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의 사회혁신 정책 균형잡기 역할의 모색

        엄영호(Eom, Young Ho),손선화(Son, Sun Hwa),장용석(Jang, Yong Su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정부의 사회혁신 활동에 주목하여 서울시 34개 사회혁신 정책을 대상으로 유형화를 실시하고 사회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적 흐름을 실증 분석 하였다. 중앙정부 주도의 사회혁신은 사회적 혁신 생태계 조성에 있어서 혁신 환경을 개선하여 폭발적인 양적 증대를 창출해내고 사회적 이슈와 관심을 고조시켰다는 기여가 분명하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에 따른 양적 성장의 실질적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끊임없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지방정부는 사회혁신이 실현되는 직접적인 현장이므로 지역의 사회문제, 사회적 난제들을 해결하고 지원하는 역할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2017년 서울특별시 사회혁신 정책 34개를 집중 분석하여 지방정부의 사회혁신정책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공급주도형 사회혁신 정책이 다수를 차지(28개, 82.4%)했고,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정책 비중(19개, 60%)이 높게 나타났다. 수요창출형 정책의 경우, 6개로 17.6% 수준이었으나 이 중 4개(66.7%)가 사회적 가치 창출형으로 분류되었다. 28개 공급주도형 사회혁신정책의 경우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정책비중이 높은 것(17개, 60.7%)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유형화와 정책 분석을 통해, 사회혁신 정책 유형마다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정책유형을 발굴하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함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공급주도-수요창출, 경제적 가치-사회적 가치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지방정부 사회혁신정책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innovation of local governm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We classified34 social innovation polic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policy flow of local governments for building a social innovation ecosystem. Central government-led social innovation has contributed to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and a heightened interest in social issu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the social innovation ecosystem.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sustainability of quantitative growth following th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local governments are the direct sites at which social innovation is realized, they play a role in solving and supporting local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four types of local government social innovation. Supply-driven social innovation polici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majority (28,82.4%), and the amount of policies pursuing economic value (19, 60%) was high. In the case of demand creation policies, six (17.6%) were created, but four of these (66.7%) were classified as being of the social value creation type. Of the 28 supply-driven social innovation policies, the number of policies that pursue economic value was high (17,60.7%). Through the above patterning and polic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each type of social innovation policy, and efforts to determine the policy type that is bes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hould be mad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ong-term and sustainable direction of local governmen social innovation policies to balance supply-demand creation,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 KCI우수등재

        한국 ‘사회혁신’의 지형도: 새로운 통치합리성과 거버넌스 공간의 등장

        이승철,조문영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20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ent rise of “social innovation” in South Korea and explores it as a new governing rationality in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of South Korean society. By analyzing academic materials, policy reports, and media contents on social innovation, we argue that social innovation should be understood not so much as a non-political, ahistorical method of social change, rather as a new governing rationality that aims to manage heterogeneous desires and interests found in newly emerging “governance” spheres. First, we explore how the previously disparate practices of innovation in the sectors of government, business, and social activism have been converged and consolidated into “social innovation,” with the proliferation of hybrid governance spheres that intersect those sectors. In so doing, we illuminate how “social innovation” has served as a “unifying signifier” onto which the diverse and heterogeneous desires and interests of different social groups have been invested and projected. Second, we examine how social innovation as a governing rationality functions and how it enables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social agents in the hybrid governance spheres. As a governing program, social innovation presupposes and seeks to produce particular forms of social imaginary, knowledge, and subjectivity. A social imaginary of network-platform, a knowledge-production process based on “idea” and “design thinking,” and a social entrepreneurial subjectivity of “changemaker” are analyzed as crucial components of social innovation. In consequence, this paper sheds lights on an inherent limitation of social innovation by showing how social innovation programs “translate” various political critiques of South Korean society with business language and how they center on “technical” solutions for social problems. We conclude with the necessity of attending to the new political disagreements, frictions, and possibilities produced by social innovation programs. 이 글은 오늘날 기업, 정부, 시민사회를 포함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회혁신 담론과 실천의 성격을 조명하고, 그 확산배경을 한국사회의 역사적 맥락과정치지형 속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혁신의 급격한 확산과 인기를 한국사회의 역사적 변화 속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러한 현상이 보여주는 한국사회의 정치적 지형변화는 무엇인가? 사회혁신에 대한 일련의 학술연구, 정책제안, 정책보고서, 언론기사 등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사회혁신을 비정치적이고 초역사적인 사회변화의 방법론이 아니라 그 내부에 이질적인 욕구들이 경합하는 과정에서 통치 프로그램의 헤게모니가 관철되어 온 정치적 공간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우리는 기업, 정부,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각기 상이한 맥락에서 등장한 ‘혁신’의 문제의식이2010년대 기업-정부-시민사회의 상호교차에 기반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공간의 등장과 함께 ‘사회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회혁신이라는 탄력적 기표에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질적 욕구와 이해관계가 투영되어 왔음을 보여줄 것이다. 둘째, 우리는 사회혁신을 이러한 혼종적 거버넌스 공간의 행동원리를 규정하는 통치합리성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 이 새로운 통치합리성이 전제로하며 동시에 생산하는 사회적 상상과 지식 및 주체성의 형태를 각각 네트워크-플랫폼의 사회, 아이디어-디자인의 지식형태, 체인지메이커의 주체성으로 일별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회혁신이 현재 한국사회에 대한 문제제기와 비판의 욕구를 그 안에 포함하면서도, 이러한 비판을 혁신의 방법론으로 번역함으로써 그 잠재성을 제약하는 모순적 속성을 지닌다는 점이 드러난다. 이 글은 사회혁신의 모순적 특성을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서 검토함으로써, 사회혁신의 통치합리성이 새롭게 생산해내고 있는 배제와 정치적 갈등지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서울은 사회적으로 혁신적인가?: 서울시 사회혁신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변미리,박민진 (재) 인천연구원 2019 도시연구 Vol.- No.15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회혁신이 주목을 받으면서, 사회혁신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혁신 전담부서가 생겨나고, 사회혁신 기금이 조성되며, 각종 사회혁신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혁신의 흐름에서 강조되고 있는부분 중의 하나는 시민들의 참여이다. ‘문제에 직면한 사람이 가장 유능한문제 해결자’(제프 멀건 2011)라는 말처럼 사회적 수요를 가장 잘 이해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개발하는 것이 시민이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혁신적인 아이디어 창출의 원천이 될 수 있고, 사업의 절차적 정당성을 높일 수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혁신을 주요 행정 기조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를 사례로 선정하여 서울시의 사회혁신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혁신사업에서 시민참여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혁신이 포괄하는 범위가 광범위한 현 상황에서 서울시민과 사회혁신가들이 생각하는 사회혁신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서울시의 사회혁신 역량을 파악하였다. Social innovation has become a topic of international discussion, after receiv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a variety of complex social issues. Departments in charge of social innovation have been established, social innovation funds have been created, and many social innovation programs have been launched. Within these varied activities, the el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is commonly emphasized. This is because citizens can provide appropriate solutions to social issues based on their deep understanding of social demands; the people closest to a problem are often most capable of solving it. Furthermore, citizens themselves are a source of innovative ideas, and their participation can guarantee the procedural legitimacy of a project. This paper takes Seoul as an exemplary case of a city that has pronounced social innovation as its policy base. It analyzes the state of Seoul’s social innovation projects and identifies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se projects. In addition, with the current definition of social innovation being substantially broad, this paper attempts to redefine the conception that Seoul citizens and social innovators have of social innovation, and grasps Seoul’s capacity for social innovation based on survey results.

      • KCI등재

        사회혁신의 이론적 고찰 : 개념의 유형화와 함의

        정서화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a meta-theoretical investigation to explain the current theoretical landscape of social innovation theories and researches. First of all, this paper makes a typology of social innovation based on concepts and sectors of social innovation. Second, in terms of societal innovation, which it is a kind of social innovation systematic approach, this paper draws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innovation policy. My key argument is that social innovation could be specified in three different sectors, public innovation, market innovation, and social economy innovation. However, all of them have attention to such as improving a quality of life and making society more sustainable, so it can be argued that those different sectors are structured on social innovation altogether with common goals. Finally, in order to activate the social innovation ecosystem, the government has to play a key role as a facilitator to make sustainable networks and a governance of social innovation that is needed to coordinate between different features and roles of social innovation sectors. 이 연구의 목적은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던 사회혁신 연구를 메타적으로 접근해 사회혁신의 이론지형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사회혁신의 개념과 영역에 초점을 맞춘 유형화를 시도하여 이를 사회혁신체제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사회혁신 및 관련정책에 있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르면, 사회혁신은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변환을 위한 공통의 목표를 중심으로 공공혁신, 시장혁신, 사회적 경제혁신으로 세분화되어 전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혁신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혁신 영역별 행위자 특성과 역할에 따라 사회혁신 거버넌스를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촉진자로서 정부역할의 변화가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사회혁신기업의 개념과 혁신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권주형 ( Ju-hyoung Kwon ),김성한 ( Sung-han Kim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19 혁신기업연구 Vol.4 No.2

        최근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나 연구는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개념은 정립되어 있지 않고, 다만 사회적경제와 함께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회혁신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이 사회혁신에 있다고 할 경우 사회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혁신기업은 기본적으로 모든 활동 속에 혁신지향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사회혁신을 통하여 어떤 혁신을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또한 사회혁신기업이 갖추어야할 혁신지향성의 구성요소와 개념을 정립하여 사회혁신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사회혁신기업의 혁신지향성과 다른 종속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government's support or research on social innovative companies has been continuously diversified.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r concept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but they are mixed with the social economy. In addition, if the intrinsic purpose of social innovation firms is in social innovation, it is considered that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for realizing social innovation should include innovation orientation in all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direction on what innovation will be made through social innov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ve company was established, and the components and concept of innovation-oriented enterprise that social innovative company should have. In conducting research on social innovative firms, this study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innovation orientation of social innovative firm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전환적 사회혁신론과 사회혁신: 전환관점에서 본 한국의 사회혁신정책

        정병걸(Jung, Byung Kul),송위진(Song, Wichi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4

        우리가 직면한 도전과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전환의 촉진자로서 사회혁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혁신을 전환 관점에서 접근하는 전환적 사회혁신론은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려면 전체적 차원에서 근본적 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는 본다. 사회혁신을 통한 근원적 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전환적 사회혁신론은 시스템혁신, 게임체인저, 변화의 서사, 사회적 전환 등을 포함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사회혁신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환적 사회혁신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사회혁신정책은 시민참여 중심의 협소한 정의, 전환 관점의 부재와 대증적 해결, 다층위 관점의 부재와 개별화된 사회혁신, 의미 창출과 변화를 추동하는 서사의 결핍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메타적 방법으로서의 사회혁신 활용과 다양한 요소와 전체의 관계성을 고려하고 전체적 차원에서 조망하는 포괄적 시각이 필요하다. 또 사회혁신을 위한 정책과 함께 사회혁신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경계심도 필요하다. Social innovation, driver of change to cope with societal challenges we fac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 theory, which approaches social innov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nsformation, sees that fundamental change of whole system is necessary to solve wicked social problems.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 theory, aims at fundamental problem solving through social innovation, suggests a framework including system innovation, game changer, narrative of change,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government of Korea is actively pursuing social innovation policy as a new alternative for solving social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transformative social innovation theory, social innovation policy has limitations such as a narrow definition of social innovation, lack of transformative perspective, absence of multi-level perspective, lack of narrative that drives meaning creation and chan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social innovation as a meta-method and to have a comprehensive view tha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lements as a whole. There is also a need for policies for social innovation and vigilance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ocial innovation.

      • KCI등재

        Effect of Social Media on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 A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erspective

        알람기르,신진교,최재혁 한국산업경영학회 2022 경영연구 Vol.37 No.4

        Social media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LMX is contributing to strong relationships with leaders and members who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research paper aims to research whether social media is weakening LMX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paper analyses 217 sample data gathered through convenient and snowballed sampling, and SPSS & AMOS have been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The hypothesis test has proved that social media do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whether LMX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media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ocial exchange literature and empirical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where social media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s organization innovation, and LMX has full mediation. Therefore, LMX is not very much strong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Bangladesh, and social media is to weakening it. In other words, social media seem important for innovation, but LMX still has high value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nagement. So in the era of digital technology, social media supports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leader-member exchange for vertic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research has observed some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constructs. Here observed variables are limited only to social media, LMX,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 that case is a scope to find out social media’s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rough multiple samples like responses from leaders and members, considering other variables like Top management support and IT support as mediators. In addition, this model can be tested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organizational recognition using social media. Lastly, this paper adds value to communication theor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MX and social media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 this technological era.

      • Effect of Social Media on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 A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erspective

        Md Alamgir Mollah,Jinkyo Shin 한국경영학회 2022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8

        Purpose At present social media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LMX is contributing to make strong relationships with leaders and members consequent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fi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rough media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communication perspectiv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research paper analyses data 217 sample data gathered through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SPSS and AMOS is us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The hypothesis test proved that social media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LMX has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in social media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through a structural model in a single model, where social media in communication drives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 innovation and Leader-Member Exchange has full mediation. This indicates that social media seem to be important for innovation but still LMX has high value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nagement for communications. So in the era of digital technology, social media is supporting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leader-member exchange for vertical communication both are necessary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Research limitations/Implications This research has observed some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constructs. The observed variables are limited with social media, LMX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ere is a scope to find out social media’s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rough multiple samples like taking response from leaders and members, considering other variables like Top management support, IT support as a mediators. Originality/value Rationalizing the social media and LMX in communication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LXM has complete full mediation indicating the use of an LMX system has higher influence than social media communications. This paper adds value to communication theor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MX and social media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s in this technological era.

      • Social Innovation through an Economically-Optimized Ecosystem: A Formal Model on Social Intervention Contracts within Private Sectors

        김상준,최지흥 한국경영학회 2021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8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민간 영역(기업, 시민단체, 비영리단체, 사회적 기업 등)이 공적 영역의 개입 없이 주도적으로 사회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는 생태계를 구성할 수 방안을 모색함에 있다. 민간 영역 주체들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신들만의 이해관계를 추구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러한 경제적 효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사회혁신 생태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참여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회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시스템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다만, 인센티브 시스템을 위한 공식적 계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대리인 문제가 민간 영역에서 사회혁신 생태계를 구성한다고 할지라도 발생할 것이므로, 이러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인센티브 시스템 구축은 단순히 구축에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인센티브 시스템이 만들어 낼 수 있는 효용성의 범위를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 영역에서의 투자자-혁신가간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 혁신가들이 이러한 인센티브 시스템 하에서 자신의 소기의 목적(즉 소셜 미션)을 충실히 달성하고자 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투자주체 하나와 사회적 기업 하나로 구성된 민간영역에서의 사회혁신 생태계를 상정하고, 대리인 이론을 기반으로 투자주체와 사회적 기업이 동시에 자신들의 경제적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회혁신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리고 이렇게 경제적 효용 측면에서 최적화된 인센티브 시스템 하에서, 과연 사회적 기업이 사회혁신에의 동기를 얼마나 심화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기업이 구현하는 소셜미션의 정도에 따라서 고정급과 변동급의 비중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소셜미션이 강한 사회적 기업일수록 변동급에 비중을 더 크게 하고 고정급은 줄일 필요가 있다. 소셜미션이 적은 기업의 경우에는 고정급의 비중을 크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변동급이 자신들의 효용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역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인센티브 시스템 하에서, 사회적 기업은 자신들의 노력의 수준에 따라서 사회혁신에 대한 동기부여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나, 어느 정도의 노력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오히려 동기부여의 정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게 된다. 이는 결국 민간 영역에서의 사회혁신 인센티브 시스템은 사회적 기업이 자신의 소셜미션을 얼마나 강하게 인식하고 있고, 그것을 구현하는 기법이 얼마나 정교하느냐에 따라서 사회혁신에 상이한 결과를 만들어 냄을 시사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lves into a question as to how private-sector entities can take initiatives for social innovation. Building upon the literature on social innovation ecosystems, which highlights interplay between diverse social actors, we focus on the division of labor within private sectors. In particular, given that main activities from private sectors are funding and implementing, we hypothetically set up a social innovation ecosystem driven by private sectors, which consists of a funder and a social enterprise. Then, we employ agency theory to reflect the responsive and interactive behaviors from the private-sector entities, which come up with moral hazard and adverse selection. With this formal model on a compensation contract between a funder and a social enterprise in a private sector, we find that the compensation structure can be differently constructed based on social mission and its valua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social enterprise’s motivation for social innovation can be governed with the compensation structure. In particular, there is an optimal effort level the social enterprise can exert for social innov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compensation structure can be designed to control the motivation for social innovation.

      • 해충 분류를 위한 양방향 특징 퓨전 기반의 Pyramid Vision Transformer

        홍은하(Eun-Ha Hong),이재현(Jae-Hyeon Lee),손창환(Chang-Hwan Son),이휘종(Hwijong Y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해충은 인간을 공격하여 물리적인 피해를 주고 작물을 갉아먹어 작물의 생육 환경에 피해를 준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인해 해충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어 발생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충의 종류에 따른 신속한 방제가 중요하다. 해충은 크기가 작고 종류가 다양해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다.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전이학습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한 해충 분류 자동화 기술이 필요하다. 전이학습 기반의 모델인 Pyramid Vision Transformer(PVT)를 개선하여 해충분류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를 제안해 해충 분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Pest attack humans, causing physical damage and devouring crops, causing damage to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Du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the area of occurrence is increasing as it is a favorable environment for pests to breed.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pests, promp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pest is important. Pests are small in size and diverse, so expert judgment is required. This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herefore, a pest classification automation technolog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ransfer learning is required. By improving the Pyramid Vision Transformer (PVT), a transfer learning-based model, a new architecture for pest classification is proposed to improve p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