 효과 - ‘주거 공간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최경수,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nd implement a project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in order to improve a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s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consisting of 15-session lessons had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mixed with 6 project learning steps. In the development stage, 8 activity materials(7 individual and 1 group activity sheets) and 7 teaching‧learning materials(2 sets of pictures & photos, 4 moving pictures and 1 space plan resources book) were developed for the 15-session lessons. The plans applied to 5 classes 163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G middle school in Gwangju during Oct. 17th to 18th of Nov. 2011.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nd portfolio showed that the 15-session lessons had overall achieved the general goal of the project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to improve a creativity and character. Students were stimulated by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elements in the class. The students evaluated the whole process of 15 lessons were interesting and helpful to improve creativity and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of aspect of character. The individual and group results of the portfolio were excellently and creatively done with the average of nearly 85% points. The researcher also found the improving process of students in the whole classes. This plan might apply to other parts of housing as well as various other areas of home economics.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의 8학년 ‘주거 공간 활용’ 단원에서 ‘다양한 가족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교실 수업으로 실행하여 수업 후의 창의성과 인성 요소를 측정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춘식과 이수정(2003)의 프로젝트 학습 단계를 적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단원과 총괄목표를 선정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프로젝트 학습 단계, 창의성과 인성의 평가 요소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개발 단계에서는 매 차시 창의․인성 기법을 적용한 15차시 교수․학습 과정안,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수업 자료(개별 활동지 7개, 모둠 활동지 1개, 동영상자료 4개, ppt자료 2세트, 학습 자료 1개, 주택 도면집 1개), 수행평가 기준안, 창의․인성 검사 도구, 프로젝트 학습의 흥미도 및 만족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광주광역시 소재 G중학교 2학년 5학급 163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17일부터 11월 18일까지 5주간 실행한 후, 창의․인성 검사지, 수행평가 결과물, 프로젝트 학습의 흥미도 및 만족도 설문조사, 교사의 수업평가를 분석하였다. 주거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 학습은 창의성의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인성의 요소인 배려심과 협동심을 교육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고려한 주거 디자인 작품이 완성되어 학습목표의 달성에 효과적이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수업의 흥미도와 만족도가 높았다. 후속연구에서는 비교집단을 두어 사전사후 뿐만 아니라 두 집단간의 차이분석을 통해 정밀한 효과 분석을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또한 창의․인성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검사 도구 개발과 현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실제적인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

        조건부가치평가법과 통신 빅데이터 분석을 결합한 친수지구의 경제적 가치 평가

        오명진,신정우,이상은,조만석 국토연구원 2020 국토연구 Vol.105 No.-

        Water-friendly spaces in national river are designated places by the Government to provide rest and leisure to public. For efficient design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m,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economic value of each water-friendly space. This study calculated the economic value of 297 water-friendly spaces nationwide by combining the number of actual visitors derived from Mobile Bigdata analysis and the willingness-to-pay(WTP) of each household derived by th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estimated result for annual WTP per household for the neighborhood-type was 9,774 KRW and 5,806 KRW, and for the community hub-type, it was 8,452 KRW and 5,398 KRW, within and outside the local administrative boundary respectively. By combining this result and the number of visitors of each water-friendly space derived from the Mobile Bigdata analysis, the median annual economic benefit for each water-friendly space was calculated as 33.7M KRW for the community hub-type and 21.1M KRW for neighborhood-type. 국가하천 친수지구는 지역주민에게 휴식과 레저를제공하는 공간으로, 효율적인 조성·유지·관리를 위해친수지구별 경제적 가치 산정이 필요하지만 관련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논문은 국가하천 친수지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통신 빅데이터로 도출한 실제 방문객 수와 조건부가치측정법으로 도출한 가치를 결합하여 전국 297개 국가하천 친수지구의 경제적 편익을 계산하였다. 1.5경계모형을 통해 분석된 가구당연간 지불의사액은 근린친수지구의 경우 관내 9,774 원, 관외 5,806원으로, 친수거점지구의 경우 관내8,452원, 관외 5,398원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와 통신 빅데이터에서 도출한 방문객을 결합하여 각 친수지구별 편익을 계산하였으며, 친수거점지구의 개소당 편익 중위값이 연간 3,371만 원으로 근린친수지구의 연간 2,114만 원에 비해 약 60% 큰 것을 확인하였고 수계별 비교도 실시하였다. 해당 결과는 향후 친수지구 조성·유지·관리와 관련된 정책평가에 기초자료 및 친수지구 모니터링 강화와 사후관리 의사결정의 중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역에 대한 인터넷 블로그 정보와 지역 경제경관의 변화 -서울 북촌을 사례로-

        이금숙 ( Keum Sook Lee ),서위연 ( Wee Yeun Seo ),채지민 ( Ji Min Cha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가상공간과 물리적 실재공간 사이의 상호작용 과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상공간의 하나인 인터넷 블로그에서 이루어지는 실재공간 사울 북 촌에 대한 정보와 이 지역 경제경관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이 지역에 대한인터넷 블로그의 게시물 수 및 정보 검색 수와 북촌지역의 경제경관 변화를 주도하는 음식점 개점수의 변화 사이에 연관상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북촌지역에 대한 정보수집 경로와 정보 검색 후 실제 지역 방문으로 이어 지어지는지 여부 둥에 대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가상공간과 실재공간의 상호작용 가능상은 매우 명백하게 나타났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물리적 실재공간에 대한 정보를 가상공간을 통해 얻고 있으며, 가상공간에서 취득한 정보는 물리적 실재공간 방 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컴퓨터와 같은 정보통신기기를 상대적으로 잘 다루고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은 젊은 충에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취득 경향이 높게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와 학생과 사무관리직에서 그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재공간과 가상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mechanisms and processes between cyber space and real space.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on the economic landscape of the Bookchon region and the information supply and demand for this area on the Internet Blogs. In order to obtain the behavioral data about how people get information for Bookchon area and the reaction afterward, we perform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real space and cyber space, Internet Blog in particular. Internet Blog is the major media obtaining information about Bookchon area for major portion of people. Most people visit Bookchon after searching informations about it via Internet Blog. In particular, young generations who possess better capability to treat social media. At the same time, female, student, and office workers show these attitudes very strongly. We introduce a conceptual model for the interaction processes between cyber space and real space based on the survey data analysis, and propose a simple theoretical model for the dynamics of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about specific place with the experience of cyber space visit.

      • KCI등재

        유라시아 경제공간의 해체와 재통합: EEU 출범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분석

        성원용 ( Sung,Weon Yo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러시아연구 Vol.25 No.2

        논문의 목적은 유라시아경제연합(EEU) 출범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관련된 논쟁적인 이슈, 즉 EEU 결성 배경 및 그 미래 발전에 대한 관점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현재 서방의 일각에서는 EEU가 경제적 합리성에 의해 추동되는 경제통합체가 아니라, 미숙하고 비호의적인 경제적·물적 조건 하에서 러시아의 지정학적 이해에 의해 추동되는 정치적 기획의 산물이라는 관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EEU 출범을 ``소련 제국의 부활``을 기획하는 푸틴의 책략이라고 논평하는 것은 서방의 자기중심적인 시각에 불과하다. 실상 EEU는 러시아의 강대국 부활을 꿈꾸는 러시아 엘리트와 대중들의 ``소련 제국에 대한 향수``가 투영되어 나타난 산물이 아니며, 주객관적 상황에 의해 추동된 지난 20년간의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연장이자,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새롭게 펼쳐지고 있는 지정학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긴박한 전략적 선택의 일환이다. EEU로 대표되는 유라시아 경제공간의 통합 과정은 지역경제통합체 구축이라는 탈냉전시대 지역주의의 발로이자, 소련 해체의 부정적유산을 극복하려는 자연스러운 재통합 ``역진`` 운동으로 해석될 수 있다. Today the West considers that the Eurasian Economic Union(EEU) is not economic integration body driven by economic rationality but the product of political project driven by Russia``s geostrategic interest under immature unfavorable economic and material conditions. However, it seems to be self-centered point of view that the West regards the EEU as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s political intrigue to want ``Back in the USSR``. The EEU is really not the result of ``Soviet nostalgia`` of Russian elites and people``s dream of Russia``s resurrection as a strong state. This paper argues that the EEU is nothing less than a continuation of Eurasian regional integration process for the past 20 years and one of the urgent strategic options available to respond to the newly developed geopolitical circumstances. The reintegration process in the Eurasian economic space represented by the EEU should be considered a manifestation of regionalism in the Post-Cold War World to build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body, and natural reintegration - ``countermarch`` to overcom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dissolution of the USSR.

      • KCI등재

        지식정보사회의 신경제공간과 지리학 연구의 방향

        박삼옥(Sam Ock Park)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신경제공간 형성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향후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화사회에서 신경제공간의 형성 배경에 대해 개관하고, 그 메커니즘으로 네트워크, 착근성, 집적 및 분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혁신활동이 활발한 서울의 강남지역과 낙후지역 중의 하나인 전북 순창지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낙후지역에서도 신경제공간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크게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 지리학연구 방법론 개발, 정책관련연구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mechanism of the new economic space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geographical research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It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new economic spaces and examines network, embeddedness, and agglomeration and dispersion as mechanisms of the new economic spaces.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of Kangnam area, the most active innovation region in Korea, and of Sunchang, one of the backward regions in Korea, the paper points out that new economic spaces are now developing even in the peripheral areas.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the paper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future geographical research such as research from a integrative viewpoint,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ies of geographical research, and policy directed research in ge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