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재활을 위한 사회지각척도의 개발

        안석균,손석한,이만홍,이희상,안혜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연구목적 :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군 및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Brenner등의 인지재활전략에 합당하며. 시각지각과 분위기지각으로 세분화하여 사회지각 결핍을 발견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신뢰도 및 변별력을 갖춘 사회지각척도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저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 30장 중에서 통합심리치료연구팀의 구성원들의 의견일치에 따라서 10장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에 저자들은 시각지각 소척도와 분위기지각 소척도로 이루어진 문항을 개발하였고 이를 사회지각척도 예 비판으로 삼았다. 이를 만성정신병원의 정신분열증 환자 20명에게 실시하였고. 다음으로는 DSM-IV 정신분열증 기준에 부합되는 대학정신병원 폐쇄 병동의 환자 20명과 정상인 20명에게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신뢰도가 낮은 항목을 제외하여 최종 사회 지각척도를 구성하였다. 저자들은 사회지각척도의 항목 난이도를 만성정신병원 환자들과 대학병원 환자들 간에서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군과 정상인 대조군 사이의 사회지각척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최종 사회지각척도는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점자간 신뢰도의 값에 따라서 6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사회지각척도는 정신분열증의 두 집단 간에서 유사한 항목 난이도 순위를 보여 주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분위기지각 소척도의 점수(t= -3.09. p<.01) 및 사회지각척도의 전채 점수에서(t= -3.33, p<.01) 정상인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지각척도는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점자간 신뢰도 및 변별력이 우수하며. 정신분열증의 인지재활전략에 직접적인 응용 및 인지재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order to develop the social perception scale which could detect the deficits of the social perception, composed of visual perception and contextual perceptio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might have the desirable reliability and discriminating power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normal controls, and so as to be appropriate to the schizophrenics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of Brenner, et al. Methods : We selected 10 photographs among 30 photographs which could show the variable social situation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the staff members of the Integrated Psychologcal Therapy. Then we developed the questions, composed of visual perception subscale and contextual perception subscale, which we called preliminary social perception scale. We tested the above scale to the 20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the chronic mental hospital. Then we tested the above scale to both the 20 patients meeting DSM-IV criteria for schizophrenia in the closed ward of the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and the 20 normal controls. We developed the final social perception scale to exclude the items of inadequate reliability. We compared the item difficulties of social perception sue between the patients in the chronic mental hospital and those in the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Finally, we compared the scores of social perception scale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normal controls. Results : The final 6 items were selected to become the social perception scale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item-total correlation,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final social perception scale showed similar rank of item difficulties between two groups with schizophrenia. The patient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on the scores of contextual perception subscale(t= -3.09, p<.01) and the total scores of social perception scale(t= -3.33, p<.01).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ove social perception scale which has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 discriminating power. This scale can be applied to both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노인 어깨 통증 환자들에 한궁 훈련이 재활운동에 미치는 영향

        권봉안 ( Bong-an Kwo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6 스포츠사이언스 Vol.33 No.2

        본 연구는 평소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만 70세 이상의 여성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궁훈련이 어깨통증 재활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어깨통증환자 여성노인들 중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에서 통 증의 정도가 6이상인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재활운동만 하였을 경우와 재활운동과 한궁훈련을 함께 하였을 경우 관절의 가동범위와 근 활성도, 통증감소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평균차 검증을 위하여 t-검증(t-test)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재활운동과 한궁 훈련을 함께 실시한 집단은 재활운동만 실시한 집단에 비해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활운동과 한궁 훈련을 함께 실시한 집단이 재활운동만 실시한 집단보다 근활성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재활운동과 한궁 훈련을 함께 실시한 집단은 재활운동만 실시한 집단에 비해 상사척도에 의한 통증 수치가 낮아졌다. 이상의 결론으로 종합해 보면, 노인 어깨 통증환자들의 경우 재활운동을 하게 되면 관절의 가동범위가 늘어나고 통증이 감소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재활운동과 함께 한궁 훈련을 같이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을 때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하고 통증이 감소되며 근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HANGUNG training on rehabilitation of elderly with shoulder pain. The subject is that over 70years old women patients those who used to have shoulder pain. Twenty patients those who have the pain score more than six through VAS were randomly completed both jus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HANGUNG training for 12weeks. The comparison has made through the analysis of ROM, muscle activity by EMG and Pain scale. The data analysis used SPSS 20.0 statistics program through t-test and two-way ANOVA in order to verify mean difference and produc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clause. The analysis were; (1)the ROM has increased in HAGGUNG training intervention than only rehabilitation, (2)the muscle activity by EMG also increased in HANGUNG group more than the group with just rehabilitation training, (3)the VAS score was lower in HANGUNG group.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aining on increasing ROM and decreasing the pain has shown with this analysis. However,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HANGUNG could bring more affirmative effect of ROM, pain decrease and muscle improvement.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센터의 조직효율성 평가

        양숙미,전동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센터의 조직효율성을 평가하여 중증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지원 사업 수행기관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지원 사업을 수행한 직업재활센터 34개소의 평가결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직효율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였다. 조직 효율성 평가를 위한 투입요인으로 직원 인력, 직업재활 예산을 사용하였다. 산출 요인으로 취업 장애인 수, 취업확정 장애인 수, 이용자 만족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직업재활센터는 편차가 크지 않고, 6개의 기관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효율성 평가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DEA 분석은 기존 평가지표방식을 대체하는데 무리가 없어 보이며, 기관에 컨설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시사점은 직업재활센터는 불변규모수익형(constant returns scale)으로 나타났다. 즉, 규모를 증가시키더라도, 추가적인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해서, 현재의 직업재활센터는 정책상으로 적정한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valuates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nd presents the alternatives that the centers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fficiency for the severe handicapped people's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econdary data from evaluation result of 34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from 2010 evaluation project for the severe handicapped people's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We also used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the relative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Input coefficients were staff member, vocational rehabilitation budget. Output coefficients were the employed handicapped members, the employment confirmed members, and the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As a result, 6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appeared the efficiency and the deviation degree was not mostly different. In spite of the limits on research of a relative efficiency evaluation, the DEA analysis is useful for the substitutes an existing evaluation index method and consult to the vocational centers about the information data of efficiency improvement.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cluded the constant returns scale. That is, if though the centers increases the size,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additional efficiency. Namely, curr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operated Is operated on a appropriate scale.

      • 운동자각도로 본 심장재활의 효과

        방인걸,김철,안재기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rdiac rehabilitation effect in view of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In this study, we observed RPE change after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graded symptom limited exercise test(GXT). Methods and materials : The 20 patients of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were trained for six weeks, 3 times per week, totally 18 sessions with treadmill and bike. The GXTs using modified Bruce protocol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Results : RPE, 6-20 Borg scale, was reduced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in modified Bruce protocol 2-5 stages(p<0.05). Heart rate was cardiac rehabilitation in modified Bruce protocol 2-5 stages(p<0.05). Heart rate was reduced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in modified Bruce protocol 1-5 stages(p<0.05). MET was reduced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in modified bruce protocol 1-3 stages(p<0.05). Conclusions : RPE was reduced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Cardiac rehabilitation can make the patients do activity of daily living with less effort after exercise than before exercise.

      • KCI등재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사정 및 성과 척도개발

        박병선(Byung Sun Park),배성우(Sung Woo B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1

        본 연구는 정신사회재활모델을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에게 필요한 정신사회재활서비스를 사정하고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사회재활모델에 근거한 이론적 검토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를 통합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이 되는 총 4개의 하위 요인과 12개의 세부구성개념이 포 함되는 척도의 이론적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1차적으로 총 150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6명의 전문가와 함께 문항에 대한 수정과 삭제를 통해 최종예비문항으로 110문항을 선 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국의 정신보건기관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1,033부가 수거 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하위 영역과 10개의 세부구성 개념의 구조를 가진 50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Cronbach`s α값이 .936이고 2주 간격의 검사 -재검사의 상관계수가 .840(p <.001)으로 나타나 높은 신 뢰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만족할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scale that could not only be used for the assessment but also be used for evaluating rehabilitation outcome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150 items consisting of 4 domains and 12 factors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s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and survey results from field workers. And then, by incorporating the results from focus group interview with 6 experts, 110 preliminary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033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ho were receiving psychiatric service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final of 50-item scale was developed consisting of 4 domains 10 sub-factors. The developed scale`s Cronbach`s alpha was .936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2-weeks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was .840. A series of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the scale`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satisfactory. Last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갑상선 절제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 사례연구

        정준식,박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2

        목적 : 본 사례연구는 갑상선 수술을 받은 환자의 연하장애 증상과 작업치료실에서 적용한 연하장애 재활 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갑상선 수술 후 연하장애를 호소하는 71세 여성을 대상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통한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와 침습-흡인 척도(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를 평가하였고,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 척도(American Speech- 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ASHA NOMS)로 환자의 삼킴 기능을 검사하였다. 치료 기간은 2014년 4월 18일부터 6월 5일까지이며, 총 27회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받았다. 교정적 치료로 목 관절가동범위 및 근력 운동, 고개 들기 운동, 삼킴 기법, 성대폐쇄훈련, 후두상승훈련 -가성발성훈련, 전기 자극 치료를 받았고, 보상적 치료로 자세 기법, 음식 양과 속도 변경, 음식 농도 변경에 대한 치료를 받았다. 결과 : 치료 결과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통한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 점수가 42점에서 20점, 16점, 침습 -흡인 척도는 6단계에서 4단계, 2단계로 각각 감소하였다.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 척도는 1단계에서 5 단계, 6단계로 상승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연하장애 재활치료가 갑상선 수술 환자의 삼킴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is case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on total thyroidectomy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 The subject was a 71-year old total thyroidectomy patient with dysphagia. She was assessed based on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 an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using a Videofluoroscopic Study (VFSS), and on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s System (ASHA NOMS). From April 19th to May 16th, 2014, she received treatment once a day fives times a week, for a half an hour for each session. From May 19th to June 5th, she received treatment once a day three times a week. Her swallowing rehabilitation was implemen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included her range of motion and resistive exercises the of neck muscles, head lift exercises, swallowing techniques, vocal cord adduction, falsetto exercises, electrical stimulation, postural techniques, a diet modification, and a regulation of the quantity and speed of food consumption. Results : The patient’s total FDS decreased from 42 to 20, and then to 16. Her PAS decreased from 6 to 4, and then to 2. Her ASHA NOMS level increased from 1 to 5, and then to 6, consecutively. Conclusion :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tudy suggest that the swallowing function in a total thyroidectomy patient with dysphagia was improved from swallowing rehabilitation.

      • KCI등재

        Effort Assessment of Stroke Patients in Physiotherapy Session by Accelerometry and Perceived Exertion Score: Preliminary Study

        Justine Lacroix,Jean-Christophe Daviet,Jean-Yves Salle,Benoit Borel,Maxence Compagnat,Stephane Mandigout 대한재활의학회 2019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3 No.3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post-stroke patient’s perceived exertion correlates with effort intensity score as measured by a wearable sensor and to assess whether estimates of perceived exertion are correlated to the cerebral hemisphere involved in the stroke. Methods We evaluated the effort intensity score during physiotherapy sessions using a wearable sensor and subjects assessed their perceived exertion using the modified Borg CR10 Scale. Results Fifty-seven subacut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exertion rating and measured effort intensity was insignificant—mean (r=-0.04, p=0.78) and peak (r=-0.05, p=0.70).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2) in the perceived exertion ratings depending on the cerebral hemisphere where the stroke occurred. Patients with left-hand side lesions rated their perceived exertion as 4.5 (min–max, 0.5–8), whereas patients with right-hand side lesions rated their perceived exertion as 5.0 (2–8). Conclusion While there was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exertion and effort intensity measured by a wearable sensor, a consistent variations in perceived exertion estimates according to the side of the cerebral lesion was identified and established.

      • KCI등재

        재활개념의 발레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동과 생활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다진,최소빈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9 No.2

        이 연구는 재활개념의 발레프로그램을 통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동과 생활통 증정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30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분하였고, 재활개념의 발레프로그램은 움직임 기본원리(basic principles)를 토대로 설계하여 8주간 총 16회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 출되었다. 첫째, 재활개념의 발레프로그램을 통해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동 전체와 하위요인 건강 책임, 영적 성장에서 향상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재활개념의 발레프로그램을 통해 중년여성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생활통증 정도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중년여성이 자신의 신체에 대하여 인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섬세한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하여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특화된 방법으로 훈련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즐겁게 관리 하는 운동방법으로의 발레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about health promotion lifestyle aligned with related behavior and life visual analogue scales of middle aged women via a rehabilitation-concepted ballet program. A total of 30 individuals have been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5 individuals in each and the gradual ballet program, structured based on basic principles, has extracted below conclusions by running 16 sessions over 8 weeks. Firstly, the study brought a meaningful result statistically by representing an improvement over overall Health Promotion Lifestyle, sub-factored health responsibilities and spiritual development via a rehabilitation-concepted ballet program execution. Secondly, by executing the rehabilitation-concepted ballet program, the study reached to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of lowered physical pains indicated with the life Visual Analogue Scale from the middle aged women. This interprets that middle aged women are capable of managing their body conditions leading to its volition to maintain. A popularization is highly expected as a newly-paradigmed physical exercise if specialized and customized exercises through ballet individually aiming for exquisite muscular strengthening and physical flexibility improvement.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수가체계의 문제점 및 개정 방안

        송영진,차유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1

        서론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력현황,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법적 영역간 차이, 작업치료 의 료보험수가 체계 현황, 국내외 작업치료 보험수가 현황 비교를 통해 국내 작업치료 수가 체계의 문 제점을 분석하고 작업치료 보험수가의 개정방향과 그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국내 작업치료사 인력 현황 조사를 통해 양적인 배출과 함께 질적인 관리 및 제도적 지원 체 계가필요하며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법적 영역간 비교를 통해 작업치료 직무수행을 제한하는 보험체 계 및 관련법 개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작업치료’라는 학문명을 보험수가 행위명으로 사용함 으로써 나타나는 문제, 업무범위 제한의 문제, 재활서비스 치료 전문 영역간 불균형, 상대가치수가 불균형 문제 등을확인하였고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현황 비교를 통해 국내만 이 유일하게 작업치료사에게 재활치료 행위 자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 보험수가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국제적인 행위 분류 기 준에 따른 수가체계 개정이 필요하다. 일부과로 한정되어 있는 작업치료 처방권은 작업 수행영역에 문제가 있는다양한 질환 대상자로의 진료과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물리치료 중심의 재활보험 수가 체계를 형평성 있게 개정하고 작업치료 보험수가의 상대 가치 점수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향후 국내 작업치료 보험수가 체계의 법률적·제도적 개정을 통해 국민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 작업치료사의 기여를 기대하는 바이다. Introduction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ersonnel and manpower of domesticoccupational therapists, the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duties and relevant areas defined in thelaw, the current status of the payment system of medical insurance companies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the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ndother countries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of domestic medical insurance for occupational therapy, suggestdirections for revising the occupational therapy insurance paym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s for such arevision. Results :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manpower quantitatively, provide qualitative management, and develop aninstitutional support system through a surve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ersonnel and manpower of domesticoccupational therapists. In addition, through a comparison 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duties and relevant areasdefined in the law, this study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aw related with the insurance systemlimiting the duties or performan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Moreover, the researchers have learned thatproblems exist, resulting from the use of an academic defi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s the name of thebehavior used for insurance payments, limitations on the range of duties, an imbalance among specializedtreatment areas for rehabilitation services, or an imbalance in payments of relative value. In addition, according toa comparison of the current situations of insurance payments for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the US, andJapan,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strictly restricts the qualifications for acts of rehabilitation. Conclusion : Because insurance payments for occupational therapy do not reflect the duties of occupationaltherapis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ayment system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oclassify such act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legislative·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the domestic occupationaltherapy insurance payment system will support occupational therapists in improving national health and the qualityof life.

      • KCI등재

        가상 홈 트레이닝 – 가상현실 기반 소근육 재활 시스템

        유경호,김해지,김한섭,이지은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8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4 No.3

        This paper proposes a small-scale rehabilitation system that allows stroke patients to perform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virtual home. Stroke patients have limi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paralysis, and there are many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m to reproduc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house, such as turning lights on and off, door opening and closing, gas valve locking.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 virtual home with the above mentioned daily rehabilitation training elements,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e use Leap Motion, a hand motion recognition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hands and fingers. It is expected that stroke patients can rehabilitate small muscles without having to visit the clinic with uncomfortable body, and will be able to get interesting rehabilitation training by avoiding monotony of existing rehabilitation tools.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가 가상의 집에서 일상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소근육 재활 시스템을 제안한다. 뇌졸중 환자는 마비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 제한적이며 이들을 위한 재활 훈련에는 전등 켜고 끄기, 문 여닫기, 가스 밸브 잠그기, 자물쇠 열기 등 집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재현하는 작업 치료 훈련이 다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집 내부를 구현하여 앞서 언급한 일상 재활 훈련 요소를 배치하고 손동작 인식 장치인 립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환자가 손과 손가락을 충분히 사용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재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뇌졸중 환자는 불편한 몸으로 치료 기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현실로 소근육 재활이 가능하며, 기존 작업 치료 도구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흥미롭게 재활 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