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신소영 ( Soyoung Shin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융복합 인재 양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교육혁신 전략의 하나인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능동학습강의실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할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지원 환경에서 교수와 전체 학생 간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팀별 토론, 협동 학습 및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A 대학 능동학습강의실에서 15주간 진행된 11개 정규 교과목 수강생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능동학습강의실 활용 경험은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능동학습강의실에서 학습했을 때 학습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능동학습 강의실에서 학습의 주체가 되는 자기조절학습 활동 과정을 통해 학습성과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 환경변화로 인해 학습 향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학습 성공의 결정 요인으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학습강의실을 활용한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미래지향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nd learning outcomes in detail, which is one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 In th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learner'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plays a mediating role, and to find a specific strategy for the use of active learning classrooms. To this end, students of 11 regular courses held for 15 weeks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of A University, wher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y, team discuss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actice) are possible between professors and all students in a multimedia support environment.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improving learning when college students learn in the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classroom.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uld be confirmed, which can be seen as a high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y process, which is the courses of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elf-regulated learning played a role as a determinant of learning success in the process of improving learning due to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a discussion on instructional design using active learning classrooms was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proposed.

      • KCI등재

        예비교사 훈련을 위한 아바타 활용 대화 시뮬레이션에서 뇌파측정을 통한 정서반응 측정에 관한 연구

        최동연 ( Dongyeon Choi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예비교사는 학생과 실질적인 면담을 경험할 기회가 적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가상학생 아바타와의 대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생과의 면담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때 시뮬레이션의 제시 유형과 가상 아바타의 감정 상태가 예비교사의 감성적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EEG(electroencephalogram) 측정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기본적 경청대화법인 SOLER모형과 실험불안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4가지의 감정 상태를 보이는 가상 아바타와의 대화 시뮬레이션을 HMD(Head Mounted Display)와 2D 모니터조건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은 시뮬레이션의 제시방법을 구획변수로 하여, 가상 아바타의 4가지 감정 상태에 따른 예비교사의 가상실재감과 EEG 측정을 통한 정서반응을 반복 측정하는 분할구획요인설계(split plot factorial design)를 적용하였다. 정서반응의 측면에서, 시뮬레이션 제시 매체 유형은 정서상태의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각성의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예비교사의 정서반응 중, 긍정과 부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서가는 가상 아바타의 감정 상태가 행복과 같은 긍정적 상태를 나타나낼 때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슬픔과 화남과 같은 부정적 상태를 나타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여, 가상 아바타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상 아바타에 의해서 제시되는 감정상태를 예비교사가 비슷한 수준에서 공감하고 있음을 타나낸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경청훈련을 적용한 본 연구는 가상 아바타의 얼굴표정, 몸짓 그리고 실재적인 시나리오를 통한 실재감을 불러일으켜 교사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되며, 감성적 반응유발가능성(emotional affordance)을 적용한 아바타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와 개발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할 것이다. Pre-service teachers need to constantly participate in the complex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ir students in the authentic educational fields. However, curren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does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y for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sufficient communication training and skills. Simulation-based learning is considered to be a natural solution for thi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otional response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EG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the simulation presentation modes and the emotional states of virtual avatar in dialogue simulation. The dialogue with four emotional states of virtual student avatar was performed both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monitor conditions. Emotional response (arousal and valence) through EEG was measured according to emotional states of virtual avatar. Types of simulation pres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te of arousal, indicating the high and low emotional states. The emotional states of the virtual avat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te of valence,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states. This study was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of the dialogue simulation system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owever,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pre-teacher's emotional response, the effectiveness of the simulation as a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in actual conversation with students was confirmed.

      • KCI등재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한 가상 환경 기반 대화 시뮬레이션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최동연 ( Dongyeon Choi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가상환경 기반의 대화 시뮬레이션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가상의 아바타와 대화를 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여 34명의 예비교사에게 대화 실습을 하도록 하였다. 대화 시뮬레이션학습 후 한국어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Korea Key Words in Context)과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의 넷드로(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에 나타난 주제어들의 중심성(centrality)을 확인하였다. 중심성은 계량화된 측정지표인 연결정도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의미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 측면에서의 효과는 비언어적인 행동 측면이 강조되었고, 일상적인 생활 대화를 적용하여 단시간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대화 시뮬레이션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가상환경에서의 학습경험을 객관적이며 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석 방법으로서 의미연결망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의미연결망 분석은 상호관련성이 있는 부분들을 명확하게 제시하기 때문에 분석결과를 적용하여 가상환경 기반 학습환경을 보다 정교화하며, 실제적 맥락제공을 위한 가상환경 학습환경 설계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 in conversation simulation for pre-service teacher based on virtual environment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t. For this purpose, a HMD(Head Mounted Display) based simulation which provided communication with virtual avatar was constructed and 34 pre-service teacher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communication through it. After conducting conversation simulation learning,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was examined by utilizing both KrKwic (Korea Key Words in Context) and Ucinet's Netdraw function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Centrality is divided into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which are quantified based on the measurement method and visualized as a semantic network.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learning effects of non-verbal behavioral aspect and preferred conversational simulation that could provide immediate feedback in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y applying daily life convers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firm the necessity of using semantic network as an analytical method that can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understand learning experiences in virtual environmen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expected to elaborate the virtual environment 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realistic contextu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