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근대 문학론 활용 1-

        서혜지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이 글 은 대학 교양 수업에 부합하는 문학 교양 수업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고전이라 부를 수 있는 글 들을 문학 수업에 활용하는 방 안 의 시작으로 이광수의 글쓰 기를 통해 그가 살 았 던 시대의 교양교육을 알 아보고 그 사유를 이해하는 수업 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논문이다. 이광수는 이성적인 사고를 기 르 는 교육이야말로 교양있는 조선 민 족 이 되는 지름 길 이라 생각했다. 칸트는 계몽을 “ 인간이 자 초 한 미성 숙 에서의 탈 출 ” 이라고 말하고 있다 . 계몽 사상가들은 미신과 맹 신을 배 격 하고 이성적인 정신을 갖 는 것이 인간 생활의 모 든 영역에서 개선의 결정적 수 단 이라고 보았다 . 이광수는 그 당 시의 계몽 사상가들과 마 찬 가지로 조선 민 족 이 “ 미성 숙 에서 탈 출 ” 하여 교양있는 민 족 이 되는 길 이 계몽이라 생각하고 주장한 비평가이며 문학 이론가이다 . 교양있는 민 족 이 되기 위해 이광수는 인간의 정적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궁극 적으로 구습에 갇혀 종 속 적 위치에 있 던 ‘ 정 ’ 을 유교적 관습에서 해방시켜서 민 족 적 쇠퇴 를 벗 어나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정적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도 덕 에 억눌 려 있 던 자신의 능 동적인 감각을 찾 아야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 또 한 국문 표기로 ‘ 계몽적 목적 ’ 을 달 성하여 근대적 교양을 갖춘 민 족 상을 역설하였다 . 「 민 족 개조론 」 을 정치적인 성향 이외에 비 난받 는 내용의 텍스트가 나 올 수 밖 에 없던 과정과 맥락 을 이해하고 교양교육에 어 떤 방식으로 활용 했 는지를 살펴 보았다 . 자주적인 근대화가 이 루 어지지 못 하 던 시기에 이광수는 논설을 텍스트로 삼아 대학 문학 교양 수업의 현 재 와 과거의 연결 점 을 찾 는 것이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이다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liberal arts class in literature in line with the liberal arts class in college.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idea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lass that understands the rationale and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era he lived through the writing of Lee Kwang-soo, as the beginning of a plan to use the classics of the writings in the literature class. Lee Kwang-soo believed that education to cultivate rational thinking was the shortcut to becoming a cultured Korean nation. Kant describes the Enlightenment as “an escape from human self-inflicted immaturity”. The Enlightenment thinkers rejected superstition and blind faith and saw that having a rational mind was the decisive means of improvement in all areas of human life. Like the Enlightenment thinkers of that time, Lee Kwang-soo is a critic and literary theorist who thought that enlightenment was the way for the Korean people to “escape from immaturity” and become a cultured nation. In order to become a cultured nation, Lee Kwang-soo argued that by emphasizing the static element of human beings, ultimately, we must free ourselves from the Confucian customs of ‘jeong’, which was locked in the old custom and subordinated, to escape from the decline of the nation. He understood the process and context in which texts that were criticized other than political inclinations had to appear, and looked at how they were used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a time when independent modernization was not achiev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research is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of liberal arts classes in university literature by using his editorial as a text.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 -목원대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이아람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영화교육의 확산 형태 를 확인하는 데 있다 .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자료를 통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영화적 텍스트를 특 정 주제와 관련해서 시각적 흥 미와 관심을 유동하는 기 폭 제로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흐름을 보았을 때 , 영화교육의 패 러 다임은 크 게 영화를 통한 교육과 영화에 대한 교육으로 구분 될 수 있다 . 이러한 구분에 따 라 , 목원대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흐름도 이 두 가지 관 점 으로 살펴 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 듯 목원대 교양교육은 영화교육의 두 층 위가 모 두 나타나는 데 유의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 특 정 패 러다임만 제시된다 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은 그 균 형 을 잃 게 된다 . 영화에 대한 교과목과 영화를 통한 교과목이 일정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 며 . 그 균형 성을 적 절 하게 유지하고 있다 . 교과목의 수를 넘 어서 각 강 좌 에서 제시된 접 근 방법이 영화를 통한 것인지 , 또 는 영화에 대한 것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 문이다 . 그리고 각 교과목의 성 격 과 연결 지어 영화를 활용하는 수업에서부 터 , 영화에 대한 이해 , 1 인 미디 어를 제작하는 과정까지 매 우 다양한 영화교육의 스 펙 트 럼 을 보여주고 있다 .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강의계 획 서가 제시된다 면 해 당 강 좌 의 특징 을 이해하는 데 더 많 은 도움이 될 것 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pread of film educ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of film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film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data previously studied. In these previous studies, cinematic texts are us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visual interest and interest in relation to a specific topic. In view of this trend, the paradigm of film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eaching through film and teaching about film.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flow of film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looked at from these two perspectives. As if reflecting this trend, it can be said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meaningful in that both layers of film education appear. If only a specific paradigm is presented, film education loses its balance in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on film and subjects through film appear in a certain ratio. It maintains that balance properly. This is because, beyond the number of subjects, whether the approach presented in each course is through film or about film is clearly distinguished. In addition, it shows a very diverse spectrum of film education, from classes that use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understanding films, and the process of one-person media production. And if the syllabus is presented in more detail, it will be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교양학 전공교육의 구현 방향과 가능모델 탐색 -J대학교 사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박은진, 김주석, 서경화, 이영선, 오현규, 한우섭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2010 년대 이후 본 격 적으로 시도된 교양학 전공교육의 현 황 을 점 검하여 한국에서 교양학 전공교육의 구현 방향을 모색하고 , 지방에 위치한 J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제 가 능 모 델 을 탐색해 본 연구이다 . 대학의 위기 상 황 에서 새 로 운 대 안 으로 제시된 교양학 전공의 의의와 실현 방향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시대의 변화 속 에서도 항 구성을 가진 본 질 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양학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교양학 전공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국내외에서 이 루 어 져왔 으나 . 그 결 과에 있어 실효성을 갖 는 방 안 이 제시되지는 못했 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들에 대한 고 찰 과 J 대학의 실제 상 황 에의 적용을 토대로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 질 적인 교양학 전 공 교육 구현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모 델 과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대학의 기 능 이 유 명 무 실해지고 ,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기 능 에 대한 회의와 문제제기가 지 속 적 으로 제기되는 오늘 날 , 교양학 전공 교육에 대한 논의는 기존 대학 교육의 한계를 극 복하고 새 로 운 대학 교육의 모습과 가 능 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that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2000s, seeks the realization direction of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s practical models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feasibility of the liberal arts major presented as a new alternative in the crisis situation of the university, focusing on actual cases. Attempts to realize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have been made at home and abroad,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liberal arts that can develop essential abilities with perseverance despite the changes of the times, but no effective plan has been proposed.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 actual situation of J University, I tried to come up with a more practical way of realizing liberal arts major education.

      • 예비대학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입생 교양교육 성과와 과제

        이희영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최근 4년제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의 입학 예정자가 능동적으로 대학생활을 준비하도록 하는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점차 자리잡아가는 추세이다. 최근 대학을 둘러싼 환경적 변화에 비추어보면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예비 신입생들이 대학 적응 및 기초학문능력 강화,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라는 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배재대학교에서는 대학 학습 환경에의 능동적인 적응, 선행학습을 통한 기초학습능력증진, 대학의 정체성 이해 및 소속감 부여, 대학 내 소속감 부여, 재학생 대상 수월성 교육을 통한 우수 학생 양성을 목표로 2016년 주시경역량강화선행학기와 2017년 신입생 나섬활동학기를 운영하였다. 해당 예비대학의 프로그램 내용은 학교의 정체성 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인증제도)의 선행 경험, 교내 캠퍼스투어,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튜터링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운영되었다. 이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마친 후 이루어진 설문조사에서 만족도는 4.48점의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는 예비 신입생들이 대학에 진입하여 겪을 학업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뜻이며, 예비대학의 학문교육 프로그램이 대학 학습의 동기 부여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의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신입생에게는 효과적인 대학생활의 시작으로서, 재학생에게는 셀프리더십 훈련의 기회로 유의미하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의 소속감을 높이고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육의 질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대학의 기초 교육 강화 및 대학 교육의 적응이라는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효과를 볼 때 각 대학의 정체성을 구현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예비대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확대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전공의 세부적 지식 전달보다는 대학 교육에 필요한 기초 능력 강화가 더 주안점이라는 점에서 교양교육의 영역에서 학문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이 간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the pre-college program of four-year college is becoming a part of curriculum to help the freshman to actively prepare for college life. Viewed in a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college, the pre-college program is in charge of college adjustment, enhancing fundamental academic ability and boosting learning motivation. In Paichai University, aiming to help active adjustment on college learning environment, boost fundamental academic ability, grant understanding of college 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grant sense of belonging of college, cultivate excellent students through excellence education for registered students, the school ran 2016 Ju Si-Gyeong Ability Strengthening prerequisite semester and 2017 Nasum activity semester. Each pre-college program based on tutoring program was composed of college identity education, preliminary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rogram(certification system), campus tour. In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received 4.48 point satisfaction. This indicates prospective freshmen are highly interested in academic program of college, and thus proved that academic program of pre-college is effective in motivating learning in college. Comprehensively, the pre-college program is significant as it is the initial step of effective college life to freshman, and a chance of self-leadership training for the current students. Also, as the program motivates students to have sense of belonging and for their learning,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Likewise, the pre-college program is clearly effective in reinforcement of fundamental college learning and adjustment of college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consist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re-college

      • KCI등재후보

        정책지원을 통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소프트웨어 교육 효과연구

        이승우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대학교양교육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대학 교양 교육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및 컴퓨팅사고(computational thinking)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정부정책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대학 지원사업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 프로그램의 참여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의 소프트웨어 전공 교육의 강화와 함께 전교생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초교육과 타 전공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융합한 융합 교육 체계마련을 지원하는 재정지원 프로그램이다. 참여관찰자로서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 프로그램의 대학별 연도별 주요 현황자료와 각종 계획안, 정책연구 보고서 등을 검토하고, 대학 관계자들과의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2015년∼2018년 기간동안 참여한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각 대학은 전교생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과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양 교과목을 개설하고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대학별 소프트웨어 기초 교양 교과목과 소프트웨어 융합 교과목 이수학생은 연도별로 크게 증가하고 있어, 소프트웨어 기초 교양 교과목은 전체 재학생의 약 30%, 소프트웨어 융합 교과목은 전체 재학생의 약 9%가 수강하고 있다. 질적 성과 측면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양 교육을 체계화 하고 다양한 학제와 융합을 촉진하고 있으며, 교육 이수 학생의 기초 소양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수 학생 대상의 동시적이고 광범위한 교육에 따라 학생 수준별, 전공별 교육과정 마련이 미흡한 한계도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재정지원을 통한 교양 기초교육 개선 정책으로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소양과 컴퓨팅사고(computational thinking)력 향상에 기여하여 정책적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생동반성장과 신입생 교양교육

        우혜영, 이희영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9 대학교양교육연구 Vol.4 No.2

        이 글에서는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이 견지해야 할 교육적 책무 와 신입생 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대학의 신입생은 낯선 교육환경 속에서 수용적 교육 주체에서 능동적 교육 주체로, 그리고 다시 새로운(미지 의) 교육 주체로의 이중의 전이를 수행해야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대학에 진입 한 신입생들이 이러한 과정을 잘 수행하는 것에는 무엇보다 교양교육의 역할 이 중요하다. 배재대학교에서는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문세계 진입을 위한 단계 로 교양교육과정을 세밀하게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신입생 대상 교양 교과목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글쓰기교실의 튜터링, 외국어 Lab의 코칭, 나섬인 성인증의 실천적 활동을 통해서 선순환적 학습체계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동반 성장을 유도하는 배재안항교육을 운영 중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배재대 학교의 교양교육 사례는 신입생 대상 교육 우수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In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al respon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university. Freshmen in University study passively. You should be able to study actively. Furthermore, you should be able to study anew. The case of Pai Chai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is notable. Activities are excellent through tutoring of writing education, coaching of English education, and NASUM certification system. These constitute a virtuous cycle of learning. Pai Chai University introduced Pai Chai An-hang education for together student growth. Pai Chai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is a good example of grow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 D대 교양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윤혜경, 김용하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9 대학교양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중에서 ‘교 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 행정적 지원’내용과 D대학 운영사례의 부합성에 대해 제시한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사업을 수행한 대학을 교양교육운영의 선진사례로 설정하여, 총 54개 대학 중 대형 대학 22개를 선정하여 D대학과 비교 분석한다. D대학을 중심으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체계의 실태와 운영사례를 고찰한 후 대학 교육과정의 지향점에 부합하는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D대학은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양교육원에서 교양대학으로 직제를 개편하는 등 교양기초교육의 강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교양교육의 질 관리 를 위해 교양교육전담 부설연구소를 신설하고, 교양교육과정의 주체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 해 교양대 산하에 8개 학부를 편성하여 교양교육을 위한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교양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체계를 갖추었다. 교양교육은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주체성 확보와 교양 교육과정의 체계를 주기적으로 개선하고,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내용을 개선하며, 교양교 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 방법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양교육은 교육과정의 토대로서 그 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위해 교양교육의 전문성과 학술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교육 분야의 차별화된 R&D가 필요하다. This study presents the conform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standard models of university ba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Basic Education. The universities that carried out ACE projects from 2010 to 2018 are set as advanced cases of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and 22 large universities out of a total of 54 universitie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D universitie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cases of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University presents measures to improve it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 curriculum’s goals. D University reorganized its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o reflect social needs,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strengthening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by reorganizing its job system from a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to a liberal arts college. To manag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by securing faculty members for liberal arts education by organizing eight departments under the liberal arts college to enhance the self-reliance and professionalism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Cultiv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eriodically improve the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secure the self-reliance of institutions dedicated to cultural education, improve the contents by reflecting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for quality control of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differentiated R&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define its role 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경제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

        고정오, 김상욱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영역이 확대되고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경제교육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으며 교양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양교육과정에서 대학별로 운영하고 있는 경제교육 관련 영역과 교과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몇 가지 특징들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주요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경제교육을 핵심 교양으로 중요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경제교육에서의 경제교육을 담당하는 교과목에서 경제학의 일반화를 시도하고 있다. 셋째는 교양교육에서의 경제교육은 삶의 경제학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학의 교양교육 방법론으로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생활경제학으로서의 경제교육이다. 둘째는 주제중심의 경제교육이다. 셋째는 실천중심의 경제교육이다. 그리고 넷째는 경제학자의 경제교육이다. 이들 네 가 지를 통해 경제학이 교양교육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area of liberal education more and more important in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boundary is more expanding. The perception of the economics education is changed, the portion of the liberal education also more important. This paper analyzed the economic education system in colleges, and find three point. First,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more important the economic education by the core liberal education. Second, the most university try to generalize the economic education. Third, the economic education pursue the life economic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is paper suggests the four methodology of the liberal education in economics. First is the life economics. Second is the theme-oriented education. Third is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Fourth is the economics education by the economist.

      • KCI등재후보

        헨리 G. 아펜젤러의 교육에서 본 배재안항교육의 요소

        최청순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대학교양교육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아펜젤러의 교육철학과 가치, 그리고 그가 세운 배재학당의 건학이념과 교양 교육의 커리큘럼을 통해 안항교육의 요소들을 살펴본다. 안항은 기러기의 특성에서 착안한 이름으로, 안항교육이란, 행렬에서 V편대의 리더와뒤따르는 모두가 나름의 제 역할을 수행하는 동반성장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으며, 뛰어난 사람을 더 뛰어나게 해주는 ‘수월성 교육’과 함께 학업 소수자를 배려하여 함께 발전할수 있도록 하는 ‘동반성장 학습’을 포함하고 있는 교육 방식이다. 또한 안항교육에서 교양 교육의 실현은 본질적인 대학교육의 회복이며 지성인으로서의 기초함양과 학문의 경계를넘나드는 통섭적 사고 능력의 강화를 위해 학생 모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교육, 균형 있는 교양교육임을 강조한다. 아펜젤러는 그의 교육에 있어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여기에는 안항교육이 말하는 이러한 요소들을 잘 담고 있다. 배재대학교는 건학이념의 가치들을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여왔다. 따라서, 안항교육 속에 설립자 아펜젤러의 교육철학과 건학이념의 정신을 담아 학생들에게 좀 더 의미 있는 비전으로 제시할 수 있다면 이는 배재안항교육의 미래발전에 있어서도 가치 있는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lements of Anhang Education through Appenzell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values, and the founding philosophy of PaiChaiHakDang and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hang Education is a nam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ild geese, and it contains the educational value of co-growth in which the leader of the V Squadron and everyone following the procession play their role. This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includes “accompanied growth learning” that allows students to develop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academic minorities, along with “excellent education” that works to make outstanding people better. It also emphasizes that the re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Anhang Education is a restor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as universal, university-based, and balanced education applied to all students to foster basic skills as intellectuals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hink beyond academic boundaries. PaiChai University has made efforts to correct the values of the founding principles; therefore, presenting Appenzeller’s philosophy of education and founding philosophy of Anhang Education as a more meaningful vision for students, it would also be valuabl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iChai-Anhang Education.

      • 교양교육으로서 신유학의 수기치인에 대한 일고찰 : 신독론을 중심으로

        신현승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유학의 최고 가치를 논한다면 그것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배움이라고 해야 될 것이다. 이는 현대사회 혹은 대학교육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교양교육의 가장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동아시아 전통 사회에서 유학이 주창하는 수기치인의 배움이란 우선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는 수기를 전제한 뒤, 세상 사람들을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치인의 실천에 목표를 두는 학문이다. 그것은 신유학의 시대(서력 10세기 이후부터 청대 말기까지)에 이르러서도 변함없는 최고의 핵심 이념이 되었다. 한편 중국 명대 말기에 활약한 유종주(劉宗周, 1578-1645)의 유교철학도 이와 같은 유교 지식인들의 교양교육으로서 수기치인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가 일생 동안 가장 애용한 말은 신독(愼獨, 홀로 있을 때 삼감)과 성의(誠意, 뜻을 성실히 함)라는 용어였다. 특히 신독은 신유학의 주된 수기치인의 방법이었고, 이를 현대적으로 말하면 교양교육의 실천내용이었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유학사적 시점에서 수기치인의 학술적 의미 및 신독의 의의를 재확인하면서 유종주의 신독론에초점을 맞추고 현대적 교양교육의 의미를 생각해 보기로 한다. 사실 이 용어는 10세기 이후 동아시아 신유학자들의 학문적 근본 목표 내지는 유교적 소양의 기본 이념이었다. 바꿔말해 그것은 모든 배우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으로 통용되어야 할 교양교육의 핵심 내용이기도 하였다. To discuss the best value of Confucianism, it should be mentioned as the learning of Xiuji-Zhiren. This can be the most important topic of humanistic education, which can be circulated in modern society or university education as well. As you may know, the learning of Xiuji-Zhiren advocated by Confucianism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communities is the study that presupposes Xiuji, making efforts to cultivate oneself, first and then, aims to practice Zhiren, ruling the people in the world ideally. That became the best unchanging core ideology in the era of Neo-Confucianism (from the 10th century A.D. through the late Qing dynasty). In the meantime, Confucian philosophy of Liu-Zongzhou (1578-1645), who was active in the late Chinese Ming dynasty focused on Xiuji-Zhiren as humanistic education for Confucian scholars. To him, the words he used most throughout his life were Shendu (Prudence when being alone) and Chengyi (Good faith). Especially, Shendu was the main method of Xiuji-Zhiren of Neo-Confucianism and to put it in a modern sense, it was the practical content of humanist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focus on Liu-Zongzhou’s Shendu theory, rechecking the academic meaning of Xiuji-Zhir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the significance of Shendu and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modern humanistic education. In fact, this term was the academic fundamental objective of East Asian Neo-Confucianists since the 10th century or the basic principle of Confucian knowledge. In other words, that was the core content of humanistic education, which should be circulated among all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