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물기후를 이용한 위해우려종(양서류)의 국립공원 서식 가능성 예측
박민규(Minkyu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1 No.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signated potential risk species to prevent and effectively manage the alien species. This study predicted the potential habitat possibilities of the Korea national park for amphibians sensitive to climate change, present and future climate and us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prediction. There are six amphibians for predicting habitat potential, and seven cas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present, RCP 4.5, RCP 8.5).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s, Japanese common toad and Japanese brown frog were predicted to be inhabitable in most national parks. The reason may be that the bio-climate was also similar, because their latitude of native distributions area were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Marsh frog, Pool frog and African clawed frog are less habitat possibilities, due to differences in the extreme bio-climate between the native distributions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박민규,박무종,김상단,주진걸,Park,Minkyu,Park,Moojong,Kim,Sangdan,Joo,Jingul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극치호우로서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기존의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호우 예측은 평균적인 모델링 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어 극한값의 재현이나 거동 예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온의 변화와 물리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가강수량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를 직접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가 향후 100년 이후 약 40%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률강우량의 변동폭 등과 관련해서도 간접적인 참고수치로 이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change was predicted using RCP 8.5 IPCC climate change scenario as extreme storm change. The modelling results based on average have the restriction on extreme rainfall value representation and future behavior predi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uses air temperature change and precipitable water relationship in order to calculate the magnitude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 results showed about 40% increase i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se were expected to use as reference of extreme storm increase such as IDF changes.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박민규,송영석,김상단,박무종,Park. Minkyu,Song. Youngseok,Kim. Sangdan,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지역과 수해취약성인자의 비교를 통하여 수해에 취약한 고위험지역을 배수분구단위로 평가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도시침수지역은 침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침수면적과 침수횟수로 구분하여 분석되며, 도시지역에서 자료수집이 용이한 저지대지역, 통수능력부족관거, 불투수지역, 유출곡선지수가 수해취약성인자로 선정된다. 방법론의 적용으로, 중랑천 수계를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취약한 고위험 배수분구가 식별된다.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of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and so on, the risk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this, quantitative analysis for flood damage that occurs in urban areas is needed. In this study, a methodology assessing high-risk areas vulnerable to flooding in units of drainage catchments by comparing the city`s flood zone and flood vulnerability factors is proposed. Using flood damage data, the city`s flood zone is delimited by inundation area and inundation frequency to be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ease of date collection, lowland areas, lack of sewer discharge capacity, imperviousness, and runoff curve number are selected as the flood vulnerability factors. As an application, high-risk drainage catchments vulnerable to flooding in Juanang stream watershed are identified.
증거기반 정책형성제도로서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민규(Park Minkyu),김대진(Kim Daejin)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과학적 정책수립과 평가를 위한 증거기반 정책관리제도는 아직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고, 공식통계증거에 기반하여 정책의 집행과 평가를 위한 통계기반 정책집행평가제도만 제도화되어 있다. 통계기반 정책집행평가제도는 증거기반 정책수립의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공식통계의 범위가 확장되고, 통계의 품질요건도 정책적 중요성에 따라 구분되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가 증거기반 정책관리제도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증거의 범위, 제도 적용 정책과정과 대상의 범위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통계데이터 거버넌스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가 증거기반 정책수립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총리실에서 통계기반정책사업에 관한 총괄적 관리를 맡고, 통계청을 총리실 산하 처급으로 조직을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증거기반의 증거의 범위가 공식적 통계의 영역을 넘어 충분히 넓어지기 위해서는 부처 할거주의와 개인정보와 사생활 보호 등 공사(公私) 영역의 정보접근 제약요소도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The evidence-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for scientific policy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has not yet bee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nd only statistics-based policy execution evaluation system for policy execution and evaluation based on official statistical evidence is institutionalized. The statistics-based policy execution evaluation system needs to develop in the direction of evidence-based policy establishment, and for this purpose, the scope of official statistics needs to be expanded, and the quality requirements of statistics need to be classified and managed according to policy importance. In order for the statistics-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to develop as an evidence-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scope of evidence, the policy process applied to the system, and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a statistical data governance system must be established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statistics-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to develop into evidencebased policy establishment, it is necessary to take over the overall management of statistics-based policy projects in the Prime Minister s Office and upgrade the organization to the level under whic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s under the Prime Minister s Office.
박민규(Park Minkyu),박창열(Park Changyeol),신기일(Shin Key-Il),유철상(Yoo Chulsang)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6B
크리깅은 강우현상의 공간적 분포문제를 다루는데 가장 널리 시용되는 방법이나 선택한 베리오그램에 따라 예측결과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일강우량을 대상으로 적정 베리오그램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강 우량자료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발생과 상관성이 높은 이차변수를 함께 고려하여 베리오그램을 유도하는 것이 보다 적정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정적인 적용사례이나 크리깅 적용에 필요한 적정 베리오그램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베리오그램인 Mat?rn 상관함수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Kriging is widely applied to dealing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however its prediction resul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variogram type. This study investigated adequate variogram for daily rainfall. The comparative results show that kriging prediction with covariates is better than that without covariates. The Mat?rn correlation function, which is the most general type variogram, is recommended if adequate variogram is difficult to determ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