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ton von Webern(1883-1945)의 作曲 技法 硏究 (Fünf stücke für Orchester op.10 (1911/14) 을 중심으로)

        김현중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2

        1. 분석적인 견해 20C의 범위안에서 기악곡의 형식문제와 단악장의 傾向分析,형식범위내에서 道具로서 의악기구조, 곡의 명칭 등을 밝혀서 인식하는 연구,특별히 Webem의 관현악곡 op. 10이 -극도로 단축된 문제. -음색의 역할. -조성의 탈피. 2. 인식의 견해 Webern의 초기작품의 典型的인 스타일에서 본질적으로 작품에 內在된 사실과 무조성 음악의 바탕을 밝힐 수 있는데 따르는 연구 -반음 바탕의 결합과 구성원칙 - 음색선율 -지속적인 변형 그의 음색,반음결합 내용 범위에 있는 한 악장 또는 부분으로 잘라서 하나의 見解를 바탕으로 하는 독자적인 분석을 해나가는 연구 3. 비판적인 견해 그의 음악형식출현에 낯선 방법에 관해서 Webern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비판의 확증으 로 Mersmann은 이것의 가청 문제를 충분히 생각해야 하고, 근원적인 소재로 되돌아 오게 하는 역사적인 그의 省察과 음악적인 확신이 선후에 연구되어야 한다는 부정적인 확증(S. MATERIAL 3.6) 관현악곡에 관한 판단은 嚴格하게 작곡 수법을 바로잡아 최고의 사실을 요구해야 한 다. -진통적 구성의 이작품에 대해서 省察 하면서 엄격한 예술 특성에 대한 연구를 더욱더 해 가도록 한다.

      • 베베른의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 작품 30≫에 대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음고 차원 분석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음악학회 2012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베베른(Anton von Webern, 1883-1945)의 ≪관현악을 위한변주곡 작품 30≫의 악보를 컴퓨터 프로그래밍 모델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로 표현한 후이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라는 컴퓨터 언어를 통해 데이터를 조작, 연산, 검색하는 작업을 음악분석에 갈음하는 것으로 보며, 이러한 분석 과정과 결과, 이익 등을 다루고 있다. 악보의 한 음표는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하나의 실체로 생각될 수 있다. 음표는 음가, 음의 강도등 매개변수적 특성 값을 갖는다. 우리의 데이터베이스 체계에서 각각의 특성 값은 하나의 열위에 있는 여러 행들 혹은 칼럼들(rows/columns)에서 원자적 값들로 표현된다. ≪변주곡≫의 모든 음표들을 이러한 열과 행들의 총체인 관계형 테이블들(tables)로 표현한 새로운 컴퓨터 악보는 다양한 음악분석적 접근을 용이하게 해준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로의 악보 표현은 이후에 이어질특별한 어떤 분석, 즉 컴퓨터를 통해 요소들의 관계성을 아주 쉽고 빠르며 대규모로 확인하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다. 예술적이고 복잡한 대규모의 현대음악에 대해 이렇게 쉽고 빠르며 대규모로 행해진 분석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악보에 제시되었던 요소들의 관계성을 악보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해줄 수 있는 다른 표현, 즉 관계형 데이터 모델로의 악보 표현이 있었기 때문이다. 어렵게 한번 만들어진 악보가 그 이후 여러 분석자들에게 분석의 대상이 될수 있는 것처럼, 우리의 컴퓨터 악보 역시 이후의 여러 분석자들에게 각자의 방식과 지향에 따라 분석될 수 있는 대상이 될 것이다. We utilized a computer in order to represent the score of Anton Webern`s Variations for Orchestra op.30 (1941) by the relational data model, and to analyze this relational data score in various ways: A note in a score, as other musical objects, can be considered as an entity in a database having some parametrical properties. In our database system, these are represented by atomic values in some columns on a line. The representation of all notes in a score in the relational form of tables as a totality of columns and lines facilitates the access to the music analysis of open character: Using SQL language, each can interrogate following each problematic our database which represents and stores a score in the relational data form. A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Database-aided Music Analysis", the score of Webern`s Variations for Orchestra is both represented and stored in the relational data model, and analyzed not only in a classificatory and paradigmatic way but also from the point of view of information theory, set theory, etc.: All serial sets, all intervals, and all chords in the score are retrieved, as a result one can constitute total serial map of the score, verify the predominant intervals and chord types are recognized and calculated.

      • KCI등재

        베베른의 ≪3개의 노래≫ op. 25, no. 1에 내재된 음향 간 성부진행 연구

        김예진 ( Yeajin Kim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2

        본 논문은 베베른의 ≪3개의 가곡≫ op. 25, no. 1, ‘얼마나 행복한가!’(Wie bin ich froh!) 작품을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총체적 성부진행(Total Voice Leading)을 통해 음향 사이 내재된 모든 성부진행의 가능성들을 조명하고, 음향 간 성부진행의 관계를 다각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음향 간 성부진행’ 분석을 통해, 베베른의 가곡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음향 간 총체적 성부진행 구조와 시의 구조, 음악의 형식적 구조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본 작품과 관련된 무조음악 이론가들의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감상자 중심의, 음악 중심의 음향 간 성부진행 분석을 통해 베베른의 작품에 내재된 음향적 구조를 면밀히 밝히고자 한다. 무조음악의 깊은 층위에서 유기적 진행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음향 간 성부진행의 구조가 작품 내 시의 의미적 구조와 어떻게 연결되어 ‘의미화’ 될 수 있는지 필자의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접근한다. This paper is a study analyzing Webern’s ≪3 Songs≫ op.25, No. 1, ‘Wie bin ich froh!’ through Straus’s “Total Voice Leading” system which deals with the total possibility of voice leading progressions between sou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oustic voice progression structure inherent in Webern’s song work, the structure of poetry, and the formal structure of music. I will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preceding studies of atonal music theorists related to Webern’s op. 25, no. 1. Based on the listener-centered and music-centered analysis of the voice leading progression, I will confirm the structural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pitch-class sets’ sounds. Through my analysis, I could approach how the structure of the inter-acoustic total voice leading progression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the organic progression in the deeper level of atonal music can be connected with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oem.

      • KCI등재후보

        베베른의 ‘피아노 변주곡 Op. 27’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기법과 총렬기법 연구 및 연주를 위한 제안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 연구를 통하여 음렬주의와 총렬주의 이론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연주에 나타나도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렬주의와 총렬주의에 의한 피아노 곡들은 음렬이론에 대한 이해가 어렵고 강약, 주법, 리듬 등 음렬화 된 여러 음악요소의 미세한 차이를 연주에 반영하기 까다로워 실제 연주가 회피되는 경향이 있다. 음렬 및 총렬기법을 연주에 잘 반영하기 위해서는 음렬화 된 음고, 음가, 리듬, 강약에 대한 이론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과 총렬기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기법들이 연주에 잘 반영되기 위한 방법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아니스트들이 음렬기법과 총렬기법을 보다 폭넓게 이해해서 이러한 기법이 사용된 피아노 작품들을 연주무대에 보다 자주 올려 다양한 연주 레파토리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through researching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nd to examine how the theory can be effectively appeared in performance. Performance of piano pieces based on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is tend to be avoided because understanding serial technique theory is difficult and hard to reflect subtle differences of various music elements such as dynamics, attack and rhythm in series in actual performance. For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to be brought out well i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ory of pitch, value of note, rhythm and dynamic in series in advance. To achieve this purpose,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in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re studied and methods to reflect these techniques well in performance are searched in various ways. It is expected that though this research, pianists would understand widely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and perform more often piano pieces based on these techniques at a stage building diverse performance repertoire.

      • KCI등재

        베베른의 ≪3개의 노래≫ op. 25, no. 2에 내재된 음향 간 성부진행

        김예진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음악이론포럼 Vol.30 No.2

        This paper is an analytical study of Webern’s Three Songs, op. 25, no. 2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ossibilities of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sounds within Joseph Straus’s Total Voice Leading. I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leading progressions between sounds from a multipl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overall structure of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sounds inherent in Webern’s lieder, the structure of the poem, and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of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poem through the analysis of ‘total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sou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s with the same inherent meaning contained in different poetic words create a connecting structure through the overall possibility of total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sound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structuring of meaning’ is being established in the total voice leading progression between sounds.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total voice progression inherent in the sound progression shows how the semantic structure of poetry and the total voice progression between sounds can be connected as ‘meaning’.

      • KCI등재

        집합류 영역에서의 모티브적 변형 (Motivic Transformations in Pitch-Class Space):베베른의 <현악 사중주 op.5의 5번>과쇤베르크의 <공중의 정원, op.15의 4번> 분석

        박인아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音樂論壇 Vol.27 No.-

        For many years theorists have suggested idea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t-classes and have also developed powerful tools for describing voice-leading between set-classes in atonal music. In particular, Joseph Straus has shown how to reveal the voice-leading between set-classes and also has established many kind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even between set-classes of different cardinalities. In his graphs of set-class spac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classes are indic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based on parsimonious voice-leading. In any given set-class space, howeve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set-classes is complicated because the set-classes are overly numerous and often intertwined, although the graph does allow us to realize the locations of all the various kinds of pitch-class sets and their relationships. Thu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briefly review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classes explored by Straus and suggest a way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set-classes without the complex graph. In the second part I propose a way of applying the idea of relations between pitch-class sets to the analysis of atonal music which relies on additional possibilities beyond simply characterizing the quality (tension or relaxation) of set-classes based on their relative proximity to the maximal chromatic set-class, such as 4-1(0123) and 5-1(01234). Through analyses of Webern's five movements for string quartet op.5, no.5 and Schoenberg's Das Buch der hngenden Grten op.15, no.4, I have shown that motives and the interaction of motives integrate various set-classes achieving unity. In addition, each analysis proves that recognition of the motives and motivic transformations illuminates the key scheme of the whole structure thus lead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iece. 최근까지 음고류 집합들 간의 성부진행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모든 집합들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 중 스트라우스의 논문에 제시된 집합류 영역에서의 집합류들의 관계는 도식화한 그래프들을 통해 서로 다른 수로 이루어진 집합들을 포함해 모든 집합들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명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그의 논문에 제시된 모든 집합들의 관계는 복잡하게 얽힌 그래프 상에서 확인해야 한다는 난점을 지니고 있어 실제 분석에서의 활용이 쉽지 않다. 또한, 모든 집합들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류 영역은 무조 음악의 분석에 있어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문에 제시된 분석은 인접한 집합 간의 혹은 집합류 영역에서 가장 반음계적인 집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도에 그쳐 많은 가능성의 여지를 남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래프가 제외된 집합류 영역에서의 집합들의 관계를 밝히고 무조 음악의 해석을 위한 또 다른 가능성에 대한 시도로써 동기의 음정 구조를 중심으로 집합류 영역의 집합들이 어떤 관계를 이룰 수 있는지 베베른의 <현악 사중주 op.5>와 쇤베르크의 <공중의 정원, op.15의 4번> 분석을 통하여 논하였다. 두 곡의 무조음악 분석을 통하여 필자는 집합류 영역의 다양한 집합들이 동기에 나타난 음정 구조 혹은 동기와 인접한 집합과의 성부진행 관계를 중심으로 변형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집합들의 관계가 단순한 집합류 영역에서의 거리만을 의미하기보다 동기 구조와 관련해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각 곡에서 동기의 음정 구조나 동기 집합들의 관계는 곡 전체에 제시되는 모든 집합들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곡 전체의 통일성을 이루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곡의 통합적 이해를 가능케 한다.

      • KCI등재

        무조음악에 내재된 구조적 성부진행 연구 : ‘음향 간 성부진행’의 관점에서

        김예진 한국서양음악학회 2021 서양음악학 Vol.24 No.2

        The voice leading researches for the analysis of atonal music have been studied by focusing on measuring the degree of similarity through ‘connection of common tones’ and ‘maximally smooth voice leading progression’. However, in 2014, the Total Voice Leading theory proposed by Straus focuses on the ‘connection’ and ‘possibility’ of relationship between sonorities on the real music surface. In this paper, I first introduce Straus’s Total Voice Leading System, which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the study of voice-leading progression in atonal music and I try to analyze the Webern’s song, ≪Three Songs≫, op. 25, no. 3. Through this analytical study, I could prove the structural total voice leading systems latent in Webern’s music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coustic voice leading.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무조음악 분석을 위한 성부진행 이론은 특정 음고류 집합에서 다른 음고류 집합으로의 진행 시, ‘공통음의 연결’과 ‘최대 근접 진행’을 통해 집합 사이 유사성의 정도를측정하기 위한 개념들을 제시하며 ‘자연스러운 성부진행’을 밝히는 데 주목하였다. 그러나 2014 년, 스트라우스가 제안한 총체적 성부진행(Total Voice Leading) 이론은 실제 음악 표면에 울리는 음들의 ‘연결’과 그 ‘가능성’에 대해 초점을 맞춘 실제적인 ‘들음의 경로’에 대한 탐구라 할 수있으며, 음향에 ‘내재된 기대’에 대한 가능성들의 ‘집합화’, 그리고 그 가능성들의 관계 조망을 통해 난해한 무조음악에 내재된 ‘성부진행 가능성’을 ‘총체적 성부진행’ 이론을 통해 가시화 한다. 이에 필자는 무조음악 성부진행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 스트라우스의 총체적 성부진행이론을 소개하고, 베베른(Anton Webern, 1883∼1945)의 ≪3개의 가곡≫ op. 25, No. 3 작품을음향 간 성부진행의 관점에서 분석 시도한다. 음고류 사이 진행 가능성에 대한 고찰, 그리고 도출된 음향 간 총체적 성부진행들의 관계를 보다 심화된 층위에서 분석하여 무조음악 안에 내재된실제 울림의 구조적 성부진행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피에르 불레즈의 음렬주의에 나타난 음악적 사유의 특성

        박영욱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音樂論壇 Vol.35 No.-

        The radical charateristics of Pierre Boulez’s music can not be summarized simply as mathematization of music and anarchistic negation of all previous musical conventions. Adorno criticized his music as a new kind of affirmativism, for Boulez’s ‘negation for negation’ has no functional meaning to criticize the world. Boulez’s music was regraded to fall down into the meaningless play of mathematics. Adorno thought that the retrogression of Boulez’s music is a mere fetishistic result from his following Webern’s music in which the revolutionary elements of Schoenberg’s serialism are totally eliminated and neutralized by mere mathematization of serialism. But according to Boulez, the core of Webern’s music is far from its mathematical and symmetric appearances, but its ‘diagonal’ elements free of traditional hierarchic structure by vertical and horizontal coordinate. Boulez pursued to find a ‘diagonal’ zone full of infinite possibilities (ie, the ‘smooth’ space, or ‘plane of immanence’ in Deleuzian meaning) in the music. It means that he treats a note not as a mere note which is externally defined only by the interval relations to other notes but a qualitatively different unique event as ‘intensity’. Now a note, more precisely a musical instant as an intensity becomes a sign(chifrre). Therefore Boulez’s mathematical experiments including integral serialism has a methodologically radical meaning to investigate infinite possibilities of a note as a chiffre. 불레즈의 음악의 나타내는 특징은 단순히 음악의 모든 요소를 수학적으로체계화하고 구조화함으로써 계량화하려는 시도로 요약될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모든 음악을 부정하고 새로운 음악 형식을 끊임없이 추구하는그의 음악적 태도를 무정부주의를 위한 아방가르드적 열망으로 환원할 수도 없다. 아도르노의 관점에서 보자면 불레즈의 이러한 무정부주의적 태도는 부정을 위한 부정으로서 맹목적인 부정이 되어버리며 어떠한 힘도 지니지 못한 순응주의로 변질되고 말 것이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이러한 불레즈 음악이 보이는 이러한 퇴행성은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이 지닌 혁명적성격을 수학적으로 중성화한 베베른에게서부터 물신주의의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아도르노의 견해와 달리 불레즈에 따르면 베베른의 음악이 지닌핵심은 수학적 대칭구조와는 무관하며 수직축과 수평축의 위계를 벗어나려는 ‘대각선적인’ 요소이다. 베베른에게서 발견한 ‘대각선적인 것’은 불레즈의 음렬주의에 내재한 근본적인 견인요소이다. 불레즈의 음악적 시도는 비록 음악이 수직축과 수평축의 체계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 하더라도위계질서에 의해서 개별적 음의 무한한 가능성이 위축되지 않는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매끄러운 것’ 혹은 ‘내재성의 평면’)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체계에 속박되지 않은 음의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에 들어가기위해서는 음을 하나의 개별적인 사건, 즉 ‘강도’(intensité)로 다룰 수밖에없다. 이 미시적인 강도의 세계는 ‘암호’(chiffre)와도 같은 것이다. 총음렬주의적 시도를 포함하여 불레즈에게 나타나는 수학적 시도는 아도르노의주장처럼 물신숭배의 경향을 보여주기보다는 하나의 신비한 암호로서 음이지니는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방법론적 시도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음렬작품에서 보이는 분할(Partition)의 다각적 양상과 중요성

        박지영 한국서양음악학회 2014 서양음악학 Vol.17 No.2

        본 논문은 음렬작품에서 나타나는 분할의 다각적 양상과 중요성에 관한 연구로서 제2장의 기본 음렬에 내재한 속성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제3장에서는 기존 분석의 인용과 비교, 다양한 분할 방식(이븐 모자이크, 크로스 파티숀 등)을 연구함으로써 음렬작품의 분할을접근하는 다양한 시각과 통찰력의 필요성을 제안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쇤베르크와 베베른의 음렬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더 이상 새롭지 않다. 이들 작품 분석은 다수의 문헌, 논문, 저널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대다수 작품의 음렬 배치도 또한 제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음렬작품들은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으며 음악학자들은 새로운 분석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음렬분할의 ‘다각성’ 때문이다. 다각성이라함은 악곡 표면에 드러난 기본 음렬의 분할방법 이외에도 유사한 리듬, 강세, 아티큘레이션,음역, 음색, 악기 편성, 연주 방법, 그리고 이들이 수직적으로 만들어 내는 음향 등에 따라 음렬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다각적 시각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생성되는 주요 집합류와 이와 연계된 음악적 성향, 그리고 작품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결과는 다르게 해석될 수있음을 말한다. 음렬의 분할적 접근은 음렬이 고유의 층위가 있음을 전제로 한다. 분할의 중요성은 작품 표면에 드러난 집합류 뿐 아니라 구분이 모호한 2차적 집합류까지 논리적으로유도하여 작품의 발전과 효율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본 음렬과 주요 음렬의 분할방법과 그 양상을 분석의 시발점으로 삼는다면 음렬작품의 표면부터 심층 구조까지,선적, 화성적, 그리고 이들이 동시에 어우러지는 이원적 구조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Partitioning is a way of segmenting a tone row into smaller pitch sets while still accounting forall twelve pitches. Beginning with Milton Babbitt, the significance of partitioning in serial work hasbeen discussed by many scholars using multifaceted approaches since partitioning structureshorizontal, vertical, and further integrative dimensions of serial works. In Schoenberg’s mature serial works, hexachordal partition, frequently associated withinversional combinatoriality, is used to imply a sense of harmonic motion, thus contributing to asystematic coherence of musical events. The partitioning of a twelve-tone row brings out setclasses that are key components of the row structure, as in Webern’s derived row. The method of parsing a prime form of the row becomes integral to each work through itsinterrelation with the motive, phrase, passage, and theme. Secondary sets, whose elements may notrepresent consecutive order number, als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many compositionaldimensions, from local harmony to long-rang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