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문학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 탐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난점들

        엄경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The aesthetics of ugliness is to be said to expose firmly what we conflict with or want to deny. Because the ‘ugliness’ involves a considerable amount of human truth to be undeniable. The artists who practice the aesthetics of ugliness are those who devote themselves to the ugliness just as we devote ourselves in everyday to the beauty. But it is actually not easy to evaluate this aesthetics of ugliness as an art. The necessity and aporias to study this aesthetics is discussed thus in this paper. The motive and necessity to study this aesthetic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iterature from 1980th to 2000th revealed a strong tendency of this aesthetics. Second, if the ‘aesthetics of beauty’ was emphasized by the aesthetic history in the same period, it could meant to thrust the ugliness out of the world of art. In other words, it is to be inferred that the authors of classic aesthetics indeed made the ugliness their most warning object. To read prudently Aristotle’s or Horace’s Poetics is to see how acutely they sensed the aesthetics of ugliness. This intention of classic aesthetics as an another motive suggests indirectly the necessity to study the aesthetic of ugliness. The aporias to study the aesthetics of ugliness are classified as follows. (1) The ubiquity of ugliness hinders this aesthetics from systematizing. If this aesthetics becomes an object of systemic study as a discipline, the typification of ugliness must be done primarily, but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he ugliness. This requests to grasp delicately the fused modes of ugliness in its context. (2) The aesthetics of ugliness has a tendency to comprehend diversely the empirical ugliness and the ugliness as human nature. While the empirical ugliness comes from the ill society, the ugliness as human nature is an indefinable aproia of philosophy because its origin is humanity itself. Though this aporia is a difficulty that must reserve continually its firm definition, it is important due to be a momentous point to draw a reflection on humanity. (3) The relativity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is also an aporia due to signify that the persons may react differently to their enjoyment of this aesthetics. (4) The relativity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also makes the measure of evaluation of this aesthetic a difficulty. This is the problem that requests the most careful attitude to study this aesthetics. (5) The aesthetics of ugliness is the most notable tendency of modern arts, but its influences on our emotions and passions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Though this aesthetics is ultimately a paradoxical for the more significant human world, the disharmony and unbalance that its serious observer accumulates in himself are aporias that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We may become nearly the followers of ugliness unless we always remind that all the ugliness in arts has not always its value as the aesthetics of ugliness. This requests thus necessarily to establish a colder perspective than the attitude to the aesthetics of beauty. 이 글은 추의 미학의 탐구 필요성과 연구의 난점들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우선 연구의 동기와 필요성을 말해본다면 첫째는 우리 문학의 흐름이 1980년대 중반을 지나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강력한 추의 미학의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는 그간 ‘미의 미학’을 강조해온 미학의 역사를 염두에 둘 때 고전미학의 저자들이야말로 추를 가장 경계 대상으로 삼았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고전 미학의 지향은 역설적이게도 추의 미학 연구에 대한 또 하나의 동기와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글은 추의 미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겪게 되는 난점을 다음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① 체계화를 저해하는 추의 편재성을 들 수 있다. ‘추의 미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체계적 연구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그것을 유형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쉽게 분류되지 않는다. ② 추의 미학은 경험적 추와 인간 본성으로서 추를 다양하게 포괄하는 경향성을 지닌다. 경험적 추가 병든 사회로부터 생성된다면 인간 본성으로서의 추는 그 원인이 인간 자체에 있기 때문에 규정 불가능한 철학적 난제(aporia)라 할 수 있다. ③ 추의 미학이 지닌 상대적 속성은 그것을 향유하는 자의 반응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뜻한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연구 난점이 될 수 있다. ④ 추의 미학에 대한 상대적 속성은 곧 추의 미학에 대한 가치 판정의 척도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추의 미학 연구자가 가장 신중을 기해야 하는 대목은 바로 이 척도의 문제일 것이다. ⑤ 추의 미학은 현대예술의 가장 두드러진 경향성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정서와 정념에 끼치는 영향을 진지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아울러 예술에 수용된 추가 모두 추의 미학으로서 가치를 갖는 것이 아님을 늘 상기하지 않으면 우리는 자칫 추의 추종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미의 미학을 대하는 태도보다 더 냉철한 관점의 정립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영상의학과 예술융합 X레이 아트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적 연구

        김성운(Kim, Sung W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본 연구는 영상의학의 X레이 아트에 나타난 새로운 예술성에 주목하고 X레이 아트가 추의 미학과 어떤 맥락으로 연결되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인간의 몸 내부는 1895년 뢴트겐이 X레이를 발견하기 이전까지는 직접 해부를 함으로써 관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X레이를 통해 각종 피사체의 내부를 투사하여 봄으로써 의사에게도 예술적 창발성과 상상력을 자극하게 되었다. 이후 X레이는 디지털시대가 도래하면서 ‘CT’, ‘MRI’, ‘초음파 검사’ 등으로 성능과 진단기술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상의학의 개념, 역사, 종류, X레이 아트의 탄생과 기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X-레이 아트와 추의 미학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X레이 사진은 섬뜩하고, 혐오스럽고, 역겹고, 초라하고, 우스꽝스러운 그로테스크 미학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X레이 사진을 역설적인 미의 단계로 환원되고 승화시키는 추의 미학적 동력에 주목하였다. 추의 미학의 핵심은 로젠크란츠가 주장한 무형태·불균제·부조화와 같은 몰형식성과 표현의 부정확성, 정신적 자유의 부정에 근거하는 왜곡이다. 왜곡을 다시 구분하면 비속, 혐오, 희화이다. 본 연구는 추의 미학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 외의 X레이 아트와 X레이를 광고비주얼로 사용한 광고작품 100여 점 중 상징적인 24점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추의 미학은 X레이 아트가 추구하는 정신과 맞닿아 있고 몰형식성과 부정확성, 왜곡을 통해 새로운 미의식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X레이 아트의 추의 미학 인자는 미 추의 구분을 넘나들며 다양하게 교차되었다. 일부 X레이 아트는 오히려 미적 숭고로 환원되었다. 특히 X레이가 첨단 디지털 기술을 만나 추의 미학이 더한층 새로워지고, 특이한 아날로그 변종 X레이 아트가 발견된 점은 미래의 추의 미학이 더욱 발전적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하였다. X레이 아트는 제작 시 잦은 방사능 노출로 인한 부작용이 있다. 그러나 원자력의 평화적, 예술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대국민 홍보와 예술 표현의 저변확대라는 매우 유익한 순기능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X레이 아트를 창작하는 작가들이 단순한 과학과 예술의 협업을 넘어 새로운 시각의 추의 미학에 자극을 받아 그동안 미진했던 추의 미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new artistry emerging in the X-ray art of Radiology and investigate how X-ray art is connected to aesthetics of ugliness. The human body was able to be observed only through direct dissection before Roentgen discovered the X-ray in 1895. However, we can project the inside of various subjects through X-ray, which stimulates doctors’ artistic creative power and imagination. After that,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the performance and diagnostic technologies in the Radiology have been more elevated to ‘CT’, ‘MRI’ and ‘Ultrasound examination’. This study has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concept, history and kinds of radiology and birth and technology of X-ray art and analyzed aesthetic aspects of X-ray art and ugliness. X-ray pictures are appalling, hateful, disgusting, shabby and comical grotesque aesthetics. However, a researcher has been focused on the aesthetic power of ugliness to convert X-ray pictures to the step of paradoxical beauty and sublime it. The essence of aesthetics of ugliness is deformation, inaccuracy of expression, distortion based on the negation of the spiritual freedom and vulgar, disgust and comic picture into which the distortion is classified like amorphousness, asymmetry and disharmony which Rosen Kranzberg clai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esthetics of ugliness, this study has selected and analyzed symbolic 24 pieces among 100 X-rat art works and advertising pieces using X-ray as the advertising visual in Korea and other contries.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aesthetics of ugliness is consistent with spirit which X-ray art purses and creates a new sense of beauty through amorphousness, inaccuracy and distortion. Aesthetic factors of ugliness in X-ray art go across the classification of beauty and ugliness and variously crossed. Some of X-ray art works are reduced to aesthetic sublimity. In particular, as X-ray has met the state-of-the-art digital technology, the aesthetics of ugliness has been more renewed. Since the unusual analog variant X?ray art is discovered, it is convinced to me that the aesthetics of uglines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re is the side effect upon producing X-Ray art due to frequent exposure to radia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s of peaceful and artistic use of nuclear energy, it has very beneficially positive function which is informed people as PR and expands the base. I hope that artists creating X-ray art are stimulated by aesthetics of new visual ugliness beyond the simple collaboration between science and art, and the studies on aesthetics of ugliness which have not been carried out much will be activated.

      • KCI우수등재

        장정일 시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과 윤리의 상관성

        엄경희(Eum, Kyoung-hee)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본 논문은 로젠크란츠와 아도르노의 추의 미학, 그리고 ‘허물’, ‘죄’, ‘흠’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내면적 윤리 문제를 깊이 사유했던 프랑스 철학자 리쾨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장정일의 시에 나타난 추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그의 시에 내포된 세계인식과 자기이해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장정일은 ‘죄와 징벌’, 감시를 경험했던 독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제도적 지평을 벗어나 아웃사이더의 위치에서 자신의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는 특이성을 지닌다. 그의 이력 가운데 청소년기에 겪었던 죄와 징벌, 감시의 경험은 곧 그가 ‘추’의 세계에 심각하게 노출되었음을 의미한다. 추와 윤리의 상관성이 장정일의 시 의식을 이루는 핵심적 기반이라 판단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장정일은 ‘냄새’와 ‘추문(소문)’을 통해 추의 편재성을 감지한다. 후각과 청각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적 이미지는 로젠크란츠의 말대로 형태 없는 것이며 부정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확실한 실체로 드러나지 않는 이 같은 추의 형상화는 그것이 쉽게 각인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즉 세상에 편재하는 추는 그 편재성 때문에 오히려 자각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특이한 것은, 시인이 냄새로 감지한 추를 통해 추함의 감각을 부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추와 미의 ‘혼합감정’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그의 시에서 소문은 대체로 비윤리적인 형태의 담론으로 생성이 되며, 그러한 속성은 자신도 추문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내면의 두려움을 건드리게 된다. 이와 같은 추의 편재성 속에서 존재의 ‘허물’과 ‘죄’ 그리고 ‘흠’이 서로 중첩되면서 자신의 소외와 세계의 타락을 고발하는 고백의 언어가 장정일의 시에 극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추와 윤리의 문제는 시 「하얀 몸」으로 상징화된다. 이때 악의 불가피성과 구원의 불가능성을 통해 장정일은 실존에 동반된 죄의식과 세계에 대한 ‘의심’을 동시에 갖게 된다. 아울러 이런 과정에서 겪게 되는 윤리적 위기의식이 그에게는 강력한 자기부정성으로 내면화된다. 그의 복락원에 대한 꿈이 ‘추’와 결합하게 되는 이유는 바로 이 같은 자기부정성 때문이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유머가 결손된 모독의 수사로 드러난다. 장정일의 ‘추의 미학’은 추의 편재성과 자신의 내적 추를 그야말로 추로써, 동시에 폭로하고 탄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깊이를 지닌다. 이와 같은 그의 추의 미학은 예술적 추의 가치와 유효성에 대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solve the problems of Jang Jung-il"s world-recognition and self-understanding within his poetry,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ttitude to ugliness and the ethics in his poetry is elucidated on the basis of theory of French philosopher Paul Ricoeur who considered deeply the problem of human inner ethics through Karl Rosenkrantz"s and Theodor Adorno"s aesthetics of ugliness and their conceptions of ‘fault,’ ‘crime’ and ‘defect.’ Jang-Jung-il has not only peculiar experiences of ‘crime and punishment’ and repression under surveillance but also a singularity establishing his art world in the position of an outsider beyond the institutional horizon. His juvenile experiences of crime, punishment and surveillance imply his serious exposure to the world of ‘ugliness.’ This makes the correlativity between ugliness and ethics to be judged as the essential basis of his poetic consciousness. Jang Jung-il perceives the reformation of ugliness with his senses of ‘smell’ and ‘scandal(rumor).’ An aerial image from the olfaction and audition is said by Rosenkrantz to be intangible as well as inaccurate. This formation of ugliness without its obvious entity means that it isn"t easy to be perceived. Indeed, for its ubiquity the ubiquitous ugliness is rather difficultly aware of. Peculiarly, the poet constructs with the olfactory ugliness not the sense of ugliness but the ‘emotion blending’ ugliness with beauty. Besides, the attribute of rumor appearing usually as a ‘nonethical’ from of discourse in his poetry touches his inner fear that he can be an object of scandal too. With the mutually folded ‘fault,’ ‘crime’ and ‘defect’ of the existence in this ubiquity of ugliness, his poetry also expresses dramatically the confessional language complaining against his alienation and world"s corruption. These problems of ugliness and ethics are symbolized into his poem “A White Body.” Then, by the inevitability of evil and the impossibility of salvation, he has both his guilt accompanying the existence and his ‘distrust’ against the world. Moreover, His sense of ethical crisis in this process is internalized as a strong self-negativity into him. Simultaneously, his dream of the regained paradise uniting once again with ‘ugliness’ appears concretely as the rhetoric of profanity without humor. Jang Jung-il"s aesthetics of ugliness attains a meaning by its attempt with the literal ugliness to expose and impeach both the reformation of ugliness and his inner ugliness. This aesthetics of ugliness at his command is expected to be a base for founding the standard of ‘validity’ of the artistic ugliness.

      • KCI등재

        추한 서정시의 계보와 그 정치성

        오문석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In this article, I tried to trace the literary history of ugly poetry, but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to examine the aesthetic mea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pursues the domain of pure autonomy, where scientific truth and moral value judgment do not intervene; however, the ugliness tends to always accompany morality. The ugliness, combined with evil, makes pure aesthetic judgment impossible; therefore, to ensure the purity of aesthetic experience, it was necessary to neutralize the element of the ugliness. In fac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pur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 representation of ugly reality because it is always accompanied by moral judgment about ugly reality. The aesthetic autonomy is possible, but the autonomy of pure ugliness is difficult to establish. Next, it is the case that self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ugliness;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perience of exclusion and alienation. This is the work that wants to be an ugly subject in order to cope with ugly reality. They think that intentionally excluding ugliness from art plays a role of concealing the ugliness of reality. They do not attempt to reproduce the ugly reality, but rather to make the work itself an ugly being in reality. In other words, this is not a rational representation of ugliness, but a mimesis of ugliness; they are critical of the glorification of ugliness. Rather, they try to prove that there is a ugliness in reality. Finally, the problem of avant-garde attacking aesthetic autonomy was examined. They are critical of escaping to the aesthetic illusion to forget the ugly reality. The introduction of ugliness is an attempt to open a hole in the closed perfection of aesthetic autonomy, through which the passage to reality is opened. This is not a simpl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reality; rather, it introduces some of reality directly into the work, challenging the conventional idea of aesthetic production and the subject of the production. The authors are more likely to choose and decide than the authors as producers; the problem of choice and decision is not just the authors’ problem but the reader’s. Readers who have been comfortable with closed completedness will experience anxiety and discomfort in front of open works, so it is entirely up to the reader to derive pleasure from discomfort.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xperience of the ugliness into an aesthetic experience, the reader becomes the subject of choice and determination. 이 글에서는 추한 서정시의 문학사적 흔적을 추적하되,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미학적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 먼저 ‘추(ugliness)의 자율성’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미적 경험은 과학적 진리와 도덕적 가치 판단이 개입하지 않는 순수 자율성의 영역을 추구한다. 그러나 추(ugliness)는 항상 도덕을 동반하려는 경향이 있다. 추는 악과 결합하여 순수한 미적 판단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미적 경험의 순수성을 확보하려면 추의 요소를 무력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실제로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에서는 순수한 미적 판단이 성립하기 어렵다. 추한 현실에 대해서는 언제나 도덕적 판단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미적 자율성은 가능하지만, 순수한 추의 자율성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기 자신을 추(ugliness)의 위치에 두는 경우이다. 이것은 배제와 소외의 경험에서 미적 경험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추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서 추한 주체가 되고자 하는 작품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예술에서 추(ugliness)를 배제하는 것은 그 자체가 현실의 추악함을 은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추한 현실에 대한 미적 재현을 시도하지 않는다. 오히려 작품 자체를 현실 속의 추한 존재로 만들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추(ugliness)에 대한 합리적 재현이 아니라 추에 대한 미메시스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추한 현실이 미화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오히려 현실에서 추(ugliness)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미적 가상의 자율성을 공격하는 전위적 추(ugliness)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추악한 현실을 망각하고자 미적 가상(aesthetic illusion)의 세계로 도피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들이 추(ugliness)를 도입하는 것은 미적 자율성의 폐쇄적 완결성에 구멍을 내는 시도이다. 이 구멍을 통해서 현실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에 대한 단순한 미적 재현이 아니다. 오히려 현실 일부를 직접 작품에 도입하여, 미적 가공 행위와 그 가공의 주체에 대한 통념에 도전한다. 제작자로서의 작가보다는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를 제안한다. 선택과 결정의 문제는 작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독자의 몫이기도 하다. 그동안 폐쇄적 완결성의 작품에 안주하던 독자들은 열린 작품 앞에서 불안과 불쾌감을 경험할 것이다. 그러므로 불쾌감에서 쾌감을 도출하는 것은 전적으로 독자의 몫이다. 추의 경험을 미적 경험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독자도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가 된다. 추의 경험은 새로운 미적 경험을 선도하는 전위성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이전 ‘醜의 美學’의 이론적 성찰

        엄경희(Eum, Kyoung-Hee)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4

        본 논문은 추의 미학과 관련된 근대의 핵심 이론들을 소개(정리) · 검토함으로써 앞으로도 계속 우리 문학계를 추동해갈 추의 미학에 대한 이론의 구체적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추의 미학’을 이 글에서 문제 삼는 이유는 현실적 추의 편재성을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의 당당한 예술 미학으로서 그것이 우리 문학에도, 특히 현대시의 영역에도 미의 미학을 압도할 정도로 수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다 심화된 미학적 · 인식론적 접근을 위해 ‘추의 미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론의 소개(정리)와 점검이 현대시 분야에 필수적이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국문학계에서 추의 미학의 문제는 대부분 ‘그로테스크(grotesque)’라는 용어 정도로 포괄되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필자는 우리 현대시에 드러난 추의 미학에 관한 연구를 다년간에 걸쳐 진행하면서 문학과 철학(미학)의 정교한 융합이 절실히, 그리고 시급하게 요청된다는 것을 스스로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추의 미학에 관한 핵심 이론들이 대부분 철학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은 주로 서구 근대미학의 번역서와 이에 대한 한국 철학계를 통해 발표된 논문에 의지해서 조심스럽게 이루어졌음을 미리 밝힌다. 이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20세기 이전의 이론인 ① 임마누엘 칸트의 『판단력비판』(1790)으로부터 제기된 ‘부정적 취미판단’의 문제, ② 헤겔의 『헤겔 예술철학 - 베를린 1823년 강의. H. G. 호토의 필기록』(1823)에 내포된 근대의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부조화의 미’, ③ 빅토르 위고의 「크롬웰」 서문(1827)에 쓰인 ‘그로테스크’ 선언, ④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1853)이 지닌 추의 다양성과 구체성 등에 관한 이론을 소개(정리) ‧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들의 쟁점이 우리의 현대시에 어떻게 인식론적 ‧ 방법론적 확장을 줄 수 있는지 결론에서 그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By introduc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 essential theories of the aesthetic of ugliness, this study tries to make possible their concrete applications to drive continually Korean literary arts even in the future. The ‘aesthetic of ugliness’ is questioned in this study not for presenting the ubiquity of the actual ugliness but for noticing the tendency of Korean literature, particularly of Korean modern poetry, accepting rapidly this aesthetics as an imposing aesthetics of art to overcome the aesthetics of beauty. To deepen an aesthetic and epistemic approach to this tendency, this study starts with a notion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ories directly related to the ‘aesthetic of ugliness’ in Korean literary circles(modern literature). Most problems of this aesthetics in Korean literary circles seems to remain in their state to be comprised roughly in the term ‘grotesque.’ The imminent and urgent necessity of a delicate fusion of literature and philosophy(aesthetics) therefore has been felt actually in the investigation into this aesthetics. However, there must be a previous limit in this study that has been written by a professor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because most of the essential theories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s of philosophy. The limit has produced this prudent study depending mainly on the translated books of western aesthetics into Korean and the published treatises about them in Korean philosophic circles. So, this study introduces(arranges) and examines sequently (1) the problem of ‘negative taste judgement’ in Kant’s Kritik der Urteilskraft(1790), (2) the ‘inharmonious beauty’ that was not beautiful any longer in the modern age in Hegel’s Vorlesungen uber die Philosophie der Kunst(1823), (3) the ‘grotesque’ manifesto in Victor Hugo’s preface of his Cromwell(1827), and (4) the aesthetic theories dealing with the diversity and concreteness of ugliness in Karl Rosenkranz’s Aesthetik des Haesslichen(1853).

      • KCI등재

        추(醜)와 표현주의 미학

        노영덕 ( Young Deok R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현대예술의 특징인 추의 표현은 주목할만한 미학적 사안이다. 추의 적극적인 묘사는 표현주의 이후 가속되었다. 표현주의는 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었던 예술이었음을 밝히고 예술과 관련해 추의 의미를 짚어 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칼 로젠크란츠의 추 개념과 표현주의 미학을 조명하는 방법으로 추의 현대적 의미 및 예술과 관련된 시사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고전 미학에서 추는 정식으로 다뤄지지 않았고 미에 의존해 규정되었다. 추는 미와 대등한 무게를 지닌 독립적 실체가 아니었다. 이런 시각은 현대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19세기, 칼 로젠크란츠는 추를 분석하여 추에도 고유의 속성이 있음을 밝혔다. 그 역시 추를 독립된 실체로 보지 않는 전통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추의 고유 속성을 밝힌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모더니즘 예술, 특히 표현주의 이후 예술은 전에 없이 추를 작품에 표현해내기 시작했다. 표현주의는 외부대상이 아니라 예술가의 내면을 밖으로 표출해는 예술이다. 묘사 대상이 되는 예술가의 내면에는 의식에 의해 억압된 불쾌하고 고통스럽고 피하고 싶은 정서도 포함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을 외면하지 않고 그려낸 표현주의 예술은 추의 미학을 구사한 셈이다. 이런 경향은 현대예술에 와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것은 무의식 이론과 궤를 같이 해서 과거 비정상적이고 예술적으로 가치 없는 것으로 생각되던 추나 무질서 등이 이제는 예술적으로나 철학적으로 오히려 인간성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도래했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미의 타자였던 추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것은 미학적 해체주의라는 진단이 가능하다. 전통적인 미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미가 탄생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The expression of the ugliness as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art is a remarkable phenomenon. The depict of the ugliness has speeded up since the expressionism. It is the aim of this article to clarify the expressionism to be a positive art in making use of an ugliness and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an ugliness. This study intends to show a suggestions on the means of an ugliness concerning of art in nowadays through the aesthetic of the expressionism and the concept of the ugliness in K. Rosenkranz. In The Classical Aesthetics, the ugliness has not been regarded as the independent substance matched to the beauty. This opinion had started from Pythagoras in ancient gets up to the modern. In the l9C, K. Rosenkranz studied the ugliness and illuminated the unique properties of that. He includes the ugliness to the study of Aesthetics though he didn``t deviate from the tradition not to regard the ugliness as an independent substance. The expressionism emerged in early 20C has a command of the ugliness rapidly. The expressionist describes the artist``s subject inner station of special feeling, thinking, experience etc. In there, unhappiness, anguish, darkness, complex etc can be involved. They expressed them daringly to the works. These inclines in the art are accelerating in now. It means that the chaos or the irrational regarded as a worthless in art and human being is new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e world in them.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a new beaut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is emerging to the world through the express the ugliness in art.

      • KCI등재

        현대시 연구방법론 확장을 위한 20세기 ‘醜의 美學’의 이론적 성찰

        엄경희(Eum, Kyoung-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6 No.-

        추(醜)는 다만 하나의 형상이나 사건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와 감각, 인식,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경험의 장(場)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시에 ‘추’의 경향성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소위 ‘해체시’로 명명되었던 일군의 시편들로부터이며 그것이 본격화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현대시의 추세를 연구하면서 ‘추의미학’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와 그것의 방법론적 확장을 위한 이론의 소개(정리)와 검토가 선결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세기에 쟁점이 되었던 ‘추의 미학’에 초점을 맞추어 ① 프로이트의 에세이 『두려운 낯설음』(Das Unheimliche, 1919) ② 볼프강 카이저의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1957), ③ T. W. 아도르노의 추 · 미 · 기술의 카테고리 (1970), ④ 움베르토 에코의『추의 역사』(2007), ⑤ 엘렌 디사나야케의 『예술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1990)와 『미학적 인간』(1992) 등의 논의를 소개 및 검토함으로써 문학 연구방법론의 확장을 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이트의 근원적 공포의 감정, 볼프강 카이저의 악마적인 심연과의 투쟁, T. W. 아도르노의 기만적 현실의 추를 추로써 탄핵하고자 하는 저항적 사유, 움베르토 에코의 “냉엄하고 슬프게도 악한” 어떤 것을 상기시키는 추의미학의 힘, 엘렌 디사야케의 미학이 강조한 자연선택적 가치 등은 현재 추의 예술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우리 시의 현상을 심리적, 모순상황적, 사회 · 역사적, 생명학적 차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보다 입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사유의 기반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의미부여와 가치론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는 우리 시에 수용된 추의 미학이 단순히 독특한 개성적 기법이라는 인식을 넘어서 그 유효성을 진지하게 물어야 할 것이며 그로부터 가치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근거를 마련할 단계라 생각한다. 이는 2000년대 이후에 더욱 범람하고 있는 추의 미학의 실체를 해명하기 위한 미래의 과제이기도 하다. The ugliness is said to be not a form or event but a very important field of experience influencing directly our emotions, senses, perceptions and actions. The tendency to ‘ugliness’ in Korean poetry got into its stride from the middle of 1990s after its beginning to rise with a group of poems by the name of a so-called “destructive poetry” in the 1980s. To study of this tendency in Korean modern poetry needs urgently the prior settlements of understanding epistemically the ‘aesthetics of ugliness’ and also of instructing(arranging) and examining theories for its methodological extension. With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ugliness’ as a disputed point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tend the research methodology in literature by instructing and examining discussions as Freud`s essay Das Unheimliche(1919), Wolfgang Kayser"s Das Groteske Seine Gestaltung in Malerei und Dichtung(1957), T. W. Adorno`s Zu den Kategorien des Häßlichen, des Schönen und der Technik(1970), Umberto Eco"s Storia della bruttezza(2007), and Ellen Dissanayake`s What is Art For?(1988) and Homo Aestheticus(1995). In their presentations by these theories, Freud`s the rooted emotion of fear, Kayser`s the struggle against the devilish abyss, Adorno`s the resistive thought to accuse the false ugliness of reality by the ugliness, Eco`s the power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voking a “coldly and sadly evil” thing, and Dissanayake`s the natural selective value with emphasis of her aesthetics are estimated to produce a ground for thinking the phenomena of our poetry in present acceleration of the diverse artisticaliztions of ugliness, more cubically and multifariously in their psychological, contradictive-contextual, socio -historical and bio-scientific dimensions, and simultaneously to provide a momentum for sounding a basis of judging the meaning-making (Sinngebung) and axiology about them. An effectivity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acceptedly in Korean poetry needs to be seriously questioned beyond cognizing that aesthetics merely as a distinctive and individual skill, and now this question have to provide each basis of valuable and valueless things. These are also the future tasks to clarify the substance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flood more after the 2000s.

      • KCI등재

        1980년대 詩의 日常的 醜와 內面的 醜의 辨證的 止揚에 관한 小考 -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의 初期詩를 中心으로 -

        엄경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odes and features of ugliness in poetry during the 1980s, focusing early poems of Kim Jeong-hwan, Hwang Ji-u, and Jang Kyung-lin. The proper appraisal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80s have to be processed with all aesthetic attempts to denounce the real absurdities beyond the one-sided range of "Volksliteratur." Kim Jeong-hwan, Hwang Ji-u, and Jang Kyung-lin, as poets who have ventured on newly literary attempts in a different level from the range of Volksliteratur, require to be noticed since they have shaped the capitalist ugliness and politically repressive reality by using everyday materials. Their first poetical works were published in the 1980s, their ages are similar, and their birthplace is Seoul. These commonalities are to be very significant criteria of grasping the everyday situ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1980s. Revealing their everyday and inner ugliness by topicalization of the middle class's petit-bourgeois disposition and the intelligentsia's inertia and agony, the poetic trends of these poets display different modes from those of the participant poetry basing itself on political ideologies. Exerting techniques of formal destruction, antinomic statement, allegory, and juxtaposition, these poets reveal from many angles the ugliness of reality and the inner ugliness incapable of resisting the ugly reality. The use of diverse techniques is to be an aesthetic strategy to denounce the ugliness of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how these techniques are arranged and used in poems of these poets and what an epistemic situation these poets thereby attempt to reveal. This signifies the first foundation for a study to diagnose the "validity of ugliness" in Korean modern poetry, namely to gaug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aesthetics of ugliness." 본 논문은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1980년대 시에 나타난 醜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산층의 小市民的 성향, 지식인들의 무기력과 고뇌를 바탕으로 일상과 내면의 추를 동시에 드러낸 세 시인의 시적 경향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參與詩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세 시인은 일상의 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內面의 추를 形態破壞, 二律背反(antinomy)적 진술, 알레고리, 竝置 技法 등을 통해 多角的으로 드러낸다. 이들의 ‘추의 미학’에는 위악적 현실에 제대로 응전하지 못하는 ‘완고한’ 자아, ‘무기력’한 자아, ‘비루한’ 자아라는 부정적 주체의 모습이 공통적으로 담겨있다. 김정환․황지우․장경린은 각각 습관 교정, 폭로, 냉소와 같은 태도를 통해 일상의 추에 대응하는 시인의 ‘自意識’을 강하게 드러냄으로써 일상성 속에 가려진 부조리한 시대상과 그와 연동된 주체의 내면적 추를 동시에 성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의 ‘추의 미학’은 倫理的 혹은 道德的 추의 문제로 수렴된다.

      • Aesthetics of Ugliness Expressed on Contemporary Women's Hair Styles

        Lee, Su-in,Park, Kil-Soon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2003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Vol.6 No.2

        Aesthetics of ugliness enlarged aesthetic field and brought back the repressed estranged things. Hair style is not an exception. So I intended to examine the contemporary(1995~2002) women's hair styles on the basis of Rosenkranz' concept of ugli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trinsic aspect contains formlessness and disfiguration Among characteristics of formlessness, discord means appearing on a stage with a hair style derailed from our common sense or an incomplete hair style. Asymmetry means hair decoration or hair dressing which violates the principles of design. Disharmony means excessiveness beyond the concept of accent. Disfiguration has characteristics of vulgarity, disgust and caricature, and means cruelty, grimness or ridiculousness instead of pleasing beauty. Second, intrinsic aspect has incorrectness. As minority ethnic groups, estranged classes, children and women which in the previous field of absolute aesthetics were never considered as beauty appeared as subject matters of hair styles, the repressed things returned and a new genre was created thereby enlarging true aesthetic field. Like this, I cloud confirm that aesthetics of ugliness organized today's characteristic, peculiar hair styles, and enlarged aesthetic field.

      • KCI등재

        현대적 추의 관점에서 살펴본 패션 필름 -SHOWstudio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준영,이지선,전재훈 한국의류학회 2023 한국의류학회지 Vol.47 No.1

        Although ugliness had long been considered a negative form of beauty, it has become an independent aesthetic category. However, most previous art studies have focused on Rosenkranz's theory, making its applic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analysis challen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ugliness. This study highlighted four modern ugliness categories from a modern perspective following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considerations of the ugliness concept, namely ugliness as a violation of taboo, ugliness as an unpleasant emotion, ugliness as a vulgar taste, and ugliness as an ethical flaw. From this perspective, SHOWstudios for fashion films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ed that ugliness in the film was related to socially sensitive subjects and stimulating images. Whereas costumes in the film were used as a tool to convey the subject and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of the image. In addition, clothing was identified as a core subject element of the video, particularly when considering ugliness as an ethical defect. This study provides further insights into contemporary fashion analysis, expanding the ugliness perspective, which had been limited to the specific perspectives of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