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의 사회적 비용추정 연구의 동향 및 연구 방향에 관한 고찰

        공정식,권준성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20 경찰학논총 Vol.15 No.3

        Estimating the social cost of crime is an effective way to set the direction and goals of criminal policy for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However, wherea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since 2010,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overseas studies, including the expansion of various methodologies, the segmentation of criminal types, and the emergence of new crimes Thus, this study reviewed and check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rime cost-related study conducted so far,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domestic research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overall trends in international crime cost research and the latest research.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ost research of domestic crime through two representative studies dealing with the social cost of crime in Korea, the two studies differed in the statistical data taken as a basis, and the classification of crime types, methodologies, and estimate of costs were all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to discuss the integrated result, so Relevant discussions and further analysis are needed. Next, a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es on the social costs of crime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national databases, and that research methods such as prior research data and payment approach, interview, QALY approach, and jury awards data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research.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Finally, an analysis of the latest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social cost of crim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the recent study estimated the cost of crime through more advanced analysis, including the segmentation of existing items and the addition of new types of crime,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ybercrime, which is a type of crime representing modern crime, although the method of measurement has not yet been clearly established and only partial measurement has been made, but the cost of the crime has been found to be considerable. These new types of crimes are likely to be a factor in the high social cost of future crimes due to their diversity and spread, so preemptive prepar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is, it is deemed that rel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promptly and constantly.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는 것은 범죄 예방과 대응, 그리고 형사정책의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다. 그러나 2010년 이후 국내에서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국외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의 확장 및 범죄유형의 세분화, 신종범죄의 등장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의 범죄비용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그 현황을 확인하였고, 국제적 범죄비용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며, 최신 연구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다룬 대표적인 두 연구를 통해 국내 범죄의 사회적 비용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두 연구는 기준으로 삼은 통계자료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범죄유형 분류와 방법론, 소요비용추정 등이 모두 차이를 보여 통합적인 결과 논의가 어려운 형태였으므로, 이에 관한 논의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제적 연구 추이와 방법론을 검토한 결과, 대다수의 연구는 국가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며, 선행연구와 지불의사접근법, 인터뷰, QALY 접근법, 배상금 데이터 등의 연구 방법이 연구목적과 방향에 따라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범죄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국외의 최신 연구를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 연구에서는 사회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 항목을 세분화하고 새롭게 등장한 범죄유형을 추가하는 등 보다 발전된 분석 양상을 통해 범죄비용을 추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현대 범죄를 대표하는 범죄유형인 사이버범죄의 경우 아직 그 측정방식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부분적인 측정만이 이루어졌음에도 범죄의 소요 비용이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신종유형 범죄들은 그 다양성과 확산성으로 인해 향후 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들이 신속하고 꾸준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자체 자가망의 사회적 비용 분석

        안형택 ( Hyung Taik Ahn ),이태희 ( Tae Hee Lee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4

        지자체 자가망 사업은 서비스의 수혜자인 지자체 주민의 소비자 효용을 증가시키는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반면, 사회적으로 최적 수준 이상으로 광대역망 관련 투자가 이루어고 있는 상황에서는 중복투자비용 및 공정경쟁비용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망 사업의 사회적 비용을 모형화한 후, 동탄신도시의 실제 구축비용 자료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사회적 비용 항목들을 계량적으로 추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1)자가망 중복투자의 비효율, (2)자가망 수요의 시장 수요 대체에 따른 사회후생의 감소분, (3)자가망의 여유용량 임대에 따른 사회후생의 감소분으로 구분한 후 해당 항목들을 계량적으로 추정하였다. 광대역망 관련투자가 이미 최적 이상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자가망 사업의 사회적 비용은 중복투자비용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수요대체로 인해 소비자 잉여가 추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추정의 결과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자가망 사업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지자체가 체감하는 요금원가가 기부체납 등의 이유로 인해 독립적인 신규사업자가 시장진입을 할 때 부담하는 요금원가(독립원가)보다 상당히 낮기 때문이다. While municipal investments on wireline networks provide social benefits to the municipal residents, it also incurs significant social costs with respect to recurrent investments and a possible hampering of market competition. Therefore, measuring the actual benefits and costs of municipal wireline networks is paramount in determining whether these investments are socially desirable. In such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quantitatively the social costs of municipal investments on wireline networks using actual data of the Dongtan U-City Plan, where the overlap between the municipal and the private service providers` wireline network facilities appears considerable. It is shown that the actual costs that municipalities bear is far less than that of any efficient entrant willing to enter the market. This outcome is not surprising because the municipalities are donated with substantial amount of expensive network facilities. Eventually the full expenses of constructing municipal wireline networks are to be paid by some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and hence should be counted in the social costs. More precisely, the expenses of municipal investments overlapping with the private invest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ocial costs. For Dongtan U-City, the cost of the overlaid network, in net present value, is estimated about ₩2.86B. On the top of this estimate, two additional sources of social cost should be accounted for: The first one is the cost of distortion in the existing public sector due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overlaid network, which is estimated about ₩0.9B. The other one is the cost of distortion in the private market triggered by the overlaid network, which is about ₩9.72B. Thus the total social cost of overlaid network is far more reaching than the cost fac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Dongtan. These cost estimates are obtained assuming that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0.5. The social costs based on other elasticity values are also obtained.

      • KCI등재

        지자체 자가망의 사회적 비용 분석

        안형택 ( Hyung Taik Ahn ),이태희 ( Tae Hee Lee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0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7 No.4

        지자체 자가망 사업은 서비스의 수혜자인 지자체 주민의 소비자 효용을 증가시키는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반면 사회적으로 최적 수준 이상으로 광대역망 관련 투자가 이루어고 있는 상황에서는 중복투자비용 및 공정경쟁비용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망 사업의 사회적 비용을 모형화한 후, 동탄신도시의 실제 구축비용 자료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사회적 비용 항목들을 계량적으로 추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1)자가망 중복투자의 비효율, (2) 자가망 수요의 시장 수요 대체에 따른 사회후생의 감소분, (3) 자가망의 여유용량 임대에 따른 사회후생의 감소분으로 구분한 후 해당 항목들을 계량적으로 추정하였다. 광대역망 관련투자가 이미 최적 이상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자가망 사업의 사회적 비용은 중복투자비용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수요대체로 인해 소비자 잉여가 추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추정의 결과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자가망 사업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지자체가 체감하는 요금원가가 기부체납 등의 이유로 인해 독립적인 신규사업자가 시장진입을 할 때 부담하는 요금원가 독립원가 보다 상당히 낮기 때문이다. While municipal investments on wireline networks provide social benefits to the municipal residents, it also incurs significant social costs with respect to recurrent investments and a possible hampering of market competition. Therefore, measuring the actual benefits and costs of municipal wireline networks is paramount in determining whether these investments are socially desirable. In such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quantitatively the social costs of municipal investments on wireline networks using actual data of the Dongtan U-City Plan, where the overlap between the municipal and the private service providers` wireline network facilities appears considerable. It is shown that the actual costs that municipalities bear is far less than that of any efficient entrant willing to enter the market. This outcome is not surprising because the municipalities are donated with substantial amount of expensive network facilities. Eventually the full expenses of constructing municipal wireline networks are to be paid by some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and hence should be counted in the social costs. More precisely, the expenses of municipal investments overlapping with the private invest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ocial costs. For Dongtan U-City, the cost of the overlaid network, in net present value, is estimated about ₩2.86B. On the top of this estimate, two additional sources of social cost should be accounted for: The first one is the cost of distortion in the existing public sector due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overlaid network, which is estimated about ₩0.9B. The other one is the cost of distortion in the private market triggered by the overlaid network, which is about ₩9.72B. Thus the total social cost of overlaid network is far more reaching than the cost fac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Dongtan. These cost estimates are obtained assuming that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0.5. The social costs based on other elasticity values are also obtained.

      • KCI등재

        사회적비용을 부담하는 사회적경제조직: 캅(William K. Kapp)의 사회적비용 관점에서

        송원근 한국협동조합학회 2022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0 No.4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at bear social costs as a factor and reveals the reality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rough William K. Kapp's concept of social cost. In addition, the paper shows that this concept relates to other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uch as non-profit distribution constraints, multi-stakeholder governance, and the pursuit of social ends. This consideration can also be a method of enriching and reinforcing the identity of a social economy organization. From the point that Kapp's concepts of social costs and social minima provide objective standards for what needs to be met first not only within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but also within society as a whole, they provide objective criteria to define and measure the social value that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create. This consideration can provide a critical theoretical basis for correcting the bias that overemphasizes the meaning or market competitiveness of a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s a business organization. Revealing clearly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in operating and carrying out its purpose without having a supplementary or residual character to the state and market is the way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tself and to enlarge citizenship of the social economy. 이 논문은 사회적경제기업 실체를 드러내는 한 요소로서 사회적비용을 부담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의 특성을 캅(William K. Kapp)의 사회적비용(social cost) 개념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개념이 이윤배분 제약, 다중이해당사자 지배구조, 사회적 목적 추구라는 사회적경제조직의 다른 특성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개념이 사회적경제조직 정체성을 풍부하게 만들고 강화하는 한 가지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비용과 사회적 최소한(social minima)이라는 개념은 사회적경제조직 내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필요가 무엇인지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의 정의와 측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도 일조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해 사업조직으로서 의미나 시장경쟁력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편향성을 정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가 국가와 시장의 보충적, 잔여적 성격을 가지지 않으면서 조직 운영과 목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특성들을 잘 드러내는 것은 사회적경제조직 자체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이자 동시에 사회적경제의 시민성을 확대하는 길이다.

      • KCI등재

        청년 은둔의 사회경제적 비용

        김아래미,최영준,김성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4

        This study estimates the socio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social withdrawal in young adulthood.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social withdrawal in young adulthood can lead to relationship breakdown, poverty, unemployment, and inactivity. This study focuses on these issues and estimates the socioeconomic costs by dividing them into social security costs and productivity costs. The social security costs include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for poverty, and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and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jobs. In addition, the cost of lost productivity due to poor job performance, non-economic activity, and low fertility was included. To estimate the costs, we applied the relative risk related to social security system and productivity associated with social withdrawal of young ad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oeconomic costs relating to youth social withdrawal was estimated to be up to KRW 4.823 trillion per year. These socioeconomic costs are expected to be reduced by relevant policies to diminish youth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ocioeconomic costs of youth withdrawal and suggest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청년 은둔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이 은둔하게 될 경우 관계단절과 함께 빈곤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과 같은 일자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슈에 주목하여 사회경제적 비용을 사회보장 비용과 생산성 비용으로 나누어 추계하였다. 사회보장 비용 항목으로는 빈곤 관련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일자리 관련하여 실업급여, 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촉진수당을 포함하였다. 또한, 직무성과 저하⋅비경제활동⋅비출산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을 포함시켰다. 비용추계를 위하여 청년 은둔으로 인한 빈곤 및 일자리 정책욕구 및 문제의 상대적 위험도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은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최대 4조 8,232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구체적으로, 청년 은둔으로 인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추가비용은 연간 625억 원이었다. 청년 은둔으로 인해 실업급여는 연간 793억 원이 추가 소요되고, 국민취업지원제도의 구직촉진수당은 연간 8억이 감소하였다. 청년 은둔으로 인한 직무성과저하의 손실비용은 연간 243억 원이었고, 비출산으로 인한 자녀의 기대근로소득 손실비용은 연간 1,131억 원이었다. 비경제활동에 따른 생산성 손실비용이 연간 4조 6,467억으로 가장 많았다. 적극적인 정부 정책을 통해 청년 은둔을 감소시킨다면, 이러한 사회경제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년 은둔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갖는 정책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조흥식(Heung Sik Cho),민원홍(Won Hong Min),김현민(Hyun Min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2

        국가적 차원에서 범죄예방과 관련된 형사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범죄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범죄를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였는지를 추정하도록 한다. 범죄의 예방단계, 결과단계, 그리고 대응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항목을 설정하고, 해당하는 항목의 범죄비용을 추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범죄로 인해 약 36조 5천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범죄 예방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11조 5천억 원으로 전체의 31.5%를 차지하고, 범죄 실행에 따른결과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15조 5천억 원으로 전체의 42.2%에 해당하며, 결과에 따른 대응단계에서의 비용은 약 9조 6천억 원으로 전체의 26.3% 에 이른다. 즉, 범죄의 사회적 비용은 예방 결과 대응단계 중 결과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며, 그 다음이 예방단계, 대응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는 살인, 교통, 강간 등 상대적으로 범죄의 심각성이 높은 범죄유형에서 범죄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높았다는 점이다. 매년 범죄발생건수는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로 인한 비용 추정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가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범죄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 추정 연구를 발전시키는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ocial costs of crime committed in Korea in 2008.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estimating social costs of crime is an essential basis for criminal justice policy and decision making. However, to dat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social costs of crim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crime-related studie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categorize the types and scope of crime, define the main concepts such as opportunity costs, transfer payments, and social costs vs economic costs, and confirm measurable factors, all of which are necessary to measure crime costs. Secondly, divide the costs relating to crime into three categories, and estimate them: costs in prevention of crime,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nd costs in response to crime. The analysis of this study follows the direct estimation due to the severity of types and the incidence of crime. The 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o consider the types of crime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but it does not include all types of crime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costs of crime in Korea in 2008 are approximately 37trillion KRW per year. More specifically, about 11.5trillion KRW is estimated as the costs in anticipation of crime, 15.5trillion KRW is estimated as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nd 9.6trillion KRW for response to crime. However, due to the shortage of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fully reliable and verified. Most estimates of costs as a consequence of crime are made using relevant Korean data but since there is enough data available,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an over or under estimates. Therefore,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hat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social costs of crime in Korea accurately.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 안전사고의 사회적 비용 추정연구

        김경중(Kim, Kyung Jung),서금택(Seo, Kum Tae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안전사고로 인해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한국 아동 안전사고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할 수 있는 준거는 무엇인가와 한국 아동의 안전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얼마나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편익-비용을 분석하였으며, 안전사고의 국내․외 실태를 고찰하여, 산출된 지표들을 근거로, 아동 안전사고의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사고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 항목의 추정 비율은 의료비용은 약 9%, 간접비용/기타는 약 12% , 장기비용은 약 79%로 산출되었으며, 한국 아동의 안전사고에 따른 의료비용은 약 186억 원, 간접비용/기타는 약 248억 원, 장기비용은 약 1,635억 원으로 총 사회적 비용은 약 2,07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estimate social costs caused by children’s safety accidents. First, what is the status of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Korea and criterions for the social cost estimation? Second, how much is the social cost for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Korea estimated by the foreign countries’ calculation method.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considered a benefits-cost analysis research on safety accidents. It also looked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estimated social costs for safety accidents in Korea based upon the results. As a result, the estimated ratio of social costs for safety accidents was calculated at 9% medical costs, 12% indirect costs and 79% long-term costs. The total social costs for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Korea were estimated at ₩207 billion including ₩18.6 billion medical costs, ₩24.8 billion indirect and other costs and ₩163.5 billion long-term costs.

      • KCI등재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현황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통한 규제의 사회적 가치·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민호(LEE, Minho) 한국규제학회 2019 규제연구 Vol.28 No.1

        규제영향분석이 제도적으로 도입된 지 20여년이 경과하였으나, 여전히 실제 수행과정에 있어 많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규제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충분히 분석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 최근의 규제정책 논의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으며, 현 정부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강화를 중요한 정책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이 분석 단위로서 전체 사회(society as a whole)를 접근하는 기존 방식과 차별화하여, 분석 내용으로서 사회적 목적(society as an end)으로서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하였다. 비용관리제 도입 이후 피규제 기업·소상공인에 대한 규제비용 분석에만 치중하였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서, 일반 국민과 사회전체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사회적 편익에 대한 분석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규제정책을 통한 사회적 가치 제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개념적 이해를 기준으로 기존에 규제영향분석서 작성과정에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의 적용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피규제자 이외의 집단에 대한 규제의 사회적 영향을 정량적인 방식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분석한 사례가 2015-2016년 사이에 작성된 총 2,355건의 분석서 가운데 64건으로서 2.7%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주요 항목으로서 사회적 가치의 추정과 상대적 비교를 통해 향후 분석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는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환경, 재난안전, 취약계층 보호, 경제 활성화의 4개 부문에 대한 주요 규제정책의 사회적 편익을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4개 부문 총 25개 규제정책사례에 대해서도 상대적인 가치평가의 우선순위를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쟁점들을 바탕으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 활성화를 위한 현행 규제영향분석 제도 운영 개선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though regulatory impact analysis has been institutionalized for over 20 years,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current regulatory policy debate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social effects of regulation are not fully analyzed, and the current government has suggested strengthening the analysis of social regulatory cost benefits as an important policy task. In this cont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analysis focusing on social value as social purpose should be emphasized as the analytic contents(society as an end approach) by differentiating the social regulatory cost benefit analysis from the existing approach as the analysis unit (society as a whole approach). As a reflection on the focus on the regulation cost analysis of regulated firms and small business own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st-in, Cost-out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nalysis of the social benefits of regula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ich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enhancing social values of government regulations. Based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st-benefit analysis, the level of application of the social cost-benefit analysis in the current process of preparing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was analyzed. As a result, only 64 (2.7%) of the total 2,355 analyses completed between 2015-2016 have conducted quantitative cost-benefit analyses on general public.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in future analysis through social value estimation and relative comparison. The social benefits of major regulatory policies for the four sectors of environment,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protection, and economic activation were estimated through using the Contingent Value Method(CVM). In conclusion, based on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current regulation impact analysis system for revitalizing social cost benefit analysis.

      • KCI등재

        도로교통부문의 사회적 비용과 유류세제 개편방향

        이재민(Lee, Jaimin),한상용(Sangyong Han) 한국경제연구원 2009 규제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부문의 내부비용과 외부비용을 고려한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유종별 유류세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로건설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단위당 내부비용과 환경오염과 관련된 단위당 외부비용을 산정하여단위당 사회적 비용을 구하고 이를 유종별 유류세 수준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휘발유의 유류세는 사회적 비용보다 높은 수준이며, 경유의 유류세는 사회적 비용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LPG 유류세는 사회적 비용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decompose the social costs in using transport facilities, expecially road facilities,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osts. When economic agents drive their cars and use roads, they have to bear the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ch is internal costs. They create air pollution material and greenhouse gases, which are external costs. Until now, Korean government impose fuel taxes on gasoline, diesel, and LPG for transport without considering the social costs. We compare the fuel taxes with the social costs in gasoline, diesel, and LPG. Especially, we compute the external costs per liter or per kilometer as well as the internal costs per liter or per kilometer in gasoline, diesel, and LPG. We use these costs to compare with the fuel taxes of gasoline, diesel, and LPG. In considering environmental external costs such as air pollution damage costs and greenhouse gas costs, the fuel tax rates of gasoline and diesel are above and below each their social costs respectively. The fuel tax rates of LPG are almost similar to its social costs.

      • KCI등재

        내생적 배상금 하에서의 소송의 사회적 비용과 화해 가능성: 내쉬-쿠르노 모형과 스타켈버그 모형의 비교

        박성훈,이성규 한국제도∙경제학회 2017 제도와 경제 Vol.11 No.3

        The legal costs of the parties to the legal disputes incur social costs as well as individual ones. Thus, the reduction in the legal costs is soci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mpares the social costs of two models based on Nash-Cournot and Stackelberg models by explicitly assuming asymmetrically endogenous stakes. Firstly, we compare the social costs in litigation derived from the Nash-Cournot model and the Stackelberg model under assumed endogenous stakes. The social costs are measured by the rent dissipation rate. Secondly, after making sure that each model meets the Miller requirement, we analyze which model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ettlement. The social cost of the settlement is measured by the level of ‘settlement potential’.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ent dissipation induced by the Stackelberg model is lower than that of the Nash-Cournot model, and thus the likelihood of settlement by the Stackelberg mod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Nash-Cournot model. These results implies that legal disputes in which plaintiffs become a leader rather than a follower can lower social costs. Second, the more the endogenous stakes are affected by the parties’ legal efforts, the stronger the outcome of the first. 분쟁 당사자들의 법적 소송 비용은 개인적 비용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수반하기 때문에 법적 소송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법적 소송 분쟁을 고려한 두 게임 모형(내쉬-쿠르노 모형과 스타켈버그 모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측정·비교하고자 한다. 우선, 내생적 배상금을 고려한 내쉬-쿠르노 모형과 스타켈버그 모형에서 유도된 ‘소송 단계’의 사회적 비용을 ‘지대소진율’로 측정하여 비교한다. 다음으로, 각 모형이 ‘밀러(Miller)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확인한 후, 이를 바탕으로 어느 모형이 화해의 가능성을 더 높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화해 단계의 사회적 비용은 ‘화해 가능성의 정도’로 측정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쉬-쿠르노 모형에 비해 스타켈버그 모형에서 유도된 지대소진율(사회적 비용)이 더 낮으며, 그로 인해 화해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화해 및 소송 단계에서 원고가 ‘선도자’가 되는 것이 사회적 비용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내생적 배상금이 당사자들의 법적 소송 노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수록 첫 번째 결과는 더욱 강화된다. 본 연구는 배상금이 ‘내생적’이라는 가정 하에서 배상금 지수가 각 모형에서 유도된 지대소진율(사회적 비용)과 화해의 가능성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그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선행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