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21세기 환경의식의 변화에 관한 주관성 연구: 동강에서 4대강까지

        진상현 ( Sang Hyeon Jin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1 環境政策 Vol.19 No.3

        There was a big change of Korean peop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2000. The president of Korea declared the withdrawal of a dam construction project in Yeoungwol at the world environment day, 5th of June 2000. It was a significant event of the new millennium. But Korean society is divided by the 4 major rivers project after 10 years from then. There was a study that revealed the existence value in the conflict of Yeongwol dam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rom 2000 to 2010. So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y using the subjectivity analysis technique, Q methodology. Concretely, it uses the same statements of the survey in 2000, modifies and applies them to the 4 major rivers project case in 2010. As result, it can discover the same preservation value from two case studies. But there are som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xcept for the preservation value. For example, it was the only resource value that agreed with dam construction in 2000, while it was objected by the others; preservation value, sightseeing value and latent value. But now two values, resource development value and environmental-friendly development value, agree with the 4 major rivers project, while it is also objected by the other values; preservation value, future option value and local culture value. In conclusion, it will be the key of the 4 major rivers project how people can organize these kinds of value types and extend their territories of agreement and disagreement.

      • 지역가치와 지역학의 연구방법론

        김상욱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8 대학교양교육연구 Vol.3 No.1

        This paper studies the area studies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regional studies. What is the regional studies? We have to research wha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im of the regional studies is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This paper approaches the regional value from three aspects, language, culture, and economy. In the international regional studies, the language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In the domestic regional studies, the culture respectively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inding of the regional value. An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gional studies and the regional value, this paper explains three aspects, the regional identity, the locality, and the regional value. In the international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value has relations with national benefit, in the domestic regional studies, the regional value has relations with regional benefit. And this paper suggest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regional studies, include the theme region and the target region. 본 논문은 지역가치와 지역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지역연구란 무엇인가 이 문제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가치의 발견을 언어, 문화, 그리고 경제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국제지역연구에 있어서는 언어가 지역가치의 발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지역연구에 있어서는 문화가 지역가치의 발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지역학과 지역가치의 관계를 지역정체성, 지역성 그리고 지역가치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즉 국제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가치는 국가의 이익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국내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가치는 지역의 이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학의 연구방법론을 대상과 지역 그리고 주제와 지역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소비가치에 따른 밀레니얼세대 카페 소비자 세분화에 관한 연구

        조춘봉,진익준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1

        카페는 이제 단순히 사람들이 만나거나 음식을 파는 공간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다. 카페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 알려진 밀레니얼세대의 변화된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공간 마케팅을 위해서는 먼저 그들의 ‘내면적 소비가치’를 포착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카페시장을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시장세분화는 기업들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기 전에 선행되어야할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자 관점에서 선정한 속성에 대한 객관적 측정을 주로 하는 R 방법에 기반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R 방법 연구로는 소비자의 주관성에 기초한 선택행동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가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검증된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카페시장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들의 내면적 주관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시장은 4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것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함께 ’상품속성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두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상품속성 가치‘ 그리고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성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는 소비자들이다. 세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네 번째 유형은 ’타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이처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소비자들이라도 개인의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에 따라서 선호하는 소비가치는 크게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카페들은 목표고객에 따라서 그들이 선호하는 소비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공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외식산업 종사자들이 공간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작으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rket segmentation is an essential activity of food servic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nternal subjectivity of millennial cafe consumers, who have emerged as the leader of consumption, using the Q methodology suitable for subjectivity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illennial cafe market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s are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product attribute value' oriented consumers. The second type is consumers who aim for a combination of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product attribute value', and 'consumer-independent value'. The third type is consumers who are oriented to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The fourth type is 'other-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oriented consumers. Therefore, cafes will ne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spatial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nsumption value preferred by their target customers.

      • KCI등재

        우리에게 아파트의 의미는 무엇일까? : Q 방법론의 적용

        윤상호(Yoon Sangho),박성용(Park Seong Yong) 한국상품학회 2007 商品學硏究 Vol.25 No.1

          “과연 우리에게 아파트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러한 주제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주관적 반응을 측정하여야 한다. 소비자의 주관적인 반응을 Q방법론적 진술문을 통해 객관화시켜서 소비자 유형을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이다.<BR>  기존의 이론적 접근법은 주택가치를 주로 주거가치와 투자가치의 이분법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성적인 요인들과 감성적인 요인들로 나누어 주택가치 관련 문항들을 개발하였다. 이성적인 요인들과 감성적인 요인들로 구성된 34개의 주택가치 관련된 진술문을 Q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아파트를 소유 주거하는 사람들을 3가지 유형인 가치목적 추구형, 주거목적 추구형, 투자목적 추구형으로 나눌 수가 있었다. 이들 유형들 간의 상관관계는 높았고, 아파트의 경우에는 동일하게 인식하는 항목들의 경우에는 이성적인 요인들이 감성적인 요인들보다 훨씬 높음을 보여주었다. 구매가치, 주거가치, 자산가치의 유형별 평균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회귀분석을 이용한 증분분석에서는 그 영향이 나타난다.   "What does apartment mean to us?"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kinds of topics, we need to measure the subjective responses of consum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nsumer taxonomy by objectivity of subjectivity of human minds. This can be achieved by Q-methodology.<BR>  Previous research studies identified the value of housing as the combination of dwelling value and asset value. In this study, we develop 34 Q-sample cognitive and emotional questions related to housing valu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consumers: perceived-value-seeking, dwelling-value-seeking, asset-value-seeking type. These three types of consumers have high correlation so that we can conclude that people have very similar views on apartment. In particular, cognitive aspects are more emphasized that emotional aspects. Further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overall satisfaction of housing produce very similar results as Q-methodology results.

      • KCI등재

        동선 연결성을 고려한 공간구성체계도 연구

        김찬주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new method of describing spatial configuration with considering degree of circulation quantitatively. That is named 'SCGC'(Spatial Configuration Graph of Circulation) in this thesis.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reviewing 'the node-edge Graph'. The characters of SCGC are followings. At the first of all, SCGC is the method of spatial analysis and of spatial composition through quantification of moving circulation's connection. Secondly, SCGC is developed 'node-edge graph' which is based on 'node' of connection in unit space and 'edge' for capabilities of circulation elements. At the last, the SCGC can be showed correlations of 'unit spaces' about whole space which comes out from 'connectivity of connection line', 'connective control value', 'connective integration'.

      • KCI등재

        Q 방법론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 활동에 대한 주관성 연구: 리조트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최민철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관광레저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CSV(Creating Shared Value) activities targeting the employees of resort companies by using the Q methodolog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otal 28 internal employee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group of ‘economic value’ that perceives the vitalization of local commercial areas by attracting tourists for th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second type is the group of ‘social value’ that perceives the practice for the creation of local job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fair trade with partners. The third type is the group of ‘brand value’ that positively perceives the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through CSV activities.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measurement tool for CSV activities of resort companies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 사정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김은주 ( Eun Ju Kim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구 한국가족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Q assessment tool(Q-Block) to verify the types of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Methods: This study created a Q assessment tool(Q-Bloc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on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found throughout Q Methodology. Results: This study produced three types of perceptions on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ype 1 is satisfaction with the existence of children. Type 1 emphasizes that the existence of children itself is enough to be considered happy. Type 2 is dedication and patience. This type is characterized as encountering difficulty and developing patience when raising children. Type 3 is the pursuit of social value. This type has the characteristic of pursuing social value. The Q-Block consisted of a highly discriminative statement from each type. Conclusion: The Q assessment tool(Q-Block) is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check their perceptions on the value of children in the field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융·복합적 방법론을 활용한 가치관 및 소통 교육의 내용 제언―대학 교양교과목 <가치와 소통> 교수요목 개발을 중심으로

        김정숙,송지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A wide variety of incidents have taken place in Korean society just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occupation by a foreign country, wa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the emergence of the powerful digital web market, the birth of unprecedented new generations, the discontinuity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indiscreet import of foreign culture. As a consequence, there is a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values at present, which must be taken seriously. However, no education has currently been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values and communi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s who are thrown into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design of a college curriculum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about value and communication in an attempt to facilitate the successful resolution and coordination of value conflict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This course is expected to help college students to build well-balanced and creative values. The themes and phenomenological keywords presented by the curriculum of this course show the diverse appearances of society that are linked to each individual of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reby pose a serious question related to moral responsibility and value judgment. A convergence attempt to link popular keywords of students, which reflect their phenomenological matters of concern, and classical education could be said to be an effort of combining what's variable and what's invariable in a vertical way. That will stimulate students to keeping on shifting their perspectives from a phenomenon to a theory and from a theory to practice. Also, the presentation of conflicting keyword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symmetrical model of self vs. others, which will contribute to horizontal convergence that stirs up fierce conflicts and productive harmony between the two parties. Four self-related themes and four others-related themes were selected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could possibly be generated by the symmetry between two different things in order to make the communication model of 'I' and 'you' cover the major key themes of value conflicts that might happen in the 21st century's Korean society. The selected self-related themes are 'beauty/ugliness,' 'man/woman,' 'desire/reason,' and 'family/I.' After the self-related themes are covered, a seminar will be held to talk about 'success/ happiness.' The selected others-related themes are 'individual/nation,' 'true/false,' 'region/world,' and 'man/nature.' And then the them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human affairs are covered in the wrapping-up stage: 'life/death as life ethics' and 'good/evil as one's own ethics.' The effort of convergence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actualize vertical convergence between the actual life of students and their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horizontal convergence between conflicting and symmetrical themes at the same time, which will lea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a true sense, not just for exhibitionism. Students will be able to overcome stereotyped and authoritarian moral laws to build their own practical ethics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the fossilized good while they receive that education. And they also will gradually be able to improve their thinking faculty to make their standpoints clear about major principle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n to provide rationale on their standpoints. They will learn the best wisdom from this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course to foster their insight and judgment to build their own ethic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society marked by the extreme confusion of values, and they will learn how to put it in practice from a perspective of humanities as well. 한국사회는 짧은 시간 내에 식민 지배 및 전쟁, 정부수립 후 산업화와 민주화, 강력한 디지털 웹 시장과 함께 완전히 새로운 세대의 탄생, 전통문화의 단절과 외국문화의 무분별한 수입 등을 경험함으로 인해 이질적 가치들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심각한 상황에 반해 현재 혼란에 빠진 젊은 세대를 위한 본격적인 가치관 교육 및 소통 교육은 부재하다. 본고는이처럼 극에 달한 가치갈등의 문제들을 소통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조정하는 대학 교양교과목 <가치와 소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띤다. 바탕주제들을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선정하고 제언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의 커리큘럼이 제시하는 세부 주제 및 현상적 키워드들은 청년 세대 개개인과 결부된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도덕적 책임 및 가치판단과 관련된 치열한 질문거리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현상적 관심사가 반영된 유행 키워드들과 고전교육을 연결하는 융·복합적 시도는 곧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종적으로 결합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관점은 현상에서 원론으로, 이론에서 실천으로 끊임없는 층위 간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대립되는 주제어들을 통해 자아 대 타자의 대칭 모형을 만들어 양자 사이의 치열한 갈등과 생산적인 조화를 유도해내는 ‘횡적 융·복합’을 보여주기도 한다. ‘무엇 vs 무엇’의 대칭적 모양이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원론적 바탕 위에서 자아관련 테마4개와 타자관련 테마 4개를 통해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유효한 가치갈등의 굵직한 핵심주제들을 ‘나’와 ‘너’의 소통 모델 안에 엮는다. 자아-테마로는 ‘미/추’, ‘남/여’, ‘욕망/이성’, ‘가족/나’가 있고, ‘성공/행복’에 대해 이야기하는 중간세미나를 가진다. 타자-테마로는 ‘개인/국가’, ‘진짜/가짜’, ‘지역/세계’, ‘인간/자연’이 있고, 인간사 본질을 관통하는 바탕주제들인 ‘생명윤리로서의 삶/죽음’과 ‘자기윤리로서의 선/악’을 맺음 단계에 배치한다. 본 연구가 취하는 융·복합의 방향은 학생들의 현실적 삶과 원론적 이해 간의 종적 융·복합과 대립·대칭적 주제들 양자 간의 횡적 융·복합을 해냄으로써 융·복합 방법론의 전시적 활용이 아닌 진정한 융·복합적 교육의 방법으로 나아간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반복적이고 권위적인 도덕률을 이겨내고 생동하는 자기윤리를 품게 된다. 그리하여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주요 원칙에 대해 자신의 고유한 입장을 확립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당화시킬 수 있는 사유능력의 점진적 향상을 해낼 것이다. 궁극적으로 <가치와 소통>은 대학생들이 균형적이고 창조적인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돕는다.

      • KCI등재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양린,이상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Textile is the most closely-related material to human life. It is continuously evolving with new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and various high technologies. In the past, the growth of the textile design industry was influenced mainly by the progress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creation of new fibers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dyes. In modern tim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a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recent scient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at are responsive to an individual's value-seeking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textile design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case study. The research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as well as internet research. This research paper contains as follows. Textile Design with Generative Design Methodology is suggesting; 1) Textile designers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by introducing new methods and forms of expression. 2) Textile designers are able to cater to the new age so that the consumers receive additional value and experience through the medium of textile. 3)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science, and technology in textile design demonstrates the value and abundant possibilities of textiles through multifaceted i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consumer, and the integrated design innovation in this research, this paper prove Textile Design by Methodology of Generative Design is creating new value and proposing innovative direction for future textile design. 텍스타일은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한 소재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 접목을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이나 생산 방법에 있어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생산 방식에서 이룬 생산 기술의 고도화와 신섬유 소재의 개발, 염료의 개발 등이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다양한 과학기술과의 접목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은 다각도의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고 개개인의 가치 추구 경향에 부응하며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방향에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인터넷 탐색 방법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각 사례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텍스타일의 세가지 새로운 방향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디지털 기술과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작 방법과 표현 방식을 도입하여 창작 활동의 범위를 확장 시켰다. 2)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새로운 시대에 대응할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안하고 소비자는 텍스타일 이라는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치와 경험을 제공 받게 되었다. 3) 텍스타일 디자인은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과학과 인간에 대한 탐구를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제안하는 혁신을 이루고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제너러티브 방법론의 도입은 유연한 사고와 협력적 관계를 통해 융합적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텍스타일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다각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의 무한한 가치와 풍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사회의 혁신을 주도 할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창작자 관점, 소비자 관점, 통합적인 디자인 혁신의 관점으로 도출하여 제시 하였다.

      • KCI등재

        논산지역 강변 문화관광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안숭범 ( Ahn Soong-beum ),최혜실 ( Choi Hye-sil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2 No.-

        본 연구는 논산지역을 중심으로 강변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것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핵심 이야기 추출 방법론과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개발론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우선 서사학적 입장에서 공간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제랄드 프랭스 등의 서사론과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현상에 대한 이론은 이야기체험 관광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주었다. 무엇보다 중점을 둔 도구적 이론이 있다면, 로저생크의 `역동적 기억` 모델이다. 그의 `이야기기반 기억`에 대한 논의는, 관광객이 해당 지역을 관광하는 동안 자신만의 이야기를 구축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논산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적용·실체화 해본 결과, 논산은 `충의 서사를 중심으로 고대 역사 체험 공간`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론은 논산의 설화자원, 역사자원, 문화재, 생활자원, 인문관광자원, 자연자원, 산업자원 등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후, 강변 문화관광에 적합한 핵심 이야기를 추출한 결과에 기초한다. 또한 논산에 한하여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개발 방안을 요약하면, 논산은 탑정호 북동쪽의 황산벌과 계백장군묘소 등 `중심적 가치`를 드러내는 자원들을 중심으로 `주변적 가치`를 살려나가는 콘텐츠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는 상이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한 지역들을 대상으로도 광범위하게 진행된 후에 더욱 구체적인 결과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관련 연구들을 통해 본고의 방법론이 더욱 구체화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storytelling methodology of riverside culture tourism with Nonsan as the center. Divided in detail, it can be classified as core story extraction methodology and culture tourism storytelling methodology. First of all, understanding about space storytelling in narratological view was planned for this study. Narrative theories such as Gerald Prince`s, Edward Relph`s theory about the phenomenon of place reminded the importance of story-experience tourism. If there is an instrumental theory being focused above all things, it will be Roger C. Schank`s `Dynamic Memory` model. His discussion about `Story-based Reminding`, benefited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ourists constructing their own stories while touring local area. After trying to apply and substantialize storytelling methodology with targeting Nonsan, Nonsan was concluded to be desirable to aim `the Ancient History Experiencing Space with Narrative of Loyalty as its center.`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ng core story appropriate to riverside culture tourism, after analysing folk tale resources, history resources, cultural properties, living resources, humanity tourism resources, nature resources, industry resources and more of Nonsan. And to sum up the ways of developing culture tourism storytelling limited in Nonsan, the city was demanded to develope contents that nurtures `peripheral value`, revolving around the sources which reveals `central value` such as Hwangsanbul-northeast side of Topjung Lake-, and General Gyebaek`s grave. This study will reach more concrete results after progressed extensively also targeting regions possessing different culture tourism resources. I expect this study`s methodology will increasingly actualize through related researches hence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