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인적 자본과 초혼이행

        김미선,김정석 한국인구학회 2023 한국인구학 Vol.4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men and women with disabilities who became the disabled before adulthood to reach their first marriage.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whether human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occupational status, income, etc.),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first marriage of the non-disabled, is the same for the disabled and whether these variables differ by gender.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1st to sixth rounds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targets consisted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visual or hearing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18 or older and less than 65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first survey in 2016. As a result of the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first marriage tran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human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employment status, and earned income) of the disabled, even wh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ability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family background are controlled.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was lower tha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s or college graduates or higher. Higher education, similar to the pattern of non-disabled people, seems to act as a major direct and indirect resource for marriage. On the other hand, it is understood that low education increases the rate of first marriage transition by extending the marriage exposure period according to a short educational period and reducing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age. Regarding employment status,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was high in the order of non-regular workers, regular workers, and unemployment. In a situation where economic resource acquisition is required for marriage, the low marriage transition rate of unemployed people seems to work similarly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e phenomenon that non-regular workers have a higher marriage transition rate than regular workers is also found in non-disabled women.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as a difference in opportunity costs and a strategic action to secure a stable economic foundation through marriage. This interpretation also applies to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arned income level and the first marriage transition rate. Th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the above human capital variables were insignificant. The reason might be that the gender division expected between non-disabled couples has become difficult to expect under the vulnerability of disability. 이 연구는 성인기 이전에 장애가 발생한 남성과 여성이 초혼에 이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비장애인의 초혼이행에 중요 변인으로 알려진 인적 자본(학력, 직업, 소득 등)이 장애인의 경우에도 그러한지 또한 이들 변인들이 남녀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제2차 웨이브 제1~6차까지의 패널자료(2016년~2021년)를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16년 제1차 조사 시점의 연령이 18세 이상 65세 미만이며, 18세 이전에 장애가 발생한 지체, 시각, 청각 및 지적 장애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학적 특성, 장애유형 및 정도, 성장기 가족배경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장애인의 인적 자본(최종학력, 종사상지위, 근로소득)에 따라 초혼이행률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이행률은 중간학력인 고졸에서 낮았으며, 중졸이하 혹은 대졸이상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고학력은, 비장애인의 패턴과 유사하게, 결혼의 주요한 직접 및 간접자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저학력은 짧은 교육기간에 따라 결혼노출기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결혼의 기회비용을 낮춤으로서 초혼이행률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된다. 종사상지위에서는 비상용직, 상용직, 미취업 순으로 초혼이행률이 높았다. 결혼이행에 경제적 자원획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미취업자의 결혼율이 낮은 것은 장애인에게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비상용직이 상용직보다 결혼율이 높은 현상은 비장애 여성들에게서도 발견된다. 이 현상은 기회비용의 차이와 결혼을 통해 안정된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위로 해석될 가능성을 남긴다. 이러한 해석은 근로소득수준과 초혼이행률이 보이는 역의 관계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인적 자본들의 성별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비장애인에게서 나타나는 부부간 성별분업(남성일인부양자모델)에 대한 기대가 장애라는 취약성에 의해 어려워진 결과일 수 있다.

      • KCI등재

        `동성혼` 도입을 위한 헌법개정의 위헌성 -미국 연방대법원 `동성혼` 판례의 `인간존엄` 해석의 분석-

        정영화 ( Jung Young Hoa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홍익법학 Vol.18 No.3

        동성혼이란 동성애자, 양성애자, 성전환자 간의 혼인을 말한다. 동성혼을 허용하는 법률의 도입은 다양한 법제에 따라서 혼인법의 입법 변경, 헌법의 평등권에 근거한 판결, 직접국민발안 또는 국민 투표를 통해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다. 각 국가마다 동성혼의 문제는 정치적, 사회적 이슈이며, 동성애자의 결혼이나 이와 유사한 동서관계의 허용에 관하여 종교적 문제와 논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15년 미국 연방대법원(5인 대법관)은 수천 년 이상 유지한 보편적인 인류문화의 소산인 혼인 개념을 남녀(양성) 간의 결합에서 동성(same-sex) 혼인까지 확장하는 판결을 선고 하였다. 세계의 동성애자들(LGBT)은 성평등 또는 젠더운동의 정치사회적 이슈를 인권문제로 제기하고 있다. 특히, 2013년 미국에서 동성혼에 관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 61%가 찬성하고, 젊은 세대일수록 동성혼의 지지율이 높게 나타나면서 각 정당들은 그들을 정치적 지지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은 헌법개정 과정에서 `성평등`을 명분으로 동성혼의 헌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논의하고 있다. 여기서 미국과 정치사회적 배경과 여건이 상이한 한국의 법문화에서는 혼인의 구조나 내용에 있어서 별로 변화가 없음에도 정치집단이 동성혼의 문제에 열을 올리는 이유를 알 수 없다. 따라서 2015년 미국 동성혼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동성간의 혼인의 자유를 일반적 행동의 자유인 자율성으로 해석하지만, 특히 인간존엄의 내용에 대하여 다수 견해와 소수 견해는 각기 상이한 논거를 이유로 상반된 결론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연방대법원의 인간존엄성의 내용에 관한 헌법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Same-sex marriage is marriage between gay, lesbian, transgender and bisexuals). Introduction of same-sex marriage laws has varied by jurisdiction, being variously accomplished through legislative change to marriage laws, a court ruling based on constitutional guarantees of equality, or by direct popular vote (via ballot initiative or referendum). The recognition of same-sex marriage is a political and social issue, and also a religious issue in many countries and debates continue to arise over whether people in same-sex relationships should be allowed marriage or some similar status a civil union. In 2015, five Justices of United States Supreme Court made a decision that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s the product of universal human culture lasted for thousands of years, opens from marriage of opposite-sex couples to marriage of the same-sex relationship. In particular, 61% of Americans in homosexuality polls in 2013 recognize gay marriages, while younger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vote for gay marriages, with their high approval ratings. However, many lawmakers are discussing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gay marriage for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in the debate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s the political background and conditions of legal cultures between US and Korea are different, there is no change in the structure or content of the marriage, but the reason why the political group raises the issue of the same soul is unknown. Therefore, we point out the mistakes of the majority judges in the content of human dignity applied to the same sex between the majority and a small number of the Supreme Court of Justice in the case of Dong Sung Hone sentenced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in 2015, and examine why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ority justice is valid.

      • KCI등재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윤자영(Jayoung Yoon)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본 연구는 노동시장 통합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결혼 시점과 결혼 3년 전의 일자리 유무와 고용형태를 가지고 일자리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초혼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노동시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두 집단을 코호트별로 나누어, 거시적인 사회경제적 변동 과정에서 노동시장통합이 결혼에 미친 차별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을 사용하여 2008년도 기준으로 18세 이상인 성인 남녀의 결혼 이행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취업상태와 정규직 근무는 남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높이는 반면 여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낮추었다. 장기무직, 즉 교육이나 군대 기간을 제외하고 결혼 전 3년 동안 2년 이상 무직 상태에 있을 때 남녀 모두 결혼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았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2년 이상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결혼 해저드가 높아졌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긴 남성에게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호트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최근의 사회경제적 불확실성과 노동시장 불안정화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했다.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how individuals" labor market integration affect their transition to marriage. In doing so, I construct variables for job stability and continuity to represent labor market integration using labor force status and years of participation at the time of marriage and during the three years up to the point of marriage. In particular, I focus on differential effects of these labor market integration on the transition to marriage by cohorts: one for those who are likely to enter the labor market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nd the other for those who are before the 1997 financial crisis. I used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nalyzed individuals aged above 18 in 2008.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being currently employed and regular employment increases hazards of the first marriage for men but decreases them for women. long-term no-jobs decreases hazards of marriage for both women and men. long-term regular employment increases hazards of marriage for women but not for men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se effects vary by cohorts implying that recent economic and labor market instability deteriorated economic conditions for the youth making transitions to marriage.

      • KCI등재

        결혼가치관의 변화가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정희경(Jung, Heegyeong),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1

        In recent years,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attitudes and the act of entering into marriage. While many cross-sectional studies showing that attitudes toward marriage differ by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longitudinal research concerned with how marital attitude change could affect transition to marriage is relatively few. From this background, our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hanging attitudes of unmarried women on their decision to get married or remaining single. Using the panel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we initially restricted our sample from the first wave of the panel data to 1,208 unmarried women. We further censored the respondents who fail to provide valid data on the timing of their first marriage, and this process left us an effective sample of 443. For those who married during the six waves of the panel data, their marital attitudes are measured at the wave immediately before the transition to first marriage whereas for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 end(the sixth wave), the same set of variables are measured from the fifth wave of the data. The results from our discrete-time event-history regression models suggest that marital attitude change is an important factor on the transition to marriage, and they should be measured at the point immediately before the act of entering into first marriage. 최근 비혼과 만혼이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결혼가치관을 중요 요인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성별, 연령, 혼인상태 등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결혼가치관의 횡단적 비교가 다수인 반면 가치관의 종단적 변화가 혼인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자료를 이용하여 결혼과 관련된 가치관의 변화가 혼인이행/비혼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이산시간 사건사 회귀모형(discrete-time event-history regress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제1차 조사를 기준으로 비혼인 여성들로 표본을 제한한 후, 패널조사 기간 동안의 혼인이행 여부와 그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443명을 대상으로 초혼으로 이행한 여성들은 혼인 이행 직전의 조사 차수에서 결혼가치관을 측정하고, 비혼상태를 유지한 여성들은 제5차 조사에서 동일한 변수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비혼유지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다양한 시변변수들과 시불변 변수들을 예측변인으로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혼인 직전의 결혼가치관이 혼인이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혼인이행 여부에 따른 결혼가치관의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비혼유지 집단과 초혼이행 집단의 가치관은 처음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혼이행 집단은 혼인 직전의 가치관이 처음보다 전통적으로 변화한 반면 비혼유지 집단은 보다 비전통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혼인이행에 결혼가치관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비혼에서 초혼으로 전이가 일어나는 시점인 혼인 직전의 가치관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요인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의 기독교윤리의 한 유형으로서의 “혼인론” 연구-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오지석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 혼인론” 관계문헌을 중심으로 분석·연구함으로써 전통사회의 혼인론과 가톨릭·개신교의혼인론 사이의 같음과 다름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혼인관 형성에 있어서 외래사상의 영향사적 궤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근대전환기에 내한한 선교사들은 조선의 문명개화를 자신들에게 부여된 또 다른 사명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서구문명의 관점에서 청교도적 태도를 취하면서 새로운 삶의 질서, 사회적 원리의 도입을 통해 조선을 문명개화하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인 모습과 내용을 추적할 수 있는 좋은 예로 ‘혼인론’에 대한 내한 선교사들의 저작들이다. 왜냐하면 그 속에는 근대전환기 한국사회에 기독교 ‘혼인론’에서 나타난 문화의 접변, 혼종 그리고 토착화 과정이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혼인론에 담겨진 근대 한국의 풍경의 모습과 외래 사상의 이식, 수용, 변용, 확장의 모습을 보다 자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the current view of marriage by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arriage theory in traditional society and the Catholic/Protestant marriage theory in the related literature on “Christian Marriage Theory” owned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 attempts to reveal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influence of foreign thought. In particular,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onsidered that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of Joseon was another mission. Therefore, they took a Puritan attitude from the view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ried to civilize Joseon by introducing a new life order and social principle. A good example that can trace its specific appearance and content is the writings of missionaries in Korea on the ‘Theory of Marriage.’ Those writings well expose the process of cultural border, hybridization, and inculturation in the Christian ‘marriage theory’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amining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Korean landscape contained in the marriage theory and the transplantation,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foreign ideas.

      • KCI등재

        성인 자녀의 결혼 및 부모기로의 전이가 세대 간 접촉(만남과 연락)에 미치는 영향

        빈보경 ( Bin Bokyoung ),최희정 ( Choi Heeje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2 No.2

        Objectives: Grounded in a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on-coresident children`s transitions to marriage and parenthood o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parents. Gender of adult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levels of both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evaluated as potential moderators of the transition-contact linkages. Method: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adult children aged between 20 and 50 whose parents participated in four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06, 2008, 2010, 2012). For analysis,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the xtreg procedure in Stata. Results: First, transition 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face-to-face contact, whereas a greater increase in contact with parents via phone, mail, email etc. occurred only among newly married with less than college education compared to the newlywed with college degrees. Second,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ontact via phone, mail, email etc. In addition, a greater increase in face-to-face contact was found with parents who completed high school or more education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adult children`s transitions to marriage and parenthood may bring about increases in contact with their parents, particularly for adult children with less than college education and parents with more than high school education.

      • KCI등재

        부모와의 동거 여부와 미혼 여성의 결혼 이행:취업 여부 차이를 중심으로

        김필숙,이윤석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residence with parents on marriage for single adult women and the difference in this influenc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The data from the 1st(2007) to the 6th(2016)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from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gle women who are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are less likely to get married than those who are not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Second, those who ar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get married than those who are employed. Third, although the coresidence status of unmarried women postpones their marriages, its influence vary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Single women who are not employed are likely to get married earlier than those who become employed when they are not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re influencing their entrance into marriage. 이 연구는 미혼 여성들의 부모와 동거 여부가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 1차 연도(2007년도)부터 6차 연도(2016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따로 사는 미혼 여성들보다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여성들의 결혼 이행 확률이 더 낮다. 둘째, 미취업 상태인 미혼 여성보다 취업한 여성이 결혼 이행 확률이 더 낮다. 셋째, 부모와 동거 여부가 미혼 여성의 결혼 이행을 늦추고 있으나 이러한 효과는 취업 여부에 따라 다르다. 부모와 따로 살 때 취업 여성에 비해 미취업 여성의 결혼 이행이 더 빠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가족 형태의 변화가 미혼 여성들의 결혼 시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혼인동향과 혼인이행 분석

        이상림 ( Lee Sang-l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혼인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적 요인이지만, 지금까지 이에 관한 본격 적인 연구와 혼인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발은 더디게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최근의 다양한 혼인동향의 변화와, 개인적 차원에서 혼인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혼인동향에 관한 인구학적 분석은 전반적인 혼인력의 약화와 함께, 혼인연령 규범의 빠른 약화 현상을 보여준다. 이는 혼인이행률의 반등이 없을 경우 국내 출산율이 극도로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혼인이행 차별성 분석 결과에서는 경제적 자원 효과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고연령 여성들에게서는 학력, 직업 등과 같은 자신의 자원효과는 약화된 반면, 부모의 자원 효과는 높아졌다. 또한 긴 근로시간은 혼인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고연령 남성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부모로부터의 독립은 고연령 남성을 제외 한 모든 집단의 혼인이행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과 독립거주의 영향은 잠재적 파트너를 만날 기회를 높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의 혼인시장의 특성을 보여주고, 혼인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Marri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lowest low fertility in Korea where illegitimate births account for only 2% of total births. Nevertheless, marriage, particularly marriage transition from never married to married has been rarely studied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arriage trends and marriage transition patterns in Korea.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ducts various demographic analyses on current marriage patterns at population level and statistical analyses on marriage transition at individual level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between 2001 and 2008. The results of demographic analyses show the postponed marriages trends and the weakening social norm for marriage age particularly among single females, and the individual analyses reveal economic resource effects different by age and gender, and positive influence of parents` resour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first marriage is likely to be decreased by long working hours and increased by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marriage support policy to encourage marriages at younger ages and outlines future research agenda.

      • KCI등재

        주거비 부담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엄다원,홍경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burden of housing cost affects the marriage decision. Recently,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has made people be more considerate about cost effectiveness of marriage than before, the influence of the housing cost burden h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level of influence of the housing cost burden is different between man and woman. To make sure if theoretical reasoning matches empirical facts, the 12 years (2004-2015)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the housing price information of the Korean appraisal board have been used to fulfill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alysis of people in age of 18-34.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marriage is lowered as the housing cost burden is larger.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housing price to economic power of households get larger, the possibility of marriage becomes lower. In addtion, the negative effects of housing cost effect on marriage fulfills great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This suggests that norms of gender role in the economic contribution to marriage still remain. Therefor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marriage and make it possible for marriage, various social policy options should be provided to lower the housing cost burden. Also, as the gender role norm amplify the burden of man and woman, the spread of gender equality culture and awareness at the fundamental level needs to be settled in our society. 본 연구는 주거비 부담에 초점을 맞추어, 결혼 결정에 주거비 부담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과거보다 결혼의 경제성을 중요하게 따져보게 만들었고, 주거비 부담의 영향이 커지게 만들었다. 또한 그러한 주거비 부담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이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12개년자료와 한국감정원 주택가격정보를 활용해 청년층(만 18-34세)을 대상으로 콕스비례위험 모형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주거비 부담이 클수록 청년의 결혼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구의 경제력 대비 주택가격’으로 설정한 주거비 부담 수준은 커질수록 결혼이행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주거비 부담의 결혼이행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결혼에 대한 경제적 기여에 있어서, 여전히 성 역할규범이 잔존해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결혼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낮추고 결혼을 할 수 있게 만드려면 주거비 부담을 낮추는 다양한 사회정책적 옵션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주거비부담의 영향이 아직까지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이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성평등 문화와 인식의 확산이 우리사회에 자리 잡아야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남북한 혼인법의 통합방안

        김영규 ( Kim Young-kyu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4 No.2

        이 논문은 북한 가족법에서의 혼인 및 이혼 관련 규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남북한 혼인법을 비교하고 그 통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북한 혼인법에 아직 관련규정들이 없거나 혹은 우리 민법과 비슷한 규정들이어서 통합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들인데, 즉 약혼, 부부간의 의무, 협의상 이혼, 재판상 이혼의 절차, 양육권자의 결정, 면접교섭권, 재산분할청구권 등이다. 이 경우에는 우리 혼인법의 규정이 통일 가족법의 토대가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다음으로는, 남북한 혼인법 간에 차이가 있는 규정들인데, 혼인연령, 근친혼 금지, 혼인의 무효와 취소, 부부재산계약, 재판상 이혼사유, 부부의 가정재산의 분할 등이다. 이에 대해서는 기득권존중과 법적 안정성을 위해서 일정한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북한 가족법의 규정과 재판실무에 있어서 정치성을 띠는 규정들이 있는데, 실질적 혼인연령에 대한 것, 혼인과 이혼과정에 있어서 정치적의도로 관여하는 것, 인민군에 대한 이혼의 소에 대한 재판소의 기각판정 등이다. 이러한 규정들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배치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통일 이후 폐기되어야 한다. 이 밖에 북한 가족법 중에서 부모가 이혼하는 경우에 3살 미만의 자녀에 대해서 어머니가 양육권자가 되도록 하는 규정, 양육비의 규모를 정하는 규정 등은 혼인법의 통합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수용할 만한 요소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rriage and divorce-related regulations in the North Korean Family Law, and based on this, compares the marriage laws of South and North Korea to each other and puts forward its integration measures. First of all,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integration because there are no related regulations in the North Korean Marriage Act yet or similar regulations to our civil law, in other words, it is natural that the provisions of our marriage law are the basis of the Unification Family Act, as it concerns the matrimonial engagement, the duties of husband and wife, the divorce by agreement, the procedure of judicial divorce, the decision on the custodian, the visitation rights, and the claim for division of property. In addition, among the differences in the marriage law between the two Koreas, certain transitional provisions should be placed for the respect of vested interests and legal stability on the marriageable age, the prohibition of consanguineous marriage, the nullity and annulment of marriage, the Agreement on Matrimonial Property, the Causes for Judicial Divorce, and the division of the couple’s family property. Finally, there are the provisions of the North Korean family law and political rules in the judging practice. In other words, the actual marriage age, political involvement in the marriage and divorce process, and compelling the court to dismiss the divorce lawsuit against the People’s Army are contrary to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Therefore, these regulations should be discarded after unification. In addition to this, among the provisions of the North Korean Family Law, the equality of the sexes, the rule that a mother is the custodian of a child under 3 years of age in case of a parent divorce, and the regulation on the size of child support deserve positive acceptance to the integrated marriage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