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물(財物)에 대한 탐욕(貪欲)과 그 해결 - 4부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이은경 ( Lee Eun-kyung ),안양규 ( An Yang-gy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잘못된 재물에 대한 믿음은 재물의 가치적 의미를 퇴색시키고 인간 존엄성마저 훼손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오늘날,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다. 본 논문은 재물에 대한 지나친 탐욕으로 생겨나는 절도, 사기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4부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모색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초기경전에는 재물에 대해 출가자와 재가자로 나눠 각각 다르게 가르친다. 출가자는 세간에 살고 있기에 수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질과 열반으로 이끌어 주는 사무량심 및 선행, 선법 추구하는 마음 등 비물질을 출가자의 재물로 보았다. 특히 출가자는 비물질 재물을 많이 축적할 것을 강조한다. 반면 재가자의 재물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도구로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모든 이익을 말한다. 이는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재물의 정의와 부합한다. 이에 재물에 대한 정상적인 욕구를 ‘재물욕’으로, 비윤리적인 지나친 탐욕을 ‘재물탐욕’으로 각각 표기하여 재물탐욕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불교는 재물을 단지 필수욕구의 쓰임 대상으로 알아 생존 결핍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불교는 재물에 대한 갈애와 탐욕을 경계 대상으로 보았다. 붓다는 출가자에게 재가자의 재물 및 사적인 소유를 제한하였지만, 재가자에게는 재물의 소유를 크게 제한하지 않았다. 다만 재가자에게 재물탐욕을 경계하여 재물을 바르게 획득, 축적, 분배, 소비할 것을 강조했다. 정당하게 획득한 재물은 출가자를 더욱 수행에 정진할 수 있도록 하며, 재가자는 행복과 부를 누리게 한다는 것이다. 재물탐욕의 해결책으로 정명(正命), 재보시(財布施)를 제시한다. 정명은 바른 생계로서 삼업을 바르게 하여 올바른 중도적 실천으로 재물을 획득하는 것이다. 또한, 재보시는 자애심을 바탕으로 해서 재물을 자타에 조건 없이 나누는 것이다. 정명과 재보시를 실천함으로 탐욕을 약화하거나 소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재물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을 제시하여 오늘날 재물탐욕으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재물로 고통받는 현대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solution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human life is an existential survival problem. The acquisition of goods or wealth is represented by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a capitalist society that affirms and encourages the acquisition of wealth,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believe that wealth brings satisfaction or happiness to humans. Modern people suffer from craving, obsession, and greed to constantly compare or acquire their own wealth with the wealth of others. False beliefs about wealth cause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eroding the value of wealth and destroying human dignity. Regarding wealth, Buddhism saw wealth as a means to solve the lack of survival, and recognized that wealth was only an object of use for essential needs, and saw craving and greed for wealth as a target of caution. The Buddha restricted the boundaries of the lay people wealth and personal possessions to the monks, but there were no major restrictions on property ownership for lay people. However, he emphasized to lay people to beware of greed for wealth and to correctly acquire, accumulate, distribute, and consume wealth. Of course legitimately acquired wealth enables monks to devote themselves more to their practice. Lay people enjoy happiness and wealth.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ain of greed for wealth, which we experience when we use wealth as our goal in life, and suggest a countermeasure to control and disappear greed.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it is recommended to practice āmisa-dāna, the right consumption of wealth based on benevolence, centered on human beings. Therefore, by presenting the Buddha's teachings on wealth, we can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greed for wealth today, it is considered to be of some help to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wealth.

      • Analysis of Chinese Residents in Housing Wealth

        Jiao Wang,Hongying Yuan 아시아무역학회 2015 Journal of Asia Trade and Business Vol.2 No.1

        In recent years, the housing wealth of our country increased rapidly. Wealth is very important for every family, it is the basis of the people’s basic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household wealth. In this paper, we analyze some aspects of family wealth like these: the meaning and measure of wealth; the source of housing weal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wealth; the reason the difference in household wealth; Countermeasure. As a result, we found a lot. There are four sources of household wealth. They are savings deposits, real estate investment, development of capital markets and wealth inheritance. We analyzed thre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ealth. These three aspects are the income distribution, industry distribution and regional distribution respectively.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e uneven distribution of household wealth. The three reasons include the disadvantageous income distribution system, the disadvantageous tax system, the imperfect social security system. On this basis, We make recommendations to deal with the uneven distribution of household wealth. Fir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age system. Secondly, the need to reform the tax mechanism. Thirdly, we need to improve income distribution mechanism.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optimize our systems. In addition, we should improve labor income and adjustment to capital gains reasonably.

      • KCI등재

        요한 크리소스톰의 부와 자선에 관한 가르침

        권정후 ( Junghoo Kw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6 No.-

        이 소논문은 요한 크리소스톰의 부와 자선에 대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부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서 먼저 부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개념들을 버리고, 부를 세 가지 신학적 원리들 (유일하고 참되신 소유주이신 하나님의 원리, 공공선의 원리, 덕행의 원리)로 새롭게 정의하는 크리소스톰을 드러내 준다. 크리소스톰에 따르면, 부는 부자들의 정신을 혼미케하여 잘못된 재물관, 즉 허상의 부(wealth as shadows) 관념을 소유케 한다. 이런 허상의 부를 부수고, 참되고, 올바른 부 (wealth as reality) 이해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서, 크리소스톰은 먼저 하나님이 모든 것의 참되고 유일한 소유주라는 원리에 의지한다. 이 원리는 그 당시 상식으로 통했던 절대적, 배타적 소유권 개념을 깨고, 부자들을 청지기의 위치로 강등시킨다. 둘째로, 이웃을 향한 공공선의 원리는 궁핍한 동료 천국시민을 위해서 부가 사용되어질 때에만, 부가 참된 정체성과 존재 이유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덕행의 원리는 이 땅에서 부자들이 부의 참된 소유자가 되는 길을 자선을 통해서 제시해 준다. This paper will explore John Chrysostom``s understanding of wealth and almsgiving. My thesis is that, for Chrysostom, the proper understanding of wealth can only be achieved by first rejecting a popular, yet false conception of wealth and then redefining it in light of three theological principles: the principle of God as the sole owner, the principle of the common good, and the principle of virtues. Chrysostom’s teachings on wealth and almsgiving evolved from Antioch and Constantinople where the rich lived luxuriously while neglecting the poor. His monastic practice as well as his pagan education under Libaniu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his teachings on wealth and poverty. But the greatest factor that shaped his social thought must have been Scriptures which he cherished and preached constantly. For him, the deceptive power of wealth blinded the minds of the rich and confused them with false ideas of wealth. Through this confusion, a misguided understanding of “wealth as shadows” became popular among people. Having rejected and deconstructed this commonly held, yet false notion of wealth, he redefined it in terms of three principles in order to provide a correct view to his hearers, namely, “wealth as reality.” The principle of God as the sole owner of all things broke the common idea of absolute ownership of his time and put the rich into a position of a steward. The principle of the common good fosters an idea that wealth possesses its true identity and existence only when it is used and shared for fellow-citizens in need. The principle of virtues turns the present impossibility of true ownership into a future reality. For Chrysostom, almsgiving is the most significant virtue by which wealth as shadows becomes wealth as reality. It transforms a mere owner of possessions into their true owner.

      • KCI등재

        『史記』 「貨殖列傳」을 통해 본 ‘富’와 權力의 關聯樣相

        김원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6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wealth’ and ‘power’ seen from the economic viewpoint of Sima Qian. It deals with the gain of individual authority resulted from the accumulation of ‘wealth.’ It also deals with the view of Sima Qian that ruling a country also results in the matter of the public well-being. The viewpoint of Sima Qian on the power of “wealth” is more dramatic and unconventional than any other thinkers, and it is basically derived from the emphasis on practicality rather than justification, and this logic comes from his viewpoint that the material matter dominates the mental matter. His viewpoint is, furthermore, clearly revealed in his remarks that the power of the person who has accumulated a great wealth comes close to that of the king or the feudal lord. The main motive of this research is that what implications the issues raised by Sima Qian would give us in dealing with the problem between the moral and ethical issues of the wealth, which still exists today. Reviewing 「Biographical Records on Money-Making」, this paper examined causes of the formation of Sima Qian’s consistent economic view that prioritizes individual wealth over national wealth. Sima Qian strongly insisted on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the use of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flow of the times, and eccentric strategies, and with his view on gaining power depending on wealth, he made it clear that a state should not attempt to control individual wealth. Of course, the view that the authority is precisely proportional to the accumulation of wealth, and that, depending on the degree,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climb to the class of a king or a feudal lord can be regarded as mammonism. However, Sima Qian also finalizes his viewpoint on wealth, putting utmost importance on long-term plan of education foreseeing 100 years ahead to cultivate excellent human resources. He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people pursuing wealth, but he insists that the very rich should give wealth back to society, practicing virtue after getting very rich. With the wealth explained by the insight and logic of Sima Qia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bring us up to a topic to consider over the issue of empowered wealth today, provided that human beings are selfish beings. 본고는 사마천의 경제관에 있어서의 ‘富’와 ‘勢’의 긴밀한 상관관계에 주목한 논문으로, ‘富’의 축적을 통한개인의 권력의 획득 문제를 다룬 것이며, 국가의 통치도 결국 백성들이 잘사는 문제로 귀착된다는 사마천의 시각을 검토한 것이다. ‘富’의 권력화에 대한 사마천의 시각이야말로 기존의 그 어떤 사상가보다도 획기적이고파격적인 것으로서, 이는 기본적으로 명분보다 실질을 중시한 데서 생겨난 것이며, 이런 사마천의 관점은 물질적인 문제가 오히려 정신적인 문제를 지배한다는 논리에서 본고는 출발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거대한 부를 축적한 사람의 권세가 왕이나 제후들과 버금갈 수 있다는 사마천의 발언에서 더욱 극명하게드러난다. 오늘날에도 존재하는 ‘富’의 도덕성과 윤리성사이의 갈등양상에서, 사마천이 제시한 논점이 우리들에게 어떤 시사점을 던져줄 것인가 하는 점을 주요한 연구동기로 삼고, 개인의 ‘富’가 국가의 그것보다 우선시한다는 사마천의 일관된 경제관의 형성 원인을 『史記』 「貨殖列傳」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사마천은 시대의 변화, 시대의 흐름, 기이한 전략 등의 활용을 통한 富의 축적을 외쳤고, ‘得勢’는 결국 ‘富’에 달려 있다는인식을 가졌기에, 국가가 개인의 ‘富’를 제어하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물론 권세란 ‘富’의 축적량에 정확히 비례하며, 그 정도에 따라 제후나 왕의 등급까지도 오를 수 있다는 시각은 배금주의란 측면으로 폄하될 소지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사마천은 교육의 100년 대계는 인재양성에 있다고 하면서人物 그 자체를 최고의 가치로 규정하면서 자신의 ‘富’觀을 마무리하고 있으니, 제아무리 ‘부’를 추구하는 것이중요하다고 하지만,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인간이기에 거부가 되면 ‘德’을 베풀어 부를 사회로 환원해야 한다고외친 것이다. 만일 인간이 이기적 존재임을 받아들인다면 사마천이 간파하고 논거를 들어 설명한 ‘富’의 권력화의 문제는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화두를 던져 줄 것인가가 본고의 주요한 작성이유다.

      • 플라톤의 재물관 연구

        임우형,Woo-hyoung Lee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2 No.-

        예나 지금이나 재화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플라톤 역시 재물 혹 돈에 대한 언급을 많이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플라톤의 재물관이 어떠한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특히 이를 위해 논자는 눈먼 부(blind wealth)와 날카롭게 보 는 부(keen of sight wealth)라는 플라톤의 부에 대한 표현에 주목하였다. 이 개념 을 중심으로 플라톤의 재물관을 살펴본다면, 그의 재물관이 아주 잘 드러나게 된다. 플라톤은 재물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하지만, 과도한 재물 즉 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부는 사람의 분별하는 눈을 멀게 하여 개인의 인격과 타인을 바라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날카롭게 부를 바라보아야 한다. 즉 덕(arete)을 얻기 위해서 재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날카롭게 바라보는 부이다. 또한 타인을 바라보지 않았던 눈에서 타인을 바라보고 타인과 재물을 공유하는 것이 바로 날카롭게 바라보는 부이다. 날카롭게 들여다보는 부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강제적인 법률과 교육이 필요하다. In all ages, we have in the money for extremely interested. Plato also commenting on the money or wealth a l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is that Plato's opinions about the wealth. Especially, for taking this purpose, I choose expressions; Blind wealth and Keen of sight wealth. If you look at Plato's opinions about the wealth in terms of these. You can know very well Plato's thought about the wealth. Plato, but about possession itself, has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excessive wealth. Because wealth makes people's eyes blind, they shall not see the individual personality but also the other peopl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s, we should face wealth sharply. In other words, 'the keen of sight wealth' use own wealth for taking virtures. Besides, 'the keen of sight wealth' makes people see the others, share themselves wealth each other. For the keen of sight wealth we have to look pointedly at the obligatory legal and educational needs.

      •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 및 자산 결합분포 특성 분석

        김민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소득5분위 및 자산5분위로 구분하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과 자산의 결합분포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전개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5년 배포된 제5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405가구 중 1955년~1963년 사이 출생한 베이비부머 가구주만을 대상으로 하여 총 1,558가구 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과 자산분포 분석을 위해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총소득금액 을 소득으로 사용하였고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을 합한 금액을 자산으로 사용하였다. 우선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5분위와 자산5분위별 분포를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소득과 자산을 5분위로 분류한 25개 계층에 대한 결합분포를 구성하고 가구주 인구․사회 적 특성(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경제활동상태, 자가소유여부)에 따른 계층을 살펴보았다. 분석 방법은 각 특 성에 따른 전체 평균 비율과 25개 각 계층의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 종합하여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과 자산을 5구간으로 나누어 계층별 점유 비율을 분석한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산 불평등이 소 득 불평등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자산 결합분포 상에서 소득 분위와 자산 분위가 일치하는 대각선에 위치한 계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자산이 많은데 소득이 적거나 소득이 높은데 자산이 적은 계층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는데 실제 소득과 자산간 상관계수는 0.552로 우리나라 총가구의 소득과 자산간 상관관 계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가구주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계층 분석 결과, 여성 가구주 가구일수록, 가구주 학력이 낮을수록, 서울 거주 가구일수록, 비취업자 가구주 가구일수록, 월세 등 기타 거주 가구일수록 소득이나 자산이 낮은 계층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소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으로 나타 났고 자산에 상대적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는 자가소유여부가 도출되었다. 지금까지 베이비부머 세대는 기존 노인세대 대비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평균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득과 자산을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계층별 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 내에서도 상위 또는 하위 계층은 사회, 경제적으로 구별되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계층의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양 극단에 있는 가구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distribution of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by classifying income quintile and wealth quintile. This study uses the data provided by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published in 2015. Among total sample 6405 households, 1158 households are baby boomer households. The income and wealth of this study employ income and the sum of three kinds of wealth(real estate wealth, financial wealth, other wealth) of the 2015 KReI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based on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distributions. Then, various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 level, home region, employment status, housing tenure status) are examined to understand which characteristics are influential in income and wealth distribution. We examine low income-low wealth and high income-high wealth group of baby boomer household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portion of particular cell and that of total population based on all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luding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the degree of inequality in wealth is greater than the degree of inequality in income. And the shares of the high income-high wealth and the low income-low wealth in joint distribution is larger than other shares. This mean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0.552) between income and wealth. This correlation index is higher than those of total households in Korea. Second, according to joint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for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female househods, less educated households, households living in Seoul, non employees households, and households living in a monthly rented housing are mainly distributed in low income-low wealth group. In addition, major determinant of income and wealth is education level and housing tenure status, respectively. Until now, baby boomer households have been considered as new senior which have a different and better socio-economic structure when compared to the preceding generation households. However, we find that baby boomer households with low income and wealth have a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f current trends continue, many of those baby boomer households are likely not noly to face a lower standard of living when they retire but also to find themselves largely dependent on government benefits. Therefore, policies for those baby boomer households are needed for improving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 KCI등재

        중국 재신(財神) 신앙의 형성과 그 의미 확장

        오수경 ( Oh Sooky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6 No.-

        재신은 재운을 주관하는 신령으로, 중국 민간 신앙 가운데 가장 늦게 나타난 신에 속하지만, 사람들의 재운과 장사의 성패를 관장함으로써 현대 중국인이 가장 보편적으로 섬기는 선신 중의 하나가 되었다. 중국인들에게서 오랜 역사 기간 동안 형성되어 온 재신 신앙은 인간의 풍요로운 삶에 대한 동경을 반영한다. 인간의 재부에 대한 욕구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민간 신앙으로서 중국인들의 현실적 재부관의 아이콘과 같은 재신 신앙은 재부만이 아니라 장수와 길상을 포함한 다양한 민속 상징들을 흡수하면서, 총체적 행복의 추구로 발전해 왔으므로, 개혁 개방 이후 시장 경제 체제에서 가장 중국인들의 구미에 맞는 민간 신앙이 되었다. 상업이 크게 발달하고 도시문화가 발달하는 송원대에는 이미 재신 신앙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명청대에는 전국적으로 재신 신앙이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 대표적인 재신으로 조공명과 관재신, 비간, 범려, 그리고 유해금섬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현실적 가치관을 지닌 중국인들에게 재신 신앙은 대단히 현실적이고 공개적으로 재부에 대한 추구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지금의 시장경제 자본주의 중국에서 재부 추구의 과열 양상을 두고, 심지어 지금 중국에는 재신 신앙밖에 없다는 풍자적인 언급도 나오고 있지만, 이는 약 2천 년 전의 논쟁과 별로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인간은 언제나 재부에 대한 욕구를 지니고 있고, 지나친 욕구의 범람에 대한 경계심도 함께 지니므로, 중국의 재신 신앙이 이(利)와 함께 의(義), 그리고 산재(散財)를 귀히 여기는 재신 신앙을 확립하고자 노력해 온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온갖 민속 신앙의 상징들이 결합되어 중국적 재신 신앙의 총체신화를 잘 보여주는 유해금섬의 경우에도 건강한 재화 나눔이 기본으로 깔려 있다. Chinese folk belief on the god of wealth reflects the pursuit of wealthy life. Since China open it`s door after cultural revolution, it turned into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worship of the god of wealth became the most popular folk belief in China. The folk belief made the expression of the pursuit of wealth free and public, even inviolable. Economy system of commodity and market made the people think the pursuit of wealth positively, even worthy, but also made the people think about the moral standard together. The god of wealth is the latest god, but the most popular god in folk belief in China, because it cares the fortune and the success of business.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Communist China, all wealth belonged to the nation, there was no place for the worship of god of wealth. But Along with the economic reform in 1980`s, China recovered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worship of the god of wealth was brought back. Now not only the marchant but ordinary people also enshrine the god of wealth at house. It shows us that people`s desire of wealth expressed without reserve along with the policy of nation. Actually the worship of god of wealth is the icon of very practical view of wealth formed among Chinese people for a long time. It accept various folk beliefs and become multiple symbol of total happiness including wealth, longevity, good luck etc.. That`s why it becomes the most beloved and popular folk belief and we can guess there would come out more folklore and festivals about the god of wealth from now on. We can find the Chinese practical value to affirm the value of wealth from Si Maqian, which is pretty different from the orthodox Confucianism. But the appearance of god of wealth in Chinese folk belief was later than that. It seems that the worship was formed from Song dynasty when the urban cultur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flourished in some degree, and became popular in Ming and Qing dynasty. There are many gods of wealth in China. The most representative gods are Marshal Zhao(Zhao Gungming), Emperor Guan(Guan Yu), and Liu Hai with the golden Toad. Through the research on Chinese worship of god of wealth, I found that Chinese people tri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pursuit of wealth and the moral sence. So the gods like Zhao Gongming, Guan Yu take charge of the wealth, but also put emphasis on the righteousness, credibility and sharing. For example, Liu Hai with Golden Toad shows us the very typical representation of total myth of Chinese folk belief mixing with the various symbols of folk beliefs. In that case, the pursuit of wealth is also based on the healthy sharing.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worship of the god of wealth, different from the mammon worship, though some Chinese scholars satirized very cynically that there is only the worship of god of wealth in Chinese folk beliefs now.

      • KCI등재

        Assessing Retirement WealthUsing Composite Measures of Adequacy Benchmark

        Yuh, Yoonkyun 한국응용경제학회 2014 응용경제 Vol.16 No.3

        본 연구는 예비은퇴자들의 은퇴자산의 적정성을 항상소득(permanent income)과 항상소비(permanent consumption)라는 두 벤치마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은퇴자산은 포함되는 자산의 종류 및 범위에 따라 확장적 정의, 중간적 정의, 제한적 정의의 세 가지를 사용하였고 각각에 따라 추정된 은퇴자산 적정성의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Survey of Consumer Finances 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예비은퇴자들의 은퇴자산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와 어떠한 벤치마크를 이용하는지에 따라 은퇴자산의 적정성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자산의 적정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벤치마크의 종류와 은퇴자산의 정의와 관련 없이 일관성 있게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예상은퇴연령, 주관적 위험감수도,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소유여부, 비금융자산의 소유여부가 주요결정요인으로 밝혀졌다. Based on two representative benchmarks, permanent income and permanent consump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dequacy of retirement wealth among pre-retiree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t compares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wealth adequacy according to two benchmarks under various definitions of retirement wealth: broad, intermediate, and narrow wealth. Analysis using the Survey of Consumer Financ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pre-retirees with adequate wealth according to benchmarks and wealth definitions.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retirement wealth adequacy are fairly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benchmarks and wealth definitions. The crucial determinants include planned retirement age, subjective risk tolerance, and ownership of defined-benefit plans and non-financial assets.

      • KCI등재

        국민연금자산이 개인연금자산 보유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시사점

        전승훈 ( Seung Hoon Jeon ),임병인 ( Byung In Lim ) 보험연구원 2008 보험금융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2005년 기준으로 연령이 45~59세이고, 임금근로자인 가구주의 국민연금자산을 추정한 후, 국민연금 자산이 개인연금 자산 보유여부, 개인연금 자산규모, 개인연금 월 불입액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 자산이 개인연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즉, 공적연금 자산 규모의 증가가 개인연금을 통한 저축행위를 위축시키거나, 반대로 공적연금 자산 규모의 감소가 개인연금을 통한 저축행위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개인의 공적연금 자산규모를 줄이는 방식의 공적연금 개혁이 개인의 노후보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공적 연금 개혁을 통해 공적연금 자산이 줄어들 때 개인연금을 통한 노후대비 소득 확보노력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결과적으로 노후 준비가 부실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적연금 개혁을 논의할 때에는 개인의 사적인 노후준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이 동시에 검토될 필요가 있다. We calculated the lifetime national pension wealth and examined if the national pension wealth has an impact on the household behaviors to hold the private pension wealth, the size of the private pension wealth, and the private pension wealth paid in the monthly premium, with the sample of household heads aged between 45 and 59 selected from the 1st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Our estimation results say that the national pension wealth has no effect on three variables of the private pension wealth with the 10-percent significance level, meaning that the private pension wealth does not shrink from the national pension wealth, and the decrease in the size of the national pension wealth does not stimulate the saving propensity by the private pension wealth. These tell us that a private pension is not a substitute for the national pension, saying that the national pension act revision by cutting down the national pension benefi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 income security after retirement. Consequently, the national pension reform might lead to the income inadequacy problems after retirement without an individual effort to increase the private pension saving and thus it implies that the private pension scheme needs to be under consideration as revising the national pension act.

      • KCI등재

        <이조집> 소재 ‘여성 致富․治産談’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구비설화와의 교섭 양상을 중심으로-

        임이랑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omen's leading activities among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located in "Ijo Collection". In particular, they focused on tracking the narrative succession relationship and transformation patterns of women-led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by examining the negotiation patterns of folktales and short stories of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female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actively accept the symbolic pixels of folk tales such as leading the chibu behavior, recognizing famous horses, and making her husband succeed. At the same time, he revealed the full extent of realistic 'becoming and managing wealthy' that was not covered in folk tales. In other words, women-led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show a complex image of a woman as a simple worker of family life and a leader in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business and family between a traditional wife and a stranger woman for survival. Therefore, even if they accepted various folktales, it could be seen that they eventually chose a different path from the "fantasy" pursued by the folktales. By highlighting the role of women at the time as practical operators of the family economy, the "didactic characteristics" has rather been solidified. Therefore,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of the female can be seen as narrative assets that have achieved interest and lessons through three-dimensional female characters such as widows, maidservants, and Seo-ri's wife. 이 글은 <이조집> 소재 치부․치산담 가운데 여성이 제반 행위를 주도하는 자료를 선별하여 그 서사적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 것이다. 특히 구비설화와 한문 단편의 교섭 양상을 살펴 여성 주도형 치부․치산담의 서사적 계승 관계와 변전 양상을 추적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우선 여성 치부․치산담은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류에서 발견되는 ‘현명한 내조자’의 원형적 여성을 계승하여 치부 행위 주도하기, 名馬 알아보기, 남편 출세시키기 등 민담의 상징적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민담에서는 다루지 않은 현실적 치부 및 치산 행위의 전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여성 치부․치산담은 전통적 현모양처와 생존형 여성 異人 사이에서 집안 살림의 소박한 일꾼이자 가업과 가문의 번영을 주도하는 선도자로서의 여성 형상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들이 다양한 민담적 화소를 수용했더라도 종국에는 구비설화가 추구하는 ‘환상성’과는 다른 길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경제의 실질적 운용자로서 당대 여성의 역할을 조명하여 그들의 치부 및 치산 행위를 핍진하게 기술한 ‘교술성’이 오히려 공고해진 것이다. 따라서 여성 치부․치산담은 과부와 같은 여성 가부장, 자신의 신분 해방을 위해 남성의 킹메이커를 자처한 여종, 남편이 소속된 직업 세계의 각종 위험 요소들을 치밀한 계획과 현명한 처세로 소거한 서리의 처 등 입체적 여성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교훈을 두루 성취한 서사적 자산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 글은 <이조집> 소재 치부․치산담 가운데 여성이 제반 행위를 주도하는 자료를 선별하여 그 서사적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 것이다. 특히 구비설화와 한문 단편의 교섭 양상을 살펴 여성 주도형 치부․치산담의 서사적 계승 관계와 변전 양상을 추적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우선 여성 치부․치산담은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류에서 발견되는 ‘현명한 내조자’의 원형적 여성을 계승하여 치부 행위 주도하기, 名馬 알아보기, 남편 출세시키기 등 민담의 상징적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민담에서는 다루지 않은 현실적 치부 및 치산 행위의 전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여성 치부․치산담은 전통적 현모양처와 생존형 여성 異人 사이에서 집안 살림의 소박한 일꾼이자 가업과 가문의 번영을 주도하는 선도자로서의 여성 형상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들이 다양한 민담적 화소를 수용했더라도 종국에는 구비설화가 추구하는 ‘환상성’과는 다른 길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경제의 실질적 운용자로서 당대 여성의 역할을 조명하여 그들의 치부 및 치산 행위를 핍진하게 기술한 ‘교술성’이 오히려 공고해진 것이다. 따라서 여성 치부․치산담은 과부와 같은 여성 가부장, 자신의 신분 해방을 위해 남성의 킹메이커를 자처한 여종, 남편이 소속된 직업 세계의 각종 위험 요소들을 치밀한 계획과 현명한 처세로 소거한 서리의 처 등 입체적 여성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교훈을 두루 성취한 서사적 자산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