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탐구 활동 및 초임 교사의 탐구활동 인식 분석: 실질적인 과학 탐구 관점으로

        박영신 ( Young Shin Park ),박진주 ( Jin Ju Park ),박종윤 ( Jong Yoon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3

        실질적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SI)라는 것은 절차적인 탐구 기능에만 집중되어 있는 학교 과학 탐구와는 차별화되는 것으로 과학자들이 실행하는 탐구를 일컫는다. 많은 과학 교육 관련 연구는 과학 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ASI에서 강조하는 문제 제기, 증거 수집, 설명 형성, 설명 평가, 그리고 발표 및 정당화 기회를 경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I 관점으로 현 중등 과학 교과서의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관련 탐구 활동을 분석하고, 또한 중등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임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탐구 활동은 자료 수집 및 설명 형성이 지배적인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초임 교사들은 과학 탐구와 실험을 확실하게 차별화하지 않았으며, 실험을 주로 하는 절차적인 기능의 탐구 활동을 교실에서 일어나는 과학탐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은 ASI 관점으로 보면 자료 수집과 설명 형성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소수이긴 하지만 과학 탐구라는 과학적 소양을 위해서는 과학적 사고의 기회와 과학에 대한 태도를 함양하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학습 기회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도 있었다. 따라서 초임 교사 연수(induction program)를 통해서 교사들에게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 및 교수 실천에 대해서 반성(reflection)할 기회와 전문성 향상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ASI에서 강조하는 실질적인 탐구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s defined what scientists do at research sites, differentiated from what students do at school sites, where students learn procedural skills mainly in doing experimentation during inquiry activity. The science education reform stresses out that students need to have chances of framing questions, collecting data, forming explanation, evaluating explanation, and presenting the results with logical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erms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SI). This study analyzed inquiry activities of "Acid and base neutralizing reaction" content at secondary level and also explored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view of scientific inquiry in terms of ASI. Inquiry activities of "acid and base neutralizing reaction" content in current textbooks of the 9th grade included chances of two opportunities in collecting data and forming explanations dominantly out of 5. The participating beginning teachers could not differentiate experimentation from inquiry activities and majority of them perceived that scientific inquiry is what students learn and demonstrate inquiry procedural skills mainly, "hands-on". Beginning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lso hold the view of scientific inquiry as chances of collecting data in designing investigation. However, some teachers hold the view of scientific inquiry as chances of "minds-on" through which students develop thinking abilities and "hearts-on" through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knowledge. The implication was made in teacher education: beginning teachers should be endowed with induction program where they have chance of reflecting on their views and practices of scientific inquiry to be trained to become professionals in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of scientific inquiry.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김유림,최애란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2

        Despite the continu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research studies have commented that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s not implemented in school science classroom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by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teachers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hey voluntarily set up the goal of inquiry-based classes, planned inquiry-based classes, shared and reflected their teaching experience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more than a year. It appeared that participant teachers understood scientific inquiry as ‘what scientists do’, ‘process how students do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methods.’ All teacher participants described scientific inquiry as ‘what scientists do’, and understood ‘the process of doing scientific investigation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natural phenomenon’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using scientific practice.’ Two participant teachers seemed to understand scientific inquiry as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how scientists or students do science. Participant teachers had a limite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at it is the same as laboratory works or hands-on activities prior to engag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ut they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conduct scientific inquiry after engag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 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 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 이해의 수준과 실태 분석

        이동승,박종석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 for scientific inquiry study by investigating level of understanding and actual state regard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inquiry. Th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4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 at the D city by using questionnaire of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Actual state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was investigated by categorized the responses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eight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in three levels (informed, mixed, naive) based on analysis criteria. And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affect to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aspects among the eights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Inquiry procedures are guided by the question asked’ and ‘Research conclusions must be consistent with the data collected’ were appeared to have high rates of informed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remaining six perspectives,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aive and mixed level of understanding, so informed level of understanding took a relatively low proportion. It impl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inquiry in the field have limit to understand about scientific inquir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s that have taught students and science related training courses that open sofar have a little influence to increase comprehension about scientific inquir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and to formulate different form of plan unlike existing way of teaching for teaching scientific inquiry.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과 실태를 조사하여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초등교사 42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에 관한 관점(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설문지를 사용하여 설 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한 결과를 분석 준거에 따라 초등교사의 8가지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을 3단계(전문가적, 과도 기적, 초보자적)로 구분하여 과학적 탐구의 이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특성이 과학적 탐구 수준에 영향을 미 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과학적 탐구의 8가지 특성 중 ‘탐구 방법은 의문 해결에 적합해야 한다’와 ‘탐구 결론은 반드시 수집 된 자료와 일치해야 한다’는 2가지 특성에서 전문가적 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초등교사가 과 도기와 초보자적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문가적 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는 현장에서 탐구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 초등 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경력, 과학관련 연수이수 여부는 과학 적 탐구에 관한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을 지도한 경험과 현재까지 개설 된 과학관련 연수들이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탐구 지도를 위해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기존의 교사 교육 방식과 다른 형태의 방 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탐구에 대한 관점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인식

        유은정(Yu, Eun-Jeong),장선경(Jang, S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과학탐구실험 과목은 9학년까지의 과학을 학습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 능력 및 핵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신설된 과목이다. 그동안 과학 탐구는 과학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지만, 계열 구별 없이 모든 고등학생이 필수교과로 과학탐구실험이라는 과목을 이수하도록 신설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과학 탐구의 본성을 과학의 본성과 분리하여 새롭게 강조하는 측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과학 탐구의 본성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해서도 학습의 주체인 학생 보다는 학습을 지원해 주는 교사나 운영 체제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278명(10개 학급)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기대와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학자 수행, 과학적 탐구, 자료와 증거의 차이, 과학 지식의 정당화 방법에 대해서 초보적인 관점을 보였다. 과학 탐구 실험 과목에 대해서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으나 과학 탐구 실행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견해 및 과학탐구실험 과목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고 학교 현장의 다양한 과학 탐구 맥락에서 2015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목표가 바람직하게 달성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subject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has been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and skills in scientific inquiry of all students who have been taught in the sciences up to ninth grade.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was emphasized whenever science curriculum were revised, it was very unusual for all of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s a compulsory subject regardless of their major. This trend is also reflecting on the separation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from the nature of science. However, the previously domestic studies show that the research on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is still insufficient and the study of scientific inquiry and experiment as a curriculum subject is focused not on students directly concerned but only on supporting and maintaining teachers or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xpectations, perceptions, and viewpoint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scientific inquiry and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with targeting 278 first-grade hight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many students had a naive view of the scientist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the difference between data and evidence, and the justification process of science knowledge. In addition, they had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subjects, but showed a passive attitude for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core data for understanding the expectations and viewpoints of students for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and achieving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various in-situ conditions on high schools.

      • KCI등재

        중학교 ‘소화, 순환, 호흡, 배설’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적 역량 분석

        이영미,이신영 한국생물교육학회 2023 생물교육 Vol.51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cientific competencies present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To this end,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ee competences in the PISA science domain were analyzed focusing on inquiry activities in the ‘Digestion, blood circulation, respiration, and excre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mpetency of ‘Explaining phenomena scientifically’ was defined with expected phrases such as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inquiry’ or ‘to generate an explanation by applying the knowledge obtained after the experiment to a new context’ in inquiry activities. ‘Evaluating and designing scientific inquiry’ competency was required to explain the role of variables and to evaluate the inquiry process. Inquiry activities containing ‘to identify the question in a given scientific study’ and ‘to propose an appropriate experimental design’ were rarely presented. Furthermore, ‘Interpreting data and evidence scientifically’ competency was included in inquiry activities with a high frequency. However, it was rarely found in discussion of activities which fall under the prescribed definitions of ‘to distinguish the elements constituting scientific argument’ and ‘to evaluate the scientific validity of claims and evidence’.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accurately reflecting the three scientific competencies in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textbook,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scientific inquiry process, to evaluate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proposed inquiry process, and to justify one's claim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정은주,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科學敎育硏究誌 Vol.43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quiry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For this purpose, 20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classes were conducted in 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City. After selecting the inquiry problem,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process to collect data using digital inquiry instru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es: First, students perceived the step on 'inquiry design and execution' as the most useful in the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scientific ability and cooperation improved through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with the selection of inquiry problems being the most difficult.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inquiry activitie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inquiry that can cultivate various abilities needed for students living in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활동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도시의 초등학생 고학년 26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탐구 문제를 선정한 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탐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업 후 인식 조사 설문과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 설계 및 수행’ 단계가 가장 유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적 능력과 협동심이 향상되었고, 탐구문제 선정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활동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탐구활동 개방도에 따른 학생들의 탐구수행능력 분석

        이병권,이상권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diff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by academic achievement, mental capac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ness of inquiry activity. Five students with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 were selected from first year students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Mental capacity,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and to conduct the openness level 1 and level 2 exper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inquiry performance ability, the inquiry activity observation checklist was first prepared. Base on this, the concrete evaluation scales were developed in the openness level 1 and level 2 experiment,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ability to perform inquiry according to the level of openness, the higher the level of openness, the lower the ability to perform the inquiry. At all levels of the opennes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ability to perform inquiry. For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draw conclusion was better performed in the openness level 1 and hypothesis setting and draw conclusion in the openness level 2. In analysis of inquiry process elements according to the openness, it was found that draw conclusion was difficult in the openness level 1 and that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interpretation were the most difficult in the openness level 2. Mental capacity was generally related to inquiry performance ability but science attitude was not related. 이 연구는 탐구활동의 개방도를 달리하였을 때 학업성취도, 정신용량, 과학태도, 과학탐구능력에 의한 개별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탐구수행능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중에서 학업성취도가 다른 5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정신용량과 과학태도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개별 학생들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개방도 1수준의 탐구실험을 실시한 후 2수준의 탐구실험을 실시하였다. 탐구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탐구활동 관찰 점검표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도 1수준과 2수준의 탐구활동에 대한 구체적 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방도 수준에 따른 탐구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개방도 수준이 높을수록 탐구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개방도 1수준과 2수준 모두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탐구수행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개방도 1수준에서는 결론도출을, 2수준에서는 가설설정과 결론도출을 더 잘 수행하였다. 개방도에 따른 탐구과정 요소별 분석 결과, 개방도 1수준에서는 결론도출을 어려워하였으며, 개방도 2수준에서는 실험설계와 자료해석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용량은 탐구수행능력과 연관성이 있었지만 과학태도는 거의 연관성이 없었다.

      • KCI등재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박영신 한국지구과학회 2011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envisioned in science education reform, which is the main goal of science education at schools. Teachers’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influence their students’ learning in the classroom, so it is significant to investigate teachers’ views about the scientific inquiry. 126 beginning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asking teachers’ view of general scientific inquiry, nature of science (NOS) and the relationship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30 minutes. Alternative views of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NOS and STS were emerged through data analysis with open coding syste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defined scientific inquiry as opportunities of ‘Hands-On’ and ‘Minds-On’ or its combination rather than ‘Hearts-On’. However,teachers demonstrated the view of ‘Hands-On’ for the purpose of scientific inquiry and for teachers’ roles in its implementation. The view of ‘Hearts-On’ about scientific inquiry was not identified. The naïve view of NOS were identified more than informative one.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relationship of STS was released. The implication was made in teacher education, especially structured induction program for beginning teachers.

      • KCI등재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 -VASI 질문지를 바탕으로-

        성희수 ( Hee Su Sung ),신정윤 ( Jung Yun Shin ),천재순 ( Jae Sun Chun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using the View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63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 university in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a small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have naive view regarding eight scientific inquiry(≤25.4%).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teachers held more informed and mixed view than previous international research. However, many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ossessed ‘mixed view’ combining ‘informed view’ with ‘naive view’ in five areas of eight aspect; (1) multiple methods of investigation; (2) start of investigation; (3) different process, different results; (4) data and evidence; and (5) scientific explanation. Specially, they also did not understand the following contents; “the meaning of experiments”, “the function of questions”, “the influence inquiry procedures on results”, “the distinction between data and evidence”, and “explanation based on 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collected data”.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consistent and explicit learning about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is required in biology teacher training program. In short, the improvement of biologic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s needed to develope integrated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 KCI등재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과학탐구 기능과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김미정,홍준의,김성하,임채성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3

        In this study, we analyzed activities in life science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Korea n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based on scientific practices and the analysis based on inquiry skills. As a results, there was a lot of inquiry skills in the order of 'reasoning', 'observing', 'classification' in the all of grade. In scientific practice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vising problem solving' were biased. This shows that life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re lacking in diversity in scientific practice elements as well as inquiry skills, and that the goals of the activities are limited.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tific practice elements, we examined contents relevance in the transition from inquiry function center to scientific practic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atched monotonously due to the tendency to basic inquiry-data interpretation / basic inquiry-explanation. This comes from results of the lack of diversity in activities pres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lude diverse scientific practice elements in the process of realizing 2015 revised Korea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simple and diversity-less inquiry activity through analyzing th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Korea national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이 기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왔던 탐구 기능과 구체적 학생 활동이 강조되는 NGSS의 8가지 과학 실천 측면에서 상호 분석되었을 때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생명과학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 구분 없이 탐구 기능에서는 '추리', 관찰', '분류' 순으로 많이 치중되었고, 과학 실천에서는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에 치우쳐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과서 내 생명과학 탐구 활동이 탐구 기능뿐만 아니라 과학 실천 요소에서도 다양성이 부족하며 제시하는 활동의 목표가 한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학탐구 기능과 과학 실천 요소 각 상호 매칭작업을 통해 탐구 기능 중심에서 과학 실천으로의 이행 시 내용 관련성을 검토하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서 보이는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 매칭분석에 비해 교과서 내 탐구 활동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기초탐구-자료해석/기초탐구-설명고안에 치우쳐 있어서 단조롭게 매칭 되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한 탐구 활동에서 벗어나 2015개정 교육과정을 구현해나가는 과정에 다양한 과학 실천 요소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됨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