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밀자료 유출 사고에 대한 산업보안조사 규정의 한계와 입법 개선방안: 디지털 자료를 중심으로

        권세민,박현호,강구민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11

        Purpose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investigation of digital data in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regulations, and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vestigation regulations. Through the proposal of investigation regulations,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legislative process. Methods Analyz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digital data investig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regulations. For a legislative solution, the relevant regulation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review of criminal precedents, and overseas cases are reviewed comparatively. Result Although there are investigation regulations for general data in the current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regulations, there are no regulations for digital data investigation, so there is a limit to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As there are no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regulations for digital materials, regulations on collection and analysis of digital materials are newly established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based on the confiscation and search regulations for digital material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Conclusion Although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regulations for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legislate in the future, given that the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through digital forensics is large. 연구목적 현행 산업보안조사 규정에 디지털 자료에 대한 조사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지적하고 관련 조사규정 신설을 제언한다. 조사규정 제언을 통하여 향후 입법과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방법 현행 산업보안조사 규정을 분석하여 디지털 자료에 대한 조사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분석한다. 입법론적 해결을 위하여 형사소송법상 관련 규정과 형사판례 검토, 해외 사례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현행 산업보안조사 규정엔 일반적인 자료에 대한 조사규정은 있지만 디지털 자료에 대한 조사규정은 존재하지 않아 디지털포렌식 조사에 한계가 발생한다. 디지털 자료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조사규정이 없는 관계로 형사소송법상 디지털 자료에 대한 압수・수색 규정을 근거로 행정조사에서도 디지털 자료에 대한 수집 및 분석 규정을 신설해야한다. 결론 산업보안조사에 디지털포렌식 조사규정을 입법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있지만, 디지털포렌식을 통한 기본권적 침해가 크다는 점에서 향후 입법적으로도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 수사상 디지털 증거수집에 관한 고찰 - 디지털 증거 유형에 따른 수사기법의 차별화 제언을 중심으로 -

        윤해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69

        As the internet today especially during the past few years has grown exponentially and is continuing to grow rapidly past the one billion internet users today, it created with the very complex and diverse internet network that is present today. The overwhelming depth and size of the network and its unregulated nature allows people to preserve and share of information, media contents, and communication via storage medium. In spite of its popularity and convenience, this transformation underway on the network contains threats of criminal activity using a digital storage device. The device could paly a role as new crime scene and be used for making caches of evidence since they allow for numerous criminals to acquire and transfer evidences without any physical traces. While this new method of hiding evidences creates a new realm of criminal activity, it undermines the feasibility and legitimacy of applying laws because the digital evidence collection-related law is in its infancy. In other words, criminal investigation agencies remain one step behind in its attempts to prevent and collect the evidence. As a result, the digital storage devices used for criminal purposes have been remarkably unimpeded by regulatory agencies. Crimes committed using digital evidences and its storage devices over the network might become dark figure of crime if law enforcement agency fails to reach a high level of the adequacy and efficiency of digital evidence collection in investigation. In this sense, the law enforcement agency should aware the importance of final evidence collection and pay special attention on the scientific evidence collection and developing highly skilled and educated human resources for specialized investig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nvestigate the crimes with respect to digital evidence, the methods of investigation must first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vestig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step of the investigation is to collect evidences and the data analysis is be the next step that is to prove guilty or to remain appeals. This paper discussed the effective investigation on the final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nd proposed the role of the investigator and investigation techniques for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nd its analysis that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rime scene. 인터넷의 발달은 전 세계를 네트워크로 일체화시켜 하나의 사이버 공간을 구축하였다. 개인, 기업, 공공 및 국가기관 등의 업무가 대부분 컴퓨터와 인터넷,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의 우편물, 개인서류, 문서 및 장부 등이 서버의 대규모 저장장치나 PC의 HDD에 수록되고, 전자메일, 전자상거래 등 개인의 일상생활과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업무처리 과정이 모두 서버나 PC, 네트워크에 기록이 남게 됨에 따라 대부분의 범죄증거가 컴퓨터의 저장장치와 네트워크의 접속기록 등에서 수집해야 하는 것이 현대의 모든 범죄수사의 기본이 되었다. 이에 날로 증가하는 이러한 범죄 증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수사성과를 높이기 위해 법제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수사기법의 체계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업보안조사에 있어 디지털포렌식 조사의 임의성에 관한 연구

        강구민,이재철,김창범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1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1 No.1

        Damage to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economic loss has increased due to outflow of national core technology and industrial technology. Thus,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understand the outflow range at the industrial sites or to investigate industrial security such as preventing technology outflow and restoring them to original state. The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differs from the criminal investigation.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is an arbitrary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s, criminal investigation is enforced with compulsion legal disposition by warrant. For this reas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investigators enforce the investigation through voluntary submission of data by target with voluntary agreement. Especially,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digital devices such as PC, server, laptop, and external hard drive due to the property of industrial site, however, digital devices and storage medias contain the various and massive digital information such as corporate secret, personal information, and sensitive information. It leads to limitation of method of investigation. Furthermo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range and method of investigation between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and criminal investigation because the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 is not enforced by a court-issued warrant as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In other words, most industrial security investigations are enforced with a form of voluntary investigation because it is a method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Consequently, research on how method of voluntary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in the industrial securityinvestigation should be enforced is needed. The court judges voluntariness based on whether the investigative agency guarantees the defendant’s righ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how investigative agency guarantees the procedural rights to defendants in the process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oluntariness. 국가핵심기술과 산업기술 유출에 따른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에 미치는 피해가 커짐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유출 사실을 파악하거나 기술유출의 차단과 원상회복 등의 산업보안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산업보안조사는 임의적 행정조사로서 영장에 의한 강제처분을 할 수 있는 수사와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조사대상자의 자발적인 동의에 의한 자료 등의 임의제출을 통하여 조사를 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특히 산업현장의 특성상 PC, 서버, 노트북, 외장하드 등 디지털 기기에 대한 조사가 필수불가결한 상황이다. 하지만 디지털기기나 저장매체에는 기업기밀이나 개인정보 또는 민감정보 등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디지털 정보들이 담겨있어 조사의 방법에 한계가 뒤따른다. 더욱이 수사에서처럼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의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사의 범위와 방법에 차이가 있다. 즉 대다수의 산업보안조사는 행정조사의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임의적 조사의 형태로 진행된다. 따라서 산업보안조사에서 임의적 디지털포렌식 조사의 방법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 법원에서는 임의성 판단을 대상자의 권리보장을 절차에서 보장해 주었는지로 판단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법원의 임의성 판단기준을 근거로 디지털포렌식 조사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대상자의 권리를 보장해주고 임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성범죄 수사를 위한 위장수사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채윤호(YunHo Chae),김휘강(HuyKang Kim)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0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4 No.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편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디지털성범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피해의 심각성 또한 크다. 특히 최근 디지털성범죄는 익명성과 보안성이 강한 해외 SNS를 매개로 하고, 추적이 어려운 가상화폐를 사용하는 등 지능화, 고도화 되어 전통적인 수사기법으로는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디지털성범죄 수사를 위해 위장수사 기법의 도입을 계획하였고, 현재 법안이 발의되어 논의 중에 있다. 위장수사 기법이 자리 잡게 된다면 잠재적 범죄에 대한 예방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수사기관의 조기 개입을 통해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지만 위장수사 기법은 기망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기술적 감시나 통제가 어려운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적법성이 전제된 위장수사라 할지라도 자칫 불법으로 변질될 위험이 있고, 위장수사에 이용될 도구(ID, 휴대전화, 계좌 등)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없이는 성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위장수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사관의 일탈을 사전에 차단하며, 증거수집 절차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장수사시스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고, 위장수사시스템의 아키텍쳐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generaliz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digital-sexual crimes are not only steadily increasing but also the severity of the damage is high. Especially, recently, the digital-sexual crimes have become intelligent, such as using foreign social network services with strong anonymity and security, and using cryptocurrency that is difficult to track, and have faced limitations with traditional investigation techniques.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planned to introduce a undercover investigation technique for digital-sexual crimes investigation, and a legislation has been proposed and is under discussion. If the undercover investigation technique is legislated, it can generate a preventive effect against potential criminals and protect the victims through early intervention by the investigation agency. However, since the undercover investigation technique contains elements of deception and is conducted in a cyberspace where technical monitoring or control is difficult, there is a risk of becoming illegal. In addition, the undercover investigation is difficult to succeed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for tools (ID, mobile phones, accounts, etc.) to be used for undercover investigations. I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introduction plan and architecture of undercover investigation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ndercover investigation, and blocking the deviation of the investigator in advance, and to ensure transparency in the evidence collection process.

      • KCI등재

        해외 서버 기반 P2P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공조수사 모델 방안

        장윤진,이도현,이채민,최혜정,손승우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0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4 No.2

        As the digital realm expands, the concept of traditional copyright expands and new term called ‘Digital copyright’ appears. While the digital environment represented as ‘hyper-connectivity’ has had copyright develop, it has raised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This paper is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articles and up-to-date news related to ‘Copyright infringement at P2P sites based on overseas serve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pyright infringement. This paper brings up a problem about the cooperative investigation. We suggest an ‘copyright infringement investigation cooperation model’ in view of process and operation methods. First, we divided the international investigation assistance system into 4 steps that preparation phase, development phase, internal investigation phase, and external investigation phase. Second, we put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of ‘Copyright Investigation Practical Union’ that can help to expand copyright-specialized police’s authority, work together with the reliable cryptocurrency exchange, and install the ‘KoreanDesk’ for external investigation. In this trend that our government has tried to establish the un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it is imperative to suggest some effective solutions for international investigation cooperation on copyright infringement. If this model is combined with government’s recent efforts for establishing international investigation cooperation, it helps to develop the copyright industry and protect the copyrights. 디지털 환경이 조성되면서 전통적인 저작권법의 영역은 급속도로 확장되어 ‘디지털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초연결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환경은 저작권 영역을 확장했을 뿐 아니라, 저작권 침해의 영역을 범국가적으로 확대하였다. 본고는 저작권 침해 수사 관련 국내외 논문·보고서와 최신 기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저작권 침해 유형 중 해외에 서버를 둔 P2P 사이트를 통해 일어나는 저작권 침해에 초점을 맞추고, 저작권 침해 수사 시 국내외 공조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국제공조 수사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세스 측면에서는 국제공조 수사 시의 단계를 준비단계, 침해 발생 단계, 국내공조 단계, 국제공조 단계로 나누어 주관기관과 그 역할을 역설하고, 운영 방식 측면에서는 통합 실무기구를 중심으로 저작권 특사경의 권한 확대, 암호화폐 거래소와의 공조, 코리안데스크 설치 및 확대를 제안한다. 최근 지식재산 보호 정책협의회 개최, 유럽 사이버범죄협약 가입 추진 논의 등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공조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 속에서, 본고에서 제시한 모델은 저작권 침해 수사 시 국제공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효적 방안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저작권 침해 수사에 있어 원활한 국제공조는 저작권 침해자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을 높여 저작권 산업을 진흥하고 보호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능형 범죄수사 시스템을 위한 범용 디지털포렌식 온톨로지

        윤한국(Han-Kuk Yun),이상훈(Sang-Hoo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12

        디지털포렌식은 범죄와 관련된 디지털 증거를 수집, 분석하여 범죄혐의를 입증하는 과정으로 범죄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의 디지털포렌식 온톨로지에 대한 연구는 디지털포렌식을 사이버 관련 범죄에만 적용하였거나 디지털포렌식 자체의 절차와 기법에 관한 것으로 한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범죄수사에서 디지털포렌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전반적인 수사절차와 디지털포렌식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연계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포렌식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온톨로지 구축시 포렌식 분석결과의 구체적인 활용 분야를 도출하여 반영하였고, 디지털포렌식의 절차 검증과 관련된 적법성 규칙, 분석 결과 활용과 관련된 적절성 규칙을 적용하여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축된 디지털포렌식 온톨로지는 다양한 범죄 유형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범죄수사 시스템 구축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Digital forensics is the process of proving criminal charg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igital evidence which is related to the crime in question. Most digital forensic research is focused on digital forensic techniques themselves or cyber crime. In this paper, we designed a digital forensics-criminal investigation linked model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digital forensics to various types of criminal investigations. Digital forensic ontology was developed based on this model.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digital forensics to criminal investigation we derived specific application fields. The ontology has legality rules and adequacy rules, so it can support investigative decision-making. The ontology can be developed into an intelligent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 KCI등재

        디지털성범죄에 있어서의 위장수사 내지 비밀수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김혁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3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2

        Due to the so-called ‘Nth Room’ incident, the necessity of an undercover investigation was actively discussed, and related provisions were newly established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Accordingly, the issue of undercover investigation seems to have ended, but discussions on the undercover investigation are still ongoing. In particular, amid recent discussions on expanding the scope of undercover investigations, including drug investigati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issues that take place during the undercover investigation process before discussing the expansion of the system. This is because undercover investigations have various situations and forms that make it difficult to uniformly define their characteristics. There may be cases in which secret investigations are aimed at preventing crimes and collecting evidence for a criminal prosecution, the latter of which can be mostly seen as investigations. If an undercover investigation has the nature of a compulsory investigation, it cannot be allowed without a legal basis, and the issue of the illegality of the investigation discussed in the entrapment investigation may be raised. In the process of undercover investigation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the issue of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collected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vent secondary damage by using deepfake images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이른바 N번방 사태로 비밀수사의 필요성이 활발히 논의되어 청소년성보호법에 신분비공개수사와 신분위장수사에 관한 근거 조항이 신설되면서, 비밀수사의 문제는 일단락된 것으로 보이지만 비밀수사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최근 마약수사 등 비밀수사의 범위를 확장하자는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제도의 확대 논의에 앞서 비밀수사과정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쟁점들을 우선 검토할 필요가 있다. 비밀수사는 일률적으로 그 성격을 규정하기 곤란할 만큼 다양한 상황과 형식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비밀수사는 범죄예방 목적의 정보수집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작용과 수사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경찰작용이 혼재될 수 있는데, 형사소추와 관련되는 영역에서의 자료 수집은 대부분 수사로 볼 수 있다. 비밀수사가 임의수사를 넘어 강제수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면 법적 근거 없이는 허용될 수 없으며, 함정수사에 있어서의 수사의 신의칙이 문제될 수 있다. 청소년성보호법에 따른 비밀수사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의 원리에 따라 형사소추의 적법성과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문제를 판단하여야 한다. 신분위장수사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신분위장수사 상황에 대한 착오는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의 논리로 해결하면 될 것이고, 면책조항과 관련된 상황의 착오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수사과정에서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등 피해자의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中国的技术侦查及其司法控制 - 以数字时代为背景 -

        刘玫,陈雨楠 한중법학회 2021 中國法硏究 Vol.47 No.-

        Forther 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2012, it incorporated technical investigation measures into legal regulation, which thus opened a major historical process of the legalization of technical investigation. With the integration development of technical investigation and the new gen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digital age, it has promoted the constant up dating of the technical means and methods. However,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are scattered and unsystematic since some provisions on technical investiga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and supporting provisions lag behind the investigation practice, which exists some problems, such as unclear definition of substantive conditions, excessive loose specific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so on. As the result, the centralized and unified legislation on technical investigation measures under the guidance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carried out. In terms of the judicial control of China’s technical investigation in the digital age, it should start from two perspectives of entity and procedure, which should clarify the concept of technical investigation, and clarify the implementation subject and case scope of technical investigation in the aspect of entity. Then, it should establish the judicial control mode of technical investigation combining internal supervision and external supervision mechanism in the aspect of procedure, which should also strictly review the types and duration of technical investigation, as well as refine the use principles and rules of technical investigation evidence.

      • KCI등재

        디지털 증거 수집과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적용 -일본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논의를 참고하여-

        이정민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4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6 No.1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 명문화되면서 위법이 있으면, 자동적‧의무적으로 증거에서 무조건 배제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다. 역사적으로 한국에 존재해 온 위법수사의 트라우마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수사기관의 경미한 위법행위로 범죄인이 누리는 혜택은 너무 크다. 실제 한국에서는 위법수사를 억제하는 예방적 효과라는 이유로, 피해가 있거나 유죄의 증거가 있음에도 증거가 배제되어 피해자 구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때문에 그만큼 수사기관은 더 신경을 써서 수사를 하고 있으므로, 수사관행의 투명성에 기여하는 측면이 분명 있다. 그러나 위법한 수사는 준항고나 다른 행정적 제재나 민사상 제재로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일본의 상대적 배제론에서 보듯이 위법의 중대성과 위법수사 억제의 측면에서 의무적‧절대적 배제가 아닌 상대적‧재량적 배제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지털 정보와 같이 아직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분야에서는 더욱 그렇다. 특히 디지털증거에 대한 경미한 위법수사는 수사관이 절차 위반사실의 적법‧위법 여부를 인식하지 못하고 위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이버범죄를 다루어 보지 않고 가끔 디지털증거를 접하는 경우, 수사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실체법에서 고의‧과실의 책임을 달리하듯이, 절차적인 면에서도 고의‧과실이나 경‧중에 대한 판단 없이 위법수사라는 결과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디지털증거에 대한 압수‧수색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수사기관에 교육하고 홍보해야 한다. 수사기관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수사가 적법한 것인지, 위법한 것인지 인식한 후에 한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가 내려져야 한다. 적정절차에 대한 합의없이, 애매한 상태에서 기준의 제시도 없이, 위법수사라고 하여 증거를 배제해서는 안된다. 수사기관에 기준을 제시하고, 기준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 자동적이고 의무적인 위법수사 배제는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을 형식화하는 것이며, 피해자 권리구제를 도외시 하는 것이다. 형사소송법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절차적 정의를 희생하면서 실체적 진실을 강조할 수 없는 것처럼, 실체적 진실을 희생하면서 절차적 정의를 강조하는 것도 합리적이지 않다. There is a view that when the exclusionary rule was clarified, it should be automatically and mandatorily excluded from evidence if there is an offense by investigative agencies. I think this is due to the trauma of illegal investigations that have historically existed in Korea, but the benefits to criminals from minor misconduct by investigative agencies are too great. In fact, in South Korea, there are cases where evidence is excluded even when there is evidence of harm or guilt, as a deterrent effect to curb misconduct, making it difficult for victims to seek redress. The exclusionary rule has certainly contributed to the transparency of investigative practices, as law enforcement agencies are more careful in their investigations. However, quasi-appeals and other administrative or civil sanctions can be sufficient deterrents to illegal investigations. As Japan's theory of relative exclusion shows, it is necessary to use relative and discretionary exclusion rather than mandatory and absolute exclusion in terms of the gravity of the offense and the deterrence of illegal investigations. This is especially true in areas where the standards are not yet clear, such as digital evidence. Minor misconduct investigations, especially for digital evidence, are often committed by investigators without recognizing the legality or illegality of the violation. Investigators need to be educated, especially if they have never dealt with cyber crime and only occasionally encounter digital evidence. Just as the responsibility of intent and negligence is differentiated in substantive law, it should not be judged only by the result of a criminal investigation without judgment of intent and negligence in procedural law. Guidelines for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should be established, educated and publicized to law enforcement agencies. Evidence should not be excluded because it is an illegal investigation, without agreement on the appropriate process, in a vague state, and without providing criteria.

      • KCI등재

        디지털 성범죄의 위장수사 쟁점과 과제

        홍영선,권헌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2

        Prior to the digital age, cyber sexual violence was limited to verbal expressions, such as sexual language and obscen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llegal videos using smart devices are created with increasing regularity. These videos are being diversified into edited, synthesized and processed deepfake pornography. Videos are taken without the victim's knowledge and are weaponized; then used to exploit or coerce the victim. Child or youth pornography that had been distributed to adult sites or web hard is now rapidly spreading through SNS on overseas servers. These crimes are organized to generate large-scale profits. In an effort to deal with the evolution of digital sexual crimes and criminal method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posed some revisions to the laws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These revisions wer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plenary session. As a result, the legal penalties for digital sexual crimes have been intensified. Conversations, solicitations and enticement for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alled "online grooming," have been legislated. Because online grooming has been legislated as a special case for digital sexual crime investigations targe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t has become possible to conduct undercover investigations into this criminal metho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oncept of "undercover investigations" had not, until now, been included in Korean legislation. A potential problem exists that, for an effective investigation to happen, the element of deception by the state might be necessary. In an attempt to apprehend criminals committing this type of crime, law enforcement may utilize a concept of an entrapment investigation called "provision of opportunity." This simply enables law enforcement to commit a crime to lure -- and then apprehend -- the actual criminal. Further, law enforcement agencies are granted permission to create and exercise documents and electronic records to disguise their identity, as well as to purchase and sell child or youth pornography using such camouflage identity. This raises concerns about illegal operations of investigative agencies or the potential for criminal deviance of undercover investigators. Therefore, to ensure that these disguised investigations (which are special components of digital sexual crimes) are used reliably in the field without any cases of misuse or abuse from their intended purpose, and to ensure that no human rights violations or over-investigations occur, Korean law enforcement will compare domestic cases with foreign cases. Additionally, law enforcement officials will examine and compare domestic and foreign undercover investigation tools, management systems and training programs for undercover investigators. By using these comparisons, law enforcement agencies will use this guidance for creating a legal and effective system. 과거의 사이버 성폭력은 성적 언어, 음담패설 등 언어적 표현에 한정되다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단순한 불법 촬영물은 편집, 합성, 가공된 딥페이크물로 다양화되었고, 피해자 몰래 촬영하던 영상이 착취, 강요에 의해 촬영되고 있으며 과거 성인 사이트나 웹하드 등에 유포되던 성착취물은 해외서버의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개인의 범죄가 조직화되어 대규모 수익까지 창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성범죄의 진화와 범죄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에서는「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일부 개정 법률안을 상정하여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디지털 성범죄의 법정형이 상향되었고, 온라인 그루밍으로 불리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착취 목적 대화, 권유, 유인이 법제화되었고,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수사의 특례로 ‘신분 비공개수사’와 ‘신분 위장수사’가 가능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위장수사’라는 개념이 법안에 포함되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일이지만 실효적인 수사를 위해 국가에 의한 기망의 요소가 행해지고, 이미 범의를 가진 자에게 단순히 범행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용이하게 하는 ‘기회제공형’ 이라는 함정수사의 개념이 포함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신분 위장을 위한 문서․전자기록 등을 만들고 행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런 위장 신분을 이용해 성착취물을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수사기관의 탈법적 운영이나 위장수사관의 일탈 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디지털 성범죄의 수사특례인 위장수사가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인권침해와 과잉수사 등 위장수사의 오・남용 사례가 발생하지 않는 지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며 위장수사 도구와 관리시스템, 위장수사관 교육프로그램 등 적법하고 실효성있는 제도를 만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