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은아,박기환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aging anxiety scale for Korean middle-aged adults to determine whether existing known factors could affect their aging anxiety and to see how the pattern of the aging anxiety in Korean middle-aged might vary depending on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iddle-aged aging anxiety scale, the aging knowledge scale,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scale, the age stereotypes scale, and the death anxiety scale for 246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 to 59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total aging anxiety score, aging anxiety of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for the following sub-factors of aging anxiety: 'loss of economic power', 'loss of physical health', and 'loss of attractiveness'. In addition, gende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aging anxiety. However, knowledge of aging,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elderly (frequency and quality), and stereotypes of the elderly did not affect aging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를 활용해 기존에 알려진 노화불안 요인들이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 성별에 따라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만 40세 이상 ∼ 59세 이하의 중년 남녀 246명을 대상으로 한국 중년기 노화불안 척도, 노화지식 척도, 노인접촉경험 척도, 노인고정관념 척도, 죽음불안 척도를 사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 노화불안 총점 및 하위 요인인 ‘경제력 상실’, ‘신체건강 상실’, ‘신체매력 상실’에서 여성의 노화불안이 남성의 노화불안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성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 노화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노화지식, 노인접촉경험(빈도, 질), 노인고정관념은 중년기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김화선,양정남,최은정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ging anxiety, knowledge about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aging anxiet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Aging Anxiety Scale: AAS from Lasher & Faulkender (1993) and Kyung san scale, knowledge of ag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35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from Gwangju and Junnam area. The data was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knowledge on aging was 58.9% The participants were an adult group whose score was lower than the social workers(65.3%) and nurses group(65.5%).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aging anxiety was 2.80 out of 5.00. The sub score shows that fear of elderly among participants was 2.77, fear of loss was 3.11, fear of psychological instability was 2.2, fear of physical appearance was 2.98.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aging anxie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at sex, age, level of education, education on aging, volunteering experience of working with elderly. Fourth,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ing anxiety and knowledge on aging. This fact implied that the greater ones knowledge on aging the lower the aging anxiety.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knowledge on aging and volunteering experience working with elderly was a most influential factor towards participant's anxiety about aging. In conclusion,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es which included lectures an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anxiety about aging and improve quality of elderly 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노화불안 수준과 노화사실인지정도를 파악하여,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 ․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일반성인 335명으로, 수집된 질문지 중 3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Lasher &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 척도(Aging Anxiety Scale: AAS)의 20문항 중 19문항과 윤진 ․ 조석미(1982)의 경산노화사실인지척도 24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상자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의 정답률은 58.9%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사(65.3%), 간호사(65.0%)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5점 만점 척도에서 2.8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2.77점,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3.11점, 심리적 불안정이 2.20점,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이 2.9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노인복지 관련 과목 이수경험, 향후 노인관련 업무 희망 여부, 노인대상 자원봉사 경험 유무에 따라 총노화불안이나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 사이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를 통해서 노화사실인지정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화사실인지정도와 자원봉사경험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화사실인지 교육의 필요성과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조인희,김영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death anxiety on aging anxiety of middle aged.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306 middle age adults.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21.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s results, aging anxiety of middle aged was higher than a moderate level.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on aging anxiet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death anxie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ing anxiety of Middle Ag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orporating these variables showed an explanation rate of aging anxiety at 40.1%. Based on the study result, intervention is needed to develop for decreasing aging anxiety as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in middle aged. Furthermore, it needs additional study about explor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the aging anxiety of middle aged.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는 중년기 성인 30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WIN 21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한 결과 중년기의 노화불안의 정도는 중정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사회 인구학적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가 노화불안에 유의한 영향요인이 었다. 변수들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의 노화불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이러한 요인들이 노화불안을 설명하는 정도는 40.1%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준비로서 노화불안을 낮출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중년기를 대상으로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추후 연구가 계속되길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김 욱(Wook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6 No.-

        이 연구는 대학생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대학생 개인 및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화불안의 차이를 파악하고,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권의 5개 대학 학생으로부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 중 유효한 840부를 SPSS 15.0 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Lasher와 Faulkender(1993)의 노화 불안척도(Anxiety about Aging Scale)와 개인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노화불안감은 5점 척도에서 평균 2.84점이었고, 하위요인별 점수는 상실에 대한 두려움 2.98점, 노인에 대한 두려움 2.93점, 심리적 불안정 2.51점 순이었다. 둘째, 개인특성(성, 연령, 가구 경제상황, 종교, 주요 성장지역) 및 노인관련특성(노인관련 교육경험, 노인대상 봉사경험, 노인과 생활경험의 양, 노인과 생활경험의 질)에 따른 노화불안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반영한 모든 변인들에 따라 전체 혹은 하위요인별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개인 및 노인관련특성을 포함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노인과의 생활경험의 질, 가구의 경제상황, 성, 노인대상 자원봉사, 연령순이었고, 회귀모형은 전체노화불안감 변량의 20.5%를 설명해 주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생의 노화불안감 이해와 감소와 관련한 정책, 실천,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ing anxiety level and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aging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Eight hundreds and forty students from five universities in Seoul City,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aging anxiety was investigated by the Aging Anxiety Scale(AAS) developed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Other socio-demographic and age related variables were used as influencing fact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f SPSS 15 WI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ag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as 2.84/5. In addition, the level of fear of losses was 2.98, of fear of old people was 2.93, and of psychological concerns was 2.51. (2) Results of b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all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sex, age,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 religion, growing up area, experience of getting education about the elderly. volunteer experience for the elderly, quantity of contact with the elderly in life, and quality of contact with the elderly in life) influenced significantly either the level of total aging anxiety or sub-scale of aging anxiety. (3)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strongest predictor influencing ag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as the quality of contact with the elderly in life, followed by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 sex, volunteer experience for the elderly, and age, accounting 20.5% of the variance of aging anxiety.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for understanding and reducing ag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김재희(Kim, Jaehee),김욱(Kim, W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4

        본 연구는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61 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우울은 Kroenke 등 (2001)의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노화불안은 Lasher와 Faulkender(1993)의 Anxiety about Aging Scale(AAS), 자아통제감은 Pearlin 등(1981)이 개발한 Sense of Mastery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상실과 외모에 대한 두려움’이나 ‘노년기에 대한 걱정’이 높을 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자아통제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노년기에 대한 걱정’,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이 높을수록 자아통제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화불안 하위요인 중에서는 ‘노년기에 대한 걱정’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통제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노화불안을 낮추고 자아통제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depression and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mastery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261 elderly and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by Kroenke et al.(2001), Anxiety about Aging Scale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and Sense of Mastery Scale by Pearlin et al.(1981).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ging anxie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fear of losses and physical appearance’ and ‘concern of old a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pression. Second, aging anxie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nse of mastery.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concern of old age’, ‘fear of old people’ and ‘psychological concer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ense of mastery. Third, sense of master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lso among the sub factors of aging anxiety ‘concern of old ag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y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bout aging and increasing sense of mastery were further discussed. Also,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정순둘(Chung, Soondool),정주희(Jeong, Juhi)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2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 통합 설문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aging anxiety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and to find out what alternatives should be socially prepared to lower aging anxiety.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17 adults who are aged 18 and over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18-44 age group, 45-64 age group, over 65 age group.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according to each age group, 2)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found to affect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all age groups, 3) ‘perceived maximum age possible to work’ was influencing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18-44 age group and 45-64 age group, 4) ‘perception of fairness to the operation of social system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the 45-64 age group and over 65 age group, 5)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nd ‘aging-friendly environm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only in over 65 age group.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정훈(Jung-Hoo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화불안의 감소를 위한 교육과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B광역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0일부터 동년 5월 28일까지 수집하였다. 총 대상자는 2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 으로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연령, 교육수준, 가구월평균소득, 결혼생활만족도, 여가시간 활용종류, 친구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화불안과 사회적지지,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결혼생활 만족도,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42.7%로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활동 참여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이나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관계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노화에 대한 올바른 적응과 긍정적인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ir aging anxiety, with the ultimate goal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devising educational and interventive programs to help reduce aging anxie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0 middle-aged women living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0 to 28, 2018,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ing anxiety depending on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marital life satisfaction, leisure time activities, and number of friends. In addition, aging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women"s aging anxiety were found to be self-efficacy,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these, self-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 explaining 42.7% of the participants" aging anxiety. To help middle-aged women reduce their aging anxie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rograms that improv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raise self-efficacy and promote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communitie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se women be provided with educational and interventive programs that help them adjust to aging and develop a positive awareness of it.

      • KCI등재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기대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정석식 ( Seok Sik Jeong ),박상범 ( Sang Beom Park ) 한국생산성학회 2015 生産性論集 Vol.29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xpectant retirees’ psychological causes of aging anxiety and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to retirement preparation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The first analysis result that expectant retirees’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has positive significant effect indicates if one has the higher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he or she prepares for retirement more thoroughly, which shows expectation leads to preparation. The second analysis result show that expectation of expectant retirees’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influences significantly to retirement preparation. The third analysis result shows that aging anxiety affects not negatively to the expectation for successful aging but positively. The first two results do not deviate from to some extent what we can expect in general. However, the third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from our expectation. The result can be explained this way. That is, among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aire more than half (63.4%) are the age of 40’s. Aging anxiety influences to expectant retirees in terms of successful ag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ge. That is, in their 40’s, people view aging anxiety more of positively than negatively. This result implies that aging anxiety should be analyzed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regarding retirement preparation, and comparison studies between early 40’s and impending expectant retirees and retirees should be conducted. This result is important because in this country the speed of aging is the fastest over the world, the so-called baby-boomers are just started to retire without enough preparation, individuals as well as the government is not prepared for the situation of aged society. Therefore every possible means should be adopted and executed to reduce problems rising from the situation. But the means should be elaborate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as this study results show.

      • KCI등재

        대학생과 노인의 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1

        이 연구는 남녀 대학생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화불안에서의 연령차와 성차를 확인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노화불안과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동시에 노화불안에 미치는 5요인 성격특성의 상대적 영향력도 함께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노인들보다 더 큰 노인에 대한 공포를지니고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큰 신체 외모에 대한 걱정을 지니며 상실의 공포에서는 노인들이 대학생들보다 그리고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크게 경험하였고, 여자 대학생들은 남자 대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더 큰상실의 공포를 경험하였지만 남녀 노인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노화불안과 특성불안의 관계는 대학생들과노인들에서 서로 상이하였고 노화불안과 성격특성들은 비록 노화불안의 하위차원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양자 간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학생들은 낮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높은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닐 때, 노인들은 높은 정서적 불안정과 낮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 및 높은 특성불안을지닐 때 노화불안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노화불안의 어떤 측면들은 성격특성의 영향을 받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변화에 저항적인 경향이 있음이 확인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aging anxiety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d, trait anxiety and 5-factor personality traits according to age and sex and relative effects of 5-factor personality traits on aging anxiety with college students and older adults. Results revealed college students had higher fear of old people than older adults, female had higher fear of physical appearance than male,and female older adults had highest fear of loss followed male older ones,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older adults indicated different patterns in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d traits anxiety. Also 4 dimensions of aging anxiety were differentially related to personality traits in all participants. On the whole college students' aging anxiety tended to increase as having lower openness to experience and higher neuroticism, while older adults' aging anxiety to increase as having higher neuroticism, lower openness to experience and higher trait anxiety.

      • KCI등재

        중년 여성들의 노화불안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법에 대한 만족도

        정문신,권혜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is study surveyed satisfaction on perception and improvement measure about aging anxiety of middle-aged women facing emotional depression and crisis in the middle age of their life, and aimed to present cosmetic alternatives for a successful aging.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for 215 females in their 40s and 50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41.9%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ir aging had progressed and mentioned they needed a full-scale management and improvement. Also, 36.1% of them expressed a sense of anxiety about the progress of aging and this anxiety was shown strongly in their early middle age, and personal and social stress were pointed out as the cause of aging. Getting skin car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using functional cosmetics or surgical operations for aging improvement but it did not meet the strong needs of middle-aged women desiring to improve aging. In particular,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give up their assets and lifespan for aging improvement showing strong desire, and the reason for that was ‘self-satisfaction’ which accounted for 60.4%.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diverse and effective cosmetic alternatives should be prepared as a method to satisfy their desire for improving aging. Also, it is judged that developing such programs would be an important means to recover psychological pressure and aging anxiety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인생의 중년기에 정서적 우울과 위기를 맞게 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노화불안에 대한 인식과 개선욕구 및 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성공적 노후를 위한 미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40~50대 여성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41.9%가 현재 노화가 진행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본격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한 시기라고 응답하였다. 또 36.1%는 이러한 노화진행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하였으며 이는 중년초기에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원인으로는 개인적, 사회적 스트레스를 지목하였다. 노화개선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능성화장품 사용이나, 의료적 시술보다 피부관리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노화개선을 하고자하는 중년 여성들의 강한 욕구충족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들의 대부분은 자신의 노화개선을 위하여는 재산과 수명을 포기하겠다고 응답하여 강한 개선욕구를 나타내었고, 그 이유로는 ‘자기만족을 위해서’가 60.4%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노화개선을 위한 욕구 해소 방안으로 다양하고 효율적인 미용적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년여성들의 심리적 압박과 노화불안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