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종교, 영성 그리고 건강

        김성건(Kim, Sung-Gun)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0 종교문화연구 Vol.- No.15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health care has cycled between cooperation and antagonism throughout history. In recent years,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religion on health has grown significantly in the medical and scientific communities. Moreover, increasing attention to spirituality, which has been awakened by the “subjective tum”, has become an important trend in gerontology, human services and health sciences. Spirituality is complicated, overlaps with religion, infuses all human life and, therefore, is difficult to study. Nonetheless, there is little doubt that both religion and spiritual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y people’s lives and that this has an impact on their health. Consequently,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have grown substantially since the 1990s. In this essay, adopting methodological agnosticism, I discuss definitional issues regarding spirituality and briefly review the current knowledge regarding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Professional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on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have been limited mainly by complex religious and cultural values. Given that science and religion increasingly agree that a little spirituality may be very good for one’s health, following David Moberg’s insight, I conclude that a major need is for comparison of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outcomes of various religions’ spirituality.

      • KCI등재

        현대불교의 사회문화적 가능성 : 종교의 다층적 상황과 한일(韓日)비교의 관점에서

        카시오 나오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4 No.-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종교상황의 비교를 통하여 일본의 종교성, 종교지형의 특수성을 설명함과 동시에, 현대 일본의 종교문화의 특징을 적출하는 것에 의해서 불교가 완수해야 할 보편적인 사회문화적 역할의 가능성을 분명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과 같이 교단에 귀속의식이 비교적 높지 않은 일본사회의 종교성의 현대적 특징은, 1. 관습으로서의 신도(神道)와 불교의 습합적인 민속종교, 2. 문화로서의 신도나 불교, 3. 신종교나 크리스트교를 중심으로 한 여러 종교에 대한 신앙으로서의 종교, 4. 의식(醫食)/직교유(職敎遊) 등의 비종교의 영역에서도 횡행하는 종교성으로서의 스피리츄얼리티 (spirituality) 문화에 있다. 「스피리츄얼리티 문화」란 종래 종교가 표현해 온 영적인 것이나 위대한 생명에 대한 관심 또는 그것을 표출하는, 7~80년대 이후로 성립해 온 문화이다. 스피리츄얼리티 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테라피(therapy)문화와 대중문화가 있다. 전자는 말기치료(terminal care)로 영혼의 아픔을 완화하는 스피리츄얼 케어나, 보편적인 신(神)관념에 의해서 금주하는 자조단체, 알코홀릭스·에노니머스(Alcoholics Anonymous)가 그 전형이며, 후자로는 자연이나 우주와의 일체감이나 영적 세계를 그리는 애니메이션이나 다큐멘터리, 노래가 있다. 테라피문화는, 종교의 복권(復權)과 재편성, 대중문화는 현대의 신화나 의례라고 하는 기능이 있어, 현대 일본의 종교성을 다층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양자에는 종교 고유의 교설의 탈신화화와 실천의 탈문맥화라고 하는 공통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특정종교에 틀을 넘어서는 보편적인 종교성이 지금 강력히 희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의 포괄적인 종교문화에 대하여 여러 종교 중에서 불교가 가장 친화적이다. 불교는 다른 세계종교나 민족종교에 비해 신화적 요소가 적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실천윤리의 요소가 많기 때문에, 현대의 종교문화 헤게모니를 차지하는 스피리츄얼리티 문화의 정통적인 문화자원으로서 지도적 역할을 완수하는 것과 동시에, 탈신화화한 생과 사의 가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 염불 등의 노래하는 언어나 좌선 등의 명상수행도 똑같이 일반인에게 열려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일본불교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한국을 비롯한 온 세계의 불교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This paper is purposed to explain the nature of religion and the peculiarity of religious topography through comparison of religious condi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 and to simultaneously clarify possibility of universal socio-cultural role of which Buddhism has to accomplish, by the extraction of characters of contemporary Japanese religious culture. Contemporary characters of religiosity of Japanese society - unlike Korea, comparably lower sense of belonging to the order - are 1) the folk religion as custom, which Shintoism and Buddhism mingled, 2) Shintoism and Buddhism as culture, 3) religions as faiths of many other religions centered with neo-religion or christianity, and 4) the spirituality cultUre as a religiosity that is pervasive in various non-religious areas like medicine, food, job, education, recreations and so on. The spirituality culture established since 1970-80s, is interest or expression on spirit or great life which used to expressed by traditional religion. The therapy culture and the public culture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spirituality culture. The typical forms of the former are the spiritual care which is a terminal care for relieving pain of soul/spirit, or Alcoholics Anonymous which is a self-help group for abstinence with universal God concept, and the latter has animation, documentary, and song which illustrate a sense of unity with nature or universe, or a spiritual world. Since the therapy culture has functions of the reinstatement and reorganization of religion, and the public culture has the function of myth and ceremony of contemporary, the both are composing contemporary religiosity of Japan in multi-levels. It can be point out that the both commonly possesses post-mystification of tenet and post-contextualization of practice, in which tenet and practice are originally peculiarities of traditional religion. In other words, universal religiosity which transcend to a frame of specific religion is strongly required at present. In respect to these comprehensive religious culture of contemporary, Buddhism is most friendly among all other religions. Buddhism possesses less mythic elements and more elements of ethical practice in daily life, comparing to other world religion or ethnic religion. Therefore, Buddhism is possible to play the leading role as the orthodox cultural resource in spirituality culture which takes hegemony in contemporary religious culture, and also to suggest posr-mystified value of life and death. Singing language such as chanting Buddha or reading sutras and meditation practice of various kinds are opened for everyone equally. It is not only applicable to Japanese Buddhism, rather it can universally applicable to Buddhism of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 KCI등재

        기독교 영성의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 종교론에 대한 비판

        김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종교에 대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근대의 심리학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친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종교를 분석하고 비판한다. 이 글에서는 프로이트가 종교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그의 주요한 논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프로이트에게 종교는 보편적 강박신경증이다. 그는 그의 환자들의 행위와 종교행위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프로이트는 그의 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근거를 원시인들의 토테미즘에서 찾는데, 거기에서 종교와 신의 존재의 근거를 찾는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한 다음, 기독교 영성과의 관계 속에서 프로이트를 재해석한다. 이 논문은 두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첫 번째, 왜 종교를 다루는데 영성이 중요한지 그리고 프로이트는 왜 이 부분을 깊이 설명할 수 없었는지를 다룬다. 프로이트는 종교를 다룰 때 종교의례나 종교행위에 대한 것만 분석하는데, 이것은 그가 영성이나 영적인 영역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영성은 종교를 논의하는데 빠질 수 없는 영역이므로, 프로이트 이론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것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그래서 황홀경이나 일치와 같은 종교적 현상을 그는 환상이라는 단어로 일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도 언급할 것이다. 두 번째, 이 논문은 성숙에 대한 것을 살핀다. 프로이트는 인류의 성숙을 위해 종교는 사라져야 하고 극복되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정신분석학이 지향하는 성숙은 기독교 영성의 목적과 다르지 않으며, 도리어 영적성숙은 프로이트가 말한 인간의 성숙보다 더 고차원적이라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영적성숙이란 단지 무의식에서 벗어나 자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영적성숙은 자아를 넘어서는 가치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단계이며, 이것은 인격적인 성숙보다 더 차원이 높은 성숙이다. 그래서 영적성숙은 인격적 성숙의 개념을 포함한다. 조금 다른 관점에서, 융이나 아들러 같은 일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격적인 성숙을 위해서라도 종교는 인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점에 입각했을 때, 성숙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도 프로이트는 지극히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는 학자들이 많이 다루지 않은 주제를 고찰함으로써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This research criticizes Freud’s theory on religion. Freud, who has exerted his influence to many areas such as arts and culture as well as psychology, also deals with religion in his articles. He analyzes and criticizes religion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is study shows how Freud understands religion, revealed in his several articles. Freud sees that religion is an universal obsessional neurosis. He find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obsessive neurosis and religious behaviors. Based on his observation on the acts of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he concludes that religious rituals are neurotic behaviors. He tries to uncover the evidences of his argument from anthropological data. He believes that the origin of religion and God can be found from totemism in the primitive society. Then, this article interprets Freud’s theory on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spirituality. It focuses on two parts. Firstly, it explains why spiritual matters are important in dealing with religion and why Freud fails to illustrate this in depth. It points out that Freud cannot give an explanation on spiritual phenonenon since he does not have any spiritual experience. He presents religion in the form of ritual and liturgy, excluded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is one of important parts. Because of this, oceanic experience or religious experience cannot be persuasively interpreted in Freud’s theory. Secondly, it compares maturity in Freud’s theory with that in christian spirituality. Freud says that religion has to disappear for the maturity of human beings. However, the aim of psychoanalysis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christian spirituality. Rather, spiritual maturity has broader meanings. It does not simply mean that a man controls ego or unconsciousness. It includes that a man devotes himself to a higher value in life.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psychologists such as Jung and Adler insist that religion should be accepted by people to become mature. In this sense, Freud has a narrow perspective on spirituality and religion. This paper widens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by exploring a topic that Korean scholars have ignored.

      • CASE 분석을 통한 무속인 모-녀의 성격특성

        박경은(Park, Kyung Eun)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2014 연세상담코칭연구 Vol.1 No.-

        “성격의 변화는 가능한가?”, “종교/영성을 성격의 한 특성으로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영성/종교성을 통한 성격 변화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이 본고를 시작하게 된 질문들이다. 국외에서는 성격 5요인 특성을 중심으로 ‘종교/영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종교/영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극히 제한적이었으며, 특히 한국인 토착종교의 깊은 뿌리를 두고 있는 샤머니즘과 관련된 영적 지향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샤머니즘을 업으로 삼아 살아가야 하는 무속인 모녀와의 상담 CASE STUDY를 통해 ‘종교/영성’을 통한 성격의 기질과 적응을 분석해 보고, 변화의 가능성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의 상담 사례를 통하여 몇 가지 의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외 많은 논란 가운데 성격의 5요인 중 개방성(O)을 ‘종교/영성’과 연결해야 된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는 ‘종교/영성’의 성격적 특성을 6번째 독립된 특성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더불어, ‘종교/영성’이라는 특성은 한국의 샤머니즘이라는 독특성(EMIC)의 측면에서 기존의 것들과는 다른 의미를 담지한 것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격의 적응과 발달은 변화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인정과 수용, 변화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한 적극적 용기와 실천이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종교/영성’에 관한 성격적 특성이 무속인 모녀와의 상담적 대화 및 MMPI, NEO 인성검사, VIA 검사를 통해 어떠한 삶의 유전적 특성과 적응, 새로운 변화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Is personality change(transform) possible?” How can we understand religion/spirituality as one of the personality traits? Can we understand personality change through religion/spirituality in a specific case? These questions motivated me to write this paper. The religion/spirituality in personality Five-Factor traits had been studied and researched consistently. However, these kinds of studies were limited in Korea and very few academic studies have been done for spirituality oriented personality traits especially in Shamanism. Shamanism is a religion rooted in the Korean indigenous belief and practice.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an mother and daughter’s disposition and adaptation through counseling case study as well as considered about possibility of change in personality.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es that the religion/spirituality should be connected to Openness(O) in personality five-factor traits. However, this paper supports that religion/spirituality trait should be considered independent sixth personality trait. Furthermore, this empirical case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efine religion/spirituality trait as different category from the side of uniqueness(EMIC) in Korean Shamanism. Finally, the personality adaptation and development means that we should recognize and accept the unchangeable factors while encouraging and practicing the changeable factors. In particular, this paper shows that how religion/spirituality trait of the shaman mother-daughter makes their inherited tendencies and adaptation, a new possibility through counseling conversation by using MMPI, NEO personality inventory and VIA inventory.

      • 종교의 위기 속에 ‘종교’는 여전히 유효한가? - 유발 하라리’의 종교 비판에 대한 신학 적 성찰 -

        송용민 인천가톨릭대학교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3

        Historian Yuval Noah Harari, who currently brings Sapiens syndrome, started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riticism on human religion in his famous book “Homo Deus” as to “religion is the tool to keep the public order and to organize the large scale of cooperation”, “religion pays attention to public order, its object is to make and keep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future civilization which man, Homo Sapiens, pursues is the era of new civilization driving cooperation from inter subjective reality. In that era, the new religion manifestation will be that of human being is no longer subject to God but finds self divine domain within him/her self, which is far from pre-existing religions that were compromised with secular order and existed power in history. The traditional Western religious sentiment as ‘man standing in front of God’ which Yuval Harari criticized faced the question of doubting question about God. The discourse which was rooted from the presence of God has been attempted by diverse examination of Western religious philosophy and the science of religion, but the religion as a system faced the crisis because of materialization of religion, ideology of religion and reduction of certain concept of religion to religious sentiment. These days, through anthropological explanation of religion concept and pluralistic religion explanation contrasted to absolutism, which was shown in Western revealed religion, the common religious sentiment of humanity is connected to an attempt to redefind based on man’s various religious experiences not just as a certain religion viewpoint. As a result, active studies are going on to define newly sentiment, Christian theology also strays from God-oriented sentiment, accepting human-oriented, salvation-oriented sentiment, without losing of Christianity uniqueness. The religious criticism of Yuval Harari is redefining the religious sentiment which human being is to face in new civilization era, not as a simple religion of uselessness and worthlessness, but as a request of new religious order beyond the paradox of existing institutional religions. Is the prevailing ‘spirituality’ which is requested in the human religious world can be the alternative to such a religious crisis? Or do we need a new rule about the essence of religion? We should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최근 사피엔스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그의 주저 호모 데우스에서 “종교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대규모 협력을 조직하는 도 구”이며, 종교는 사회적 질서에 관심을 갖고, 종교의 목표는 사회 구조를 만들 고 유지하는 것”일 뿐이라는 인류 종교에 대한 문명사적 비판을 시작했다. 그 리고 호모 사피엔스인 인간이 추구하는 문명의 미래는 상호주관적 실재를 토 대로 협력하며 이끌어낼 새로운 문명의 시대이며, 그 시대는 역사 속에서 제도 로서 세속적 질서와 힘에 타협해온 기성 종교들이 아니라, 인간이 더 이상 신 에 종속되지 않고 스스로 신성의 영역을 자신 안에서 찾으려는 새로운 종교성 의 발현이라고 말한다. 유발 하라리가 비판하는 ‘신 앞에 선 인간’이란 전통적인 서구의 종교성은 신에 대한 물음을 통해 의문에 처해졌으며, 신 존재에 뿌리를 둔 종교에 대한 담론은 서구의 종교철학과 종교학의 다양한 성찰을 통해서 시도되었지만, 제 도로서의 종교는 종교의 사물화, 종교의 이데올로기화, 종교 개념을 일부 종교 성으로 축소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종교 개념의 인간학적 해명과 그리스도교로 대표되는 서구의 계시 종교의 절대성에 대비되는 다원주의적 종교 해명을 통하여 인류의 보편 적 종교성을 특정 종교의 관점이 아니라 인류의 다양한 종교 체험을 토대로 재규정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그 결과 그리스도교 신학 역시 신중심주의적 종교관에서 벗어나 인간중심적, 구원중심적 종교관을 수용하며 이를 그리스 도교 계시 종교의 고유성을 상실하는 일 없이 새롭게 규정하려는 연구도 활발 해지고 있다. 유발 하라리의 종교 비판은 단순히 종교의 무용성과 무가치성이 아닌 새로 운 문명 시대에 인류가 맞이해야할 종교성의 재규정이며, 제도 종교가 안고 있 는 모순을 넘어서는 새로운 종교적 질서에 대한 요청이기도 하다. 인류의 종교계에 확산되고 있는 ‘영성’의 요구는 과연 이러한 종교의 위기에 대안이 될 것인가? 아니면 종교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규정이 필요한 것일까? 우리는 이 물음에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22년 종교 교육과정 : 종교인 만들기와 ‘유사종교’ 발명 교육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on religions. The perspective of this reflection is that since the religious curriculum is meant to be a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pplicable to all high school students, be shareable, and function as a place for meta-reflection regarding the proper use of the category of religion.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Section 2. The form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looks similar to the previously utilized curriculum. However, the main change is that the subject of religions was arbitrarily placed into the category of ‘subjects for choosing a career.’ And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has tw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spiritual formation)’ and the reemergence of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n Section 3, I delved into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through religious refle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discovered that the concept of ‘reflection as a metacognitive technology,’ which was the core of the prior 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ere also added. In Section 4, I delved into the dichotomy of ‘religion and pseudo-religion.’ ‘Pseudo-religion’ is a new focus in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s a combination of an outdated administrative ter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d as such, the term is inherently value-laden and harmful. I also revealed that determining ‘pseudo-religion’ in school education regenerate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General’s biased attitudes toward Korean religions and forces teachers to ‘invent’ (detect or personally appraise) modern day pseudo-religions through arbitrary judgements. The ‘curriculum to emphasize religious reflection and detect pseudo-religion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people’ can distort the subject of relig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into a ‘subject for religion (promotion or degradation).’ If this distortion continues,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on religions existing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eventually become a subject of debate. 이 글의 목적은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있다. 성찰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고등학생에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하고, 공유될 수 있어야 하며, 종교 범주를 활용한 성찰의 장(場)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고찰하였다. 형태상으로는 종래 교육과정과 유사하다는 점과 함께, 특히 종교 과목을 ‘진로선택’에 배치한 근거가 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내용상 특징으로는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과 ‘유사종교’론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적 성찰을 통한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위해, 기존 교육과정의 핵심인 ‘메타 인지적 기술로서의 성찰’ 개념을 ‘종교적 성찰’로 변형시키고 영성과 종교성 개념을 추가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와 유사종교’의 이분법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유사종교’ 개념이 조선총독부의 행정 용어(‘종교유사의 단체’)에 ‘해롭다는 인식’이 결합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유사종교’를 판별하려는 것이 종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태도를 재생하는 것이고, 교사에게 종교와 유사종교를 판별하는 ‘자의적’ 기준을 만들어 끊임없이 유사종교를 ‘발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이 ‘종교적 성찰을 통해 종교인을 만들면서 유사종교를 발명하려는 교육과정’이라면, 종교 과목은 ‘종교를 위한 과목’이라는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시선이 정당성을 얻게 된다면 향후 사회적 논제는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에 존재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 종교의 사유화와 영성의 상품화

        김성건 한국이론사회학회 2007 사회와 이론 Vol.11 No.-

        The globalization of mass societies and the porous pluralism of late modernity confront all contemporary world religions with similar problems of 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privatization – predicaments that bear on their place in the modern world. I thus conclude in one paper (Kim, 2002: 186) that the main structural dilemma of world religions is that even as the privatized (pure) function of religions waxes, their public influence wanes. Many foresee increasingly widespread spiritual concerns, as free market economy development spreads and, with it, heightened belief in the value of the autonomous person. Regarding contemporary cultural shift in relation to the spheres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we can say that the shift from ‘religion’ to ‘spirituality’ or the so-called ‘subjective turn’ is associated with ‘advanced’ industrial society. For instance, left-wing hippies (Aquarians) and right-wing fundamentalists (Evangelicals) both sought firsthand spiritual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gulf between globalization and identity. Drawing attention to the pernicious social effects of neo-liberal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arket mentality’ is now infiltrating all aspects of human cultural expression in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From this, the study examines the growing commercialization of ‘religion’ in the form of the popular notion of ‘spirit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global rebirth of experiential spiritualities. 대중사회의 세계화와 후기 근대성의 다원주의가 현대의 모든 세계 종교들을 구조적 분화와 사유화라는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도록 만들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필자는 선행 논문(2002)을 통해서 세계 종교의 주요한 구조적 딜레마는 종교의 사적인(순수한) 기능은 증가하지만, 그것의 공적인 영향력은 감소하는 데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자유 시장경제가 확산됨에 따라 영적인 관심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이와 함께 자율적 개인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 신장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종교와 영성의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금의 문화적 전환에 대하여, 우리는 ‘종교’로부터 ‘영성’ 쪽으로의 전환, 곧 이른바 ‘주관적 전환’이 선진 산업사회와 관련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좌파 뉴에이지 히피들과 우파 복음주의 근본주의자들 모두 세계화와 개인의 정체성 양자 사이의 간격이 계속 벌어지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직접적인 영적 체험을 찾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부정적인 사회적 효과에 주목한 이 논문은 선진 자본주의사회에서 인간의 모든 문화적 표현에서마저도 ‘시장 멘탈리티’가 침투하고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로부터 이 논문은 ‘영성’이라는 대중적 개념의 형태 속에서 ‘종교’가 점차 상업화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결론 부분에서 이 논문은 최근 체험적 영성이 전 지구적으로 부흥하고 있는 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종교별 비교

        장미애,유지영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 Research topics: The impa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as examined by religion. · Research background: Spirituality may be a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 which can lower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by relig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impa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as examined in more detail by dividing the religious groups into Buddhist, Christian, Catholic, and no religion. · Research method: The survey data of 1,880 older adults in Chuncheon area were used f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religion (Buddhist, Christian, Catholic, no religion) using SPSS 26.0. · Research results: Spiritua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only among the Christian group.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according to religion. · 연구 주제: 노인의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교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연구 배경: 노인에게 있어 영성은 우울을 낮추어 줄 수 있는 심리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교별로 세부적으로 비교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노인의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종교에 따라 불교, 개신교, 천주교, 무교 집단으로 구분하여 좀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연구방법: 춘천지역 노인 1,880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SPSS 26.0 프로그램으로 종교(불교/개신교/천주교/무교)에 따라 각 집단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개신교 집단에서만 노인의 영성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종교에 따라 노인의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왜 영성(靈性)의 시대인가?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오늘날을 ‘영성의 시대’라고 부른다. 영성이란 영적 존재인 인간이 “영을 따라 사는 삶”이며, 인간의 가장 본연의 종교적 태도이다. 그리스도교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말씀의 육화의 신비를 삶 속에서 살아가는 영적 태도를 말한다. 그러나 오늘날 영성의 시대를 갈망하는 현대인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도전이 존재한다. 소유와 탐욕의 약탈 자본주의, 능률과 성과 중심의 피로사회의 압박감, 시장이 된 종교와 종교의 세속화 현상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문명의 위기는 곧바로 영성의 위기이자 기회이다. 21세기 그리스도인에게 요청되는 영성은 이러한 문명의 위기에 대처하는 그리스도인의 고유한 영성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고 지탱해주시는 신앙 감각(sensus fidei)을 재발견하고 회복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존재하고 있음에 감사하고 관계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찾는 영성,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올바른 정신의 지향점을 식별하고 자아중심에서 벗어나 하느님께 자신을 내어주는 비움의 영성, 그리고 이웃 사랑의 실천을 통하여 하느님 사랑을 회복하고 고통 받는 이웃과의 연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실천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영성의 시대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거룩함에 초대되고 있음을 깨닫는 일에서 시작된다. 성덕에로의 초대는 영성생활의 출발점이며, 속된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거룩함을 일상 안에서 발견하는 21세기 그리스도인의 과제이기도 하다. Today is called by “The Spirituality era”. Spirituality means that human as a spiritual being is “following by the Spirit”, which is human’s inborn religious attitude. Christian spirituality means the spiritual attitude that is living in God’s Word, which leads life to the incarnated mystery in real life through Jesus Christ. But these days, modern men who are longing for the spiritual era face to various kinds of challenges. Those are (1) Democracy of possession, greed and plunder, (2) Tired-society pressure centered on efficiency and outcome, and (3) Religions as a market and secularization. These 3 crises of civilization are the chance as well as crisis of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demanding on the 21th Christians is to recover the inherent tradition of spirituality coping with such a crisis of civilization. To do this, to rediscover and recover the Sensus Fidei, which is awakened and sustained by Spirit of Truth. For this, it is needed that the spirituality which thanks for Being, the spirituality which finds identity within relationship, the kenosis spirituality which discerns the right spiritual direction point among value chaos while getting out of ego-centric, the practicing spirituality that recovers God’s love through loving neighbors and practice Christ’s Gospel through solidarity with suffering neighbors. The Spirituality era begins with realization that all Christians were invited to holiness. This invitation to flourishing virtue is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life. Also this is the assignment to the 21st Christians who discover God’s holiness in everyday life within the secular world.

      • KCI등재

        종교와 경제 관계 연구의 새로운 모색: 종교윤리·영성적 접근

        전명수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1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theory of religion and economic relations, and exploring the role of religion in the economic life of corporate stakeholders, especially workers, focusing on religious ethics and spirituality.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dangerous to exclude religious ethics from corporate ethics when approaching religion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at values daily life rather than economic growth. Religious ethics required by companies are key factors such as religious conversations with stakeholders, managers' heavy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EO's practice of promises. In particular, empirical and normative theories on corporate ethics maintain a distance from each other, which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religion will be able to overcome that distance. Next, spirituality in the economy is defined as “the desire to find ultimate purpose in life, and to live accordingl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pirituality are often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universal social solidarity, service to the world, prejudice in favor of the poor, and a tendency to refrain. This means that spirituality in the economy is real in life and aims for justice. At the heart of true spirituality is vulnerability, gentleness, and humility, and what is particularly incompatible with the spirit of vulnerability is considered "the spirit of success," not toughness. Some religious-based companies emphasize the spirit of success more than the role of religion suggested in some of these theories. Religious ethics and spirituality are difficult to contribute immediately to the generation of corporate profits, but they are expected to be a new way for companies to make use of them with deep consideration in that they play an indirect and long-term role in showing changes in the lives of workers who support the economy. 본고는 종교와 경제 관계 이론을 살펴보고, 종교윤리와 영성을 중심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 그중 근로자들의 경제적 삶에서의 종교의 역할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최근 종교와 경제학 모두 일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 종교를 경제성장이 아닌 일상을 중시하는 경제학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 기업윤리에서 종교윤리를 배제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기업에서 요구되는 종교윤리는 이해관계자들과의 종교적 대화, 관리자의 막중한 책임의식, 기업주의 약속 실천 등이 핵심 요인이다. 특히 기업윤리에 대한 경험론과 규범론은 통합하기 어려운 서로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종교가 그 거리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다음, 경제에서의 영성은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찾고, 그에 따라 살고자 하는 욕망”으로 정의된다. 비즈니스 영성의 공통적인 특징은 보편적 사회적 연대, 세상에 대한 봉사, 가난한 사람들에게 유리한 편견, 자제하는 경향의 네 가지로 요약되기도 하거니와, 이것은 경제에서의 영성이 삶에 기반하는 현실적이고 정의로움을 지향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진정한 영성의 중심에는 취약성, 온화함, 겸손이 있는데, 취약성의 영성과 특히 양립할 수 없는 것은 강인함이 아니라 ‘성공 정신’으로, 종교기반 기업 중에는 일부 이러한 이론에서 제시된 종교의 역할보다 성공에 더 중점을 두기도 한다. 비록 종교윤리와 영성은 기업의 이윤 창출에 즉각적인 기여가 어렵지만, 경제를 뒷받침하는 근로자들의 삶에서 변화를 보여주는 간접적이고 장기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기업이 숙고해서 활용할만한 새로운 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