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종교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자료로수집하여 그들의 삶과 경험이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통해서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4학년40명과 대학원생 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그들의삶의 이야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문제에대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게 하여 내러티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여러 차례의 자료수집 강화 과정을 통해서 학부생 28명과 대학원생3명, 총 31명의 자료가 채택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각 문제마다예비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집중하였고, 이야기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주제어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빈도가 흔한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예비교사에게 아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도 집중하였는데, 그 특별한 이야기와 교사 정체성 형성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내러티브의 종합적인 의미를 해석하였고 논의를 통해서기독교예비종교교사의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들이 정체성을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들은 부모님들이었으며, 그분들의희생과 사랑의 정신이 그들로 하여금 희생과 사랑의 교사라는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으로는 수업에서선생님이 자신의 마음을 열고 학생들과 교감한 것을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 경험이 수업에서 인격적으로 학생들과 교류하는 교사의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서 자신을 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모델이 될 만한 현직교사를 만남을통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정기적인 행사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삶에서 경험하였던 여러 가지일들이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데,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련된것이었다. 이는 사람을 돌보고 이해하고 회복시켜주는 경험들이었고, 이 경험들이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관련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인성교육과 교사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장치로서 교사 실행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기독교 종교교육의 고유성을 지킬 수 있는 성경과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experience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and his/her teacher`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researches new possibility about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us teacher. This study is process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40 senior students and 5 graduate students are involved. This study collects research data by having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make narrative of his/her whole life in relation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also, through out severe data collecting process, finally the data from 38 senior student and 3 graduate students are colle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by careful data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with key words presented in their narrative.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life experience influence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s a result, parent`s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in terms of influencing teacher`s identity formation, this influence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love, commitment, trust presented parent`s life. In addition, the most impressive classes are connected with teacher`s attitud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this teacher`s attitude influences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also, life experience in the campus as well as campus out side influence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is experience mainly connected with caring, serving, servant-hood. In a discussion, this research proposes humanism education in regard to new identity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because the main elements of humanism education are similar to elements which make help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forms his/her identity. Because this humanism education is connec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hot issu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recently. And also, this project suggests the importance community of practice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rough out this community activity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can learn the heart of teacher which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in the class, which is one of key points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eculiarity of Christianit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여성수도자들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와 수도생활 만족도간의 관계연구

        전미숙(Jun Mi-Sook),장성숙(Jang Sung-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 내에 있는 활동수도회의 서원한 수도자들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과 수도생활의 만족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 사회적 지지와 수도생활 만족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비교ㆍ연구를 통해 여성수도자들의 수도생활대한 것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검사도구로는 자아정체감 척도와 사회적 지지척도 및 수도생활 만족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현재학력, 수도연령, 사도직, 현위치)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현재학력, 수도연령, 사도직, 현위치에 따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현재학력에서는 대졸자가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력이 높은 여성수도자들일수록 자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거나, 일상적인 직무에 창의성을 발휘 한다고 본다. 둘째, 여성수도자들의 자아정체감과 수도생활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r=.357)이 나타났다. 즉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수도생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셋째 여성수도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수도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r=.277)이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수도생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nhance the Korean Catholic women religious's sense of identity and their satisfaction among their self-identity, social suppor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a religious life. 435 professed women religious from 52 religious communities were selected and measured by and collecting materials with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life. An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 current academic career, number of years in religious life, ministry, and the current status were survec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satisfaction with a religious life. This implies that the women religious are satisfied with their religious life when they have a proper sense of subjectivity and responsibility based on ego-identity. Second, there was not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a religious life. This means that the women religious are more closely connected with religious families in convents than their original families, or social support.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subjects' ego-identity is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religious life. Therefore the convents should provide the women religious with appropriate programs and ministry for having positive ego-identity. And women religious with temporary profession tends to gain social support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while women religious with longer religious experience get little social support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hat they should be helped to get proper support, work out problems and make decisions, and that their talent and personalities should be respected in the convents. This suggests that the ego-identity of women religiou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a religious life.

      • KCI등재

        A New Challenge to Korean American Religious Identity: Cultural Crisis in Korean American Christianity

        Ro, Young-Chan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4 대순사상논총 Vol.18 No.-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and their religious identity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Most scholarly studies on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dominated by sociological approach and ethnic studies in examining the social dimension of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ies while neglecting issues concerning their religious identity and cultural heritage. Most Korean immigrants to America attend Korean churches regardless their religious affiliation before they came to America. One of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s the fact that Korean church has provided a necessary social service for the newly arrived immigrants. Korean churches have been able to play a key role in the life of Korean immigrants. Korean immigrants, however, have shown a unique aspect regarding their religious identity compared to other immigrants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 is a nation of immigrants, coming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Each immigrant community has brought their unique cultural heritage and religious persuasion. Asian immigrants, for example, brought their own traditional religions such as Hinduism, Buddhism. People from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brought Islamic faith while European Jews brought the Jewish tradition. In these immigrant communities, religious identity and cultural heritage were homo genously harmonized. Jewish people built synagogue and taught Hebrew, Jewish history, culture, and faith. In this case, synagogue was not only the house of worship for Jews but also the center for learning Jewish history, culture, faith, and language. In short, Jewish cultural history was intimately related to Jewish religious history; for Jewish immigrants, learning their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was indeed identical with leaning of their religious history. The same can be sai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n community and Hinduism. Hindu temples serve as the center of Indian immigrantsin providing the social, cultural, and spiritual functions. Buddhist temples, for that matter, serve the same function to the people from the Asian countries. Chinese, Japanese, Vietnamese, Tibetans, and Thais have brought their respective Buddhist traditions to America and practice and maintain both their religious faith and cultural heritage. Middle Eastern people, for example, have brought Islamic faith to the United States, and Mosques have become the center for learning their language, practicing their faith, and maintaining their cultural heritage. Korean immigrants, unlike any other immigrant group, have brought Christianity, which is not a Korean traditional religion but a Western religion they received in 18th and 19th centuries from the West and America, back to the United States, and church has become the center of their lives in America. In this context, Koreans and Korean-Americans have a unique situation in which they practice Christianity as their religion but try to maintain their non-Christian cultural heritage. For the Korean immigrants, their religious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are not the same. Although Korean church so far has provides the social and religious functions to fill the need of Korean immigrants, but it may not be able to become the most effective institution to provide and maintain Korean cultural heritage. In this respect, Korean churches must be able to open to traditional Korean religions or the religions of Korean origin to cultivate and nurture Korean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신도의 아이덴티티 - 근현대기 서구의 신도담론을 중심으로 -

        박규태 ( Park Kyu-ta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일본 고유의 민족종교인 신도(神道)는 종교의 범주를 넘어서서 일본의 국체와 일본인의 생활태도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나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이런 사전적 정의가 일반적인 상식이 되어 있지만, 실제 신도의 아이덴티티는 간단히 규정하기 어려울 만큼 대단히 복합적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이처럼 복합적이고 애매한 신도의 아이덴티티를 크게 종교적 아이덴티티, 국민적 아이덴티티, 문화적 아이덴티티라는 세 측면으로 대별하여 검토하는 데에 있다. 신도는 역사적으로 각 지역의 마쓰리(祭)를 중심으로 공동체 통합의 기능을 수행해온 `마쓰리의 종교`이자, 동시에 신사제도를 통해 통치를 위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의 핵심에 위치해온 종교=정치 복합체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신도는 오늘날까지도 통상 일본의 대표적인 문화전통으로 인식되고 있다. 종교적, 국민적, 문화적 아이덴티티라는 세 가지 기준은 이런 맥락에서 설정된 것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측면은 서로 대별되면서도 별개의 고립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상호 교차하면서 중층적으로 신도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한다. 이 때 본고는 특히 근현대 서구(영어권)의 다양한 신도담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서구의 신도담론인가? 국내 학계에서 신도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서구권의 동양학 연구에 대한 분석도 아직 미개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우리는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를 강요받은 기억에서 비롯된 국가신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및 신도에 대한 연구의 부재로 인해 “신도는 국가주의적이거나 혹은 저급한 종교일 뿐”이라는 막연한 이해에 머무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 신도담론에 대한 본고의 관심은 우리에게 신도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동기 및 객관적 성찰의 계기를 부여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서구 신도담론이 요청되는 더욱 중요한 이유는 서구라는 제3의 시선을 통해 매우 낯설고 기이하게만 보이는 신도에 대한 우리자신의 시선을 상대화시킴으로써 향후 독자적인 일본 연구를 위한 하나의 참조점으로 삼고자 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Shinto(神道) is an Japanese indigenous ethnic religion, deeply related to Japanese Kokutai(國體, national body) and Japanese life. However, its origin is not clear.” A dictionary definition like this shows a general idea about Shinto in Japan, but the identity of Shinto is not so simple indee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omplex identity of Shinto by classifying religious identity,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which are not independent of one another, though differentiable. Rather it might be said that they cross-overly constitute Shinto`s identity in layers. From this perspective, I`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in modern times. In so doing, I will show the Lafcadio Hearn`s unique explanations on Shinto concerning religious identity, and Daniel. C. Holtom, William Elliot Griffis, William George Aston in national identity. Furthermore in referring cultur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note Shinto as a source of Japanese culture, Shinto ethics such as Kamunagara-no-mich(惟神の道), Makoto(誠), Wa(和), and Harai(?), and Shinto aesthetics of Mono-no-aware(物哀) etc., on which have been mentioned by Joseph W.T. Mason, Jean Herbert, and Lynn Leavenworth and so on. Finally, I will add the theme of “Shinto and Korea”, discussing diverse opin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expressed by many Western Japanologists such as W.G. Aston, John Carter Covell, and W.E. Griffis etc. Then, why the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We Koreans have a vague understanding that “Shinto is just a nationalistic or lowly religion”. Maybe that`s because we mistakenly identify Shinto general with State Shinto(國家神道), newly-made tradition in modern Japan, especially derived from the memory of coerced Shrine Visi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sum,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rn for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will give us a reflectional insight and/or more objective attitude when studying Shinto in Korea.

      • KCI등재

        Moroccan Religious Identity to Fight Fundamentalism

        Mohamed El Bouchikhi 한국이슬람학회 2016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igious reforms launched by Morocco in the aftermath of the suicide bombings of Casablanca in May 16, 2003, which aims to foster a national religious identity capable of countering the increasing intrusion of extremism. This religious identity focuses on promoting the Maliki rite ‘madhab’, Ash’ari theology, and Sufism against the growing peril of Jihadi and the rising threat of fundamentalist groups such as al-Qaeda and ISIL.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is to what extent promoting a national religious identity was successful in combatting internal terrorism menace in post 2003’s attacks? This paper argues that Morocco has successfully prevented the occurrence of any major terrorist attack similar to the suicide bombings of 2003, through promoting and enforcing a national religious identity. This paper will test the success of the religious identity in curbing fundamentalism by measuring the number of terrorist attacks carried out across the country, ‘de-radicalization’ of Salafi-Jihadists, and the request made by other countries to import Moroccan expertise in deradicalization, namely Mali and France.

      • KCI등재

        신도의 아이덴티티-근현대기 서구의 신도담론을 중심으로-

        박규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Shinto(神道) is an Japanese indigenous ethnic religion, deeply related to Japanese Kokutai(國體, national body) and Japanese life. However, its origin is not clear.” A dictionary definition like this shows a general idea about Shinto in Japan, but the identity of Shinto is not so simple indee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omplex identity of Shinto by classifying religious identity,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identity, which are not independent of one another, though differentiable. Rather it might be said that they cross-overly constitute Shinto’s identity in layers. From this perspective, I’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in modern times. In so doing, I will show the Lafcadio Hearn’s unique explanations on Shinto concerning religious identity, and Daniel. C. Holtom, William Elliot Griffis, William George Aston in national identity. Furthermore in referring cultur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note Shinto as a source of Japanese culture, Shinto ethics such as Kamunagara-no-mich(惟神の道), Makoto(誠), Wa(和), and Harai(祓), and Shinto aesthetics of Mono-no-aware(物哀) etc., on which have been mentioned by Joseph W.T. Mason, Jean Herbert, and Lynn Leavenworth and so on. Finally, I will add the theme of “Shinto and Korea”, discussing diverse opin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expressed by many Western Japanologists such as W.G. Aston, John Carter Covell, and W.E. Griffis etc. Then, why the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We Koreans have a vague understanding that “Shinto is just a nationalistic or lowly religion”. Maybe that’s because we mistakenly identify Shinto general with State Shinto(國家神道), newly-made tradition in modern Japan, especially derived from the memory of coerced Shrine Visi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sum,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rn for Western discourses on Shinto will give us a reflectional insight and/or more objective attitude when studying Shinto in Korea. “일본 고유의 민족종교인 신도(神道)는 종교의 범주를 넘어서서 일본의 국체와 일본인의 생활태도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나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이런 사전적 정의가 일반적인 상식이 되어 있지만, 실제 신도의 아이덴티티는 간단히 규정하기 어려울 만큼 대단히 복합적이다. 본고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이처럼 복합적이고 애매한 신도의 아이덴티티를 크게 종교적 아이덴티티, 국민적 아이덴티티, 문화적 아이덴티티라는 세 측면으로 대별하여 검토하는 데에 있다. 신도는 역사적으로 각 지역의 마쓰리(祭)를 중심으로 공동체 통합의 기능을 수행해온 ‘마쓰리의 종교’이자, 동시에 신사제도를 통해 통치를 위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의 핵심에 위치해온 종교=정치 복합체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신도는 오늘날까지도 통상 일본의 대표적인 문화전통으로 인식되고 있다. 종교적, 국민적, 문화적 아이덴티티라는 세 가지 기준은 이런 맥락에서 설정된 것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측면은 서로 대별되면서도 별개의 고립된 영역이라기보다는 상호 교차하면서 중층적으로 신도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한다. 이 때 본고는 특히 근현대 서구(영어권)의 다양한 신도담론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서구의 신도담론인가? 국내 학계에서 신도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서구권의 동양학 연구에 대한 분석도 아직 미개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우리는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를 강요받은 기억에서 비롯된 국가신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및 신도에 대한 연구의 부재로 인해 “신도는 국가주의적이거나 혹은 저급한 종교일 뿐”이라는 막연한 이해에 머무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 신도담론에 대한 본고의 관심은 우리에게 신도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동기 및 객관적 성찰의 계기를 부여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서구 신도담론이 요청되는 더욱 중요한 이유는 서구라는 제3의 시선을 통해 매우 낯설고 기이하게만 보이는 신도에 대한 우리 자신의 시선을 상대화시킴으로써 향후 독자적인 일본 연구를 위한 하나의 참조점으로 삼고자 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 KCI등재

        원불교의 정체성 정치와 위치

        고병철(高炳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원불교가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대체로 원불교를 불교나 신종교와 동일시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그에 비해, 이 글에는 원불교가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중층적인 종교 정체성을 형성해왔다는 관점이 담겨 있다. 이런 관점을 토대로, 제2장에서는 종교 정체성의 변화를 드러내기 위해 원불교의 역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저축조합(1917), 불법연구회기성조합(1919), 불법연구회(1924), 원불교(1948) 등으로 전개된 역사적 과정에서 스스로를 불교단체 또는 신종교로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 원불교 내부에 축적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원불교의 종교 정체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논쟁 형태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논쟁 형태는 불교와 차이를 드러내어 신종교임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 그리고 불교와 유사성을 강조하는 연구 경향의 구도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논쟁 구도가 형성된 배경이 원불교 역사에서 축적된 중층적 종교 정체성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원불교가 사회적으로 전개한 종교 정체성의 정치와 효과에 관해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원불교가, 비록 1970년대 중반 이후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1948년 이후 불교 연합체에 꾸준히 참여한, 동시에 1962년 이후 범종교 연합체에서 활동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면서 국가장, 군종, 교화위원, 인구총조사, 학문 분류 등의 측면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원불교의 중층적 종교 정체성이 역사적 경험의 축적물이고, 원불교의 현재 위치가 특히 해방 이후에 종교 정체성의 정치가 만들어낸 산물이라고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불교가 이런 중층적 종교 정체성을 가지고 불교나 신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고, 불교와 다른 독자성을 강조하여 불교와 동등한 차원에서 여러 제도적 이익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런 공존 가능성과 제도적 이익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원불교가 종파불교나 신종교단체 가운데 어느 한 쪽만으로 종교 정체성을 규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dentity politics of Won-Buddhism in Korea.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Won-Buddhism i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 new religion. However, I take the view that Won-Buddhism has formed layered identities as both Buddhism and new religion, through the politics of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perspective, in chapter 2(‘Religious identities of Won-Buddhism’), I revealed th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examining the history of Won-Buddhism, And, I argued that Won-Buddhism can be regarded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or as a new religion. In chapter 3(‘Controversy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identities of Won-Buddhism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se trends, the researches of the first type have exposed the differenc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new religion. By contrast, the researches of the second type have exposed the similarities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have emphasized Won-Buddhism as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These trends were made because multi-layer dimensions of Won-Buddhists’ identities. Finally, in chapter 4(‘Won-Buddhism and Identity politics’), I examined the identity politics as Won-Buddhism. Here, I pointed out that Won-Buddhists, 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Orders since the mid-1970s, have worked in Buddhist association since 1948, not only in the pan-religious coalitions since 1962. As a result, Won-Buddhists could obtain various institutional interests through their identity politics. In summary, Won-Buddhists have formed multi-layer religious identities in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and Won-Buddhism could have existed between a modernized form of Buddhism and a new religion through its identity politics. And Won-Buddhism has obtained institutional interests at the similar level with Buddhists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can assume that multi-layer identities of Won-Buddhis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청년 가나안 성도의 시민윤리적 종교 정체성과 종교문화적 실천

        서도원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2 신학연구 Vol.59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religious identity and the religious practice of young Canaan Christians are created and developed. This study employs Stuart Hall’s ‘cultural identity’ and Paul Willis’s ‘penetration’ and ‘limita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ir concepts are mostly useful as the ideological elements correspond to the young Canaan Christians’ religious identity and religious practices, excee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bstantial religious concepts. The result indicates that Young Canaan Christians were not deviators complaining about church or unethical beings. They were forming their identity based on distinctive ethical standards. The young Canaan Christians also shift their religious practice from religious rituals to soci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thical basis underly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 young Canaan Christians.

      • KCI등재

        가톨릭 청년 냉담자의 탈교회화 현상연구

        박진희(Jinhee Park),오세일(Seil Oh) 한국종교학회 2020 宗敎硏究 Vol.80 No.3

        In a secular age, the number of young Catholics has decreased. Few research has focused on young adults’ drop-outs from the Catholic church, emphasizing a mere private choice, mal-adaptation in the church, or immature faith.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empirical reasons why young Catholics leave the church and how they try to construct their own religious identities. This study conducted 20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report that young adults as social and subjective agency leave the church when they cannot find religious relevance in their busy life. In particular, hurt from church authorities (i.e., clergy), pressure of the formalistic ritual, antipathy about strict doctrines may entail the option for being ‘unchurche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three types of religious identifications. First those with a traditional identity still maintain a favor on the church, respecting the church authority and desiring to come back to the church. Second, those who have an unchurched identity pose their own authority over the church; some among them pursue spiritual values. Third, those with a fluid identity, situated between traditional identity and unchurched identity, do not try to fix but flexibly select their religious identity as they are open to take its advantage in a different circumstance. Those unchurched young Catholics tend to select and interpret their religious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ir religious upbringing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In sum,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onstruction of various religious identity among Catholic young adults.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을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경험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경험은 1단계: 부여된 정체성, 2단계: 정체성 갈등, 3단계: 정체성 선택과 그 결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한일 축복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는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와 또래 친구의 지지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일 축복 결혼을 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국가적 정체성과 종교적 정체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다문화정책의 발전적 논의를 위해 첫째,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배려와 존중의 다문화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 정체성 연구를 위해서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categorizes their experiences into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ultural identity form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blessed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stage 1: given identity, stage 2: identity conflict, and stage 3: identity selection and its results. Secondly, the children’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upport from their peers had a crucial effect in their cultural identity formation. Thirdly, their cultural identity was foun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ir inter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ill be necessary to have developmental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carried out in school for the proper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come mutually harmonious. Secondly, a multi-cultural policy promoting respect and regar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needed. Thirdly, research on religious identity must be vitalized to enable elaborate studies of cultural 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