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assroom Activities, Classroom Anxiety and Teacher Roles: Three Dimensions Revealing Class Reality of a University English Course

        Qiang Huang 아시아테플 2022 The Journal of Asia TEFL Vol.19 No.2

        Language learning in classrooms has been studi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numerous focus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ree dimensions—classroom activities, classroom anxiety and teacher role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s by investigating 49 students of an English class at university. Quantitative instruments of three 5-likert scales were used to measure the number and the frequency of classroom activities used in the English class, the level of classroom anxiety of students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roles. Results showed that the English class was “often” dominated by interactive activities, coupled “sometimes” with language exercises and “occasionally” with real-life tasks. In this activity-dominated English class, learners revealed rather low level of classroom anxiety. In contrast, the overall higher mean of teacher role perceived indicated noticeably facilitating impact of the teacher in class. Correlational analyses disclosed that classroom anxiety was neither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acher role nor with classroom activity.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er roles.

      • KCI등재

        일본의 총합적 학습시간과 한국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함의 비교

        윤희봉(Yoon, Hee-Bong)(尹熙奉)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일본의 ‘총합적 학습시간’의 도입 과정과 교육목표 및 편제, 교육내용을 비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과 ‘총합적 학습시간’의 도입 배경은 두 나라가 모두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 적응하고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재량권과 자율권을 단위 학교로 이양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과 ‘총합적 학습시간’의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주도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특색 있는 교육 활동과 인간 중심주의 교육 과정 정신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총합적 학습시간’이라는 명칭이, 한국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일본은 ‘총합적 학습’이라는 비교과 활동의 내용에 따라 각 단위 학교가 자유롭게 명명할 수 있도록 일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과 ‘총합적 학습시간’의 교육 내용은 두 나라 모두 세계화된 사회가 요청하는 국제적 이해, 정보 활용, 환경․문화교육, 보건․복지, 개인의 연구․체험 활동 등을 과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학습 활동의 양식은 크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한국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범 교과 학습의 범주에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에 따라 학교 활동 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지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 by compar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 and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in Japan. Specifically,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a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had the intention to transfer discretion and autonomy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to the unit school to adapt to the changing modern society and meet educational needs. Seco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have common points in that they embody the characteristic educational activity and human-centered educational process spirit that can lead the future society and enhance the initiative ability and creativity. In terms of the nam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Korea is fixed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hile Japan is not fixed as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y were assigned to each school so that they could freely set up their characteristics. Third, the content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lassroom hours for integrated learning’ have common points in that both countries have tasks such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formation utiliz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national cultural identity education, health, welfare, subject inquiry activity, joint research, and experiential activity requested by the globalized socie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yles that present the learning contents. I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teachers to be able to perform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whole level of school activities in the professional manner and autonomy of the teachers in the category of the learning of the subject in order to operate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 efficiently.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비교과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이림(Lee, R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its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from the subject, and to discuss how outofclassroom activities have been and will be developed in university education. Outofclassroom activities were born from the will to overcome the harmful effects of the subject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are as follows. ①nonformal education, ②reflection of student s individuality, ③total growth, ④connection with the subject, ⑤experience, ⑥group composition, ⑦voluntary participation, ⑧securing of prepost stages, ⑨flexible operation, ⑩alternative evalu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 criteria and principles that outof classroom activities must stand in operation.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alized departments that can manage the overall outofclassroom activities in the university. This special department can manage the entire out ofclassroom activities process leading to planning  operation  performance management  utilization. This, of course, is accompanied by a shift in overall physical and human conditions, and a change in perceptions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이 연구는 비교과교육의 역사와 교과와의 관계, 교과와 차별화되는 그 특성 등을 살펴보고 이런 비교과교육이 대학교육에서 어떻게 자리 잡아 왔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논하고자 하였다. 비교과교육은 교과교육의 폐해 속에서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에서 탄생하였고, 이 탄생 배경으로부터 교과교육과 차별화되는 특성이 발견된다. 그것은 ①비형식적 교육, ②학생 의 개별성 반영, ③전인적 성장, ④교과와 연계, ⑤체험, ⑥집단 구성, ⑦자발적 참여, ⑧사전사후 단계의 확보, ⑨융통적 운영, ⑩대안적 평가이다. 이러한 특성은 비교과교육이 운영됨에 있어 견지해야 할 기준이자 원리가 된다. 이러한 기준과 원리에 의거하여 대학에서의 비교과교육은 운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학교의 전반적인 비교과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부서 신설이 필요하다. 이 전문부서는 기획운영성과관리활용으로 이어지는 비교과교육 진행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물적 인적 조건의 마련, 비교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신소영 ( Soyoung Shin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융복합 인재 양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교육혁신 전략의 하나인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능동학습강의실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할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지원 환경에서 교수와 전체 학생 간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팀별 토론, 협동 학습 및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A 대학 능동학습강의실에서 15주간 진행된 11개 정규 교과목 수강생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능동학습강의실 활용 경험은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능동학습강의실에서 학습했을 때 학습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능동학습 강의실에서 학습의 주체가 되는 자기조절학습 활동 과정을 통해 학습성과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 환경변화로 인해 학습 향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학습 성공의 결정 요인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학습강의실을 활용한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미래지향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nd learning outcomes in detail, which is one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 In th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learner'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plays a mediating role, and to find a specific strategy for the use of active learning classrooms. To this end, students of 11 regular courses held for 15 weeks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of A University, wher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y, team discuss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actice) are possible between professors and all students in a multimedia support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mproving learning when college students learn in the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classroom.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uld be confirmed, which can be seen as a high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y process, which is the courses of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elf-regulated learning played a role as a determinant of learning succes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learning due to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design using active learning classrooms was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posed.

      • KCI등재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활동이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비디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혜민 ( Han Haemin ),김선아 ( Kim Sun-a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비디오 프로젝트 분석을 통해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한 교실 활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외 한국어 교수-학습 환경에서는 한국어 연습 시간이 부족하고, 대규모 수업으로 운영해야 하며, 교실 외에는 한국어 노출 기회가 전혀 없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실 활동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자극하여 자기주도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제기반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한국어를 사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주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활동을 해외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면 학습자들에게 내재된 여러 지능 영역을 자극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홍콩의 한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활동의 효과 측정을 위해서 실험군은 다양한 다중지능영역에 해당하는 교실 활동을 경험했고, 대조군은 외국어 학습에 필요한 제한적인 다중지능영역의 활동만을 수행하였다. 평가 대상은 그룹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시나리오와 비디오였다. 분석적 채점 방식을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 내용 및 과제 수행`, `언어 사용`이라는 두 개의 범주를 제외하고, `글의 전개 및 전달력`, `다중지능요소`, `창의성`면에서 다양한 다중지능영역의 활동을 경험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가설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내재된 지능 영역을 자극하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학습주도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을 조성했으며, 다양한 다중지능이론에 기반한 활동을 경험한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시 발생하는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rroborate the efficacy of classroom activitie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MI) by analyzing the learners` performance in a video project. Overseas classroom environments for Korean-language learning have faced manifold problems, such as lack of time for practice, large class sizes, and fewer exposures to the Korean language outside the classroom. Hence, classroom activitie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learners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Korean-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lassroom activities based on the MI theory are known to be motivational and effective for foreign-language acquisition, but their specific effectiveness on KFL learning has not been investigated yet. To examine the efficacy of MI activities on KFL learners, the performance in a final video project of an experimental group that had received more types of MI activities throughout one semester was compared with that of a control group. During th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actively engaged in seven types of MI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had four kinds of limited MI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video project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reated scenarios and videos in a significantly better wa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more various classroom MI activities mobilized learners` MI and enhance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to complete a comprehensive task in a KFL classroom.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실 활동을 접목한 교육대학원 영문학 수업 사례

        김영미(Youngmee Kim)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7 영미문학교육 Vol.21 No.1

        This study introduces an English literature course integrated with learner-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o evaluate it by students’ feedbacks and my course reflections. English literature courses in Korea for undergraduates or graduate students are usually designed by lecture or seminar (discussion) style teaching. Students, however, often have difficulty showing their personal responses to the English literature text through discussion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EFL context or lack of discussion experience, which leads to students’ lack of confidence creating a bit depressed atmosphere in the classroom. That’s why I attempted to use learner-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in the English literature course. As is widely known, classroom activities have many advantages; channeling reader’s personal responses to various expressional forms, engaging readers to learn the process of analysing text and inducing their responses, and encouraging them to value their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 by accomplishing tasks by themselves. My students wer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so the course objectives were both to read texts for fun as a learner an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classroom activities as a teacher. Although I tried to keep the balance among lecture, discussion, and classroom activities, this paper mainly describes the process and reflections involved in classroom activities.

      • KCI등재

        플립러닝을 도입한 초급 교양일본어 수업의 실천연 :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와 교실내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곽은심,박재환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1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on activities in classrooms, this study introduced flipped learning to the beginner's-level general Japanese class, tested the learning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and examined learners' satisfaction. (1) The pop quiz is an effective measure for preventing negligent learning attitudes toward watching video clips. In addition, it serves to increase the self-initiated learning ability. (2) The flipped learning class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formative evaluation than the existing classes, indicating that the flipped learning class has significant learning effects. (3)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effects of the flipped-learning course was very high.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of inexperienced learners who first learn Japanese is higher than that of experienced learners. (4) Pre-learning in pre-class can narrow the gap between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learners. Even inexperienced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in classrooms, if they attend classes, after repeatedly watching video clips and taking adequate pre-learning. Video clips can be thus used as strong tools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s. (5) The perception of activities in classroom differs between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learners. Although the former cannot initially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m, but only focus on learning in the pre-class, they gradually perceive the importance as they continue to experience activities in classrooms. (6) Inexperienced learners also underestimate the effects of activities in classrooms, compared to experienced ones. It can be, however, found that some inexperienced learners' passive attitudes toward activities in classrooms have been gradually changed into active ones, given that the evaluation item, ‘④not effective’, was finally eliminated. 본 연구에서는 초급 교양일본어 수업에 플립러닝을 도입하여 플립러닝 수업방식에 따른 학습효과를 검증하고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교실내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1) 동영상 시청에 대한 소홀한 학습태도를 방지하기 위해서 쪽지시험은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또한 쪽지시 험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2) 플립러닝 강좌는 기존방식의 강좌와 비교했을 때 형성평가의 결과가 높았으며 이는 플립러닝 수업방식에 는 학습효과가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 준다. (3) 플립러닝 수업방식의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놓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어를 처음 배우는 미학습자의 만족도는 기학습자보다 높다. (4) Pre-class에서의 사전학습은 기학습자와 미학습자 간의 갭의 줄일 수 있다. 미학습자들도 동영상 자료를 반복적으로 시청하고 충분한 사전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In-class에 임하게 되면 교실내 활동에 대해서도 적극 성을 보인다. (5) 교실내 활동에 대한 인식은 기학습자와 미학습자 간에 차이를 보인다. 미학습자들은 처음에는 Pre-class 의 학습에만 치중하여 교실내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다가 교실내 활동을 계속 경험하면서 중요성을 점 차 인식하게 된다. (6) 교실내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도 미학습자는 기학습자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다. 다만 '④효과적이지 않다' 는 평가가 최종적으로 없어진 것을 보면 교실내 활동에 소극적이었던 일부 미학습자들의 태도가 점차 적극적으 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창의성 요소 분석: 과학과, 영어과, 미술과, 음악과를 중심으로

        김진석 ( Kim Jin-seok ),강훈식 ( Kang Hun-sik ),박지숙 ( Park Ji-sook ),노철현 ( Roh Cheol-hyeon ),조경선 ( Cho Keoung-sun ),정연현 ( Chung Yun-hyun ),이삭 ( Lee Sa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의 영역 특이성에 기초하여 교과별 창의성 요소를 정련하여 제시하고, 해당 요소를 분석 기준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는 교과는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 만큼,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제약과 함께 창의성 함양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음악’, ‘미술’,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서 ‘영어’ 교과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이 중 일부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초등학교 6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은 과학 창의성 요소 중 ‘과학 지식’, ‘기초탐구과정기능’을 요구하는 활동에 치우쳐 있으며, ‘통합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력’을 요구하는 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영어 교과서의 경우 ‘수렴적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이 요구되고 있었고, 여기에 비하여 ‘확산적 사고’가 요구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로, 미술 교과서의 경우 인지적 요소중 ‘시각적 사고력’, ‘연결적 사고력’과 정의적 요소의 ‘과제집착력’, ‘소통·협력’ 요소는 각 단원에서 대체로 골고루 포함되어 있었지만, 인지적 요소 중 ‘공간지각력’, ‘문제해결력’, ‘융통성’, ‘유창성’ 및 정의적 요소 중 ‘내적 의지’ 와 ‘자아존중감’ 요소는 일부 단원에 한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 교과서는, 교과서를 발행한 출판사별로 강조점에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말하여 음악 창의성과 관련된 요소를 각 단원에 고르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결과가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는 해당 교과를 통한 창의성 함양에 필수불가결하게 요청되는 만큼, 향후 초등학교 과학, 음악, 미술, 영어 교과의내용은 창의성의 다양한 요소를 골고루 반영할 수 있도록 선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로, 각 교과 영역별 창의성 요소 사이에는 차별성뿐만 아니라 공통성도 있는 만큼, 교과 영역을 넘어서는 범교과적 창의성함양 방안, 또는 학제 간 창의성 함양을 위한 활동 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이 영역 특이성을 지닌 특수 창의성과 함께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방안은 향후 초등학생의 ‘창의성 함양 공통 모형’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uggest components of creativity for primary learners, and to analyze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in prim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definitions of creativ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presented, and the sixth grade prim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sed in the aspect of creativ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e textbook of science, activities of knowledge and basic inquiry skills were presente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other activities, but those of integrated inquiry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devised insufficiently. (2) In the textbook of English, activities of convergent thinking were composed predominently, but those of divergent thinking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any other activities. (3) In the textbook of art, there were activities equivalently and consistently developed for visual thinking, connective thinking power, task competing power, and collaboration, but in some parts of units, there are activities unequivalently developed for spatio-perception, problem-solving, flexibility, fluency, internal volition, and self-respect. (4) In the textbook of music, classroom activitie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were developed equivalentl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in developing activities for creativity. From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for fostering learner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need to be implemented in primary classe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 KCI등재

        Active Learning Classroom과 고정식 강의실에서의 플립러닝 비교 사례연구

        이상은 ( Sang-eun Lee ),송봉식 ( Bong-shik So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고등 공학교육에 플립러닝을 Active Learning Classroom(ALC)에 적용한 사례와 고정식 강의실에 적용한 사례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ALC 플립러닝과 고정식 강의실 플립러닝 사례 간에 사전학습, 학업성취, 수업만족도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ALC 플립러닝이 고정식 강의실 플립러닝에 비해 사전학습 영상강의 시청을 더 많이 하였고, 중간시험 점수는 낮으나 기말시험 점수는 더 높았다. 또한 수업 요인, 교수자 요인, 전반적 만족도 문항으로 수업만족도를 확인한 결과, ALC 플립러닝이 고정식 강의실 플립러닝에 비해 모든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사례연구는 플립러닝 강의실 환경으로서 학습자중심의 수업에 용이하도록 구축한 학습공간인 ALC 환경이 강의실에서 학생 중심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플립러닝에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s two cases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LC) and fixed classroom of advanced engineer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pre-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between ALC and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were compa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n ALC flipped learning watched more video lectures for pre-learning than those i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and achieved higher scores on final tests, though they obtained lower points on midterm exam. In addition, examination of class satisfaction with questions about class factors, instructor factors, and overall satisfaction revealed that ALC flipped learning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ll factors tha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he ALC environment, a learning space built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for flipped learning that requires active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전통 교실과 Active Learning Classroom 간 비교 연구: 학습 공간이 대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고은,신원석,김명랑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shaped by two different university classrooms: Traditional Classroom and ALC(Active learning classroom). We conducted survey of 71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ught by an identical instructor using same pedagogy. The survey questionnaires asked respondents about their percep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physical environments relations, teaching proficiency, social context, student satisfaction and immers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udent’s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ALC group,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higher awareness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physical environments relations, teaching proficiency, and instructor-student unofficial rel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촉진하여 학습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설계된 ALC(Active learning classroom)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A대학 71명의 학생(ALC 수업 43명, 일반교실 수업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실 구성요소 간의 관계, 교수자의 수업전문성, 교실의 사회․문화적 환경, 심리․정서적 환경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ALC 수업 학생들은 교수․학습과 물리적 학습환경의 관계를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CL 수업 학생들은 ALC 환경을 능숙하게 다루는 측면에서의 교수자의 전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LC 수업 학생들은 교수자와의 비형식적 관계가 보다 촉진되었다고 인식하였으나 심리․정서적 측면에서의 만족도 및 몰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학습공간 설계에 있어 교수․학습활동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