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정치신학의 인식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박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0 No.40

        기후 위기로 대표되는 생태 위기 시대에 직면한 현대인들은 생존을 위협받으며 살아가고 있으며, 극도의 산업화는 이를 악화시키고 있다. 18세기 중반부터 무분별하게 진행된 산업화는 석유와 석탄 같은 탄소 에너지에 의존하는 사회를 형성하였고 지구온난화와 기후 위기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생태 위기로 인한 재난이 현실화하기까지 교회는 산업 사회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산업화의 촉진에 적극 동조했다. 과거의 잘못을 피하고자 오늘날의 교회는 극단적인 산업화의 문제를 비판하고 그리스도인이 생태학적 공존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 목적을 위한 첫 단계로서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정치신학의 인식론적 기반에 집중한다.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정치신학은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산업 사회의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비판한다. 첫째, 자연에 대한 억압을 정당화하는 인간 중심적인 세계관과 그 기초로서 이분법적 이원론의 문제이다. 둘째, 개발 이데올로기에 종속된 소비주의와 번영의 가치체계 문제이다. 셋째, 경제적 이기주의로 전락한 개인주의 가치체계의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신학은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새로운 인식론을 정립해야 하기에, 본 연구는 다음의 가치체계에 집중한다. 첫째, 땅의 주인으로서 하나님을 인정하는 가치체계이며, 둘째, 존재와 번영에 대한 모든 생명체의 동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가치체계이며, 셋째, 자연을 생태 위기의 극복을 위한 상호협력의 주체로 인정하는 가치체계이다. 본 연구의 영역은 생태학적 공존을 위한 정치신학의 인식론적 접근으로 제한한다. 왜냐하면, 현장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정책을 위한 심층 자료로 계획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인은 생태학적 공존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극도의 산업화 속 인간들 사이의 억압과 착취를 정치신학의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연구자들에게도 기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odern people, facing an era of ecological crisis represented by the climate crisis, are living with their survival threatened, and extreme industrialization is making this worse. Industrialization, which has progressed indiscriminately since the mid-18th century, has formed a society that relies on carbon energy such as oil and coal, resulting in negative consequences of global warming and the climate crisis. However, until the disaster caused by the ecological crisis became a reality, the church actively supported the promotion of industrialization without properly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a industrial society. In order to avoid repeating the mistakes of the past, today’s church must criticize the problems of extreme industrialization and lead Christians to strive for ecological coexistence. As a first step toward this goal, this study focuses on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political theology for ecological coexistence. Political theology for ecological coexistence criticizes the following problems of a industrial society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First, it is a problem of an anthropocentric worldview that justifies the oppression of nature and dichotomous dualism as its foundation. Second, it is a problem of the value system of consumerism and prosperity subordinated to development ideology. Third, it is a problem of the individualistic value system that has degenerated into economic egoism. To solve these problems, political theology must establish a new epistemology suitable for ecological coexistence,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value system. First, it is a value system that recognizes God as the owner of the land, and second, it is a value system that recognizes the equal rights of all living things to existence and prosperity, and third, it is a value system that recognizes the nature as an subject of co-operations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of political theology for ecological coexistence. This is because it is planned as in-depth data for specific policies needed in the field. Through this, Christians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need for policies that can realize ecological coexistence in detail. It is also expected to be of basic help to researchers who want to approach the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mong humans in extreme industrial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tical theology.

      • KCI등재

        듀이의 자연관에 기초한 상생과 성장을 향하는 생태미술교육 소고

        박라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6

        Recently, the interest in the corrupted ecology by the counterattack from science is rising. On top of educational interest in it, the recovery of ecology and coexistence are purs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cology on the basis of Dewey 's view of nature and to research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aims for coexistence and growth through interaction with learners. This discussion examined the meaning of ecology based on Dewey's view of nature. According to Dewey, nature is mixed with something predictable and unpredictable, so that an organism with life needs transactions that become experiences and growth through penetration and change. Based on it, the learners in ecology were considered as members of ecology, and the transactional condition was viewed as a perceivable being. Also, learners were viewed to be able to understand/experience the relation between ecology and themselves through transactions. Based on this, it emphasized that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should be a tool for understanding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learners and ecology, and also for experiencing flexible activities under unpredictable conditions. Therefore, the art activity should be something to directly experience the ecological subject and transaction, and also the dynamic inquiry activity always moving forward changes by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ecology and coexistence. Also, such art activity experiences would be contributing to the growth. 시대는 과학의 역습으로 무너진 생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 역시 이에 주목하고 생태의 회복과 상생을 추구한 다. 이에 본 논의는 생태의 의미를 듀이의 자연관에 기초해서 이해하고 생태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상생과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 미술교육을 소고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듀이는 자연의 특성을 예측적인 것과 불 예측적인 것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유기체가 상호작용(trans action)을 필요로 한다고 보았다. 상호작용은 서로 침투하여 변화되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성장한다고 보았다. 본 논의는 이에 기초하여 생태에서 학습자를 생태 구성원으로 보고, 상호 작용적 상황을 지각 가능한 존재로 보았다. 또한 학습자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생태와 자신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관계를 경험을 할 수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생태미술교육은 학습자와 생태가 수평적인 관계임을 이해하고, 비예측적인 상황에서 탄력적인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미술활동은 생태적 대상과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되어야하고, 서로 상생이 필요함을 이해하여 늘 변화에로 향할 때 경험되고 성장된다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 생활문화의 생태문화적 체계 확산

        나경수 ( Kyung Soo Na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9 No.-

        생태문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속성을 지닌다. 첫째, 생태문화는 자연과 인간의공존적 관계를 유지한다. 공존은 공간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존재론적인 문제이다. 둘째, 생태문화는 자연과 인간의 순환적 관계를 지향한다. 순환은 시간적으로 이루어지며 인식론적인 문제이다. 셋째, 생태문화는 자연과 인간의 상벌적 관계를 전제한다. 상벌은 인간이 입게 되며 가치론적인 문제다. 한국의 전통생활이 지니고 있는 생태문화론적 원칙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첫째, 기능적 활용성을 확장했던 복합성의 원칙, 둘째, 늘려서 줄이고 줄여서 늘리는 신축성의 원칙, 셋째, 자연에서 얻어온 것이 자연으로 쉬 돌아갈 수 있는 회귀성의 원칙, 그리고 넷째, 인간의 욕구를 억제시켜 자연을 보호하는 제한성의 원칙 등이다. 끝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자원이 현전화를 통해 확산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생태문화를 위해 새로운 기술문법이 찾아져야 한다. 둘째, 생태문화를 위해 새로운 도덕률이 찾아져야 한다. 셋째, 생태문화를 위해 새로운 감성체계가 찾아져야 한다. Ecological culture has the following three attributes. First, ecological culture maintains coexistent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 human being. Coexistence is formed spatially and is an existential problem. Second, ecological culture pointsto circulatory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 human being. Circulation is formed temporally and is an epistemological problem. Third, ecological culture premises relationship of reward & punishment between nature and a human being. Reward & punishment is supposed to be burdened by a human being, and is a problem of value theory. As for what can be selected as principles of ecological-cultural theory that Korea’s traditional life has, first, it is the principle of complexity that had expanded functional utilization. Second, it is the principle of flexibility that reduces by increasing and increases by reducing. Third, it is the principle of regression that what has been obtained from nature can easily return to nature. And, fourth, it is the principle of restriction that protects nature by inhibiting a human being’s desire. Finally, in order for Korea’s traditional living culture resources to be spread through coming-to-presence,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new descriptive grammar needs to be found for ecological culture. Second, new moral law needs to be found for ecological culture. Third, new emotional system needs to be found for ecological culture.

      • KCI등재

        ≪道德經≫에 나타난 生態學的 生命性 고찰

        賓美貞(Mi- jong Bin) 중국어문논역학회 200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4

        This study is aimed to find a new ecological sense of values through Laozi view of nature. Under perception that the present ecologic destruction by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by supremacy and conquest pursued in western’s civilization, an alternative will be discovered in Laozi thought which has been a representation of oriental view of nature. The author will focus on Laozi view of nature that can overcome nowaday ecological crisis being suffered in earth. Laozi criticized ‘a artificial’ attitude against a reality criticizing Confucianism and emphasized to maintain ‘a natural’ condition which is the origin of all creation. He suggested to follow morality of original nature getting out of artificial and pretending consciousness as an alternative to recover man’s social reality and distorted human nature. Lao-tzu lived a time of the law of the jungle stained by unceasing war and plunder, his philosophy and thinking apprehended a concept like morality and nature through ≪DaoDe Jing≫. This Laozi’s sense of values involve a viewpoint of coexistence. Accordingly, Laozi thought that all things coexist through a standpoint of existentce’s absolute value than relative value, particular suggested a values of coexistence with man and nature. Finally, his coexistence ethics change man’s narrow minded and realize into ecological standpoint that man and nature live and exist together.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생태 글쓰기와 그 양상 -생태 글쓰기에 대한 시론(試論)-

        박수밀 ( Park Su-mil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생태 글쓰기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일련의 작업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박지원의 글에서 생태 글쓰기의 가능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연 사물의 원리와 생태를 인간과 사회로 연결시키는 연암의 생태 글쓰기 양상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연암은 사물의 타자성과 상대성을 자각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배타적 우월의식에서 벗어나 나 중심, 인간 중심주의를 반성하고자 했다. 둘째로, 연암은 자연 사물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관찰하여 인간 사회의 모순과 고정관념을 비판하였다. 셋째, 연암은 사물 간의 미묘한 사이에 주목하고, 주변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끌어올렸다. 중간을 강조하는 연암의 생각은 주류 이데올로기에 의해 배척받는 가치를 중심과 동등하게 놓으려는 전략이었다. 네 번째는 형식적 측면에 주목했다. 연암은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함으로써 평범한 자연 현상을 기이한 모습으로 표현했다. 또한 비유나 묘사를 활용하여 자연 사물의 이미지를 생생하게 재현, 작가의 마음을 대신하였다. 이러한 글쓰기는 상투적이지 않는 표현을 펼치게 하고, 인간의 심미의식을 고양시켜주었다. 생태 글쓰기로 살펴본 연암의 생각은 상생과 공존의 생태 미학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생태 글쓰기는 오늘날 작문 교육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더욱 관심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the ecology writing in Park, Ji-Won’s writing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oretically,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The aspects of Yeon-Am’s ecology writing, which makes the principle and ecology of nature things connect to human and society, are divided into four points. Firstly, Yeon-Am reflected the self-centre and human-centre to avoid the exclusive chauvinism to the others, by recognizing the otherness and relativism of nature things. Secondly, he criticized the inconsistency and stereotype of human society in and by looking into the variety and complexity of nature things. Thirdly, he focused on the delicate gaps among nature things, raised the peripheral value up to the center. He had the strategic to equalize the marginal value excluded by the main ideology to the center, stressing the middle. Fourthly, it stresses the formal aspect. Yeon-Am expressed the mysterious aspects of typical nature phenomenon, by looking into the nature and communicating with it. He revealed his mind, revealing vividly the images of nature things by using the metaphor and description. This writing led the untypical expression and boosted human consciousness of aesthetics. Yeon-Am’s philosophy, in terms of his ecology writing, can be summarized as ecology aesthetics of win-win and coexistence. The ecological writing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today’s writing education, so it would be good to be more deeply concerned and studied.

      • KCI등재

        SF 영화에 나타난 ‘쓰레기 문명’과 공존의 윤리에 대한 상상력: < 월-E >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신성환 ( Shin Sung Hw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2

        현재 지구가 직면한 생태 위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쓰레기 과잉 문제다. 그동안 다양한 SF 영화들이 생태계가 파괴된 세계와 지구, 과학과 자본이 지배하는 가짜 유토피아 등을 통해 사회경제적 생태 질서까지 무너진 미래를 다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쓰레기 문명’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두 편의 SF 영화 < 월-E >와 <승리호>에서 생태적 파국과 쓰레기 재난에 대한 상상력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았다. < 월-E >는 범우주적 로봇 로맨스를 통해 생태와 환경의 회복을 설파하며, <승리호>는 타자와 약자들의 연대로 구현하는 우주적 공생주의를 담아낸다. 두 영화는 공통적으로 ‘쓰레기 청소부’ 주인공을 등장시켜, 쓰레기 과잉으로 황폐화된 지구와 우주를 극복할 대안적 가치를 식물의 상상력과 공존의 윤리로 제시한다. 쓰레기와 쓰레기 아닌 것을 구분하고 위계화하는 기준을 비판하고, 쓰레기 되기를 강요하는 폭력에 저항하고 생명을 지향한다. 또한 두 영화는 무용한 쓰레기로 치부되는 사물 및 타자와 어떤 올바른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면서, 인간을 둘러싼 자연 환경과 인공 환경의 균형을 추구하고 지속가능한 삶의 조건을 성찰한다. < 월-E >는 쓰레기 수거 로봇과 고장난 로봇들이 인간들과 힘을 합쳐 스스로의 존재와 집, 지구와 우주를 쓰레기화하는 시스템에 저항함으로써 지구의 생태를 회복하고 조화롭게 공존하는 양상을 그려낸다. <승리호>에서는 우주 쓰레기 수거 노동자들이 아이로 상징되는 순수와 생태를 위해 분투함으로써 열린 삶의 터전으로서의 우주에서 상호 돌봄의 공동체를 구현한다. 결국 두 영화는 현재를 피해 미래로 간 것이 아니라, 코로나 팬데믹과 기후 위기라는 바로 지금 여기를 가리키고 있다. 추후 더 악화될 환경 재앙에 대응하여 과잉의 소비문화를 점검하고 생태주의 비전을 인식하는 미래지향적인 시사점도 얻을 수 있다. The problem of over-waste is now a major contributor to the ecological crisis on Earth. Many science fiction films have dealt with a future in which ecological order has collapsed by setting up an ecosystem-destroyed earth and a fake utopia dominated by science and capital. Based on Zygmunt Bauman’s concept of ‘waste-civiliz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magination of ecological catastrophe and waste disasters is embodied in the films Wall-E and Space Sweepers. Wall-E shows the recovery of ecology and environment through robot romance, and Space Sweepers presents cosmological symbiosis that reaches by solidarity of the weak. The two films commonly feature the main characters of ‘waste-collector’ presenting alternative values to overcome the earth and space contaminated with waste with coexistence ethics and plant imagination. This two films criticize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and hierarchizing waste from non-waste, resist violence and aim for life that forces to become waste, and also show how to relate correctly to objects and batters that are considered useless waste, pursuing a balance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and reflecting on sustainable living conditions. Wall-E works with robots and humans to resist their own existence, homes, and systems that treat Earth and space as waste, thereby restoring Earth’s ecology and coexisting harmoniously. In Space Sweepers space waste collection workers struggle for purity and ecology, embodying a community of mutual care in space as a home for open life. After all, the two films don’t go into the future away from the present, but point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limate crisis right here, and provides future-oriented implications for checking the culture of excessive consumption and recognising the ecological ecology.

      • KCI등재

        공존의 생태윤리를 위한 대안적 제언 이수관물(以水觀物)

        박혜순(Park Hye So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6 생명연구 Vol.39 No.-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인간과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모색한 철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중심의 주체를 누구로 설정할 것이냐’ 하는 것이었다. 이것을 크게 둘로 나누어 보자면 ‘동심원의 확장’과 ‘다중심주의’이다. 첫째, 동심원 이론은 도덕적 배려의 대상을 동식물에게까지 확장하자는 것이나, 이 이론은 다중심주의자들로부터 ‘중심의 확장’으로 인간중심주의를 공고히 확립하려는 시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난받는다. 둘째, 다중심주의는 ‘중심의 다중화’로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종들이 각자 중심이 되게 하자는 이론이다. 하지만 다중심주의는 종차별주의 해소의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실천력은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다중심주의가 종들간의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나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 문제를 관계와 소통의 관점에서 다시 숙고하고, 장자철학에 기반하여 ‘중심의 해체’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다시 말해서 ‘중심의 확장’, ‘중심의 다중화’에서 나아가 ‘무중심’적 사유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중심의 해체’를 위한 하나의 창조적 방법론으로 ‘이수관물’이라는 언명을 제출한다. 노자 철학에서 물은 만물의 공통 속성이며, 아상(我相)이 없는 무욕(無欲)의 실체로, 어떠한 사물과도 일체를 이룸으로써 ‘공존의 도’를 실현하며 도의 가시화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만일 물의 존재방식을 본받아 ‘이수관물(以水觀物)’ 할 수만 있다면 인간과 자연의 공존가능성은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ultimat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men and nature is possible. Conventionally,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to the philosophers who have pursued possible coexistence of men and nature has focused on ‘who was set to be the subject of the center’,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separate categories: ‘extension of the circles’ and ‘multicentrism’. The former suggests the coexistence by proposing to extend the objects of ethical consideration to animals and plants; however, this faces heavy criticism suggested by multicentrists who consider it to be a mere attempt to solidify anthropocentrism by establishing ‘extension of the center’. In response, the latter argues for ‘diversification of center’ in attempt to have every specie of the world as the center. Whilst multicentricism provides the possibility of alleviation of discrimination on species, it does have its own limitation - lack of power of execution. I believe this derives from multicentricism's inability to address the problematic communication between species. In answering to both problems, I suggest considering the coexistence of men and nature from the relational and communicative point of view and argue for 'dismissal of center', based on Zhu ngz ’s philosophy. In addition to ‘extension of the circles’ and ‘multicentrism’, an attempt to shift the paradigm by ‘centerless’ thinking and present ‘Yi shui guan wu’ as a creative methodology for ‘dismissal of center’ should be explored in pursuit of the coexistence. In Laozuism, water is the communal feature of every living organism of the world. Water fulfills the great ideal of ‘nothing cannot be done by it’ through ‘inaction’ as ‘selfless entity without an identity’ that is the accomplishment of life. Accordingly, I believe that the solution to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can be found if we could effectuate ‘Yi shui guan wu’ by adapting the water’s mode of existence.

      • KCI등재

        훼손지역의 환경친화적 복원을 위한 환경디자인 연구

        송병화(Song Byeong Hwa),서주환(Suh Joo Hw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논문은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이 일부 지역주민들에 의해 불법으로 경작되어 식생파괴 및 원지형의 변형을 가져오는 지역에 대해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잠재력을 조사·분석하여 훼손지 복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복원추진전략으로는 제로전략요소와 공존전략요소로 구분하여 수립하였으며, 제로전략요소는 생태기반복원, 도시재해예방요소로 세분하였으며, 공존전략요소는 기후변화대응, 생태네트워크복원, 생태계서비스복원으로 구분하여 세부전략을 수립하였다. 훼손지 회복계획으로는 땅(지형), 토양, 물, 식생의 회복으로 구분하여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땅의 회복계획은 경사지 사면을 친환경적인 기술공법을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토양회복은 토양치환과 유기물 비료 사용, 미생물 증식에 의한 물리·화학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물의 회복은 빗물저금통을 도입하여 초기강우 저류를 통해 도시홍수예방 및 서식환경 개선을 도모하였다. 식생회복은 다층구조 식생을 위한 단계적 식재계획 등의 식생모델을 반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potential destination have on this neighborhood living area neighborhood park is cultivated illegally by some locals to bring variations in vegetation destruction, and original terrain area analysis study to establish damaged restoration plan to be. The zero strategy elements were divided into ecology-based restoration, urban disaster prevention elements, coexistence strategy element is climate change, ecological network restoration, ecosystem services restored It was separated by establishing a detailed strategy. By damaged areas recovery plan was a plan divided the topography state recovery, the recovery of the soil and water restoration, restoration of vegetation recovery plan of the land was seeking to intro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y method slopes, the restoration of soil was to improve the physical and chemical soil by soil replacement using organic fertilizer, microbial proliferation. In addition, the water recovered was planned urban flood prevention and species habitat improvement over the initial rainfall rainwater reservoir by introducing a bank. Restoration of vegetation was reflected in the vegetation models of existing natural vegetation preservation and planting plans for the phased multi-layered vegetation.

      • KCI등재

        권정생 동화의 샬롬 사상 고찰 - 「하느님의 눈물」과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를 중심으로

        홍인표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이글에서 연구자는 권정생 동화「하느님의 눈물」과『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에 나타난 평화를 구약성경에 언급된 샬롬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하였다. 권정생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성경 본문은 구약성경 이사야 11장이다”라고 말하였다. 샬롬 사상이 내포된 이 본문의 핵심은 6-9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본문에서 이사야는 ‘이상의 나라’, 즉 ‘회복된 하나님 나라’를 말하였는데, 이는 “강자와 약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나라”를 의미한다. 「하느님의 눈물」종결부에 언급된 “그래, 이 세상 사람 모두가. 하지만 내가 이렇게 기다리는데도 사람들은 기를 써가면서 남을 해치고 있구나”라는 하나님의 언급은 그러한 나라와 반대되는 세상을 말하는 것으로 본다.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사시네요』에 언급된 “그렇지만 내가 만든 세상은 이런 것이 아니야. 그리고 내가 만든 사람도 이렇지는 않았어”라고 하는 하나님의 탄식은 그에 대한 적절한 본문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이사야가 “샬롬이 성취되는 하나님 나라”를 염원했던 것처럼, 권정생 또한 그와 같은 나라를 염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권력자가 피권력자를 착취하여 부를 축적함으로써 개인윤리와 사회윤리가 붕괴한 일이 적지 않았다. 그것은 머지않아 국가의 붕괴로 이어졌다. 그로 인해 이사야를 비롯한 구약의 선지자들은 “강자와 약자가 함께 어울려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향”을 꿈꾸었다. 그런 사회가 이루어질 때 이스라엘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나라가 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권정생의 문학 사상의 핵심이 구약성경에 언급된 샬롬 사상인 이유가 구약성경의 선지자들이 활동할 당시 목격되던 비극적인 일들이 권정생이 살아온 현대사에서도 반복되었다는 데 있었다고 본다. 오늘날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전쟁과 생태계 파괴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이다. 언급한 세 가지는 평화와 공존을 파괴하는 가장 주된 요인이다. 그것은 인간의 탐심에 뿌리를 둔 것인데, 이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공멸로 귀결된다고 권정생은 보았다. 권정생이 하나님의 눈물, 하나님의 탄식을 언급함으로써 이 세 가지가 발생하는 현대의 비극을 말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연구자가「하느님의 눈물」과『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사시네요』에서 권정생이 언급한 하나님의 눈물과 탄식이 샬롬이 완성된 세상을 염원하는 권정생의 눈물과 탄식을 의미한다고 보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In this articl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amine the peace shown in Kwon Jeong-saeng's fairy tales Tears of God and God Lives Next Door to Us in light of Shalom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Kwon Jeong-saeng said, “My favorite Bible text is Isaiah chapter 11 of the Old Testament.” The core of this text, which contains the idea of Shalom, can be seen as verses 6-9. In this text, Isaiah spoke of the ‘ideal kingdom’, that is, the ‘restored kingdom of God’, which means “a kingdom where the strong and the weak coexist peacefully.” As mentioned at the end of Tears of God, “Yes, everyone in this world.” But God’s comment, “Even as I wait like this, people are going out of their way to harm others,”, is enough to be seen as referring to a world that is opposite to such a country. As mentioned in God Lives Next Door to us, “But the world I created is not like this.” God’s lament, “And the man I made was not like this,” is an appropriate text for this. Through thi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just as Isaiah aspired to “the kingdom of God where shalom is achieved,” Kwon Jeong-saeng also aspired for a similar kingdom. In ancient Israel, it was common for those in power to exploit the powerlessness, resulting in a breakdown of individual and social ethics. Eventually, this led to the collapse of the state. As a result, the Old Testament prophets, including Isaiah, dreamed of “a utopia where the strong and the weak live together in peace.” This is because they believed that when such a society is created, Israel will become an ideal country where people live in peac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reason why the core of Kwon Jeong-saeng's literary thought is the Shalom idea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is that the tragic events that were witnessed when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were active were repe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Kwon Jeong-saeng's life. Today, it can be broadly seen in three categories: war, ecological destruction, and economic inequality. The three mentioned are the main factors destroying peace and coexistence. Kwon Jeong-saeng believes that human greed is responsible for the destruction of both people and nature. This is why Kwon Jeong-saeng mentioned God's tears and God's sighs and talked about the modern tragedy in which these three things occur. This is also wh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God's tears and sighs mentioned by Kwon Jeong-saeng in Tears of God and God Lives Next Door to Us refer to Kwon Jeong-saeng's tears and sighs that yearn for a world where Shalom is complete.

      • KCI등재후보

        환경갈등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통한 자아실현

        정민걸(Jeung, Min-gull)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한 개인은 자아실현을 통해 어떠한 자아 정체성의 확립하였는지에 따라 사회적 성패가 결정된다. 확립된 자아 정체성이 개인의 욕망에만 충실하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고 특히 자연과 관계되었을 때는 인류의 미래에도 매우 나쁜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런데 경제 성장 위주의 사회 풍조 속에서 자아를 실현한 자아 정체성은 개인의 욕망을 채우는 것만이 선이 되고 사회적 공존과는 배치되기 쉬우며 더 나아가 지구 생태계의 지속성에도 심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의 생물 구성원들은 신체 능력의 모자람이 평화로운 공존의 지혜가 되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오늘날 인간은 모든 자연의 구성원을 욕구 충족의 수단으로만 보아서 이런 공존의 틀을 깨고 있다. 그리고 이런 극단의 예가 녹색 성장이라 는 미명 아래 추진되고 있는 생명 파괴의 4대강 사업이다. 이런 사업을 졸속으로 추진하는 까닭에 개인적인 욕구 충족의 이념이 자연과의 공존은 물론 사회 구성원의 공존을 추구하는 이념과 충돌하여 극단적인 환경갈등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적으로 퇴행적인 사업이 인류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고 역사에 영예롭게 기록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욕구를 자제하고 자신의 욕구 충족과는 무관하게 사람은 물론 자연의 독립적인 내재적 가치를 인지하고 수용하는 자아실현을 통해 공존의 자아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A person can succeed socially depending on the self-identity that he/she has formed. If materialized self identity, however, just follows personal desire, the outcome would not be socially agreeable nor be acknowledged by the society. When the outcome deeply involves natural integrity, it will do harm profoundly to human future. Although the civilization with technology has overcome physical limitation of human body, excessive and distorted economic growth has built up relative deprivation and the deprivation stimulates peoples’s desire of nature destruction. The self-identity materialized compatible with such social drift recognizes only fulfilling personal desire as goodness, but might not be consistent with socialcoexistence. In fact, it will hinder the sustainability of the earth ecosystem so severely that it will cast a shadow on the future of human. Biological entities live and use natural entities under constraint of the physical limitation as they are borne. The physical limitation ensures peaceful coexistence of all the entities of nature as frugal wisdom. However, human seeks all the natural entities only in terms of satisfaction of human desire and disrupts natural harmony of coexistence. A unprecedented such example is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pushed ahead by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 Korea, which destroys life in the name of green growth. The project secures egocentric peoples who pursue personal desire. The rough-and-ready method of the project results in intense conflict between followers of egocentric desire and pursuers of harmonious coexistence with social and natural entities. To prevent such culturally retrogressive project from impacting human future negatively we have to materialize self-identity of coexistence, which recognizes and admits independent intrinsic value of natural entities in no connection with personal desire and is the key to the honorabl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