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매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모션 종류가 SNS 프로모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할인 vs 현물 보상 프로모션 참여에 대한 인식된 사회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강준(Choi, Kangjun),안동균(Ahn, Dongkyu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3

        최근 경험재를 판매하는 많은 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발하는 SNS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SNS 마케팅의 내용은 소비자들이 SNS에 제품을 업로드할 경우 판매자로부터 가격할인이나 현물보상 등의 혜택을 제공받는 것이다. 이러한 SNS 프로모션은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험재를 중심으로 SNS 프로모션이 소비자의 프로모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 번의 온라인 실험을 하였다. 먼저, 실험 1의 결과 SNS 활용도가 낮은 소비자는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서 SNS 참여 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프로모션 방식에 따른 프로모션 참여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실험 참가자들이 인지하는 프로모션 유형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연구는 SNS 활용도가 높은 실험 참가자들의 경우, 가격할인 SNS 프로모션에 대해 자신이 인지하는 사회적 가치가 위협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위의 결과들을 해석하고, 이론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며, 실무자들에게 효과적인 SNS 프로모션의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that sell experience goods often conduct promotions that ask consumers to share the contentswith the goods in their socialmedia for generating viral. The social media marketing is providing price discounts or in-kind rewards when consumers share the contents about the goods. Although the social media is a pervasive instrument of marketing promotion, research on social media promotion is very scarce. Therefore, the current research attempt to find out the effect of SNS promotion on consumer’s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y using two online experiments. In Experiment 1, we demonstrate that when participantswho make less use of social media are provided price discount promotion,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for SNS promotion are increased. However, for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tention of promotion between the promotion types. In Experiment 2, we confirm that these effects are caused by the level of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value toward the SNS promotions. To be more specific, participants who make more use of social media, think their social value are threatened by price discount promotion. We suggest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effective SNS promotion.

      • KCI등재

        SNS 회의론(懷疑論)

        오미영(Meeyoung Oh)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4

        오늘날 SNS 사용자 규모가 계속 늘어나면서 사회 각 분야에서 SNS가 중요한 소통의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개방·공유·연결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바탕이 된 SNS는 기존의 지인 뿐 아니라 모르는 사람과의 실시간 정보 공유와 대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이용자의 사생활 노출 및 침해를 야기하고 인간관계 피로감을 증대시키는 등 문제를 낳고 있다. SNS 이용자들은 네트워크 기술이 주는 편리함만큼 손실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는 일찍이 닐 포스트만이 언급한 ‘테크노폴리’ 현상을 우려하게 만든다. "테크노폴리"는 인간 삶의 의미를 기계와 기술에서 찾아야 하고, 이로써 모든 문화적 삶의 형태가 기법과 기술의 지배 권력에 굴복하게 되는 것을 뜻하는 용어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늘날 SNS가 주도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테크노폴리’ 관점에서 비판하고 회의적 대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으며, 실제 SNS 계정을 폐쇄한 대학생 33명을 대상으로 SNS 이용 거부 징후와 그 배경을 확인하였다. 응답자들은 사생활 노출 및 침해, 원치 않는 인간관계 또는 피상적 인간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때문에 SNS 이용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자발적 SNS 이용 중단 행위는 미디어 기술에 의한 인간 지배를 과감히 거부하는 ‘탈(脫) 테크노폴리’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타진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첨단 미디어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미디어 이용 거부 흐름에 발맞추어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폭넓은 논의와 관심이 요구된다. This study tried to take a critical approach toward SNS emerging as the most popular medium in this age. Though SNS network technology facilitates simultaneous and limitless communication easily, the users are worrying about harmful consequences. This study focused on the matters how the technology affected private lives and human relationships among users. SNS technology is threatening users by stepping into their private lives. At the same time, the superficial and exaggerated relationships driven by SNS make users skeptically contemplate it. This study probed the ‘exodus symptoms’ among SNS users who decided to quit their SNS activity recently. In-depth interview using 33 college student results show that they voluntarily quit and rejected SNS use when they were getting sick and tired SNS bring about problems. Now is much more important time for the new media users to grid themselves up to listen to the Postman earlier mentioned ‘technopoly’ may give rise to serious troubles. This study finds optimistical possibility to overcome ‘technopoly’ among new media users.

      • KCI등재

        경찰활동의 효과적인 SN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승,최응렬 한국경찰연구학회 2013 한국경찰연구 Vol.12 No.1

        SNS는 이미 기존 매스미디어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SNS를 통해 의견을 주고받거나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부기관 역시 SNS를 통해 국민과 소통하려 하고 있다. 경찰 역시 2009년부터 SNS계정을 개설해 각종 정책을 홍보하거나 치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들과 소통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2012년 한 해 동안 경찰청의 트위터를 분석한 결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부재, 경찰내 SNS 연결고리의 미흡, 명확하지 못한 콘텐츠 선정 기준, SNS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더불어 서울지방경찰청 산하 각 경찰서 중 상당수가 SNS를 통한 소통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SNS를 경찰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범인검거와 범죄예방,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실시와 경찰관서간 SNS 연결고리 마련, 콘텐츠 선정의 명확한 기준 선정, SNS담당인력의 전문성 강화, 지휘관의 SNS 활용에 대한 관심 증대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SNS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동기와 사용 패턴이 연결적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Choi, Ji-Eu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3

        SNS makes it easier to form new social relationships and maintain existing ones. However, online communications on SNS often lack human warmth since it is difficult to convey social cues or emotions through text alone. Recently, various types of emoticons have been developed, allowing SNS users to more effectively express social cues and/or emotions online. The use of emoticons on SNS may facilitate the forming of new social networks, which is known as bridging social capital. This study adopts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cons on bridging social capital as it relates to SNS and suggests that the different motives behind emoticon use effect the rate and diversity of emoticon use, in turn effecting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To verify the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showed that of the motives of emoticon use, the motive of “following trends/habits and having fu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e and diversity of emoticon use and improved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expand the scope of available research on emoticons and social capital as it relates to SN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NS users and companies that provide emoticons.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많은 사람들이 SNS를 사용하고 있다. SNS는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과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따스함을 느끼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니는데, 최근 다양한 이모티콘이 개발되면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비언어적, 사회적 단서를 전 달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따라서 SNS에서의 이모티콘 사용은 사람간의 관계 형성을 용이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에 근거하여 이모티콘의 사용 동기가 이모티콘의 사용량과 다양한 사용이라는 일련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사회 자본이론을 기반으로 이러한 이모티콘의 사용이 연결적 사회자본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 라고 제안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와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결과, 이모티콘 사용 동기 중 유행, 재미와 습관만이 이모티콘의 사용량과 다양한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연결적 사회 자본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이모티콘, SNS에서의 사회자 본 형성을 다룬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이모티콘을 활용하려는 개인 및 이모티콘을 개발하려는 기업에게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SNS에서 청소년 사이버불링의 특징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박성훈(Park Seong Hoon),심현정(Shim Hyun J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1

        이 연구는 최근 SNS를 이용한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파악하고 사이버불링의 가해 및 피해경험의 위험요인을 살펴보고자 주요 SNS 서비스(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집단좌담회(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조사(survey)를 결합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SNS에서 주로 재미와 오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SNS 이용 시 자신이 범죄나 일탈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에 대한 경계의식이 낮은 수준이고, SNS를 이용하는 다른 사람들은 물론 자신 스스로도 SNS에서의 윤리의식이 낮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SNS를 이용한 불링 행동을 복수나 장난으로 여겨 가해 및 피해경험이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인 분석 및 선행연구를 통해 SNS 노출정도, 낮은 경계감, 재미ㆍ오락의 추구, 낮은 자기통제, 낮은윤리의식을 위험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SNS를 이용한 사이버불링의 가해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낮은 자기통제, 낮은 윤리의식, 사이버불링의 피해횟수가, 피해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낮은 자기통제로 나타났다. SNS를 이용한 사이버불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윤리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기업도 이윤추구만을 위한 무분별한 서비스 확장보다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 기술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o empirically examine current status of juvenile cyber bullying on SNS and seek factors behind cyber bullying offend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this study used integrated methodology of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on juveniles using main SNS services.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show juveniles tend to pursue fun and entertainment from SNS, and they have low alert consciousness on the possibility of becoming victimized by deviant behavior, and themselves believe they have low level of ethical consciousness. Also, it was found that SNS cyber bullying was characterized by overlap of multipl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due to vengeful behavior and prank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trapolates the following risk factors: SNS exposure, low alert, pursuit of fun and entertainment, low self-control, low ethical consciousness, degree of overlap between offending and victimization.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NS cyber bullying offending and victimization are low self-control, low ethical consciousness and number of victimization. To prevent SNS cyber bullying, ethical education for juveniles is recommended. Enterprises also need to consider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development services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profits.

      • KCI등재

        헤어 미용 분야의 SNS 활동이 지각된 유용성과 고객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류은주(Ryu, Eun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최근 미용서비스 분야의 기업들은 SNS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고객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및 관계형성을 통한 고객만족을 창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 분야의 SNS 활동이 지각된 유용성과 고객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SNS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어 미용 서비스와 관련된 SNS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269부의 데이터를 SPSS.21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분야의 SNS 활동인 정보제공, 커뮤니케이션, 관계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용성은 고객의 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SNS 활동인 정보제공, 커뮤니케이션, 관계성은 고객의 이용 의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헤어 미용 분야에서 적극적인 SNS 활동을 통해 고객과 즉각적으로 소통하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대화하는 것은 고객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고객의 미용실 선택 및 지속적인 이용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따라서 헤어 미용 분야에서는 SNS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과의 소통 및 관계 형성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Recently, companies in the beauty service field are trying to creat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with customers by establish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using S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asic data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SNS marketing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NS activities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on perceived usefulness and customer usage inten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ne 15, 2021 for adults with experience in using SNS related to hair and beauty service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information provisi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hich are SNS activities in the field of hair and beau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usage intention. In addition, SNS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ere analyzed to increase the customers’ usage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prompt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hrough active SNS activities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provid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forms a clos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which influences customers’ choice and continuous use of hairdressing salons. Therefore, in the hair and beauty fiel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SNS marketing activitie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 KCI등재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과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 간의 영향관계

        김혜림(Kim, Hye-Lim),김혜영(Kim, Hye-Young),문혜영(Moon, Hye-Young),함선옥(Ham, Sunny)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6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등장 및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가 브랜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요소(감성적 체험, 감각적 체험, 인지적 체험, 관계적 체험, 행동적 체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를 제안하여 상호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SNS를 사용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이용자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423부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모형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신뢰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외식산업의 브랜드와 관련된 연구의 범위를 SNS로 확장하였고, 실무적으로는 SNS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하는 외식산업 기업들에게 전략적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Food contents on SNS is growing rapidly. However, research on how food contents through SNS affect brands is still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has been organized using experience marketing models to identify the impact of food contents on brands in SNS. This study defined what the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of food contents in SNS are and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r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As a result, the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of food contents influenced brand satisfaction, brand reliability and br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s. The research results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brands in the food industry to SNS and provide strategic guidance to food industry companies that use it as a means of marketing communication.

      • KCI등재

        기업의 SNS활동이 기업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영향

        이철성(Chul Sung Lee),이호배(Ho Bae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페이스북, 트위터, 마이크로 블로그 등과 같은 SNS를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이용하는 경우, 기업을 대표하는 SNS관리자와 최고경영자(CEO)로 구분하여 기업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기업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기업의 SNS관리주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용자들이 기업이미지를 평가하는 과정에 있어 자기애, 자존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간의 관계를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극물은 기업의 사회적 활동을 대상으로 하여 작성되었으며, 기업을 대표하는 SNS관리자(기업명 사용)와 최고경영자(기업의 대표이사 성명 사용)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SNS관리주체가 SNS관리자인 경우에 비하여 최고경영자(CEO)인 경우, 이용자들이 기업이미지를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에 있어 자기애와 자존감의 관계가 조절적 역할을 하였는데, 자기애가 높고 자존감이 높은 경우와 자기애가 낮고 자존감이 낮은 경우에 이러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관리주체가 사회적 존재감을 통해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이미지 제고를 위한 SNS를 사용함에 있어 더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한다. SNS(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Tweeter, Facebook, Cyworld, and microblog have become the popular communication tools recently. Particularly the rapid diffusion of smartphone has made it possible any place and any time. People could use SNS for a variety of individual purposes, which one of them 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NS could provide the new opportunity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nd companies. SNS is web-based services that allow individuals to construct a public or semi-public profile within a bounded system, articulate a list of other users with whom they share a connection, and view and traverse their list of connections and those made by others within the system. The nature of these connections may vary from site to site. Facebook is the one of the most popular SNS. So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Facebook activities as SNS. Already many companies have operated Facebook pages for their brands. As Facebook is designed for two motivations(connect and share), people are connected with other people and can rapidly share information for themselves through Face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could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The corporate Facebook Fan page would be managed by SNS manager of the corporate or CEO(chief executive officer). This study suggested hypotheses as followed; First, the type of SNS manager would influence on the corporate image. Second, the level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moderate the effect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type on corporate image, Lastly, social presence mediate the link between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and corporate image. Also social presence mediate the link between the three-way interaction of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the level of narcissism, the level of self-esteem, and corporate image. To test those hypotheses empirically, we collected the data from 140 subjec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SNS manager and CEO).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CEO as Facebook Fan page manager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image(t = 1.746, p = .042, one-tailed test) than SNS manager. This means that participants with CEO manipulation evaluate corporate image more favorable than participants with SNS manager manipulation.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the level of narcissism, and the level of self-esteem(F = 4.939, p < .028). In detail, a two-way effect of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the level of narcissism with higher self-esteem was significant(F = 2.833, p = .048, one-tailed test) but a two-way effect of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the level of Narcissism with lower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F = 1.992, p = .163). And the effect of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was significant when narcissism and self-esteem was higher(t = 1.857, p = .038, one-tailed test) and narcissism and self-esteem was lower(t = 2.2725, p = .030).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between the type of Facebook Fan page manager and corporate image was founded. Thus the type of SNS manager would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corporate image though full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이 협력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은화(Chon, Eun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최근 대학 교육에서 SNS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연구들이 개진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 효과나 만족도 등의 측면에서 항상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교육적 효과는 SNS 활용에 미치는 학습환경, 교수자 그리고 학습자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긴밀한 상관관계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를 협력학습에 활용했을 때,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협력학습 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어떻게 예측하는가를 밝히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협력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했던 학습자 특성요인으로는 성격 특성으로서의 외향성의 정도, 사회적 친밀감, 협력 역량의 정도, 그리고 협력학습에서 SNS 활용에 대한 선호도와 협력학습을 위한 SNS 활용 빈도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로 학습자들은 SNS를 협력학습에 자주 활용할수록, 사회적 친밀감이 높을수록, 협력역량이 높을수 록 협력학습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향적 성격특성을 가진 학습자가 외향적 성격 특성을 가진 학습자에 비해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학습에 SNS를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는지의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is known to have a great potential as a direct medium for improving collaborative learning.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the utilization of SNS has many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However, the effect of utilization of SNS does not lead to the similar positive results. This is because the effect on education is originated from the close correlation of educational constituents including the SNS environments, lecturers an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 of using SNS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depending on different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include different learner’s personality types, social intimacy, collaboration skills that are expected to affect collaboration process, preference for using SNS in collaboration, and frequency of SNS util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n the collaboration satisfaction utilizing SN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llaboration when they have higher level of collaborative skills, higher level of social intimacy, and more use of SN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introverted learners for the collaboration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at of extroverted learners. Lastly, the preference for using SN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did not exhibited meaningful effects on statistics.

      • 프로야구구단 SNS 팬페이지 특성이 이용만족도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민석 ( Min Seok Choi ),박철 ( Cheol Park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9 경상논집 Vol.39 No.1

        외국의 프로 스포츠 구단이 SNS를 통하여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한국 프로 스포츠 구단의 SNS를 통한 마케팅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SNS를 통한 마케팅은 기존 전통적인 마케팅 채널에 대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 실시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빠른 파급력을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프로야구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이퍼 타겟팅(Hyper Target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야구 구단에 적합한 마케팅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실증연구에서는 반응성, 유대감, 정확성, 유용성과 구단 SNS 팬페이지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보고, 구단 SNS 팬페이지의 만족도가 실제 구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반응성(.020)을 제외한 유대감(.223), 정확성(.154), 유용성(.520)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용성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505)는 실제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continues to gain importance in marketing across all industries and services from the electronics industry through food and clothing industries in Korea. However, the Korean professional sport clubs make poor use of SNS in their marketing strategies compared to overseas professional sport clubs. In addition, professional baseball clubs in Korea cannot afford the extra marketing expense and 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cost because they are maintained through the sponsorship of their parent companies. SNS, however,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t lower cost with young people most likely to be interested in baseball as the hypertarget and reaches further than traditional marketing channels. It is thus, the market channel best suited for professional club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responsiveness, connectedness, accuracy and usability were chosen as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Korea professional baseball. We analyzed how responsiveness, emotional bond, accuracy and usability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and how this satisfaction affects the intention to visit baseball stadium.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motional bond (.223), accuracy (.154) and usability (.520), except responsiveness (.020),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and in particular, usabil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Moreo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505) affects the intention of fans to visit baseball stadium. In this paper, we proposed four key factors - responsiveness, emotional bond, accuracy and usability - and their importance in SNS-based marketing strategies in a sense that they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fans with SNS fan page, which in turn, affects their intention to visit baseball sta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