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요가테라피

        조옥경(Cho, Ok-Kyeong) 한국요가학회 2017 요가학연구 Vol.- No.18

        세월호 사태 이후 트라우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의 트라우마 치료방법은 트라우마가 정신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신체 적인 현상임을 파악하고 심신통합적인 관점에서 트라우마에 접근하고 있다. 심신치료 개입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요가는 트라우마 치료 및치유에 효과적임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가 무엇인지를 개괄하고 요가가 트라우마 치료와 접목된 배경과 원리를 서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트라우마 환자나 내담자에게 주로 적용되는 트라우마 중심 요가 (trauma-sensitive yoga) 와 그 원리를 소개하였 다. TSY는 내담자 중심의 요가자세, 내담자 중심의 자연스러운 호흡, 마음챙김, 권유형 안내, 주의를 기울인 도움을 그 원리로 삼고 있다. 본문 에서 이런 원리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 실제적인 적용 및 TSY를 실시할 때의 주의사항을 서술하였다. 현대인의 심신건강 회복과 증진을 위해 요가의 다양한 기법들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요가테라 피는 트라우마라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에 통합되어 빠르게 성장,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을 계기로 한국의 요가테라피스트들이 트라우마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Sewol tragedy has attracted nation’s attention on treating trauma related syndromes. The recent therapeutic techniques for PTSD are more or less focusing on the mindbody interventions having realized that trauma is the physical insults as well as the mental insults. Accordingly researchers begin to examine and prove the various beneficial effects of yoga on the trauma related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yoga is applied to trauma and what is required to invite trauma survivors to trauma-sensitive yoga(TSY). The principles of TSY include 5 elements; client-centered asanas, client-centered natural breathing, mindfulness, invitatory languages, and attentive help. Some of TSY’s asanas are shown with detailed descriptions for the practical purpose. The evidence-based yoga therapy is now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in Korea. TSY will offer us a good chance to inform the public the value of yoga therapy as a useful tool for trauma.

      • KCI등재

        한-EU무역의 무역특화 경향과 통상마찰:TSI분석을 중심으로

        김태헌 한독경상학회 2018 經商論叢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rade specialization between Korea and the EU and the origin of trade friction under the Korea-EU FTA, by comparing the specialization trends of Korea and the EU in global trade with the specialization trends in mutual trade through TSI.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TSI, which compares the size of net exports between countries to the total import and export scale, only recognizes the direction of trade balance, and there was a limit to gauge the volume of deficit and surplus of trade, and trade inequality. Second, the specialization trends of Korea and the EU in the global trade were almost similar when excluding a few items, and they showed a typical commodity trade structure of advanced country. Third, in the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the EU, the symmetrical trade specialization tendency was clearly visible, and the inter-industry trade was activated. Fourth, with the Korea-EU FTA, Korea's export specialization to the EU has weakened significantly, while import specialization has increased. Fifth, EU’s import regulations on Korean products such as anti-dumping duties and safeguards have no correlation with whether they are export-specific items or import-specific item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trade reversal phenomenon that Korea has been continuing since the Korea-EU FTA and to realize the export specialization also in trade with the EU as in trade with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secure quality competitiveness that can be comparable to EU’s export-specific items as soon as possible and to revise it into a high value-added strategy that enhances the intrinsic value of export products.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change from export promotion strategy focused on price competitiveness to export specialization strategy centered on quality competitiveness. To this e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t the enterprise level that can guarantee the quality improvement of exports should be preceded, and active support measures an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at the government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EU의 對세계무역에서의 특화추이와 상호무역에서의 특화 추이를 TSI를 통해 상호 비교해 봄으로써 한-EU FTA에 따른 양국간 무역특화의 변화상과 통상마찰의 근원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분석 결과, 한-EU FTA 이후 한국의 對EU TSI가 감소한 품목군은 전기기기, 자동차&부품, 기계류, 광학․정밀기기, 광물성연료, 고무제품, 귀금속, 편물이었고, 그 외 철강, 화학제품 등 12개 품목에서는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반면에 EU의 對한국 TSI가 개선된 품목으로는 전기기기, 자동차&부품, 기계류, 선박, 광학․정밀기기, 광물성연료, 철강제품, 고무제품, 귀금속, 편물이었고, 철강, 유기화학품을 비롯한 10개 품목군에서는 對한국 TSI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간 순수출 규모를 총수출입 규모에 견주어 살펴보는 TSI로는 무역수지 방향성만을 인지케 할 뿐, 무역흑자 및 적자의 규모, 무역불균등도를 가늠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한국과 EU의 對세계 무역특화경향은 극히 일부품목을 제외할 때 거의 유사하였으며 전형적인 선진국형 상품무역구조를 보였다. 셋째, 한-EU간 상호무역에서는 대칭적 무역특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산업 간 무역이 활성화되어 있었다. 넷째, 한-EU FTA를 계기로 한국의 對EU 수출특화도는 뚜렷하게 약화된 반면, 수입특화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EU의 반덤핑관세 및 세이브가드 등 對한국 수입규제조치는 한국의 對EU 수출특화품목 여부와 하등의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이 한-EU FTA 이후 계속되고 있는 무역역조현상을 개선하고, 對세계 무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수출특화경향이 對EU무역에서도 현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對EU 수입특화품목에 필적할 수 있는 품질경쟁력을 조속히 확보하고 수출상품의 내재적 가치를 높이는 고부가가치화로의 괘도수정이 필요하다. 즉, 가격경쟁력 위주의 수출촉진전략에서 품질경쟁력 중심의 수출특화전략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출품의 질적 향상을 담보할 수 있는 기업차원의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이 선행되어야 하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방안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Revisiting TSI: How TSI Contributes to the Buyer- Seller Relationship

        ( Kyunghee Kim ),( Min Sung ),( Gang Ok Jung ) 서암순창장학회 2015 Journal of Marketing Thought Vol.1 No.4

        Transaction cost economics (TCE) explains that once specialized assets are made, safeguarding problems are created because the receivers are likely to behave opportunistically and expropriate the assets, which is considered a market failure. Due to this, most research on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s (TSI) has focused mainly on its risky properties for several decades. However, some unsupported hypotheses that do not fall in line with the transaction cost theory prediction and increasing cooperativ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require alternative explanations regarding TSI. The role of TSI should be reinvestigated as a bridge that bonds firms involved in transaction relationships, and should not be regarded only as a major reason causing conflict between firms. This paper proposes how TSI contributes to boosting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dyadic firm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propo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SI and information sharing, flexibility, and solidarity.

      • KCI등재후보

        TII와 TSI를 통해 본 한·EU 무역구조분석

        김태헌(Tae-Heon Ki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0 기업과 혁신연구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EU FTA 이후 발생하고 있는 한국의 대EU 무역불균형 현상의 내재적 원인을 찾아보고, 상품특화 구조분석을 통해 무역수지 개선의 실마리를 찾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9년~2018년 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TII 및 TSI분석을 시도하였다. TII 분석결과, 한-EU FTA 이후 한국은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폴란드, 체코, 벨기에에 대해 무역흑자를 기록하였지만,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핀란드 등이 주도한 무역적자 규모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EU TOP 20 수출품목의 무역비중을 고려하여 TII와 TSI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EU 무역수지 역조현상은 광학/의료정밀기기(90)와 전기기기·TV·VTR(85) 등을 위시한 무역비중이 높은 품목군의 무역특화도 및 경쟁력 약화에 기초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II-TSI분석, 한-EU 무역현황, WON/EURO의 환율변동을 종합한 결과, 한-EU FTA 이후 한국의 대EU 무역적자 원인으로 WON/EURO 환율의 지속적 하락, EU산 수입재의 가격하락, 고품질 EU제품에 대한 국내 수입소비의 증가, 국내 소비자의 소득증가, 인터넷 쇼핑몰 같은 수입판매망의 확충, 유럽산 고품격 재화에 대한 선호도, 기계류(84)와 같은 역외제품의 EU산 제품으로의 수입선 변화 등이 지목될 수 있다. 따라서 한-EU FTA에 따른 대EU 무역적자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는 한국산 철강 및 철강제품에 대한 EU의 세이프가드 조사와 관련하여 조사의 공정성을 강력히 촉구하고, EU차원의 비관세장벽에 대한 재협상과 기술협력 및 이전에 대한 협상 라운드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업 차원의 새로운 글로컬(glocal) 수출전략, 생산전략, 전략적 제휴 등을 재검토하고, WON/EURO 환율변동 및 환리스크 등 동태적 파급효과에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herent cause of Korea"s trade imbalance with EU after the Korea-EU FTA and to find a clue to improve trade balance through product-specific structure analysis. For this study, TII and TSI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rade data from 2009 to 2018. TII analysis showed that Korea recorded trade surplus in Slovenia, Slovakia, Poland, Czech Republic and Belgium after the Korea-EU FTA. However, it was not enough to offset the trade deficit led by Germany, France, Italy, the Netherlands and Finl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II and TSI considering the trade weight of TOP 20 export item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e balance inversion phenomenon of Korea to EU is based on the decline of trade specialization by item including optical/medical precision equipment(90). When TII-TSI analysis, Korea-EU trade status, and WON/EURO exchange rate fluctuations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WON/EURO exchange rate, the drop in EU import goods prices, the increase in domestic import consumption of high quality EU products, the increase in domestic consumers" income, the expansion of import sales networks such as internet shopping malls, preference for high-quality goods from Europe, the change in import lines of offshore products such as machinery (84) to EU products may be pointed out as a cause of trade deficit in Korea after the Korea-EU FTA.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EU trade deficit under the Korea-EU FTA,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trongly urge the fairness of the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the EU"s safeguard investigation into Korean steel and steel products. Second, the renegotiation of EU-level non-tariff barriers, technical cooperation and discussions on the transfer should be concret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new global export strategies, production strategies, and strategic alliances at the corporate level.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the dynamic ripple effect such as WON/EURO exchange rate fluctuation and exchange risk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글로벌 ICT 산업의 수출 경쟁우위 패턴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을 중심으로 -

        정해식,임달호 한일경상학회 2018 韓日經商論集 Vol.79 No.-

        본 연구는 일본・한국・중국 등 동북아 3국의 ICT 산업에 대한 품목별 수출경쟁력 변화를 산업주기(product life cycle) 관점에서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각국 ICT 산업 수출경쟁력도 태동기→도입기→성숙기→쇠퇴기를 거치는 산업주기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의 태동기는 수출규모가 작고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수출위주로 진행된다. 그 결과 TSI와 MSI는 성장세를 나타내고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수출규모도 커지면서 RCA지수도 상승 추세를 보인다. 성장기에는 산업의 수출경쟁력이 상승하면서 TSI의 수출특화가 높아지는 가운데 MSI와 RCA지수도 태동기에 비해상승 추세가 가파르게 진행된다. 이런 측면에서 중국은 태동기를 거쳐 성장기를 구가하고있다. 성숙기는 수출성장세가 둔화되는 시기다. 이때는 TSI 상승폭이 둔화되고 이에 따라MSI도 정체 상태에 머문다. 우리나라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났지만 한편으로중국에 경쟁우위를 잠식당한 제품을 중심으로 수입도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냈다. 쇠퇴기는 수출과 수입이 같거나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한다. 이 시기는 TSI, MSI, RCA 가 동반 하락한다. 쇠퇴기는 수출경쟁력 지수가 모두 하락하지만 TSI가 수출특화이면서낮아지는 경우, 수입특화가 심화되는 경우, 수출에서 수입특화로 전환되는 경우 등 3가지양상을 띤다. 일본은 높은 제조비용, 후발국의 추격 등으로 ICT 산업 수출이 위기에 처한가운데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이 지연되면서 쇠퇴기의 전형을 보였다. As fo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lobal ICT industry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of the export competence index through trade within the industry, we have analyzed that the global ICT industry export competitiveness also followed the industrial cycle of the beginning, introduction, maturing, and declining. Through MSI, TSI, and RCA our research results on the life cycle of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showed that in the beginning it was small in export quantities and even though it was different for each product, it was basically focused on export. As a result, the TSI and MSI showed growth and as the proportion of it from the entire industry increased, the RCA index showed increase as well. The maturing stage is when the export growth starts to decrease. At this point, the increase rate of the TSI index slows down and with this the MSI showed slowed down and came to a stop as well. In the maturing stage there were two patterns shown. In the declining stage, there are three different cases where all of them do show a decrease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index. As the growth of the industry reaches its peak and the product becomes completely standardized, the focus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shifted from product innovation to process innovation. This happens because as the industry becomes mature, competition is not made b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roducts, but the advantage of lower price becomes more important.

      • 철도차량의 TSI 인증과 형식승인과의 비교

        최강윤(Kangyoun Choe),김연수(Yeonsu Kim),홍재성(J. S. Hong),송민섭(M.S. Song),목재균(Jai Kyun Mok) 한국철도학회 201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05

        유럽은 2008년 철도시스템 상호운영지침을 개정하고, 2014년 고속철도와 일반철도를 통합한 기관차 및 객차에 대한 TSI를 제정하였다. 국내의 경우 2012년 12월 철도안전법이 전면 개정되며 철도차량과 용품의 형식승인제도가 운영 중에 있으며, 철도차량의 형식승인제도는 형식승인, 제작자승인, 완성검사의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유럽의 TSI 인증 체계를 소개하며, 국내 형식승인제도와 비교한다. The European Community Revised the Interoperability directive in 2008 and legislate the 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 to locomotives and passenger rolling stock’ subsystem in 2014. The MLIT of Korean government wholly amended the Railroad safety act in 2012, and enforced the type approval system for the rolling stock. The type approval scheme is composed of type approval scheme for rolling stock, manufacturer approval for rolling stock and completion inspection of rolling stock. The TSI certification system i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ype approval system.

      • KCI등재

        안동호의 수역별 영양상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박재충,박정원,김대현,신재기,이희무 한국육수학회 2005 생태와 환경 Vol.38 No.1

        안동호를 5~10km 구간으로 분할한 5개 지점에 대하여 2002년 6월부터 2003년 6월(13개월)가지 총 21회에 걸쳐 지점별 물리 화학적 수질특성과 TSI, TSIm, LTSI로 수체의 영양상태 평가 및 평가방법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SI와 TSIm은 평가항목(TP, Chl-α, SD)에 따라 지점별로 빈영양-중영양-부영양상태로 다양한 결과를 보여 개별 항목으로 수역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였으나 댐 저수지의 상류에서 하류로 진행하면서 영양도가 낮아지는 결과는 세 평가방법이 동일하였다. 평가방법 간의 상관성은 수심이 깊고 연중 안정된 수질상태를 보이는 하류보다 수심이 얕고 수질변동 폭이 큰 상류수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영양지수의 평균값에 의한 상관은 r=0.9117~0.9909 범위로 조사되어 상호 보완적인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LTSI는 TSI와 TSIm에 비해 댐 저수지의 구간별 수질특성을 잘 반영하였으며 영양상태 평가의 간편성과 주관적인 평가 오류의 최소화에 보다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Using TSI, TSIm and LTSI, we compare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of 5 stations in Lake Andong from June 2002 to June 2003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m.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rophic state of waters by each parameter, TP, Chl-α and SD, because TSI and TSIm in each section show different results, oligo-, meso- and eutrophic state. But three methods, TSI, TSIm and LTSI, show the same result that trophic degree lows as it goes to a lower area of the lake. The correlation among them is closer in the upper shallow waters than in the lower deep waters. The reciprocal application of trophic state indices is possible because the coefficient of mean correlation ranges 0.9117 to 0.9909. In conclusion, it seems that LTSI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water quality in each section better than TSI, TSIm and is very effective to simplify trophic state evaluation and minimize researcher's subjectivity.

      • KCI등재후보

        국제부문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과 분석

        정경옥,이장호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1

        The Transportation Service Index(TSI) is a monthly(quarterly) measures of the volume of services performed by the for-hire transportation sectors; road, railroad, air and maritime mode. In Korea the TSI for domestic transportation modes(except road side transportation modes) is estimated and published quarterly since April, 200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nalyze TSI for cross border transportation to extend current TSI. Cross border transport is classified into four sectors: air passenger, maritime passenger, air freight and maritime freight. For each sector, a data collec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a seasonal adjustment model was developed using collected data(traffic volume data from Jan. 1995 to Dec. 2008). Using seasonally adjusted data, the index for each sector was calculated. Passenger index and freight index were calculated by employing the Fisher's ideal index method. The cross border TSI is not likely to be useful in forecasting economic activity in future because the monthly TSI proved to be a lagging index. But the cross border TSI is still useful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monitoring of transportation service changes,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ecu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and introduction of new transportation system and so on.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운임을 받고 수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산업부문의 수송실적을 지수화한 것으로, 타산업부문 및 국가경제활동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교통산업부문의 활동수준을 대표할 만한 지수가 없다는 인식에서 산정이 시작되었다. 국외에서는 미국과 프랑스, 일본 등에서 지수를 산정․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5년과 2006년에 수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매 분기별로 교통산업서비스지수가 산정․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산업서비스지수 산정 대상 분야를 국제부문으로 확대하기 위해 국제항공여객, 국제해운여객, 국제항공화물, 국제해운화물의 네 가지 세부부문을 지수 산정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각 부문에 대한 기초자료와 계절변동모형의 구축을 통해 세부부문별 지수를 산정하고 가중치의 적용을 통해 국제여객과 국제화물 분야의 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국제부문의 교통산업서비스지수에 대해 주요 시계열 변화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통계청의 국내 경기 기준순환일과의 비교를 통해 경기변동과의 연관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국제부문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전반적으로 국내 경기 변화에 대해 후행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예측 변수로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국제부문의 지수산정체계와 산정방법은 매 분기별 국내 교통산업서비스지수의 산정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제부문의 교통산업서비스지수는 기존의 국내부문 지수와 함께 국내 교통부문의 단기 변화를 보다 시의성 있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중 FTA 전후 주요 교역품목의 경쟁력 변화 분석

        추봉성(Chu Bong Sung)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3

        최근 자유무역협정(FTA)의 확산으로 인해 국제경제 질서의 재편은 물론 기업활동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FTA는 무한 시장경쟁 환경 속에서 비교우위에 의한 생산과 교환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도 주요 교역품목의 경쟁력 변화를 추적 관찰 후 관련 대책 마련에 활용해야 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 FTA 발효 1년을 기점으로 FTA 전후 한중 간 주요 교역품목의 경쟁력의 변화를 무역특화지수(TSI)와 수출입탄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2015년 양국 간 수출입금액을 기준으로 중복품목을 제외한 수출입 상위 13개 품목을 선정(HS코드 2단위)하고 한중 FTA 발효 전후 1년간의 무역특화지수 분석을 통해 수출입 특화업종을 산출한 결과, High level 기술수준의 광학기기류는 수출특화업종으로 분석되어 FTA 이후 수출이 증가했으며, Medium high level 기술수준의 전기기기류 등 5개 업종은 수출약화업종으로 분석되었다. 수입 경쟁력부문에서는 Lowlevel 기술수준의 가구 및 침구류가 수입특화업종으로 분류되어 FTA 이후 수입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edium low level 기술수준의 철강 등의 업종은 수입약화 업종으로 분류되어 수입규모가 줄어들었다. 한편 수출입탄력성 분석에서는 무기화학품 및 귀금속류의 탄력성(0.6261)이 가장 높았던 가운데, 원자로 및 보일러 등(0.2881)이 뒤를 이으며 한중 FTA로 인해 가장 큰 변동폭을 나타냈다. 반면 플라스틱과 그 제품류(0.0009), 정유와 레지노이드(0.0010), 의류와 그 부속품(0.0012) 등은 13개 분석대상 품목 중 탄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FTA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중 FTA를 전후로 무기화학품 등은 수입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교역량의 변동이 가장 컸던 반면, 원자로 등의 기계류는 수출이 약화되는 형태로 교역량의 변동이 심했고, 플라스틱과 제품류 등은 FTA 전후 교역량의 변동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Focusing on TSI(Trade Specification Index) and exports-imports elasticity,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empirical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main trade items following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For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y and analysis, the question which we must consider here is how much the FTA affects the main items with respect to exports and imports. Fore the reason, we provide not only a mathematical model to consider the question in a rate of change, but also the competitiveness of the items based on the TSI. Our approaches to design the model are mainly characterized as an entropy elasticity with respect to exports and imports, in which parameters are based on entropy principles and controled by the TSI obtained during the first step.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usefully utilized not only to observe the changes of competitiveness of the items, but to identify easily real influence on the FTA from the view points of specialized industry or items. To analysis effects of Korea-China FTA, we first selected target items based on 2015 base year. With total 13 items selected by the amount of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e compared the competitiveness of main items after analysing their TSI. And then, for the second step, we design exports-imports elasticity model with the TSI, which can make a sensitivity analysis p ossible. Our a nalysis showed t hat specialized items by e xports and i mports after K orea-China F TA: (1) A competitiveness of category of optical instrument classified into high tech industry has strengthened, while a competitiveness of category of furniture classified into low tech industry has weakened after the FTA. (2) The item with the highest exports-imports elasticity was a category of inorganic chemistry, categories of plastic and related products, oil-refining, and apparel had the lowest exports-imports elasticity.

      • KCI등재후보

        한류 문화콘텐츠의 대외수출경쟁력 분석

        이찬도(Chan-Do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3

        출판ㆍ만화ㆍ애니메이션산업이 문화산업에서 인프라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하는 데는 OSMU, OSMP의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5대 문화콘텐츠인 영화, 방송, 음악, 게임, 캐릭터의 발전과도 직·간접인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문화산업의 대외경쟁력의 평가와 향후 전략을 논의함에 있어 이들 3대 기본 콘텐츠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이러한 목적도 여기에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출판산업의 경우 분석기간(2005년∼2013년)중 2010년을 제외하고는 수입특화상태이며, 특히 일본과 유럽과 같은 선진국과의 교역에서 경쟁력 약화 현상을 보였다. 이는 국내 출판시장의 침체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만화산업의 전체 TSI는 수입우위 및 수입특화로서, 일본과의 TSI추세와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동 산업의 수출, 특히 수입이 일본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수입시장은 일본, 수출시장은 중국, 동남아, 북미, 유럽 등으로 편중되어 있어 향후 일본시장에 대한 경쟁력 제고가 중요한 과제이다. 셋째, 애니메이션의 TSI는 수출우위 및 수출특화 지수로 분석되었다. 최근 5년간 국내시장의 성장추세와 맞물려 대외경쟁력이 더욱 제고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수출시장의 다변화 및 수출방법의 다각화도 필요하다. 향후 해외시장의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미디어의 융합, 국경을 초월한 기업간 상생협력, 온-오프라인의 연동 등 대내외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Publication, comics and animation industry are evaluated talking infra role to cultural industry and this is due to huge effects of OSMU and OSMP. For example, the growth of five major culture contents which are film, broadcasting, music, game and character have direct and indirect correlation with it. Therefore, an objective analysis of these contents has to be preceded on evaluating ou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ultural industry and discussing the future strategy. This is the goal of this study. Analysis showed that first, for publication industry, during analysis period (2005-2013) it was in income specialized status except 2010 and revealed weaken competitiveness specifically in trade with advanced countries like Japan and Europe. It is supposedly having correlation with the depression of domestic publication market Second, the whole TSI of comics industry is in import superiority and import specialization which is showing similar TSI trend with that of Japan. This is because the export of above business, particularly import is concentrated on Japan. For import markets, they lean too much to Japan while export markets are concentrated in China, Central and South America, North America and Europe. Third, TSI of animation has analyzed as export superiority and export specialization index.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reviewed engaging with the growth trend of domestic market during these five years. However,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and exporting method diversification are necessary as well. To cope actively with the changing international circumstances, more effort is required to reinforce competitivenes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ntents, union of media, inter-business mutual cooperation and on-offline index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