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도적 동형화가 업사이클링 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김민숙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2

        Companies that ignore the ESG trend in the face of the climate change crisis are called into question regarding their very existence. The ESG trend should also apply to consumers, and upcycling should be established as a norm in consumer lifestyles. However, the upcycling market in Korea has not grown proportionately to its significance. This is due to high perceived risks associated with upcycled products, inadequate experiences with them, and a lack of perceived necessity to purchase upcycled products at higher prices. The solu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upcycling market lies not only in improving design, functionality, and reducing perceived risks but in solidifying upcycling as a societal norm. Once upcycling culture is established, naturally,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purchase of upcycled products. Therefore, continuous and repetitive social norming is essential to activate upcycling. One factor influenc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upcycling is institutional isomorphism. This study suggests that if the three component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coercive, normative, and mimetic—is institutionally strengthened at the government, expert, and consumer levels, the upcycling market will also grow. The upcycling market can be activated by the three forms of isomorphism, each consisting of two approaches. In coercive isomorphism, government efforts are crucial through direct and indirect promotion mechanisms. Normative isomorphism requires leadership from expert groups to enhance awareness and normalize upcycling. Lastly, mimetic isomorphism can spread upcycling consumer culture through emulation of ideals and peer group imit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an institutional approach and provide specific strategies for growing the upcycling market. Furthermore, if individuals hav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 ecological values, and extensive environmental knowledge, institutional isomorphism may amplify its impact on the growth of the upcycling market.

      • 폐자원흐름분석을 통한 전기 · 전자 제품의 upcycling 활성화 방안

        이희선 ( Hi Sun Lee ),이소라 ( Sora Yi ),한상운 ( Sang Woon Han ),임혜숙 ( Hye Sook Li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정책 및 사례분석을 통해 업사이클링 개념 및 활성화 방향을 설정하고 폐전기·전자제품 중 냉장고와 컴퓨터를 대상으로 폐자원흐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품폐기 이후의 물질흐름을 배출-수거-전처리-자원회수-판매/수출/처분 등의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회수가능한 자원 및 최종 처리량을 파악하고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로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 국내·외 정책을 분석한 결과, 한국·EU·일본의 의무 재활용 비율 중 EU의 재활용률 및 재생률 목표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일본도 EU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EU와 일본은 재생률과 재상품화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저급 또는 수평적 재활용 이외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을 유도하는 추세이다. 제3장에서는 업사이클링 개념의 정의를 위해 국내사례로 “가치상향을 위한 폐기물의 업사이클링”과 “디자인산업의 업사이클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외 사례는 일본 가전리사이클법의 재상품화 기준과 그 외 문헌을 조사하였다. 업사이클링 개념을 “재활용 공정 등을 통해 폐기된 물질 또는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으로 전환, (2)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을 재활용, (3)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4)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폐전기·전자제품의 폐자원흐름분석을 수행하였다. 냉장고의 폐자원흐름분석 결과 회수된 자원 중 우레탄 재활용이 원활하지 않으며, 폐냉매도 일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는 모니터에 포함된 유리와 기타 잔재물이 매립 또는 소각되는 것으로 나타나 액정의 유리 및 기타 금속자원의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제5장에서는 폐자원흐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 기술 도입방안을 검토하고 폐자원흐름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냉장고의 경우 전체 도입 가능한 기술 28개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13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9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5개,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기술 1개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15개 도입 가능한 기술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8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4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3개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냉장고와 동일한 기술을 제외하고는 도입 가능한 기술의 대부분이 액정유리 및 기판 재활용 기술이었다. 또한, 냉장고와 컴퓨터의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의 우선적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배출 및 수거 단계, 전처리 및 자원회수 단계, 판매/수출/처분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폐제품의 상태에 따른 재사용 가능 제품, 보통, 양호 등의 재활용 방향 결정하기 위해 수거 관리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2) 전처리 단계에서 해체, 파쇄, 선별 등의 효율이 낮으면 이후 단계에서 고도의 자원회수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파쇄 및 선별 기술에 대한 집중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처리 단계 중 해체에는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선별에는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및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등의 기술 개발이 촉진되어야 한다. 또한 원활한 폐제품의 재활용을 위해 생산자의 재활용 정보 제공 의무를 강화하여 제품의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 설계를 유도하는 업사이클링이 필요하다. (3)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활성화 방안 4가지에 해당되는 기술이 모두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우레탄 재활용 및 컴퓨터의 재활용률 인정 범위 확대가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우레탄은 냉장고 중량의 10% 내외를 차지하는 자원으로 현재 우레탄 소각은 재활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재활용 인정 범위에 에너지 회수까지 포함시키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른 폐전기·전자제품과의 달리 컴퓨터는 중고품 및 중고부품에 대한 재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중고부품에 대해서는 재활용률 산정을 인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4) 판매/수출/처분 단계에서는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단순 처분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특히 냉장고의 모터로부터 희토류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업사이클링 개념은 포괄적이므로, 정확한 기준을 적용하여 제품별, 물질별로 구체적인 업사이클링 판단기준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고도의 업사이클링 기술 적용 시 폐기물 재활용의 정량적인 목표와 다량의 자원회수를 달성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폐전기 전자제품의 업사이클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4가지 방향으로 전환을 추진하되 폐자원흐름단계별로 전략적으로 활성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nd directions for activating upcycling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nd upcycling cases. Waste sources circulation flow of waste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WEEE), specifically refrigerators and computer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tages into: (1) discharge, (2) collection, (3) pretreatment, (4) resource recovery and (5) sale/export/disposal. The WEEE waste resources circulation flow was analyzed to ascertain the quantity of recovered resources and final throughputs and to make plans for boosting upcycling in stages. Chapter 2 looked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n WEEE recycling and found that the EU sets the highest target rate for WEEE recycling and recovery among South Korea, Japan and the EU, while South Korea and Japan have similar levels with that of the EU. In the EU and Japan, the current trend is to use the terms `recovery rate` and `re-commercialization rate` to encourage high-grade and advanced recycling. Chapter 3 defines the concept of upcycling by analyzing domestic upcycling cases and categorizing them as `waste upcycling for added value` and `upcycling of the design industry.` To examine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re-commercialization standard as defined in Japan`s legislation on recycling of home appliances. We defined the concept of upcycling as “enhancing the value of waste materials or products through recycling process, etc.” and suggested four ways to promote upcycling. Specifically, the upcycling activation plans were classified into: (1)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2)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simply being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3)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and (4) improvement of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In Chapter 4,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of WEEE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an upcycling promotion plan. The analysis of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of refrigerators found that among the collected resources, urethane was not being actively recycled and waste refrigerants were eve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 some cases. In the case of computers, glass and other metals contained in monitors were being landfilled or incinerated, calling for the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recycle liquid crystal glass and other metal resources. Chapter 5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upcycling technolog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d suggested plans for promoting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In the case of refrigerators, out of 28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in refrigerator upcycling, the biggest share (13)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followed by 9 technologies that improv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5 technologies that help in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nd 1 that assists in the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In the 15 technologies used for computer recycling, the biggest share (8)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4 technologies improve th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and 3 enable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mong the technologies concerned with computer recycling, apart from the ones that can also be applied to refrigerators, most were related to the recycling of liquid crystal glass and substrates. In addition, among the plan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refrigerators and computer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that convert the recycling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was found to be the most urgently need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alysis including the discharge, collection, pre-treatment, resource recovery and sale/export/disposal of products were ma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 In regards to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stage, the curr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the conditions of discarded products such as reusable products, products in average condition, products in good condition, etc., can be identified to have their recycling method determined. (2) In the pretreatment stage, investments should be concentrated on shredding and sorting technologies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level of resource recovery efficiency with inefficient dismantling, shredding and sorting. In the pretreatment stag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during dismantling and “the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improving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should be pursued in the pretreatment stage. Furthermore, the producers` duty to provide recycling inform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successful recycling of waste products for upcycling that encourages sustainable design from the product designing phase. (3)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all applicable technologies mentioned in the four upcycling promotion plans must be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broadening the scope of recycling recognition for urethane and computers must be reviewed. Considering that urethane is a resource that accounts for around 10% of refrigerator weight and its incineration is currently not recognized as recycling, standards that incorporate energy recovery in the recycling recognition rate must be introduced. Considering that the reuse of used computers and their parts are active unlike other WEEE, including the reuse of used parts when calculating the recycling rate should be reviewed. (4) In the sale/export/disposal steps,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recycle products or items that are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must be pursued, especially the technology to recover rare-earth metals from refrigerator motors. In conclusion, because the concept of upcycling is so broad, it is difficult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upcycling by product or material. It also seems unlikely that a quantitative target or high degree of resource recovery can be achieved by applying highly sophisticated upcycling waste recycling technologie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WEEE, therefore, we must pursue the transition to the four directions that are universally applicable, while working towards introducing a strategic activation plan that can be implemented in each stage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 KCI등재

        국내외 공간 업사이클링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특성과 재생 가치 연구

        이영주,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5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ncreasing nowadays, and suppliers are making efforts to manufacture eco-friendly products. Upcycling, which creates new products by adding value to discarded products,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goods, furniture, fashion, and space with various ideas and designs. Space upcycling is the process of reusing buildings or spaces that have been underutilized as areas with new functions and uses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appearance and identit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many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ve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are being used as museums or cultural facil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maturity level of upcycling in spati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upcycling application cases and analyzes domestic upcycling cases to examine differences and major success factor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status of domestic space upcycl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domestic upcycling should pursue in the future. (Method) Europe, the US, and China started upcycling early. Success factors, such as value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upcycling of famous overseas spaces were found, and how they could be reflected in domestic space upcycling was reviewed. Additionally, success factors were assessed for representative cases to be successful in Korea, and it was clarified whether overseas and domestic have the same factors. The analysis period for overseas space upcycling was from the 1990s onward when foreign countries began looking for ways to utilize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d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case of Korea, the 2000s, when upcycling of public facilities began, was selected. (Results) As for the success factors examined through case analysis studies of domestic and oversea space upcycling, it was found that design that citizens sympathize with, storytelling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ity of the building, and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 and expandable content are all important. With regard to other factors in the case of overseas, there was a tendency to expand to the entire space of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to individual spaces to carry out upcyc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upcycling to cities or local communities and to expand and develop upcycling from public facilities to individual commercial facilities. (Conclusions) Although domestic upcycling is less common than overseas upcycling, the difference is not large. It can be seen that patience, along with government policy support,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active businesses, is required for successful space upcycling. Further,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 competitive edge in space upcycling with interest and effort in the design field.

      • KCI등재후보

        텍스타일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 모색

        양린(Yang, Leen),조예나(Cho, Ye N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4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 유형과 새로운 구조의 생산방식인 SPA브랜드의 등장은 소비자의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며 소비 패턴의 주기를 단축했다. 이러한 변화는 매년 수백 톤의 의류 폐기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재순환된 자원에 디자인적 가치를 더해 윤리적 소비의식을 고취하는 업사이클링이 대안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외 텍스타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고, 데님이라는 소재에 한정하여 데님 소재를 주로 사용하는 국내·외의 업사이클링 브랜드를 조사한 후, 각 사례의 소재 접근과 활용 방법에 관한 분석과 비교를 통해 국내 시장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를 통해 업사이클링의 정의 및 기본배경과 이론적 체계를 정리하고, 20~30대 남, 여 204명을 대상으로 벌인 데님 소재 관련 의류 보유 실태와 업사이클링에 관한 인지도 설문조사를 통해 데님 소재를 활용한 업사이클링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에 관한 기초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창의적인 디자인과 품질 향상을 위한 디자이너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연구가 필요하다. 소재의 변형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융합한 신소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기존 소재 공급 시스템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된다. 설문 조사 참여자 중 대다수가 업사이클링에 관심이 없었고, 중고품에 대한 편견과 불필요성 등이 주요 구매 거부 사유로 나타났다. 따라서 확장된 사회 윤리적 책임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홍보와 참여 및 프로그램 개발 등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SPA brand has reduced the cycle of consuming patterns. This change has resulted in creation of enormous fashion waste. Therefore, upcycling has come to be viewed as a viable and ethical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denim as an ideal material for reuse and reproduction through upcycling as it is not only one of the most popular clothing items but also extremely durable.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 of the upcycling market in Korean apparel industries and aims to offer a way forward through comparing upcycling cases in Korea and abroa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denim is the suitable material for upcycling. However, the study has identified two main obstacles to popularizing upcycling in Korea. First, there is no system for collecting unused clothings. Second, the public has not enough understanding of upcycling, and is found to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upcycling.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Designers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veloping creative designs and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products that can be multi-function utilizing waste textile is needed. New systems and renovated system for vitalizing upcycling are also needed. Lastl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need to make collaborative efforts to change consumers’ attitude toward upcycling.

      • KCI등재

        초등 Upcycling 교육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민정(Kang Min Jeong),이성희(Lee Sung Hee),이상원(Lee Sa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4R(Reduce, Reuse, Recycle, Upcycle)을 적용한 초등 Upcycling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5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한 3, 4, 5, 6학년 초등학생 565명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Upcycling을 중심으로 하는 자원순환교육으로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 및 수업 설계 준거를 기반으로 삼아 교과 및 창체 수업시간에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3,4,5학년 6차시, 6학년 10차시 총 28차시의 수업으로 주제는 ‘음식물쓰레기, 포장재, 종이, PET병’이고, 각 학년별로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첫째, 초등 Upcycling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영역 중 자기 확신 및 독립성과 확산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가장 큰 변화는 수업시간에 갖게 된 호기심을 적극적인 질문을 통해 해결하게 되었다는 자신감의 향상이었다. 셋째, 비판적·논리적 사고와 동기적 요소도 사후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친구들과 공유한 정보를 바탕으로 혼자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되었다거나 어렵고 힘든 것도 쉽게 포기하지 않게 되었다는 자기 확신과 관련된 사고 및 동기적 요소가 크게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장기화되었다면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Upcycling 프로그램은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 자원순환 교육프로그램에서 STEAM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초등 자원순환 교육프로그램을 Upcycling을 중심으로 하였을때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Upcycling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application of 4R (Reduce, Reuse, Recycle, Upcycle) and apply the education program to 565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that effect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an be explained. The program is upcycling-oriented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nd was designed to provide the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ce lessons based on components of STEAM education and standard for design of lessons. Statistics on pre-test results and post-test results on participants by grade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analy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found out. First, Elementary Upcycling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it had positive effects on self-belief, independence and divergent thinking within creative problem-solving domain. The greatest change was improved confidence in resolution through proactive questions in classes. Third, critical and logical thoughts and motivational factors were improved as well in terms of after-the-fact average point, but i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f a conclusion was personally drawn based on information shared by friends or if thoughts related to self-belief that something difficult was not easily given up and motivational factors were drastically improved to prolong the program, significant changes would have materialized. Lastly, the upcycling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o be meaningful to apply STEAM educational method to Elementary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an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if an emphasis is placed on upcycling with regard to Elementary Resource Recycling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도시브랜딩을 위한 공간 업사이클링 특징에 관한 연구 - 칠성조선소 업사이클링을 중심으로 -

        유승희 ( Ryu Seunghe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각 도시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시 브랜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20세기 이후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도시 공간에서 도시 재생은 중요한 키워드로 이미 자리 잡고 있다. 이에 기능이 다한 공간을 재해석하여 가치를 더하는 공간 업사이클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딩 관점에서 공간의 범위를 공공 사업 공간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고, 도시의 가치를 담고 있는 상업공간에서 공간 업사이클링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현되는지 특성을 연구한다. 도시 브랜딩에서 문화 중심형 도시 재생은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이에 재생의 개념을 공공 디자인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여 공간 업사이클링이라는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도시 브랜딩을 구현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간 업사이클링과 도시 브랜딩의 개념을 기존 연구를 통해 재정립하고,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과 도시 브랜딩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브랜딩에서의 공간 업사이클링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도출한 키워드와 새롭게 제시한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대상 공간은 속초시를 대표하는 산업인 기존 조선소를 업사이클링한 공간으로 속초시에서 도시 브랜딩 사업의 긍정적 본보기로 평가되고 있는 칠성조선소로 선정하여 대상 공간에서 각 특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의 조형적, 문화적 특성과 도시 브랜딩 요소에서 정체성과 상징성이,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의 기능적 특징과 도시 브랜딩의 요소에서는 차별성과 신뢰성이 각각 연관성이 높은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한 도시 브랜딩에서 공간 업사이클링 특성은 상징적 조형성, 문화적 정체성, 기능적 차별성이 대상 공간에서 동일하게 높은 적용도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연관성은 도시의 특색을 가진 특정 공간에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스토리에 반영하고, 지역 가치의의 희소성을 가진 디자인 요소와 기능을 유지하는 공간 업사이클링은 도시 브랜딩 요소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고 유추할 수 있다. (결론) 도시 브랜딩에서 공간 업사이클은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지역 사회적, 문화적 요소를 시각적, 심미적으로 표현될 때 소비자들에게 진정성 있는 공간으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기존 공간의 용도와 기능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 특색의 체험을 유도하는 활동은 곧 도시 브랜딩의 활동으로 귀결되어 진다. 이는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탕으로 과정을 수행할 때 진정성 있는 공간으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cities are actively using urban branding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urban regeneration in urban spaces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keyword as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ing since the 20th century. This was noted for space upcycling, which adds value by reinterpreting the space with a function. From an urban branding perspective, the study expands the scope of space from a public space to a commercial one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how space upcycling is effectively expressed in commercial spaces that contain urban values. Culturally-oriented urban regeneration has played a big role in urban branding. We want to expand the concept of regeneration from public design to commercial space to reflect the social trend of space upcycling and how it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urban branding.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pace upcycling and urban branding was establish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and urban branding were derived. Based on this,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in urban branding. We will, then, conduct a case study focusing on the derived keywords and newly proposed characteristics. The Chilsung shipyard was selected as the target space that is evaluated as a positive example of urban branding business in Socho City as a space that upcycled the existing shipyard; it is an industry representing Socho City, comparing and analyzing how each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the target space. (Results) In this study, the formative, cul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upcycling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symbolism in urban branding elements, and elements of urban branding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were highly related to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In addition, space upcycling characteristics in urban branding presented through prior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he same high application of symbolic formativeness, cultural identity, and functional discrimination in the target space. These associations reflect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 particular space with city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inferred that space upcycling, which retains design elements and functions with the scarcity of local values, is also significant as an urban branding element. (Conclusions) In urban branding, space upcycling can be perceived as an authentic space for consumers when the local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existing space are visually and aesthetically expressed. In addition, activities that actively utilize the uses and functions of existing spaces and encourage local experiences soon become urban branding activities. This was meant to be a truly authentic space when conducting cours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업사이클링(Upcycling) 예술 프로그램 분석 및 활용 방안

        신윤형,박명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While the alarm bell agains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ontinues to go off, urging us to reform our perception and behaviors, diversified efforts for the sustainable growth pop up incessantly.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functions of the upcycling art programs designed to sublime the waste goods into an art and enhance their values only to encourage the art consumers to recognize the values of the material upcycl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ases of the upcycling art programs and reviewed their characteristics. After all, 5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ing art programs could be ascertained. First, the art-centered programs(Decorating, making, etc.)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m. Secondly, the quality of their designs has been improved much. Thirdly, the materials have been diversified, while they differ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s operating the upcycling art programs. Fourthly, there are various targets for participation. Fifthly, the upcycling art programs are biased towards art rather tha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activate the upcycling art programs, diversified introspections and behaviors are required. The directions for their activation may well be suggested as follows; fusion with diverse genres of art to stimulate the five senses and an expandible planning, exploration of new materials and designing of a systematic programs, construction of the program based on a clear sense of goal, and government-initiated program development. It is perceived that this study may well serve to identify the urgent challenges for improvement of upcycling art programs and thereby, expand them to improve people's percep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의 경종을 지속적으로 울리며, 점차 구체적인 인식개선과 행동강령을 강조하는 현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끊임없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버려지는 재화를 예술로 승화시켜 가치를 높이는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예술 프로그램이 자원순환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하여 의식을 전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 집중했다. 이에, 지금까지 진행된 업사이클링 예술 프로그램들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섯 가지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만들거나 꾸미기 등 미술 중심의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는 점, 둘째, 디자인의 질이 매우 향상되었다는 점, 셋째, 재료가 많이 다양해졌으며, 주관하는 조직에 따라 재료가 상이하다는 점, 넷째, 프로그램 참여 대상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 다섯째, 환경보다 예술에 더 편중되어 있다는 점으로 요약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예술 장르와의 융합을 위한 노력, 명확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 진행 및 기획의 필요성, 다양한 재료 발굴에 대한 통찰력 등 미래를 위한 새로운 과제와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사이클링 예술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방면으로의 고민과 행동이 요구되는데,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과의 융복합 노력과 확장성 있는 혁신적 기획, 새로운 재료 발굴 및 재료에 따른 창의적 프로그램의 기획, 명확한 목적의식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구축, 나아가 기업과 정부가 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당면할 수 있는 과제들을 미리 파악하여 업사이클링 예술 프로그램의 확산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인식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뉴트로 (New-tro) 트렌드 특성을 반영한 업사이클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임주영 ( Leem Joo Young ),김개천 ( Kim Kai Ch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과거보다 점차 증가함에 따라 용도나 기능을 다한 공간을 새롭게 해석하여 공간의 가치를 더해주는 ‘업사이클링’ 공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간을 업사이클링하는 형태가 늘어나는 현상은 ‘뉴트로’와 관계가 있으며 과거의 공간을 재사용하는 업사이클링은 뉴트로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뉴트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디자인에서 어떠한 특성을 나타나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뉴트로 트렌드의 출현과 뉴트로가 활용된 디자인 분야를 파악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뉴트로 특성을 파악하여 ‘경험적 특성’, ‘감성적 특성’, ‘심미적 특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공간 업사이클링의 개념과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 공간 업사이클링과 뉴트로의 연관성을 파악한다. 그 후에는 선행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기능적 특성’, ‘환경적 특성’, ‘조형적 특성’, ‘문화적 특성’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정보를 얻고 교류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한국 정보화 진흥원에서 업사이클링 공간에 대한 분석을 한다. 사례 세가지를 선정하여 뉴트로의 특성과 업사이클링 공간 특성을 세분화 시켜 공간 사례를 분석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뉴트로 디자인은 공간 업사이클링에 주목하며 새로움을 찾는 놀이가 되고 있음이 보여졌다. 본래의 공간에 있는 오브제의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밀레니얼 세대에게 재미와 유희, 미학적 감성을 충족시킴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뉴트로 트렌드를 반영한 업사이클링 공간을 통해 궁금증과 호기심을 자극하며, 지역 방문을 통해 지역의 발전과 많은 관광 명소 자리잡음으로써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볼 수 있다. 오늘날 뉴트로에 대한 공간디자인 후속 연구를 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has grown more and more recently than in the pas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pcycling' spaces that add to the value of space by reinterpreting them for use or function. The increasing form of space upcycling is related to 'Newtro' and it can be expected that upcycling is an effective way of reusing past sp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ewtro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 The method of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emergence of the Newtro trend and the design field in which the Newtro is util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re identifi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emotional characteristics',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cond, consider the concept and social background of spatial upcycling and grasp the association between spatial upcycling and Newtro. The prior research is then analyzed intensively to derive element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ir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who obtain and exchange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s,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alyzes upcycling spaces. The three cases are selected to analyze spatial cases by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Neutro and Upcycling space. Case analysis shows that the Newtro design is becoming a novelty-seeking game, paying attention to space upcycling. The recycling of objects in the original space provided new experiences and satisfied the millennials with fun, entertainment, and aesthetic sensibility. Finally, the upcycling space reflecting the Newtro trend stimulates curiosity and curiosity,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business district can be seen through local visits by developing the region and establishing many tourist attraction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when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on the spatial design of Newtro today.

      • KCI등재

        새활용 디자인을 활용한 국내 기업 사례 연구

        이주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0 No.61

        This study is a case study conducted on companies in the field of upcycling design in Korea, which investigated and analyzed major reused materials, services, and products category in each company,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upcycling design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largest number of separate emissions of recyclable resources in Korea, such as paper, synthetic resins, glass bottles and scrap iron,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in upcycling companies are clothing, followed by furniture and synthetic resins. In order to circulate resources through the upcycling industry, technology development is needed focusing on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being released. Second, if you look at the services offered by upcycling design company, product sales are the main factor. Consum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upcycling in the pre-product purchase phase and implement upcycling design directly in life to drive consumption for resource circulation. Third, Seoul Upcycling Plaza aims to build entire new lifestyle, but it is currently focused on fashion area. Continuing research and support is needed to enable more diverse product lines to be produced and lead life for upcycling. 본 연구는 국내 새활용 디자인 분야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사례 연구로서 각 기업에서 주요 활용 소재, 제공 서비스, 주요 생산 제품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활용 디자인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재활용가능 자원 분리배출량 중에서 종이류, 합성수지, 유리병류, 고철류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새활용 기업에서 주로 활용 중인 소재는 의류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가구, 합성수지 등의 순이었다. 새활용 산업을 통한 자원순환을 위해서는 현재 많이 배출되고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새활용 디자인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면 제품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이전 단계에서 새활용의 가치를 이해시키고 삶 속에서 직접 새활용 디자인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을 선행하여 자원순환을 위한 소비를 이끌어내어야 한다. 셋째, 서울새활용플라자가 의식주 기반의 새활용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현재에는 패션잡화에 치중되어 있다. 보다 다양한 제품군이 생산되어 새활용을 위한 삶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폐기물을 줄이고 자원순환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소재를 새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현재 시급하다. 또한 일반인들에게 자원과 물건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올바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강신웅,이석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32명(남 13명, 여 19명)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에서환경과 업사이클링에 관련된 10차시 수업 후 각종 검사와 소감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우선 수업 처치 전 환경 친화적 태도와 환경 소양에 대한 사전 검사지를시행하였고 10차시의 수업 후 사후검사지 및 소감문 작성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사이클링을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을 한 후 학생들의소감문을 살펴보니 환경 문제에 대해 관심도가 높아졌고, 업사이클링을 하고 난 후 환경 친화적인태도나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친환경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은 지구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 마음속에 환경을 위한 마음이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eco-friendly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s using upcyc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literacy.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32 students (13 men and 19 women) in 2 classes in the 6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s a research group. In the research group, various tests and impressions were conducted after 10 class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upcycling to find out the effect. To carry out this study, a preliminary test paper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literacy was first conducted before class treatmen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10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co-friendly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upcyc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co-friendly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upcyc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looking at the students' impressions after the upcycling-based eco-friendly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it can be seen that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has increased, and after upcycl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views of the environment have changed posi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eco-friendly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upcycling is considered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solve Earth's environmental problems and improve students' attitud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or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