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관련공약이 당선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18대 총선을 중심으로 -

        나동규,이루지,남미경,김주희,김범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5 No.1

        This paper has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promises on electoral competi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860 candidates of all 18th General Election candidates in 2008 were selected as a subject, except parties which did not produce congressman. Data for candidates and collection for campaign promises of the 18th General Election in 2008 from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ere collected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fitting for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for physical education promises by Lee(1996) were modified and used, and competitiveness index by Hwang(2002)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t-test, Two-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WIN 18.0 program. As a result, first, as the result of t-test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whether having physical education promises, candidates having the promises had higher electoral competitiveness than candidates who do not have it. Second,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political party factors and whether the promises,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political party, the main effect between the promises and regionalism, and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the ruling/opposition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Third,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candidate factors and whether having the promises,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education, the main effect between the promises and age, and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incumbent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Fourth, physical education promi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ctoral competitiveness. Fifth, types of physical education promises that candidates suggested was facility, hold even, program, and club foundation were in order, and sport for all in facility accounted for majority in the promises. 본 연구는 체육관련공약이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8대 총선 입후보자 1113명 중 단 한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한 정당의 입후보자들을 제외한 86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홈페이지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관리 시스템(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8)’이 제공하는 후보자 데이터와 선관위에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보한 ‘제18대 총선 입후보자 공약집’을 본 연구에 맞게 조작화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체육관련공약의 측정은 이용식(1996)이 사용한 정의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당선경쟁력의 측정은 황아란(2002)이 개발한 당선경쟁력지수(C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이원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관련공약 유무에 따른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 집단이 공약을 가지지 않은 후보자 집단에 비해 당선경쟁력 지수가 높았다. 둘째, 정당요인에 따른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 지수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공약과 지역연고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공약과 주요정당의 주효과, 공약과 여야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후보자요인에 따른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공약과 학력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공약과 연령의 주효과, 공약과 현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체육관련공약은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후보자가 제시한 체육관련공약 유형은 시설 분야의 공약, 이벤트 유치, 프로그램, 스포츠클럽 분야 순이었으며, 시설분야 공약 중에서도 생활체육시설 공약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당 공천 유형과 경쟁도 그리고 선거 경쟁력

        전용주(Jeon, Yongjoo),공영철(Gong, Youngchul) 한국정치정보학회 2012 정치정보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정당 공천 유형의 상이함에 따라 후보의 본선 경쟁력은 달라지는지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2012년 4월 실시되었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주요 정당 공천 유형과 선거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 결과 본선 경쟁력에 대한 경선의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할 것이다. 특히 본선 경쟁력의 한 지표인 득표율에서 이러한 경향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천 유형과 본선 경쟁력 관계는 공천 유형별 경쟁 구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 선거구에서의 선거결과 1, 2위 후보의 득표율 차이는 경선 후보가 1위, 비경선 후보가 2위를 한 경우, 가장 크게 나타났다. 반면 경선 후보가 경쟁하여 1, 2위를 각각 차지한 경우, 혹은 비경선 후보가 1위, 경선 후보가 2위를 한 경우, 그 득표율 차이는 다른 경우보다 크지 않았다. 셋째, 공천경쟁도에 관한 것으로, 공천경쟁도가 높은 지역구에서 공천된 후보는 본선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것이 이 연구의 이론적 추론 또한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effects of variou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on the candidates’ electoral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the 19th General Election,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ed. The first question is wh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 selection to which political parties applied in the election for The second one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and candidates’ competitiveness in the election. This study finds the fact that the types of candidate selection did not have impact on a candidate’s electoral victory, but did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vote he or she received. It also finds that candidates. nominated in the district where the selection process were competitive, are more likely to win the election.

      • KCI등재후보

        정당공천유형과 후보의 본선경쟁력

        전용주(Yongjoo Jeon),임성학(Sunghack Lim),김석우(Seokwoo K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1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정당공천유형과 후보의 본선경쟁력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6년 기치단체선거에서 각 정당이 운용한 공천유형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 특징은 무엇인가?”이다. 둘째, “어떤 공천방식으로 선정된 후보들이 선거에서 경쟁력이 있을까?”이다. 공천유형과 본선경쟁력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당선 여부로 보면 공천유형별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득표율로 본 본선경쟁력은 하향식 비경선보다 상향식 경선으로 공천된 후보군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공천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에서 선정된 후보가 당선 여부와 득표율 측면 모두에서 강한 본선경쟁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현직 여부와 공천유형, 그리고 본선경쟁력은 의미 있는 상호 관계를 보여주었다. 현직 후보군이 비현직 후보군보다 당선 여부와 득표율에서 모두 높았으며 특히 현직 후보군의 본선경쟁력은 공천방식이나 공천경쟁도과 상관없이 높았다. 그러나 비현직 후보군의 경우 하향식 비경선보다는 상향식 경선방식으로 공천된 경우에 당선여부와 득표율 모두에서 상대적인 경쟁력 우위를 보여 주었다. Based on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the 4th local election of 2006,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le effects of variou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on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the candidates' electoral competitiveness.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ed. The first question is wh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 selection to which political parties applied in the 2006 local election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s and members of local councils. The second one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and candidates’ competitiveness in the election. It finds the fact that the types of candidate selection did not have impact on a candidate's electoral victory, but did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vote he or she received. It also finds that candidates. nominated in the district where the selection process were competitive, are more likely to win the election. This correlation becomes stronger in the case of non-incumbent candidate. Non-incumbent candidates were foun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in getting more votes and winning the election.

      • KCI등재

        후보의 선거 경쟁력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전용주 21세기정치학회 201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9 No.4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at factors have affected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f a candidate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Electoral competitiveness wa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votes obtained by individual candidates and whether they won the election or not. Based on previous research, hypotheses concerning electoral competitiveness was derive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followings: first, individu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property,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political factors such as major political parties,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whether or not a candidate was nominated through primary. The regionalism factor was used as a control variab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a candidate were a candidate’s property, the incumbency, whether a candidate belongs to major political parties or not, to ruling or opposing parties, and whether a candidate was nominated by the primary or not.

      • KCI등재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과 본선 경쟁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이가림(Lee, Ga-Lim),조원빈(Cho, Won-Bin) 한국동북아학회 2022 한국동북아논총 Vol.27 No.1

        정당의 공천은 후보자의 본선경쟁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253개 지역구 대상으로 추천한 후보자 488명과 개별 지역구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공천 방식이 후보자의 본선득표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통계분석 결과, 국회의원 선거에서 상향식 공천 방식은 비현직 후보들의 본선득표율 향상에 기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의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정당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공천이다. 공천은 치열한 당권 경쟁의 산물이며 당의 이미지와 정책을 둘러싼 갈등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정당이 공천한 후보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획득하고 선거에 승리해 당선자가 된다. 선거를 앞둔 정당의 공천 결과는 이 정당이 승리하면 앞으로 어떻게 정당의 리더십을 구성하고 어떠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지에 대한 정보를 유권자에게 미리 제공하게 된다. 정당 공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정당의 제도화와 더불어 민주주의의 심화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ow does a party’s candidate selection method affect a candidate’s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the 21<SUP>st</SUP> National Assembly elections, both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United Future Party selected 488 candidates for 253 constituencies. Using data set on the 488 candidat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andidate selection methods sh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candidate’s vote share in the election.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bottom-up method actually increases the vote share for a non-incumbent candidate in the constituency. Candidate selection is one of the key functions of political party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final results of candidate selection are the product of power struggle among factions within a party and debates over party policies. Candidate selection of a party can provide voters with information about how the party’s leadership will be formed and what policies it will focus on if the party wins the elections. A study on a party’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litical party as well as the deepening of democracy.

      • KCI등재

        정당공천의 기준으로서 여론조사 활용의 헌법적 문제점

        윤정인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echn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of public survey dependent candidate selection within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and to prove its constitutional limits. Candidate selection in a democratic way is very crucial for the intra-party democracy as well as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erefore, Constitutional law and National Election Act provide that a political party shall observe the democratic procedure when recommending its member as a candidate for the election. Considering candidate selection within the political parties is also a part of the national election, undemocratic way of selection will have bad effects on the election results and, furthermore, on the state institution which will be organized thereby. Thus, the political parties should neither select candidates for the national election in unclear and undemocratic way nor violate general principles of the election. Nowadays the public surve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ntire process of candidate selection within the political parties. From the very fist step of selecting candidates, which is called ‘cut-off’, to the next step of competition among those who passed the cut-off process, the party selects its candidates for the election with reference to the public survey. But it has undeniable technical limits, represents the electorate partially, and, therefore, has a possibility to distort the results of the 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such survey results on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could violate the voters’ right to select a candidate as well as the candidates’ right to fair competition, too. Furthermore, it could lead to violation of every citizen’s fundamental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mocratic process of the election, to run for the election, to take a public office, and the party member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the party. 이 논문은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드러난 당내공천의 문제점을 화두로 하여, 특히 정당후보자 공천기준이자 방법으로 ‘여론조사’를 활용하는 것이 어떤 이론적, 현실적, 규범적 문제점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정당민주주의의 핵심적 과제인 ‘민주적 정당공천’의 중요성에 대한 헌법이론적 근거와 그것을 토대로 한 민주적 정당공천의 헌법적 기준 및 한계를 검토하였다. 헌법과 법률은 공직선거의 출발점인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있어서도 그 절차가 민주적이어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국가선거과정의 일부인 정당내 공천과정에 대하여, 비민주적 정당공천 내지 선거의 일반원칙을 위반한 정당공천이 국가선거에 미치는 폐해와 국가제도 형성에 미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헌법적 통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당내경선의 방법 중 하나로 도입된 여론조사는 공천의 전과정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후보자공천의 시작단계인 자격심사단계(Cut-off)와 이를 통과한 후보자들의 당내경선에서 선정기준이 되고 있으며, 심지어 정당간 내지 계파간 갈등이 심각한 경우 후보단일화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여론조사는 많은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국민들의 다양한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왜곡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러한 근본적인 결함이 치유되지 못한 여론조사 결과가 정당의 후보자 공천과정에 비중있게 반영됨으로써, 유권자의 후보선택권이 봉쇄되거나 후보자의 공정한 경쟁을 할 권리가 침해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방법적으로 많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는 여론조사를 경선과정에 사용함으로써 공천신청자의 선거에 입후보할 권리와 공무담임권 및 선거과정에서 민주적 절차에 참여할 권리를 침해하고, 당원이 정당후보 결정 등 당내의사결정절차에 참여할 권리를 침해하며, 유권자의 알권리 및 선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수단으로서의 적정한지 여전히 의문이며 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여론조사가 공천기준이 됨으로써 헌법상 선거의 기본원칙들이 침해될 수 있다.

      • KCI등재

        치안관련공약과 당선경쟁력의 관계-19대 서울지역 총선을 중심으로-

        이창한 ( Chang Han Lee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안관련공약과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유권자는 자신의 거주지를 대표하는 후보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선거공약 등을 포함한 많은 요인들을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많은 공약 중 치안관련공약을 얼마나 고려하면서 투표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대 서울지역 총선출마자 중 당선가능성이 높았던 여당과 야당후보 9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후보자 데이터 및 공약내용과 연구자가 직접 총선출마자 캠프로부터 얻은 공약집에서 치안관련정책과 당선경쟁력 등의 변수를 조작화하였다. 치안관련공약과 후보자의 당선경쟁력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안관련공약 유무에 따른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유권자들은 정치공약과 환경공약의 유무에 따른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보였던 점을 통해, 여전히 서울지역 유권자들은 치안관련문제 보다는 정치 및 환경공약에 더 민감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당요인에 따른 치안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 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치안관련공약과 집권당여부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셋째, 후보자요인에 따른 치안관련 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 지수의 차이에서는 치안관련공약과 현직여부의 주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서울지역 유권자는 치안관련공약 보다는 정치적 환경요인을 후보자 선택에 있어 더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ace promises and electoral competitiveness for the 19th General Election in Seoul. To achieve this goal, 96 General Electoral candidates were selected in Seoul.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candidates` data and campaign promises were collected from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website of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In this study, by using the STATA 10.0 statistical package, t-test, two-way ANOVA,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ace promises and electoral competitiveness from the measurement for public peace promises by Choi(2008) and competitiveness index by Hwang(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candidates on the public peace promises however, political and environmental promis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andidates. In other words, for electoral competitiveness, public peace promises candidates had not higher electoral competitiveness than political and environmental promises candidates. The results of two-way ANOVA suggest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on electoral competition. Moreover,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candidate factors and whether having the promises, th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age, education, and incumb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본 여성 후보의 선거 경쟁력

        박민규(Minkyu Park),가상준(Sangjoon Ka)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1 동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 후보들의 선거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21대 국회의원선거는 역대 가장 많은 여성후보자가 공천된 선거였지만 이 중 상당수가 당선가능성이 희박한 소수정당 후보였다. 이로 인해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에 한정하여 새로운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통계분석 결과 전체 여성후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지역구 현역 의원, 더불어민주당 소속, 영남의 미래통합당 후보 변수가 여성후보의 당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여성후보 득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현역 여부,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영남지역의 미래통합당 후보, 선거자금의 변수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분석 대상을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으로 한정할 경우 더불어민주당 소속, 영남지역의 미래통합당 후보가 당선여부에, 지역구 현역 의원과, 영남의 미래통합당 후보, 선거자금 변수가 득표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당별 분석 결과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압승이라는 전체적인 선거구도 속에서 현직효과가 두드러졌지만 낙선자는 영남 등 약세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래통합당의 경우 현직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영남, 강남 등 강세지역의 비현직 후보들의 선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 연령, 재산, 선거자금 사용정도, 경력 등 후보의 개인적 특징은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후보의 선거경쟁력이 개인적 요인보다는 정당에 의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국회 내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구 여성할당제의 강화, 지방선거로의 적용범위의 확대 등의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had an effect on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f women candidate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women candidates in history, but many of them were candidates from the minor Party with little chance of winning. Therefore, another analysis was attempted, limited to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United Future Party(current People Power Party).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incumbent candidate,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candidates of the United Future Party in Yeongnam reg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ectoral results of female candidates. On the other hand, as factors affecting the vote share of women candidates, the study found that incumbent effect, the Democratic Party, the United Future Party, the United Future Party candidates in the Yeongnam region, and campaign spend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When focused on the Democratic Party, the incumbent effect was prominent in a landslide victory, but most of the losers were in weak areas such as the Yeongnam region. In the case of the United Future Party, no incumbent effect could be found, but challengers from advantageous constituencies such as Yeongnam region and Gangnam performed well.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hat the candidate s personal factors such as age, wealth, campaign spending, and career had no effect on the electoral resul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y effec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having an influence on competitiveness of women candidate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This implies that strong actions such as strengthening the women s quota system in constituenci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to local elec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후보공천과정의 민주화와 그 정치적 결과에 관한 연구

        전용주(Yongjoo Jeon)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2004년 4월 15일 실시되었던 제17대 국회의원선거는 한국 정당사에서 중요한 분수령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정당의 민주화와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적 장치라고 평가되었던 “상향식 경선”에 의한 후보 공천 방식이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17대 총선에서 나타난 주요 정당의 공천 과정의 변화와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17대 총선을 통해 공직후보자 공천 과정의 민주화에 대한 이론적ㆍ경험적 논의를 진행시킬 것이며 향후 그러한 변화가 가져올 정치적 결과와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 후보공천 과정의 민주화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17대 총선에서 나타난 한국정당의 후보 공천 과정의 형태와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정당의 후보 공천 과정 변화는 민주화 과정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가? 셋째, 이러한 변화는 어떠한 정치적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 넷째, 문제점과 제도적 대안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총선 출마 후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공천 과정의 변화여부와 그 특성, 그리고 공천 과정에 대한후보들의 인식과 인식 변화 그리고 그 정치적 결과에 대한 논의를 구체적으로 진행시키고자 한다. Candidate selection is vital to political parties, and it has received little scholarly atten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riteria of democratization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candidates ran for the 17<SUP>th</SUP> general election of 2004,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arties' candidate selec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democratization of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in part, has occurred and the role of the individual party members in the process becomes greater than ever in Korean parties.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will be likely to further democratize their candidate selection practice in an attempt to maximize their chances to win the election, in that democratization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tends to strengthen the candidates' competitiveness. This article concludes by presenting some policy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democratizing candidate selection.

      • KCI등재

        정당 없는 정당효과?: 교육감 선거 후보자의 당선경쟁력 결정요인 재검토

        함승환(Ham, Seung-H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1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지는 현행 교육감 선거에는 정당의 관여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교육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 가치에 기초하여 정당은 교육감 후보를 추천할 수 없고, 교육감 후보자 역시 특정 정당과 정책적으로 공조 관계임을 표방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정당 배제의 원칙을 적용받는 교육감 선거에 실제로 정당효과가 발생하지 않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두 차례의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진 2014년 및 2018년 교육감 선거 결과를 토대로 교육감 후보자의 당선경쟁력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감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은 정당과 연계된 정치진영 역동에 의해 크게 좌우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교육감 후보자 가운데 시·도지사 당선자의 소속 정당과 정치적 진영이 일치하는 교육감 후보자가 그렇지 않은 후보자에 비해 당선경쟁력이 뚜렷하게 높았다. 또한 동일한 정치진영의 후보자가 함께 경쟁할 경우 이는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육감 선거에서 사실상 정당효과가 작동하고 있을 개연성을 시사한다. 교육감 후보자에 대한 정당 공천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그것이 정당효과를 제거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f candidates in local elections for educational superintendents in Korea.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ct prohibits the alliance between candidates of educational superintendents and a particular party in order to ensure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To examine if such political impartiality was actually realized in recent ele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ofiles of the candidates and their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2014 and 2018 local elections. The results revealed a strong effect of the candidates’ political profiles on their electoral competitiveness, leading us to suspect the presence of what may be called a pseudo-party effect despite the formal prohibition of candidate-party al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