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현황과 전망

        변완일(Byun, Wani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4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2 No.1

        최근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인 항공우주산업의 진흥과 관련된 많은 정책들과 함께 미래 경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진입장벽이 다른 산업에 비해 높다는 단점 때문에 정부차원의 산업육성이 요구되는 항공우주산업은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국가 방위와 품격과도 관계된 전략적 산업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과거, 군과 정부의 수요에만 거의 의존하였던 국내 항공우주산업은 완제기 수출과 보잉, 에어버스와의 RSP(Risk Sharing Partner)참여로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또한 고해상도 지구 관측 위성과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개발경험을 기반으로 인공위성의 해외 수출도 이루어졌으며, 인공위성 운용으로 창출되는 영상 데이터, 기상 정보, 통신 서비스 등으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먼저 세계 시장에서의 국내 항공 우주산업의 위치를 알아보고, 국내 항공우주의 산업체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부 정책 및 시장상황을 고려한 향후 산업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Recently, in South Korea, it is seeking for economic growth with many policies related in the promotion of a high value-added aerospace industry. Because barriers to entry is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this industry is required to support at the government level, and it is important as a strategic industry involved economic growth, as well as national defense and dignity. In the past, domestic aerospace industry depended on demands of military and government. But they have overcome the limitation to participate in RSP with Boeing and Airbus. They also try to export satellites based on their development experience and make profits with image data,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satellite operation. In this paper, at first, we analysed current position of the domestic aerospace industry in the global market, and looked for direction of improvement considered with government policy and market condition.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력 수요 예측

        최남미(Choe Nammi),임종빈(Im Jongbin)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1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9 No.1

        우리나라의 우주활동은 향후 10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라 지난 10년간 4기의 위성이 발사된 반면, 2011-2020년 간 14기의 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2021년 발사를 목표로 한국형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니라 우주개발의 향후 10년 간 목표달성을 위해서 항공우주개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공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항우연의 예산과 인력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항우연의 인력을 예측하였다. 2020년 경 인력은 1,000~1,400명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어, 향후 10년간 최소 400명의 인원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Korea’s space activity is expected more vital in the next decade. 14 Korean government satellites, with 10 satellites more over the last decade, are planned for launch between 2011 and 2020 according to the national space long-term plan. And Korean Space Launch Vehicle 2 has been developing aiming to launch in 2021. Forecasting and supply planning for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s manpower could be essential to successfully fulfill the Korea’s next decadal task in the aerospace field. In this paper, KARI’s manpower is forecasted using the relations between KARI’s budget and total personnel. KARI is expected to has 1,000~1,400 personnel in 2020 which is at least 400 personnels more than present.

      • 나로호 발사의 경제적 파급영향

        김광석(Kim, Gwang-Suk)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1

        본 논문은 나로호 발사 성공에 따른 경제적 파급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세계의 우주 및 우주관련산업의 시장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나로호 3차 발사 성공에 따라 한국의 우주산업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파급영향이 미칠 것인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주산업과 우주관련산업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항공우주산업의 수출과 내수 성장에 기여하며, 산업 및 연구 인력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한국의 우주 및 우주관련산업에 있어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의 시장규모 성장추이를 추산하였다. 우주관련산업에는 위성산업 및 방위산업이 포함되어 있고,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는 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까지 약 5.5조원 수준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남겼다. In this paper, the economic rimple impact of NARO launch success was analyzed. First of all, not only space industry but also space-related industry were reviewed in terms of world market. Secondly,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on through which path the effect of NARO launch success on Korean space industry will be realized. This study prospects that it has direct impacts on space and space-related industry development in Korea. Further, export and domestic demand of the aerospace industry will be expanded, and the job creation effect will be positive. Thirdly, future market size progress of Korean space and space-related industry from 2013 to 2020 was estimated. Korean market size will be increased to 5.5 trillion won by enlarging Korea"s market share in the continuously boosting world market. Last but not least, policy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develop Korean space industry.

      • 미래 상업 항공우주 활동을 위한 ICAO-UNOOSA의 협력

        안진영(Ahn, Jin-young),최우영(Choi, Woo-youn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4 No.1

        최근 민간항공과 우주활동에 있어서 산업 역량의 변화시점(tipping point)을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 항공우주 운송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정의할 필요가 생겼다. UNOOSA와 ICAO가 전례없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작년 3월 ICAO-UNOOSA 항공우주 공동 심포지엄이 몬트리올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이어 올해 3월에도 두바이에서 제2회 심포지엄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항공과 우주 분야는 그동안 각각 매우 성숙하고 오랜시간 증명된 국제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으나 이제는 두 분야 사이의 공통부분에놓여 있는 성공의 키를 함께 추구해야 할 때라고 보인다. 이에 새로운 지평의 문이 열리기에 앞서, 상기 심포지엄을 통해 항공과 우주 두 분야의 대표 국제기구인 ICAO와 UNOOSA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Emerging Civil Aviation and Space Activities are standing on the tipping point of industry capability. With recognizing of it,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the future aerospace transportation. That’s why ICAO and UNOOSA concluded to make efforts all together. In March, 2015, ICAO-UNOOSA Aerospace Symposium was held in Montreal and the 2nd Symposium was successfully held in Dubai of this year. This paper looks into the efforts between ICAO and UNOOSA relating to the Aerospace symposium for the successful key of the future commercial aerospace transportation.

      • 한국우주인 배출과 우주실험

        김연규(Youn Kyu Kim),이소연(So-Yeon Yi),고산(San Ko),강상욱(Sang-Wook Kang),이주희(Joo-Hee Lee),최기혁(Gi-Hyuk Cho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8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우주인 선발부터 발사/귀환까지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아울러 사업 수행을 통해 얻은 기술 및 결과에 대해 자세히 소개될 것이다.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은 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실험 등과 관련된 유인우주기술을 습득하고 이 사업을 통해 국민들에게 과학과 우주에 대해 관심을 유도하여 과학문화를 확산하는 목적을 가지고 2005년 11월에 시작되었다. 2006년에는 우주인 선발 기준을 마련하고, 한국 우주인 배출을 위한 우주인 선발과정을 1차에서 4차까지 진행하여 우주인 2인을 최종 선발하였다. 그리고 2007년에는 우주인 2인이 러시아 가가린 훈련센터에서 우주인 훈련을 받았다. 그리고 한국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에서 수행할 18가지의 우주과학실험과 3가지의 국제공동 실험을 개발하였다. 2008년 4월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가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발사장에서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ISS로 올라가 계획된 우주실험 및 임무를 수행하고 무사히 귀환하였다. 위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우주인 선발, 훈련, 우주실험 장비 개발 등)을 자세히 기술할 것이다. This paper entirely explains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from astronaut selection to launch and return and introduces technology and results through this program in detail.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launched Nov. 2005 with the objectives to develop the manned space technology such as astronaut selection, training and space experiment and to disseminate concerns to the public about the science and space. In 2006 to select the Korean astronaut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astronauts were set and then the selection processes from 1st stage to 4th stage were performed. In 2007, the 2 Korean astronauts took the astronaut training and the 18 domestic science experiments and 3 international experiments which the Korean astronaut, Dr. Yi, performed in ISS last April were developed. In April 2008, the Korean astronaut was transported to ISS by Soyuz in Baikonur in Kazakhstan and returned to the ground with performing the mission and space experiments. This paper will explain these processes as the above(astronaut's selection, training, space experiment, etc.) in detail.

      • 한국의 항공 정책과 행정의 변천사

        김종범(Jong-Bum, K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9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7 No.2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은 500MD 등 면허생산으로 시작하여, KT-1, T-50, KUH 등 완제기사업으로 이어져 이제는 KF-X라는 군용기 플랫폼 개발사업과 LCH/LAH라는 헬기 플랫폼 개발사업을 동시에 진행할 정도로 산업적 저변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 항공기술 개발을 뒷받침해 온 항공정책과 행정의 변천사를 살펴보는 것은 항공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지난 우리나라의 항공기술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국가적 지원 체계의 성립 및 발전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Korea has started government aeronautics development investment later than advanced countries. Looking at the changes in aeronautics policy and administration that have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aeronautics technology, it will be a great help to support aeronautics technology innovation. It is essential to look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support system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our aeronautics technology.

      • 우주로봇 개발 동향

        이원범(Lee Won-Beom),주광혁(Ju Gwang-Hyeok),최기혁(Choi Gi-Hyuk),심은섭(Sim Eun-Sup)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1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9 No.2

        우주 환경은 로봇기술을 적용하는데 있어 제한된 공간이다. 우주는 극심한 온도, 진공, 방사능, 미세 중력 그리고 장거리 등의 가혹한 환경으로서 인간의 접근이 매우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이다. 매니퓰레이터는 우주에서 우주 모듈과 구조체의 건설과 정비를 위한 인간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해서 담당하고 있다. 더욱이 인간접근의 영역을 넘어 탐사의 영역을 확장하여 달과 행성표면에 착륙하고 탐사하는 로봇은 과학적 지식과 인간의 접근의 한계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그래서 로봇 시스템은 Mariner, Ranger, Surveyor 그리고 Lunokhod를 포함한 일련의 우주선으로 우주탐사의 시대를 열었다. 로봇은 행성표면, 궤도상 그리고 심 우주에서 현재 임무를 수행하고 미래 우주탐사와 운영의 모든 면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로봇에 대해 설명하고 또한 우주로봇의 국내외 개발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Space is an limited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robotics technology. As space is a harsh environment with extreme temperature, vacuum, radiation, μ-gravity, and great distances, human access is very difficult and hazardous and in therefore limited. To assist human activities in space for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space modules and structures, robotic manipulators have been playing essential roles in orbital operations. Expanding the horizons of exploration beyond the areas of human access, robots that land and explore on the moon and planetary surfaces have been greatly contributing to expand the frontier of scientific knowledge and human access. So, Robotic system began the era of space exploration with series of spacecraft including Mariner, Ranger, Surveyor, and Lunokhod. Robot enables current missions on planetary surfaces, on orbit and in deep space, and is essential in all conceptions of future space exploration and operations. In this paper, explaining about the space robot, and development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pace robots are also described.

      • 항공용 S/W 개발 및 인증 기술동향

        박무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7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5 No.1

        항공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인증은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경험이 없는 분야이다. 물론 각종 무인기 등의 개발사업을 통해 항공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시험한 사례는 다수 있으나, 체계적으로 개발 및 시험된 경우는 흔치 않다. 특히 유인기 분야에서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KFP, KT-1, T-50 등의 군 사업을 통하여, 국외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유지보수 경험 및 인력과, 이를 위한 체계가 구축되어 있는 정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제는 항공용 소프트웨어를 국내에서 개발하고 시험, 인증할 수 있는 능력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 항공산업이 항공기 독자개발 능력 확보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핵심기술이다. 이러한 기술력 확보를 위하여, 현재 항공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한 세계적인 흐름 및 최신의 기술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항공선진국에서 이미 적용하지 않는 규격, 기술, 개발방식을 그대로 따라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경쟁력 확보는 요원한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용 소프트웨어 인증을 위한 규격의 역사 및 종류와, 현재 주로 적용되고 있는 DO-178B에 대한 주요 내용 및 현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한 소프트웨어 툴, 모델기반 개발 방식 등 해외 선진업체 및 기관들의 최신 기술동향을 정리하였다.

      • 우주 엘리베이터 기술동향

        홍승범(Hong, SeungBu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8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6 No.2

        최근 일본 시즈오카대의 초소형 위성을 이용한 우주 엘리베이터 예비실험(Stars-ME 프로젝트)으로 우주 엘리베이터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있다. 우주 엘리베이터는 개념 상 많은 중량을 저비용으로 지구궤도에 수송할 수 있는 우주 수송 기술의 대안이나 기술, 운용 개념, 비용 등 다방면의 분석이 초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현재 우주 엘리베이터의 기술 수준과 그 외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 분야가 어떤 것인지를 논한다. The first in-space experiment for a space elevator, “Stars-ME” of Shizuoka Universiry in Japan has brought an attention on the feasibility of a space elevator. The concept of space elevator offers an alternative way for conventional space transportation systems, with less cost and more mass to the Earth orbit. However, there are only few preliminary research on many aspects of the space elevator such as the technology, concept of operations, economics, and construction. In this paper, the current level of enabling technology and necessary field of research are discussed.

      • 한국의 우주 정책과 행정의 변천사

        김종범(Jong-Bum, K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8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6 No.1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우주선진국보다 늦게 1990년부터 정부 우주개발 투자를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우주기술 개발을 뒷받침해 온 우주 정책과 행정의 변천사를 살펴보는 것은 우주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지난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국가적 지원 체계의 성립 및 발전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Korea has started government space development investment since 1990, later than advanced countries. Looking at the changes in space policy and administration that have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space technology, it will be a great help to support space technology innovation. It is essential to look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national support system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our spac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