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기반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한 요구

        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has a lasting impact not only on school age children but also in adult lif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each AAC in school and social life, with the expectation of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role as the center of intervention being high. Research on AAC intervention in special schools emphasize on the importan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o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paredness and perception of school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ocus group interview on AAC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in schools. Method: This study involved 9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AC training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provinces.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 sampling method. Af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he participants were ultimately confirmed through agreement. The final questionnaire comprised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AAC intervention with a focus on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 challenges and requirements of using AAC, the support required to implement AAC in school, and the program requirements.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June to September, 2018. All interviews were documented after recording, and a total of three transcripts were prepared. Results: Four topics were derived after performing open coding ((1) experience with starting AAC, (2) difficulties with AAC intervention, (3) preparation for AAC intervention based on special schools, (4) support and program requirements for AAC intervention) and 19 sub topics. Conclusion: As a result, it was established that there were challenges such as perception, supports, cooperation and limited resources in the implementation of AAC as a universal communication supports in school. However, the findings of the AAC intervention experience and the positive perceptions are likely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AAC intervention in th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recommendation for support and development for school-based AAC intervention were suggested.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학령기 뿐 아니라 성인기 삶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며 AAC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AAC 대한 접근 방안이 되어야 하며 중재의 구심점으로 특수학교와 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학교 기반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AAC 중재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 대상 적용 연구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에 대한 중재 뿐 아니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환경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해 특수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및 경북 지역의 AAC연수를 수강하고 중재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자 선정은 목적표집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구두로 연구 참여에 동의를 받아 최종 참여자를 확정하였다. 질문지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최종 질문지는 특수학교 기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AAC 활용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학교현장에서 AAC 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면담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였고 총 2개의 전사본이 만들어 졌다. 결과: 개방적 코딩을 실시하여 4개 주제(1) AAC, 시작에 대한 경험, 2) AAC 중재의 어려움, 3) 특수학교 기반의 AAC중재를 위해 필요한 준비, 4) AAC 중재를 위한 지원 및 프로그램 요구)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 학교에서 보편적인 의사소통 중재로 AAC를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인식이나 지원, 협력, 제한된 자원 등의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AAC 중재 경험을 통해 가능성을 찾고 그로 인해 긍정적인 인식을 서술한 결과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 AAC 중재를 보편화하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기반의 AAC 중재를 위하여 필요한 지원과 개발에 대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의 중재모델 사용

        김세연(Se-Yun Kim),김수정(Su-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교육기반 작업치료 서비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중재모델, 중재장소와 중재시간,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중재모델과 중재 영역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별치료 모델을 지주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수행을 향상시키는 중재모델과 다른 팀 전문가에게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모델로 개별 치료를 선택하였다. 셋째, 중재모델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수행구성요소의 결함과 팀 책임자의 마인드를 들었다. 넷째, 중재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학교작업치료사의 의견과 적용시간, 중재 영역과 중재 모델 적용시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기반 작업치료사는 여전히 의료모델에 가까운 중재모델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기반에 효과적인 중재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ntervention model, intervention settings, intervention time, factors influencing selection of intervention mode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model and areas which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ist was using. Study data were provided by 46 therapy supporting service professionals through e-mail and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the therapy supporting service professionals often employed a direct therapy(individual) focusing on performance component of child. Second, they believed that direct therapy i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performance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Third, when choose intervention model,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child's performance components deficits and mind of team chief. Fourth, no correlation between the application time an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model. Also didn't find correlation between applying time of intervention model and intervention area. When putting the various research result together, the model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was similar to medical model. Therefore it is need a study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 model and apply it in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및 중재수업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최성규,김정규,이종헌,김하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teachers of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ies between diagnosis· evaluation and intervention. A total of 21 questions(9 items of diagnosis·evaluation and 12 items for intervention) were developed. 334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SS 20.0 and AMOS 19.0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in the background analysis there were not any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diagnosis·evaluation factor,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s and upper degrees rather than undergraduate were important background information in the intervention factor; and (b) the special school teacher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perceived that the diagnosis·evaluation factor wa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gnosis·evaluation and instruction, and the intervention methods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is·evaluation and instruction factor, and the intervention methods factor had no relationships statistical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we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competencies to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truction and intervention were different to teach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와 중재수업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진단·평가와 관련된 9개 문항, 중재수업에 대한 1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국의 지체장애학교 교사에게 배부하였다. 총 334부의 설문지를 SPSS 20.0과 AMOS 19.0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는 진단·평가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배경변인은 없었다. 반면, 중재수업의 하위요인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배경변인으로는 경력과 학력이었다.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는 진단·평가가 진단·평가와 수업의 연계성, 그리고 중재수업의 방법 등에 각각 설명력을 제공하는 경로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진단·평가와 수업의 연계성은 중재수업의 방법으로 설명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수업 및 중재수업 지원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수업과 중재수업에 대한 차별성과 필요성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진단·평가 및 중재수업 간의 관계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최성규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진단·평가와 중재수업 간의 관계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인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진단·평가에 관련된 5점 척도 12문항과 중재수업에 관련된 5점 척도 12 문항을 구성하여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315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에서 진단·평가의 1문항이 삭제되었으며, 중재수업에서는 삭제된 문항이 없었다. 또한 진단·평가와 중재수업은 각각 3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는 진단·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교직경력이 주요 변인이 되었으나, 중재수업에서는 배경변인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진단·평가와 중재수업의 세부 요인에 대한 중요성과 연계성의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진단·평가와 중재수업의 세부 요인에서 진단·평가와 교육적 지원의 관련성, 진단·평가 결과의 활용, 평가와 중재수업의 필요성, 평가와 수업의 연계성, 중재수업 방법은 상호 연계되나, 진단·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에 해당하는 요인은 배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of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schools for the hearing impairment.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such as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The questions of the diagnosis·evaluation were consisted with 5-Likert scale of 12 items, and the questions of the intervention instruction were consisted with 5-Likert scale of 12 items. One item in the questions of the diagnosis·evaluation was deleted by the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corelation coefficient test,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had positive recognition to diagnosis.evaluation, and the teaching career wa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diagnosis·evaluation; (b)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had positive recognition to intervention instruction regardless of the any background factors; and (c)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knew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however the effort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evaluation was except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agnosis·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 KCI등재

        Efficacy of Institution-wide RTI Reading Intervention in Disadvantaged Suburbs of South Korea: 3-Year Analysis on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김동일,신혜연,김희주,김희은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2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1 No.4

        The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read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implementation (RTI) with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from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After the institution-wide screening and selecting process, read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provided at either Tier 2 or Tier 3 of the RTI in reading domains of fluency, vocabulary acquisition, reading comprehension, or phonological awareness as needed. For each year, approximately 69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 grade ranges were between 1st and 6th grade. Pre-and post-test results in all intervention domains were analyzed both by year and grade, and between-grade comparison was further conducted. Significances relating to the middle grades were discussed from the findings. The need for the institution-wide RTI approach to successful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