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nd the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5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융복합 인재 양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교육혁신 전략의 하나인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

      본 연구는 융복합 인재 양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교육혁신 전략의 하나인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능동학습강의실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할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지원 환경에서 교수와 전체 학생 간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팀별 토론, 협동 학습 및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A 대학 능동학습강의실에서 15주간 진행된 11개 정규 교과목 수강생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능동학습강의실 활용 경험은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능동학습강의실에서 학습했을 때 학습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능동학습 강의실에서 학습의 주체가 되는 자기조절학습 활동 과정을 통해 학습성과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 환경변화로 인해 학습 향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학습 성공의 결정 요인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학습강의실을 활용한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미래지향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nd learning outcomes in detail, which is one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nd learning outcomes in detail, which is one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 In th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learner'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plays a mediating role, and to find a specific strategy for the use of active learning classrooms. To this end, students of 11 regular courses held for 15 weeks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of A University, wher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y, team discuss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actice) are possible between professors and all students in a multimedia support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mproving learning when college students learn in the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classroom.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uld be confirmed, which can be seen as a high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y process, which is the courses of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elf-regulated learning played a role as a determinant of learning succes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learning due to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design using active learning classrooms was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po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상훈,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교육연구소 16 (16): 77-104, 2015

      2 박인우, "중등 교사가 인식한 현재 교실의 문제점과 미래 교실에 대한 기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265-290, 2010

      3 최고은, "전통 교실과 Active Learning Classroom 간 비교 연구: 학습 공간이 대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161-172, 2020

      4 박승호,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5-70, 2003

      5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21-38, 2008

      6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 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14 (14): 177-197, 1998

      7 한건우,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적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7 (7): 23-32, 2004

      8 김성빈, "온라인 고등․평생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원격교육연구소 13 (13): 85-107, 2017

      9 김성렬, "사이버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3 (3): 1-15, 2006

      10 이동국,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26 (26): 26-31, 2019

      1 배상훈,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교육연구소 16 (16): 77-104, 2015

      2 박인우, "중등 교사가 인식한 현재 교실의 문제점과 미래 교실에 대한 기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265-290, 2010

      3 최고은, "전통 교실과 Active Learning Classroom 간 비교 연구: 학습 공간이 대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융합학회 10 (10): 161-172, 2020

      4 박승호,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을 위한 동기적 요인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5-70, 2003

      5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7 (7): 21-38, 2008

      6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 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14 (14): 177-197, 1998

      7 한건우,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적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7 (7): 23-32, 2004

      8 김성빈, "온라인 고등․평생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원격교육연구소 13 (13): 85-107, 2017

      9 김성렬, "사이버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3 (3): 1-15, 2006

      10 이동국,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26 (26): 26-31, 2019

      11 최정윤,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99-222, 2009

      12 윤 현, "대학생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첨단 교수 학습-환경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ALC (Active Learning Classroom)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2015 (2015): 183-192, 2015

      13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59-184, 2005

      14 이현우, "대학교육에서 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733-754, 2018

      15 진혜경, "대학교육서비스에서 강의실의 물리적 환경이 학생만족과 수업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2 (32): 355-377, 2017

      16 도현미, "대학 전공 영역별 플립러닝의 교실수업 활동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61-1085, 2019

      17 최희선, "대학 교육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8 : 267-278, 2014

      18 김동일,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19 정주영, "고등교육 질 제고를 위한 대학생의 학습성과 향상방안 연구: 중ㆍ소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606-622, 2019

      20 이규녀, "e-learning에서 학습참여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요소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211-224, 2007

      21 박기훈, "e-learning에서 스마트폰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4 (14): 25-45, 2013

      22 Michael, J., "Where’s the evidence that active learning works?" 30 : 159-167, 2006

      23 Park, E. L., "Transformation of classroom spaces : Traditional versus active learning classroom in colleges" 68 (68): 749-771, 2014

      24 Beichner, R. J.,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for large enrollment undergraduate programs(SCALE-UP)project" 1 (1): 2-39, 2007

      2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26 McKeachie, W. J.,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Sup) : 1987

      27 Brooks, D. C., "Space matters: The impact of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on student learning" 42 (42): 719-726, 2011

      28 Chickering, A. W.,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3 : 7-, 1987

      29 Greer, T., "On the effects of active learning environments in computing education" 267-272, 2019

      30 Deci, E. L., "Need satisfaction and the self-regulation of learning" 8 (8): 165-183, 1996

      31 Baepler, P., "It's not about seat time: Blending, flipping, and efficiency in active learning classrooms" 78 : 227-236, 2014

      32 Carter, L. K., "In-class vs. online experiments: Is there a difference?" 43 (43): 4-18, 2012

      33 Dori, Y. J., "How does technology-enabled active learning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electromagnetism concepts?" 14 (14): 243-279, 2005

      34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ress. 13-39, 2000

      35 Pintrich, P. R.,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ress 451-502, 2000

      36 Lee, D., "From swimming pool to collaborative learning studio: Pedagogy, space, and technology in a large active learning classroom" 66 (66): 95-127, 2018

      37 Yildiz, T. G., "Examining self- regulation skills according to teacher-child interaction quality" 39 (39): 2014

      38 Hao, Q., "Effects of ac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934-939, 2018

      39 Prince, M., "Does active learning work? A review of the research" 93 (93): 223-231, 2004

      40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23): 614-628, 1986

      41 Durham, Y., "Classroom experiments : Not just fun andgames" 45 (45): 162-178, 2007

      42 Nusche, D.,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A comparative review of selected practices" OCED Publications 2007

      43 Van Horne, S., "Assessing teaching and learning in technology-infused TILE classrooms at the University of Iowa" Learning Initiative’s Seeking Evidence of Impact 2012

      44 Springer, C., "Apprentissage des langues en ligne et humanités numériques: une mise en équation"

      45 Bonwell, C. C., "Active learning: creating excitement in the classroom. 1991 ASHE-ERIC Higher education reports" ERIC Clearinghouse on Higher Education,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991

      46 Radcliffe, D., "A pedagogy-space-technology(PST) framework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learning places" 2008

      47 Lutes, B. L., "A flexible, intuitive classroom design that lowers barriers to incorporating active learning"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3.7 3.7 3.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9 2.68 3.751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