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간 삶의 가치를 지향하는 미래디자인 방향 모색을 위한 경제학 연구

        조성환(Jo, Seoungh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미래 디자인이 인간욕구의 최고단계인 ‘자아실현’을 추구하려면 ‘인간으로의 회귀’가 전제 된다. 그러나 현대 디자인은 도리어 인간을 ‘사물화’하고 ‘자아’를 고사시키고 있다. ‘인간상실’을 촉진하는 디자인의 문제는 자본주의가 인간을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정의하고, 시장을 ‘자기조정적 시장 메커니즘’에 복속시켜 발생한 비인간화와 사회적 해체, 사회적 위해에 문제의 근원이 있다. 칼 폴라니는 이러한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극복의 대안으로 경제인류학적 연구에 기초한 ‘경제의 사회적 귀속’, 즉 ‘사회적 경제’의 실현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사회적 유대와 결속을 통하지 않고는 인간 삶을 형성할 수 없다. 인간 삶의 가치를 지향한다는 것은 사회 속에서 ‘자아실현’의 욕구를 추구해 나가는 과정이며, 미래 디자인의 문화창출은 ‘자아실현’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 방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래 디자인은 ‘디자인의 경제화’와 달리 ‘디자인의 사회화’를 추구하여야 한다. 이의 전제는 디자이너가 경제 만능주의적 시각인 ‘시장 멘탈리티’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디자이너가 자본귀속적 의식을 탈피할 수 있는 경제학에 대한 ‘지식기반’을 디자이너 시각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We need to assume “the return to humanness” in order for future design to pursue its highest level of human desire, which is “self-fulfillment.” However, modern design “materializes” humans and deprive them of “self.” The fundamental problem with designs that accelerate “loss of humanity” is that it is based upon the idea that capitalism defines humans as “homo economicus” and the market to be subjected under the so-called “self-adjusting market mechanism.” Therefore, it leads to dehumanization and social dissolution, as well as social harm. As a solution to overcome such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Karl Polanyi suggests “the social return of the economy”, in other words, the realization of “social economy.” Humans are social animals and thus without social ties and solidarity, it cannot constitute a humane life. To seek the value of humanistic life implies the process of pursuing the desire of “self-fulfillment” within one’s society. In this sense, the creation of culture for future designs is to generate methods to encourage social relationships that can promote “self-fulfillment.” Having said this, what future design needs to see is the “socialization of design” rather than the “economy of design.” The assumption behind this is that the designer needs to move away from the “market mentality”, which is the perception that the economy rules above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conomic “knowledge basis” from the point of view of designers in order for the designers to in fact break away from such capitalistic cognitions.

      • KCI등재

        회계제도 개혁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감사인 지정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우진,김세희,백복현,이우종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of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in 2017. We first examine how Korean audit market changes following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audit fees and market share of Big 4 auditors. We find that audit fees in Korean audit market significantly increase following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relative to those in U.S. and Japanese audit markets. We further find that the market share of Big 4 auditors in Korean audit market slightly decreases after the amendment. These results suggest some evidence that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affects the structure of Korean audit market. We then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 designation on both audit and capital markets, by investigating audit fees, accounting quality, cost of capital, liquidity, and foreign ownership. We classify the auditor designation into precautionary designation and revisionary designation based on the reasons for the designation. We find that the precautionary designation has positive consequences as evidenced by changes in liquidity, foreign ownership, and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cost of debt. By contrast, the revisionary designation has negative impacts, as shown by changes in discretionary accruals, the cost of debt, and credit rat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cautionary designation has certification effects, while the revisionary designation results in disciplinary effects. More importantl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by using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ology. The result suggests that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crease for the firms that are subject to periodic designation after the designation relative to the firms that are not. However, we do not find the differential impact on discretionary accruals. In addition, we conduct a survey to the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equity analysts, credit analysts, and external auditors, to examine the market participants’ assessments on the amendment of External Audit Ac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positively assess th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of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Moreover, positive responses are more salient for credit analysts, who tend to focus more on the downside risk relative to upside opportunity.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has positiv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in some aspects. 본 연구는 2017년의 회계제도 개혁이 여러 자본시장 관련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지정 감사인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감사인 지정 사유를 상장예정이나 주기적 지정에 따른 예방적 지정(precautionary designation)과, 부실 기업 등에 대한 교정적 지정(revisionary designation)으로 구분하여 감사인 지정이 감사보수, 회계투명성, 그리고 자본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방적 지정에서는 감사시간, 비용, 시간당 보수는증가하나, 재량적 발생액, 부채비용은 감소하며, 유동성 및 외인보유비율은 증가하는 긍정적인 효과가관측되었다. 반면 교정적 지정 이후에는 감사비용, 시간당 보수 뿐만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 감사시간및 부채비용도 증가하며, 신용등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방적 지정 이후에는 인증 효과(certification effect)가 존재하는 반면, 교정적 지정은 부정적인 시장반응(disciplinary effect)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연구는 보완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체감하는 회계제도의 개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본시장 종사자 3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1.4%가 회계제도 개혁이 자본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대답하였으며, 긍정적인 답변은 주로 하방위험(downside risk)을 평가하는 신용평가업계 종사자로부터 많이 발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감사인 지정 사유 중 상장 예정이나 주기적 지정에 따른 예방적 지정은 감사시장과 자본시장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회계제도 개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회계제도 개혁 이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지정감사인 선임이 부채시장에 미치는 정보효과

        차승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2 No.4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debt capital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ost of debt capital in Korea. In an ex-ante sense, the independence of designated auditor increases audit quality, enhances the financial statements reliability, reduces the information asymmetry, and reduces the cost of debt capit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st of debt capital of the firms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 may increase since the high risky firms are designated by mandatory auditors in many cases, so the news that mandatory auditor is designated can be a bad signaling in debt market. By using 41,032 Korean firm/year observations, I find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debt capital. This result shows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more highly recognized as a bad signal rather than a good signal reduc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borrowing firms and investors in debt capital marke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exceptional regulation which exists only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may shed sone lights on our understanding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the regulation. 본 연구에서는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인해 높아진 감사품질이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 혹은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기업이 가지는 본질적 내재위험의 부정적 정보가 부채시장에서 인지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만약 지정감사인의 독립성이 유지되어 감사품질이 높아진다면, 신뢰성 있는 재무제표를 생산해 낼 것이고, 이는 차입자인 기업과 대출자인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줄여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반면에 지정감사인이 선임되는 사유 중 대부분이 이유 없는 감사인 교체, 감리지적기업 등으로 기업의 위험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이는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지정감사인 선임이라는 정보 자체가 부채시장에 부정적인 정보효과를 가져올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지정이 가지는 이상의 두 가지 효과가 부채시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지정감사인 선임여부와 평균부채비용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정감사인의 선임여부와 기업의 평균부채비용 간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정감사인 선임으로 대출자와 투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지정감사인 선임이 가지는 부정적 정보자체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정감사인 선임은 부채시장에서 부정적 정보로 받아들여져 대출계약시에 대출자가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지정감사인 제도는 한국을 포함한 몇몇 나라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감사제도이다. 그러므로 동 제도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본 연구가 정책입안자나 투자자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중을 위한 디자이너적 감성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서울시 여성행복도시지원사업 `성동-한양 여행디자인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현은령 ( Hyun Eun-r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

        본 논문에서 다뤄지고 있는 “女幸디자인 스쿨”은 서울특별시에서 2007년 7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여성이 행복한 서울 만들기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서울시 평생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서 “여성이 행복하면 모두가 행복하다”는 슬로건 아래 관(市)·학(大學)이 협력하여 개발한 대중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이다. 여성의 시각과 경험을 기존의 여성가족분야뿐만 아니라 교통·주택·문화 등 도시생활 전반에 걸쳐 정책기획 및 입안단계부터 반영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창의적이고 문제해결력이 높은 여성시민을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선진문화에 대한 이해 및 서울시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재 서울시의 핵심사업인 `여성행복도시`와 `2010 디자인수도`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내어 이러한 두 가지 서울시 행정정책을 접목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과 사회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내기 위해 시도된 시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다. 그동안 디자인과 관련된 사업은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어 진행한 공공디자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체험교육이 주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서 도시 공간속에서 삶을 꾸려가고 자녀교육을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을 위한 디자이너적 감성교육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실적인 삶과 연계된 예술교육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것을 성찰하는 사회적 도구임과 동시에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앤드슨(Anderson, T)의 `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의 가치와 효용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디자인-공예 분야를 사회재건주의의 적합한 예술교육적 도구로 사용하였다(2002, pp.33~39). 생활디자인, 공공디자인, 디자인교육을 통해 여성들은 감성을 파는 21세기 디자인 수도 만들기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로 창의적이고 감성친화적인 행복도시 만들기에 여성 스스로가 역량 있는 시민 큐레이터로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administrative project of Seoul city in the year 2009 can be narrowed down to "The City for Women`s Happiness Project" and "Seoul, Capital City of Design Project," These two main projects have a common denominator, "the sensitivity", and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ll people. "The City for Women`s Happiness Project" is a project in which the Seoul city government strives to transform the city into a place where women can be happy by reflecting the women`s perspectives in all administrative work. This project uses the belief that if women (housewive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families are happy, then the entire family and even all the citizens can be happy, as its foundation. In the midst of the design being recognized as a determining factor for a nation`s competitiveness, the "Seoul, Capital City of Design Project"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s purpose is for the city to be the leader and develop the economy, and improve the citizen`s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designs. The city is hosting various events such as the Seoul Design Olympics and pushing forward with many public design projects as the city was designated as the 2010 World Design Capital. Therefore, the "Sungdong/Hanyang Women`s Happiness Design School" case study which this particular study focalizes on was an attempt of the Seoul city to create a synergy effect that the individuals and the society can be happy by putting together the aforementioned two projects. So far, the projects that had to do with designs consisted of projects in which the public institutions focused on the public design and the administrators putting a focus on the design experience training for students. However, the designer like sensitivity training programs targeting women who live in the city`s space and are solely in charge of educating their children were non-existent. It is expected that from the city`s efforts, the women will understan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21st century city design projects such as life design, public design, and design training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increased participation is also expected to make women into competent curators when making the creative and sensitivity friendly happy city.

      • KCI등재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 자본으로써의 서비스 디자인 필요성 -노년층 인터넷 사용과 소외를 중심으로-

        윤정윤,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As capitalism enters a new phase, people regard society from as the concept of possession to as the concept of connection. According to this worldly trend the importance of service industry has been more highlighted than that of manufacturing industry. we do not recognize the worth of service if we do not experience it in person. So service could be called 'experience material'. While experiencing invisible service, we considier 'users' experience design' or 'service design' to be very important which is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whole worth. But being geared to the paradigm of industrial structure, the definition of service and its field and direction are still over-focused on the creation of value added. According to various case studies it is no exaggeration that especially in the digital society the class away from the digital experiences alienation from service design. Focusing both on the present address of information gaps in Korea and on the digital alienation phenomenon among the seniors in Korea, the research tries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service design,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its contribution to sicial welfare as social capital. 자본주의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어 사람들이 소유의 개념에서 접속의 개념으로 사회를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제조산업보다 점차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경험해보지 않으면 그 가치를 알 수 없는 '경험재'인 만큼 제조 결과물로서의 생산품 자체보다도 사용자가 생산품 또는 무형의 서비스를 경험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사용자경험디자인' 또는 '서비스디자인'이 중요하게 부각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와 분야 그리고 방향성은 산업구조의 패더라임에 맞춰 부가가치 창출에 고나한 것으로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사회에서의 디지털 소외계층은 서비스디자인의 많은 사례연구 가운데서도 서비스디자인의 소외를 경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보격차의 현주소와 우리나라 노년층의 디지털 소외현상에 집중하여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과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이 사회적 공유의식을 함의하고 사회 자본으로써 사회 안녕에 기여할 가능성을 고찰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Z세대의 문화자본과 권력의 재생산

        정혜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media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aradigm shift driven by changing methods of acquiring cultural capital among the Z gener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primarily a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while concurrently seeking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rough empirical and experiential evidence.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members of Generation Z and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s. Traditional methods of cultural capital acquisition, rooted in established norms, have given way to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enabling transcendent cultural acqui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cross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in the global society. This shift democratizes the acquisition of cultural capital, allowing for cultural and societal reproduction through shared access. By fostering fluidity and diversity in cultural preferences, this transformation challenges the conventional hierarchical notions and nurtures the de-territorialization of creative cultural capital. Furthermore, online communities based on social media platforms serve as cornerstones for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the amalgamation of diverse influences, strengthening creativity through cross-cultural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media-centric lives of the Z generation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digital life, marked by a constant pursuit of self-expression and hyper-connectivity. Implicit pressures toward ceaseless self-curation have led to fears of compromised authenticity and multi-persona, highlighting a deficiency in true selfhood in the digital realm. Guided by these observations, the future trajectory of new media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necessitates the cultivation of critical evaluative skills concerning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capable of fostering a bala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cultural capital acquisition and embodiment, and the concerted effort to bolster the authenticity and self-esteem of the Z generation. These endeavors must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ll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사회 자본으로서의 서비스 디자인

        강병길 ( Buyng Kil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지식정보 시대의 요구에 맞춰 물리적 생산 제품 자체로 인한 경제 성과보다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 자체가 상품화 되는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가 더욱 필요해졌다. 이와 함께 디자인 분야에서도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논의가 있게 되었고, 이에 관한 정책적 지원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서비스 디자인 담론이 산업구조의 패러다임 전이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에 관한 것으로 지나치게 집중되면서, 인류의 공존을 위한 책임 있는 디자인으로서의 적절한 대의는 상실된 상태이다. 서비스 디자인의 가치 창출은 인간의 행위와 시스템과 프로세스 패러다임을 다루는 일종의 무형 자산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런 관계적 무형 자산의 가치는 인간과 인간-집단-미디어 간의 신뢰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디자인은 물질적 가치로 해결하기 어려운 관계성의 신뢰 구축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관계적 신뢰 구축에 관한 개념으로서 사회 자본에 관한 논의와 통념을 살펴보고, 사회 자본을 최근 거론되고 있는 서비스 디자인의 가장 바람직한 대의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To meet the needs of the knowledge-information age, service which is provide with the product or the commercialized service itself has become more necessary. In this context in the design field service design became the topic of conversation and also the government started to support the policy about service design. However, since the discussion of service design based too much on creating additional value, which is caused by the paradigm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moral responsibility of design for the coexistence of mankind is lost. The value of service design is to create a kind of intangible assets about human conduct, systems and process. The value of this relational intangible assets is based on the trust between human and barren-mass-media Therefore the moral justification of service design is to create the trust between relationships, which is difficult to solve with the value of material. As the concept of creating trust between relationship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onventional wisdom about social capital and suggest the most desirable alternative cause for the recent trend of service design.

      • KCI우수등재

        발해 도성 역심엽형연화문 수막새의 분류와 변천

        최슬기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4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iod of the emergence of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and the series of its patterns, in addition to estim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ronology of these roof-end tiles through an analysis of 339 examples appearing in the reports Xigucheng (西古城), Shangjingcheng (上京成), Baliancheng (八連成),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e 2000s. Based on this, the study tracked the stage and factors of transformation of the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in Balhae’s metropolitan areas. The inverted heart-shaped lotus design roof-end tiles of Balhae’s metropolitan areas experienced change in three major stages. Stage Ⅰ is the period when Seogoseong Fortress operated as the current capital city, and corresponds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6 ga Ⅰ cross-type C2a and the 6 ga Ⅰ new moon mixed-type B3a motifs were used around Seogoseong Fortress. Considering that 6 ga Ⅰ type lotus petal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Sanggyeong Fortress and Palyeonseong Fortress, it is thought that variation in lotus petals subsequently occurred after Stage Ⅰ. Stage Ⅱ corresponds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capital city was moved to Sanggyeong Fortress) to the late 8th century (when the second capital city was returned to Sanggyeong Fortress). Ga Ⅱ type lotus petals appeared and were used, but some decorative elements (such as the ovary) previously used in Stage Ⅰ were also present. 6 ga Ⅱ crosstype C2a, 6 ga Ⅱ spindle whorl-type B3a, and 6 ga Ⅱ spindle whorl-type B2 types were popular. Based on the fact that the 6 ga Ⅱ spindle whorl-type B3a type lotus motif, which had been attributed to Stage Ⅱ, was common in Seogoseong Fortress, Sanggyeongseong Fortress, and Palyeonseong Fortress, it is thought that the pattern symbolizing the city was established from this stage. Stage Ⅲ corresponds to the latter part of the 9th century (when the capital returned to Sanggyeong Fortress) to the former part of the 10th century (when the kingdom collapsed). The lotus petals and other decorative elements of Stage Ⅱ continued to be used, but differentiation in terms of the form of each element also actively took place, becoming more diversified than in Stage Ⅱ. New types of lotus petals can be see in the Ga Ⅲ and Na type motifs. In addition to 6 petal motifs, 7 petal, 5 petal, and 4 petal motifs also appeared. In the case of the lotus ovary, Type C3 appeared and was popular.

      • KCI등재후보

        Art Education, Creativity, and Designer Capital

        jan jagodzinski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과 교육 Vol.11 No.2

        본 논문에서 나는 디자이너 자본주의를 지지하는 현재의 경제적 상황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미술교육에서의 전반적인 창의성이 재고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창조 산업은 21세기 정보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미술, 공학, 지식 등의 결합을 요구하는 주체 지위를 성공적으로 생산해왔다. 미술교육의 창의성도 이 시류를 따르고 있다. 나는 교사들이 기꺼이 따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는 희망에서 창의성에 대한 또다른 견해로써 본 논문을 끝맺는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by‐and‐large creativity in art education is being rethought to meet the requirement of our current economic condition that supports designer capitalism. The Creative Industries have successfully generated a subject position that demands a coming together of art, technology, and knowledge to answer to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Creativity in art education is following this trend. I end this essay with another view of creativity with the hope that it may be an alternative that some teachers are willing to follow.

      • KCI등재

        三國時期 都城史 硏究의 현황과 과제

        余昊奎(Yeo, Ho Kyu)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이 글에서는 삼국시기 도성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최근 고고학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초기 왕성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비정하고, 초기 왕성이 대규모 시가지를 갖춘 도성으로 전환하던 과정을 새롭게 규명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또한 가로구획의 조영원리, 평균적인 거주단위와 도성의 총인구까지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음도 파악했다. 그리고 주요 건축물이나 도성 전체의 공간구조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지고 있다. 이로써 삼국시기 도성사 연구는 위치 비정을 둘러싸고 논쟁하던 단계를 벗어나 본궤도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앞으로는 가로구획이나 공간구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도성의 기본구조를 파악하는 한편, 이를 도성민의 제반 활동과 연계시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도성이라는 공간 속에서 역동적으로 전개되었던 인간의 다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복원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고학 발굴성과를 토대로 단편적인 문헌자료를 다각도로 재해석하는 한편, 고대 중국이나 일본 도성과의 비교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past studies on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capital cities from the Three-dynasties period are reviewed, and tasks that are currently left for future studies are contemplated. Based upon recently announced archaeological studies and excavation survey reports, it seems that current studies are accurately estimating the locations of the early days' capitals, and they also newly revealed the process in which the early days' capitals might have turned into large cities equipped with major streets, sections and avenues. Studies today are also meticulously examining the rules and principles that must have been applied to the task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streets, the features of average living units, and also the size of the general population that would have resided inside the capital, from various perspectives. Scholars are also actively studying various facets of the important structures, and internal composition of spaces inside the capitals. As we can see, studies concentrating upon the history of capital cities of the Three-dynasties period have surely gone beyond the phase of merely debating the locations of those cities, and reached a new level of discussion. In the future, the exact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capitals should be revealed based upon the street & avenue designs or internal spacial compositions. The general activities of the residents of those cities should be studied as well. We have to find out how the people in the past lived inside those capitals, and construct living models based upon such activities. In the meantime, the scarcely remaining written texts should be reexamined and reinterpreted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based upon archaeological survey reports, and comparative studies examining capital cities of ancient China and Japan should continu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