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석시험편 유효공극률 측정의 반복성과 재현성

        이태종,이상규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2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5 No.4

        다양한 직경과 길이, 암종, 그리고 유효공극률을 가지는 8종의 암석시험편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고체밀도와 유효 공극률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반복성 및 재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대기의 기온변화가 유효공극률의 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8종의 암석시험편에 대하여, 진공압력은 사용한 시스템의 최대진공인 1 torr로, 진공시간은 ISRM 표준시험법의 규약을 만족하는 80분으로 하여 유효공극률을 7번씩 산출하였다. 즉, 참조를 위해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 1회, 반복성 검토를 위하여 모든 실험 조건을 같이한 상태에서 각 3회씩, 그리고 재현성의 검토를 위하여 동시에 수침진 공하는 시험편의 숫자를 2, 4, 8개로 달리하여 3회 등 총 7번씩의 유효공극률을 산출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고체밀도의 경우 8개 암석시험편의 평균편차가 0.00 g/cm3으로 나타나서 완벽한 반복성과 재현성을 보였다. 유효공극률의 경우는 모든 실험 조건을 동일하게 한 반복성 실험에서는 평균편차가 0.07% 이하, 실험 조건 중에 수침진공 하는 시험편의 숫자를 달리한 재현성 실험에서는 0.05% 이하로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다. 재현성 실험에 의해 측정된 유효공극률이 대부분 반복성 실험에서 측정되는 편차범위 내에서 측정되어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따라서, 암석시험편의 개수를 2, 4, 8개로 달리하며 수침진공 한 재현성 실험에서는 표준시험법에 따라서 1 torr 정도의 고진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시료를 동시에 수침진공하여도 산출되는 유효공극률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온도, 습도, 현지기압 등 기상자료와 시험편의 물속무게를 비교하고 대기 온도가 물의 온도, 밀도 및 부력에 영향을 주어 결국 시험편의 물속무게를 잘못 평가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시험편의 유효공극률을 정교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시험편의 물속무게를 측정할 때 물의 온도를 실험조건에 포함시키거나 다른 물리량과 함께 측정하여 물의 밀도 변화에 따른 물속무게 변화를 보정하여야더 정밀한 유효공극률을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in solid weight and effective porosity measurements have been discussed using 8 core samples with different diameters, lengths, rock types, and effective porosities. Further,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effective porosity measurement has been discussed as well. Effective porosity of each sample has been measured 7 times with vacuum saturation method with vacuum pressure of 1 torr and vacuum time of 80 minutes. Firstly, effective porosity of each sample is measured one by one, so that it can provide a reference value. Then for reproducibility check, effective porosity measurements with vacuum saturation of 2, 4, and 8 samples simultaneously have been performed. And finally, repeated measurements for 3 times for each sample are made for repeatability check. Averag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set in solid weight showed 0.00 g/cm3, which means perfect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For effective porosity, average deviations are less than 0.07% and 0.05% in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test sets, respectively, which are in good agreement too. Most of porosities measured in reproducibility test lies within the deviation range in repeatability test sets. Thus, simultaneous vacuum saturation of several samples has little impact on the effective porosity measurement when high vacuum pressure of 1 torr is used. Air temperature can cause errors on submerged weight read and even effective porosity,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density, and buoyancy of water. Consequently, for accurate measurement of effective porosity in a laboratory, efforts for maintaining air or water temperature constant during the experiment, or a temperature correction from other information are needed.

      • KCI우수등재

        GIS 및 공간 분석 연구의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반복가능성(Replicability) - 대한지리학회지를 사례로 -

        강전영,황철수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5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producibility and replicability (R&R) in studies of GIS and spatial analysis for ensuring the advancement of research transparency. Reproducibility refers to an ability of a researcher to get the same results of a prior study through the same data and method used by the original researcher. Replicability refers to an ability of a research to get the similar/same results of a prior study through the same method with the newly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five steps for the R&R, and assess the previous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Also, we investigated the submission guidelines for the Korean journals indexed in the SCIE, SSCI, A&HCI, SCOPUS, regarding the data and code sharing policy. This study highlights an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guidelines for the R&R and educational efforts on the advancement of research transparency. 연구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의 재현성(Reproducibility)과 반복가능성(Replicability)이 중요하다. 재현성은 출판된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을 다시 후속 연구자가 진행하였을 때 동일한 연구결과가 산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반복가능성은 새로운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한 분석 절차를 진행하였을 때,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동일한 연구 결과가 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해외의 GIS 및 공간분석 분야에서 이러한 연구의 재현성과 반복가능성에 대한 노력 및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연구의 재현성과 반복가능성을 위한 5단계를 정의하였다. 또한 기존의 대한지리학회지에서 출판된 GIS 및 공간분석 관련 연구에서의 데이터 및 코드 공유 상황을 판단하였으며, 국내의 학술지 중 SCIE, SSCI, A&HCI, SCOPUS에 등재된 학술지의 데이터 및 코드 공유 관련 규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재현성과 반복가능성을 위해서는 학술지의 규정 신설 및 교육 등의 학계와 기관에서의 다양한 방법에서의 노력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 간섬유화 검사 시 탄성도의 재현성과 체질량지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유인웅(In-Woong Yoo),조용범(Yong-Bum Cho),진미경(Mi-Kyeong Jin),정양화(Yang-Hwa Jeong),김현진(Hyun-Jin Kim)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2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Vol.5 No.1

        목적 : 간섬유화가 진행되면, 간경변증(Liver Cirrhosis)을 발생시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며, 간암으로 진행 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간 섬유화의 평가는 환자의 예후 및 치료 방향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간섬유화 검사는 검증된 여러 장점들이 있는 반면, 비만인 환자 검사 시 재현성이 낮은 제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 검사 시 탄성도의 재현성과 체질량지수 간 연관성을 분석하여 환자의 체형이 검사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초음파실에 내원하여 간섬유화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조건에 부합하는 대상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한 방법으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체질량지수 분류 기준을 적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를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에 해당하는 세 그룹으로 선정한 후 그 검사 결과를 연구하였다. 각 그룹은 100명으로 하였고, 총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현성을 평가한 방법으로는 간섬유화 검사 시 획득한 탄성도의 유효측정값을 이용하여 모든 대상의 SD(Standard Deviation)값을 구하고, 각 그룹별로 비교해 보았다. 통계학적 검정은 SPSS 27 (IBM Statistics)을 이용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Welch 검정을 대입하였다(P<0.05). 결과 : 각 그룹별로 유효측정값의 SD값을 구하고, SD값들의 평균 수치를 얻은 결과 정상체중의 경우 0.39, 과체중 0.57, 비만에서 0.84로 비만 체형에서 가장 높았다. 그 분포도 또한 SD값이 0.5이하인 경우가 정상체중 73%, 과체중 49%, 비만에서는 17%로 나타났으며, 1을 넘긴 검사 결과가 평균체중 그룹에서는 없었던 반면, 과체중에서 9%, 비만에서는 21%이었다. 총 300명의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정상체중에서 탄성도의 재현성이 가장 높고, 비만에서 가장 낮았다. 즉 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재현성은 떨어지는 상호 반비례의 상관관계를 탄성도의 SD값고 그 분포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when liver fibrosis progresses, cirrhosis occurs, causing various complications, and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developing liver cancer. Therefore, the evaluation of liver fibrosis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atient’s prognosis and treatment direction. While Fibroscan® has several proven advantages, there is a limitation of low reproducibility when testing obese patients. Therefor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oducibility of elasticity and body mass index during Fibroscan®,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atients body shape on test reproduc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 The examination results were analyzed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ultrasound department of Asan Medical Center from June to December 2020 and performed Fibroscan®. As a method of selecting the study subject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body mass index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applied, and based on this, patients were selected into three groups: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n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were studied. Each group consisted of 100 people, and a total of 300 people were included. As a method of evaluating the reproducibility,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all subjects were calculated using the effective measurement value of the elasticity obtained during the Fibroscan®, and compared for each group.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7 (IBM statistics), and the Welch’s test of one-way ANOVA was substituted(P<0.05). Results : As a result of obtaining the SD value of the effective measurement value for each group and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SD values, it was found to be 0.39 for normal weight, 0.57 for overweight, 0.84 for obesity, and the highest in obesity. The distribution also showed that when the SD value was less than 0.5, 73% of normal weight, 49% of overweight, and 17% of obesity were found, while test results exceeding 1 were not found in the average weight group, but 9% of overweight and 21% of obesity.

      • SCOPUSSCIEKCI등재

        부정교합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김하란,이동렬,김광원,윤영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시 이용되는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격성 부정교합의 형태와 성별에 따른 두부위치의 재현성을 파악하고자 성인남녀 90명을 대상으로 자세변수 6항목을 설정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남,녀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2.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에 있어서 각 부정교합군과 전체 표본 각각의 자세변수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method error를 이용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모든군에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두부위치의 재현성은 골격성 부정교합의 양상과 성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자연두부위치를 이용한 많은 연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교정적 문제와 관련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그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ition according to skeletal malocclusion types and sex using cephalometric radiographs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The sample consisted of 90 young adults (male 45, female 45) who had the skeletal malocclusion.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method error of 6 postural variables were estimate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postural variabl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P〉0.05). 2.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natural head position, postural variabl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lass I, II, III, and total group (P〉0.05). 3.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ition using method error was excellent in all groups.

      • KCI등재후보

        재발한 간담도암 환자에서 시행 한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의 유용성 및 재현성 평가

        박주경(Jukyeong Park),이승훈(Seunghun Lee),차석용(Seokyong Cha),김양수(Yangsu Kim),이선영(Sunyoung Lee)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2

        간담도암의 일차적 치료법은 수술적 제거이나, 초기 병기로 수술을 하여도 재발이 흔하며, 재발 후에는 근치적 목적이 아닌 주로 증상 완화 목적의 치료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발한 환자에서 자체 도입한 특수 관을 이용한 근치적 목적의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의 치료법과 치료 set-up 재현성 유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간담도암으로 수술 후, 6개월 간격으로 복부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문합 부위의 재발이 확인된 임상 병기 rcT1N0M0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근접 치료를 위하여 경피적 담도 배액관을 치료 전용관인 Arrow Sheath로 교체 후, intraluminal catheter를 삽입하여, 일회 치료당 3 Gy 씩 총 30 Gy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협착 된 담도의 distal and proximal 그리고 central axis point로부터 1 cm 떨어진 지점을 선량표준화였으며, 5회에 걸쳐 치료 전 dummy seed 삽입 후, 치료 표적 용적 근위부와 말단부의 기준점에서 흉추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set-up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매주 치료 전 근위부와 말단부위 치료 표적 용적 기준점에서 흉추 사이의 거리를 5회 측정한 값과 simulation image에서 측정된 거리를 비교한 결과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오차율 5% 이내로 유의한 수준으로 측정되어 매회 치료시 재현성이 유지 되었다, 본 연구 환자의 추적 검사 상 1년 이상 무병 생존하고 있으며, 심각한 부작용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술이 불가능한 재발한 간담도암 환자에서 본원에서 자체 도입한 관으로 시행한 근접치료는 주변 인접 장기의 심각한 부작용 발생 없이, 매 회 치료 시 재현성이 유의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General treatment for cholangiocarcinoma is complete surgical resection. However recurrence is common in those patients. In most of cases the purpose of th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recurrent is palliative. Therefore we adopt intraluminal catheter to treat a recurrent patient with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treatment procedure and set-up reproducibility of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 the recurrent patient. Study patient was diagnosed at rcT1N0M0 and undergone intraluminal brachytherapy after Arrow Sheath insertion. 3 Gy was delivered in every fraction with a total dose of 30 Gy. We planned dose normalization at distal, proximal and central axis point of narrowed bile duct far from 1 cm. To evaluate set-up reproducibility, we measured distance between distal, proximal treatment target volume point and anterior surface of the thoracic vertebral body respectively for five times before every treatment with dummy seed insertion. Mean distance between distal, proximal treatment target volume point and anterior surface of 10th and 11th thoracic vertebral bodies is 0.5 cm, 6.1 cm and standard deviation is 0.06, 0.08 respectively. In addition, set-up reproducibility was maintained significantly. The patient has been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recurrence for more than a year and has not yet reported severe complications. In conclusion,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for unresectable recurrence of cholangiocarcinoma maintains high set-up reproducibility without severe side effects.

      • KCI등재후보

        Piranha 657의 Internal Detector를 이용한 저에너지에서 유리선량계의 선량 특성에 관한 연구

        손진현(Jin-Hyun Son),민정환(Jung-Whan Min),김현수(Hyun-soo Kim),유광열(Kwang-Yeul Lyu),임현수(Hyun-Soo Lim),김정민(Jung-Min Kim),정회원(Hoi-Woun Jeong) 대한방사선과학회 2012 방사선기술과학 Vol.35 No.2

        최근 유리선량계는 Thermoluminescent Dosimeter (TLD)와 더불어 진단영역부터 치료영역에까지 즉, 저에너지영역에서부터 고에너지 영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흡수선량 측정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선량계의 재현성과 에너지 의존성 등 선량특성에 관한 연구 보고는 주로 고에너지 영역에서 이루어진 결과 값들이다. 이는 방사선 선량 측정소자나 측정기들의 특성연구를 137 Cs 이나 60 Co를 이용하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들은 모두 치료영역에서 사용되는 고에너지 방출 방사선 선원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ass Dosimeter(GD)를 이용하여 진단 영역의 저에너지 방사선 특성을 50 ㎸, 80 ㎸, 100 ㎸ 관전압 변화를 주어 측정한 Piranha 선량에 대한 유리선량계의 선형성, 재현성, 시간에 따른 재현성을 실험 평가하였다. 실험 기기 및 방법으로는 진단용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방사선선량 측정은 다기능 QA 측정기(RTI Electronic, Sweden)인 Piranha 657의 internal detector로 측정 하였으며 측정조건은 25 ㎃, 0.02 sec, 2.5 ㎃s 그리고 SSD가 100 ㎝일 때 조사면 10×10 ㎠로 하였다. 유리선량계 총 60개를 50 ㎸, 80 ㎸, 100 ㎸ 세 그룹으로 나누고 동일한 조건으로 유리선량계에 조사하였다. 본 실험결과에서 유리선량계의 선형성은 기존 보고된 고에너지 고선량 영역과 같이 저에너지, 저선량에서도 선량에 따른 선형성을 나타냈다. 재현성과 시간에 따른 재현성도 양호하였다. 본 실험결과와 같이 유리선량계는 고에너지영역에서의 선량측정 뿐만 아니라 저에너지의 선량측정도 가능한 선량계임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Glass Dosimeter (GD) with thermoluminescent Dosimeter (TLD) are comprehensively used to measure absorbed dose from diagnostic field to therapy field that means from low energy field to high energy field. However, such studies about dose characteristics of GD, such as reproducibility and energy dependency, are mostly results in high energy field. Because characteristic study for measurement devices of radiation dose and radiation detector is performed using 137 Cs and 60 Co which emit high energy radiations. Thus,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linearity according to Piranha dose which measured by changing tube voltage (50 ㎸, 80 ㎸ and 100 ㎸ which are low energy radiations), reproducibility and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delay time using GD. Measurement of radiation dose is performed using internal detector of Piranha 657 which is multi-function QA device (RTI Electronic, Sweden). Condition of measurement was 25 ㎃, 0.02 sec, 2.5 ㎃s, SSD of 100 ㎝ and exposure area with 10×10 ㎠. As above method, GD was exposed to radiation. Sixty G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50 ㎸, 80 ㎸, 100 ㎸), then measured. In this study, GD was indicated the linearity in low energy field as high energy existing reported results. The reproducibility and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delay time were acceptable. In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GD can be used to not only measure the high energy field but also low energy field.

      • KCI우수등재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성층현상 재현성 평가

        최현구,한건연,박준형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3

        Nakdong River was recently dredged with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Therefore, the depth was deepened and the lag time also increased. As a result, stratification occurred in some sections with deep water depth, and it also caused the increase of algal bloom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in the Nakdong River by applying the EFDC model, which is a three-dimensional hydraulic and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proving th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phenomena in reservoirs and estuaries. In order to reproduce the Nakdong river water temperature and DO stratification, EFDC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key parameters sensitive to stratifica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used to reproduce stratification by selecting optim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nalysis of various destratification scenarios.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녹조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구언에서 성층현상 재현성이 입증된 3차원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성층현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수온 및 DO 성층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낙동강 중․ 하류부에 EFDC 모형을 구축하고 성층화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성층화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성층교란 시나리오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의 image scale 재설정에 따른 최적의 영상신호 표준화

        이호범,최관우,손순룡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In this study, we tried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signal intensity by applying DOT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 patients who had undergone hepatic screening because of poor reproducibility and decreased signal intensity. The images were acquired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contrast media and then post - processed by DOTS methods. Signal intensity was compared and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al intensity of the images was 183.3% (1038.0 ± 70.7 before application, 2940.7 ± 179.6 after application) and 1118.4% (444.1 ± 92.4, 5410.5 ± 168.4 after application). This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act that the reproducibility of MRI) was changed by the DOTS method, which is a post-processing method. 본 연구는 자기공명검사 시 재현성이 달라져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후처리 기법인 DOTS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재현성이 떨어져 신호강도 저하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간 검사를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영제 주입 전․후 영상을 획득한 다음 DOTS 기법으로 영상을 후처리하여 적용 여부에 따른 영상의 신호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영상의 신호강도는 DOTS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조영제 주입 전에는 183.3%(적용 전 1038.0±70.7, 적용 후 2940.7±179.6), 주입 후에는 1118.4%(444.1±92.4, 적용 후 5410.5±168.4)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후처리 기법인 DOTS 기법을 통해 영상척도의 기준을 재설정하여 개선한 것으로써 자기공명검사 시 재현성이 달라져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심리학 연구에서 재현성 위기의 현황과 원인 및 대안 모색에 대한 개관

        김빛나,최준원,고현석 한국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6 No.3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심리학 연구의 재현성에 대한 치열한 논란이 전개되어 왔다. 점화 효과 등 학계 및 일반 대중에게 큰 관심을 끌었던 유명 연구들이 반복검증에 실패하였고, 뒤따라 착수된 대규모 반복검증 프로젝트들에서의 반복검증 성공률도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과학으로서 심리학의 위상이 위협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통계적 추론절차, 연구관행 그리고 출판편향 등이 재현성 위기의 원인들로서 조명되었으며, 그에 따라 심리학의 재현성을 증진하기 위한 해결책들(신뢰구간, 효과 크기의 사용, 메타분석, 베이지안 통계, 연구 자료와 방법론의 투명성 증가)도 제안되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해결되는가에 따라 작금의 재현성 위기는 향후 심리학이 발전해 나가는 기회가 될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심리학 내 재현성 위기가 전개되어온 현황을 소개하고 현재까지 도출된 원인과 잠정적 해결책들을 종합적으로 개관함으로써, 국내에서 관련 논의가 촉진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ongoing controversy surrounding replication crisis in psychology. Some of popular experiments such as priming effect failed to be replicated. And subsequent large-scale replication projects of psych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success rate of replication was less than ideal, which threatened the status of psychology as science. Through the course of mass debate, problems such as null hypothesis statistical testing, 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 and publication bias were discussed as causes of current replication crisis. Accordingly, solutions (use of confidence interval, effect size, meta-analysis, Bayesian statistics, and efforts to increase transparency in methodology) were proposed in order to enhance reproducibility of psychological research. Depending on how it is resolved, the present crisis in replication also holds opportunity for future development of psychology. Therefore, we attempted to introduce how replication crisis unfolded in psychology and to comprehensively review causes and potential solutions in the hope of establishing basic ground for further discussion in Korea.

      • 폴리에스터섬유용 분산염료의 염색재현성에 관한 연구

        윤지영(Ji-Young Yoon)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7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2 No.2

        Dyeing is the process of providing color to a textile through color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complex interaction of the dye and the textile. Thus, it is essential for laboratory to grasp understanding of dyeing behavior from 3-combination dye group together with high compatibility amongst themselves. To increase the color reproducibility in the industry,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the absorption rate, K/S value, and the color difference of commonly used 3-combination disperse dyestuff in the polyester dye industry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higher the Dye absorption rate of the 3-combination dyestuff, the higher the Color reproducibility is when applied to Deep shade target colors. 2. If the graph of K/S value for 3-combination dyestuff is linear, it has excellent Build-up property, and if dye behavior of each 3-combination dyestuff is similar, then the dye group has good Compatibility, thus good Color reproducibility. 3. The better the Compatibility of the 3-combination dyestuff, the lower the Color difference was between the lab and the industry, thus producing good Color reproduc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