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search on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Jing, Qiwei,Lyu, Lin,Chen, Yuting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3 콘텐츠와 산업 Vol.5 No.2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have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due to their cross-border, public, global, and long-term nature, making it difficult for any one country to address them independently. The shared environmental challenges faced by human society and the common need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mpel countries to break down the barriers of national borders, social systems, policies, culture, and religious beliefs. Sovereign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ust actively coordinate and participate in joint governance, and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orm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Based on a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severe challenges of cross-reg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fac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this study explores and summarizes the international experience of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in regions such as Europe, North America, and ASEAN in recent year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game theory and economics.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framework and system for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 Republic of Korea. It designs the direction of 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mechanisms and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measures in areas such as interest linkage, institutional guarantees, cooperation institutions, public participation, funding sources, and talent tea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rategic suggestions for promoting global cross-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operation.

      • KCI등재

        동아시아 협력 이론의 분석과 적용 : ASEAN+3을 중심으로 ASEAN+3 Case

        이요한 한국동남아학회 2003 동남아시아연구 Vol.13 No.1

        East Asia has yet achieved a successful regional cooperation in spite of deepening regional interdependence. However,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demand of a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n region grows larger than ever. It is because cooperation and a policy coordination of the countries in the region for common profits becomes more necessary. This article will consider the viewpoint of regional cooperation, change of an attitude of East Asia and policies on cooperation plans.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studies of 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Korean and foreign perspective. I try to clarif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literature. I also define the main concepts relating to the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 regionalization, regionalism milieu. Finally I have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operation theory; neorealism indicates that a regional cooperation of East Asia is inherently impossible, at best their cooperation which makes less developed countries to be incorporated in the system where the hegemonic power leads. And soft regionalism points out various background which prevents the political cooperation from emerging. This article will consider the possibility and the prospect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on the basis of neoliberal institutionalism as an alternative approach. Regional interdependence inevitably gives way to the demand of regional cooperation. East Asia should strive for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stat-led pattern beyond bygone.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도전과 좌절 : 지역패권경쟁을 위한 지역협력의 역설

        황기식(HWANG Ki-Sik),유재의(YU Jae-Eui) 신아시아연구소 2010 신아세아 Vol.17 No.4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협력에 관한 논의는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이나 경제협력체제 형성과 같은 지역공동체 논의는 물론, 역내 자유무역협정 체결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동아시아 지역협력 논의의 활성화 과정을 살펴보면, 과거와 달리 동북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EU나 ASEAN이 출범할 당시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역내 강대국들이 지역협력을 주도하였다는 점에서 이러한 변화는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두 가지 역사적 사례와 달리, 동아시아 지역이 당면한 위기는 사활적이지 않았으며 지역패권경쟁의 시작점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지역협력 논의의 양적 증대만으로 실질적인 지역협력의 여건이 성숙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최근10년 간 촉발된 다양한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논의들은 지역 내 강대국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서로 중첩적인 지역협력의 틀끼리 경쟁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협력이 목표가 아닌 중.일 간 지역패권경쟁의 수단이 되면서 '협력'을 위한 지역협력이 아닌 패권경쟁을 위한 지역협력 논의가 활성화되는 역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After the East Asian economic crisis in 1997, the debate on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is showing progress lively than ever before. As well as discussions of regional communities such as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or establishing an economic cooperation regime, conclusion of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s is also increasing at a tremendous pace. When we look at the recent invigoration of discussions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it is distinct from past debates as they are centered around the Northeast Asian states.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historically, when the EU or ASEAN were first founded, regional powers had led coope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regional crisis, it seems that this change can become a turning point for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Nevertheless, contrary to the two historical precedents, it is hard to think this quantitative increase of discussion as the actual conditions for regional cooperation being ready, since the crisis that East Asia had faced was not fatal and they were placed at the starting point of a regional hegemonic rivalry. In particular, the various debates on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for the last 10 years have taken on aspects of overlapping regional cooperation frameworks being brought up competitively by contesting regional powers. After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had become not the goal but the means of regional hegemonic rivalry between China and Japan, a paradox has appeared in which debates on regional cooperation are made for 'hegemonic rivalry', not 'cooperation'.

      • KCI등재

        충청권 지역간 협력의 실태분석 및 정책적 함의: 4개 시․도별 ‘협력의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로,신희권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31 No.4

        Although it is essential to seek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as inefficient operation, excessive competition among regions, and conflict among local governments are emerging as local autonomy accelerates in recent years, inter-regional cooperation in the Chungcheong region (Daejeon, Sejong,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is insufficient to create synergy and build regional integr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inter-regional coope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from prior research review and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by cooperation field, analysis by cooperation strength, and analysis by cooperation motivation, focusing on the ‘cooperative agendas’ through the full investigation of press releases by four cities and provinces, and derive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such discus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four cities and provinces in the Chungcheong region focused 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wide-area transportation network, which are relatively easy to cooperate, low cost, and low conflict, and actively utilized the “individual agenda” of some of their own cities and provinces. In this regard as a conclusion, the constraints and possibilities of inter-regional cooperation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 direction of inter-regional cooperation (strengthening of integrated capabilities), cooperation and social integration(co-prosperity cooperation, creation of synergy, overcoming divisional region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capa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were drawn in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장환 ( Jang Hwan Joo ),윤성욱 ( Sung Wook Yoo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진행 현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대안적 협력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지역화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계에서 상호 보완과 대립, 지역협력의 목표 측면에서는 통합과 영역별 이익 증진, 그리고 경로 및 방식에 있어서 경성과 연성적 측면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다양한 형태의 지역화가 존재한다는 점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현재 동아시아 지역협력 상황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동아시아 지역의 상황은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국가 간 격차가 상당히 크며, 그럼에도 유럽연합의 통합 과정 - 소위 발라사 프레임워크에 따른 통합 과정 - 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자유 무역협정 체결 경쟁 양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국가 간 다양한 격차를 무시한 협력 혹은 통합은 유럽연합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격차의 심화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결국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방향은 (1) 세계화와 상호 대립적 측면에서의 지역협력, (2) 통합이 아닌 영역별 이익 증진을 목표로 하는 지역협력, 그리고 (3) 발라사 프레임워크식이 아닌 연성적 방식의 지역협력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wit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urrent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region. For this, this paper analyses several issues related to regionalisation. This analysis includes (1)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sation and regionalisation as mutual complement and confrontation, (2) regional integration and promotion of benefits by sectors in terms of the purpose of regional cooperation, and (3) ``hard`` and ``soft`` in terms of the stage and form of regional cooperation. This analysis also demonstrates that various forms of regional cooperations exist.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in East Asia on the regional cooperation has two distintive features: first, countries in East Asia have a big gap from the political, societal and economic aspects; and second, the main discussion on the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region, in spite of a big gap among countries, is to se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ase of the European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Balassa framework. Recently, many countries in East Asia are in competition to conclude free trade agreements. This kind of regional cooperations, as it can be seen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could result in deepening of gaps, because various forms of free trade agreements in East Asia have been concluded without considering the gap between contracting countrie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an alternative way of regional cooperations in East Asia in consideration of (1) an aspect of mutual confrontation in terms of globalisation, (2) promotion of sectoral benefits rather than integration, and (3) soft process and form with out-growing the Balassa framework.

      • KCI등재

        지역통화협력의 정치경제: 이론과 동아시아의 경우

        정진영(鄭璡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2

          동아시아 지역의 통화협력에 관한 논의의 결론은 거의 항상 협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경제적 조건은 성숙했지만 정치적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고 이러한 상황을 벗어날 길은 없는가? 이 글은 지역통화협력에 관한 기존의 경제학 이론들을 정치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경제이론의 기계적 적용을 비판적으로 평가 한다. 유럽의 통화협력이 주는 교훈은 지역통화협력이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따른 정치적 선택의 변화를 통하여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경제적 조건이 성숙되어 통화 협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환경과 정치적 선택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곧 동아시아 통화협력에 관한 정치적 비관론도 극복할 필요가 있음을 가르쳐 준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동아시아 지역의 통화질서는 자유변동환율제의 확대와 외환지원협력의 제도화가 중단기적으로 주요 흐름이 될 것이다. 그리고 보다 높은 수준의 지역통화협력인 환율협력과 통화통합의 방안은 역내무역의존도의 증가와 자본시장 및 외환시장의 자유화와 통합이 증대하면서 부각될 것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지역의 통화협력에 관한 지나친 비관도 금물이지만 지나친 낙관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보다 현실적인 대외 통화정책이 요망된다.   Discussions on the subject of East Asian monetary cooperation almost always end with the same conclusion: East Asia is in need of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and has been endowed with favorable economic conditions for it but lacks the necessary political conditions. Why this is the case and how can we get out of this theoretical stalemate? As a way of answering this question, we reread the existing economic theories of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from a pol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criticize the mechanistic application of them to a different regional context. Our understanding of the lesson from the European experience also leads us to avoid falling into the political pessimism. The process of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take a very long time during which the states" preferences are reformulated in accordance with changing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East Asia has been undergoing this process. For the years to come, the dominant trend will be the move toward adopting free-floating exchange rates and institutionalizing a regional foreign exchange support mechanism. Though unrealistic for the time being, however, regional exchange rate cooperation or monetary union are not forgone scenarios for the future of East Asia. Nevertheless, it is not a prudent policy stance to pursue an unrealistic objective with regard to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South Korea"s altitude towards 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in general and monetary cooperation in particular needs to be made realistic.

      • 동아시아 환경공동체 발전전략 개발 및 협력사업

        김호석,추장민,이현우,김이진,박준현,정성운,최동진,원동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사업보고서 Vol.2019 No.-

        Ⅰ.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사업 배경 및 필요성 ㅇ 전 지구적 환경협약 및 환경의제의 이행을 위한 공동의 노력, 특히 지역 차원의 공동대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초국가적 환경문제 대응을 위해 지리적으로 인접한 동아시아 국가 간에 환경협력이 강화되는 추세임 ㅇ 우리나라는 전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 노력에 동참하여 국제사회에서 역할을 강화하고, 국내 및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국가 간 환경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국가적 과제로 다루고 있음 - 특히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현을 지향하는 ‘신남방정책’에서 아세안 지역의 환경문제 및 기후변화 대응 등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어 한-아세안 지역 간 환경협력 수요가 증대되고 있음 ㅇ 전 지구적 환경의제의 이행,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환경보전 및 지역경제협력, 지역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환경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동아시아 환경협력 전략 개발이 필요함 - KEI는 국가 간 협력에서 한 단계 강화된 형태인 ‘환경공동체’ 개념을 도입하여 2014년부터 본 사업하에서 동아시아 지역 내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사업 목적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환경공동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역내 환경협력에 대한 정보 및 인식의 교류와 확산을 도모하고,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환경 분야 국가협력 정책을 지원하며,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실현을 위한 동아시아 환경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사업 추진체계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환경 상태 분석을 토대로 동아시아 환경협력 전략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조사 활동과 환경협력에 대한 인식과 교류 확산을 위한 동아시아 국가 간 네트워크 구축 활동으로 구성·추진되고 있음 Ⅱ.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1. 국내 네트워크 ㅇ 지역별 전문가 참여 포럼을 통해 지역별 환경협력 수요와 전략을 논의하고 이를 소지역별 국제 워크숍에서 확대 논의하여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에 기여하고자 남북환경포럼, 남방환경포럼, 중국환경포럼을 운영함 □ 남북환경포럼 ㅇ 한반도 평화시대를 맞이하여 추진 가능한 남북 협력사업 발굴을 위한 연구 기획 및 수행, 남북한 환경협력 추진전략 개발에 목적을 둠 ㅇ 남북협력과제 개발, 남북협력과 한강의 미래, DMZ 현장과 정책의 만남, 한강하구연구 전문가포럼 결성 등의 주제로 총 4차례에 걸쳐 남북환경포럼을 운영함 □ 남방환경포럼 ㅇ 환경 부문에서 신남방정책의 추진을 촉진하기 위하여 생물자원을 중점으로 환경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우리나라와 동남아 국가들의 협력 토대 마련에 목적을 둠 ㅇ 메콩 지역 환경 분야 민간 참여 및 공공기관의 역할에 대한 협력 메커니즘 가이드라인, 생태계서비스 활용 및 보존 등에 관해 남방환경포럼을 두 차례 개최함 □ 중국환경포럼 ㅇ 중국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추진 현황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신남방·신북방정책과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간 연계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둠 ㅇ 한·중 생태문명 건설과 녹색전환, 일대일로 연구 추진 및 기관 설립 등에 관해 두 차례에 걸쳐 중국환경포럼을 운영함 2. 국제 네트워크 ㅇ 동아시아 각국의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제고 및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주요국 협력기관과 공동 세미나, 워크숍 등을 개최하고, 이를 통해 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도모함 □ 동남아 ㅇ 동남아 주요국 협력기관과 ‘2019 KEI-VASS-RAC-LASS Joint Seminar’와 ‘the 3rd Kora-ASEAN Environment Forum’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 신남방정책 및 국제개발종합계획의 이행 촉진에 기여함 - KEI는 특히 2012년부터 베트남사회과학원(VASS), 캄보디아왕립학회(RAC), 라오스사회과학원(LASS)과 매년 공동연구 및 교류 활동을 추진 중이며 2014년부터 본 사업을 통해 동남아 지역 지속가능발전 및 녹색성장을 위한 지식공유 세미나를 매년 개최하고 있음 □ 동북아 ㅇ 몽골, 러시아 협력기관과 ‘KEI-BINM-IGG 공동 세미나’, 중국과 ‘일대일로 녹색실크로드 주제포럼 및 고위급포럼’, 한·러 및 북한, 독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북아 환경협력 세미나’, ‘한·중 대기 분야 정책-과학 대화 워크숍’ 등 교류 활동을 통해 동북아 환경협력 방안을 모색함 - KEI는 2012년부터 바이칼자연관리연구소(BINM) 등 러시아 극동 지역 주요 연구기관들과 교류해 오고 있음 - 또한 2000년 초반부터 중국의 주요 연구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는 일대일로와 한·중 미세먼지 대응 협력 관련해 국제교류 활동을 수행함 - 2019년에는 특히 러시아 연해주 아르춈시 주최로 한국과 북한이 공동 참여하는 동북아 환경협력 세미나를 개최함 Ⅲ. 해외 환경정보 국내 전파 1. 중국환경연구단 운영 및 「중국환경브리프」 발간 □ 중국환경연구단 ㅇ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중 환경협력에 대응하여 KEI의 체계적인 중국환경연구 수행 및 정책 자문역할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부터 중국환경연구단을 운영함 □ 중국환경브리프 ㅇ 최신의 중국환경정책 현황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분기별로 「중국환경브리프」을 발간해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기관, 전문가 등에 제공함 - 「중국환경브리프」은 정책분석, 정책동향, 환경통계로 구성됨 2. 북한환경정보센터 출범 및 「북한환경동향」 발간 □ 북한환경정보센터 ㅇ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남북협력 활성화, 나아가 통일시대 대비 북한환경연구 수행 및 남북환경협력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KEI 내 북한환경정보센터를 신설(’19.6.3)함 □ 북한환경동향 ㅇ 국내외 언론매체 및 북한의 주요 학술지 등을 통해 북한의 환경오염 및 환경관리 현황자료 수집을 통해 북한환경 현황에 대한 이해 제고를 목적으로 「북한환경동향집」을 발간함 - 북한 매체 보도자료, 국내 매체 보도자료, 북한 환경연구 동향으로 구성됨 Ⅳ. 연구·조사 활동 1. 동북아 패러독스와 환경협력 발전 방향 모색 □ 배경 및 목적 ㅇ 동북아 지역 국가들은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환경문제를 서로 공유하고 있어 지역차원의 환경협력이 필수적임 ㅇ 하지만 동북아 지역의 정치적 특수성, 즉 동북아 지역 국가 간 역사 인식의 차이, 군사적 대립, 영토갈등으로 인한 상호 부정적 인식, 그리고 미국이라는 외부적 요인 등이 지역 통합을 저해하고 환경 분야 협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이러한 동북아 지역의 역설을 감안해 지속가능한 동북아 지역 환경협력 방안 모색이 필요함 □ 동북아 패러독스와 환경문제 ㅇ 동북아 지역은 식민 잔재의 미청산, 분단 및 냉전과 같은 역사와 영토분쟁 등의 지속으로 국가주의 과잉상태에 처해 있음 ㅇ 자원을 최대한 개발하고 개발된 자원에서 최대의 이윤을 산출하려는 공통된 발전주의적 속성을 지님 - 경제성장 우선주의에 입각해 광범위한 환경 파괴 및 생태계 훼손을 초래한 생태결손 국가적 특성을 지님 - 선 발전 후 오염 처리의 발전모델 구축과 특히 화석연료에 과도하게 의존한 산업구조 형성으로 막대한 오염물질이 동북아 지역에서 배출되고 있음 - 특히 해양 및 대기 등을 통해 이동하는 월경성 오염문제가 야기되고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 동북아 환경협력 발전 방향 ㅇ 가해자-피해자 프레임이 아닌 환경공동체로서 공동의 문제로 인식 전환이 필요함 ㅇ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협력틀을 적극 활용한 협력의 확대·강화를 모색하며 공동연구 수행과 환경오염 모니터링 및 평가에 주력하고, 장기적으로는 실효성 있는 종합적인 다자환경협력틀 공동 디자인이 필요함 - 월경성 오염의 주범 색출과 압력 행사 등의 정치적 접근보다는 역내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초국가적인 인지공동체(Epistemic communities)를 형성하여 환경협력에 대한 과학적 객관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한중일환경장관회의(TEMM)을 기본 협력틀로 하되, 정부 외에 민간기업, 시민단체,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는 다원화된 협력모델의 구축·운용이 필요함 2. 미세먼지 문제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분석 □ 배경 및 목적 ㅇ 최근 들어 국내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외 유입 미세먼지의 국내 영향과 그 대처방안을 둘러싸고 논란이 야기되는 현상이 나타남 ㅇ 중국 등 국외에서 발생한 오염물밀이 장거리 이동하여 국내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미세먼지 인식조사를 실시함 - 일반국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중국 등 국외 영향 인식을 각각 조사하여 두 그룹 간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함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의 차이점과 그 원인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이해 제고 및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와 신뢰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국민인식 조사 방법 □ 조사 결과 및 시사점 ㅇ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일반국민과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양 집단 간의 인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ㅇ 일반국민은 전문가에 비해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해 중국 등 국외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양 집단 간에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국외 영향에 대한 신뢰 수준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의 차이는 미세먼지 문제 및 국외 영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 즉 정보원의 차이, 그리고 정보원의 차이에서 비롯된 정보의 내용과 질의 차이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대다수의 일반국민은 주로 온·오프라인 언론매체를 통해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여 언론매체 의존도가 높고, 언론에 대한 신뢰도도 높은 편으로 나타남 - 이에 반해 전문가는 언론 보도에 대해 낮은 신뢰도를 보이며, 연구기관이나 학술DB, 즉 보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보원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을 보임 - 정부 부처 홈페이지는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에게 활용도와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ㅇ 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 차이는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과 대책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국민적 공감대가 미흡하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정부의 정책 추진에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임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에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있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체 및 주체별 역할에 대해서는 유사한 견해를 보임 -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국민적 공감대에 기반한 미세먼지 대책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지님 - 전문가의 경우 전문가 집단과 언론의 역할 또한 일반국민에 비해 중요하다고 판단함 - 특히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 연구결과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제시, 그리고 과학적 근거가 명확한 자료와 데이트를 바탕으로 한 언론보도 및 미세먼지 대책수립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함 - 이는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수립 시 무엇보다 과학에 근거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 생산과 공유·전파가 중요함을 시사함 ㅇ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수립이 요구되며, 특히 정부와 전문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국민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적극 마련해야 함 -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명확한 현황 파악과 과학적 자료 DB 구축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함 - 언론은 국민 간의 중간 매가자로서 정확하고 개관적인 정보 전달·전파를 통해 국민 인식 제고에 기여해야 함 - 한·중 양국은 정확한 인식 공유를 위한 교류와 소통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Background ㅇ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articularly joint efforts by geographically proximate countries are key factors in responding to trans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 Environmental cooperation efforts among East Asian countries continues to grow in number to jointly cope with transboundary environmental issues. ㅇ South Korea has been strengthen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with countries particularly in East Asia to deal with regional as well as domestic environmental problems. - Demand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ASEAN member states is on the rise as Korea’s new Southern Policy also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Korea-ASEAN community. ㅇ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ies is important for the joint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al agenda,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of East Asian countries. -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introduce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mmunity’ in 2014, an advanced form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has been carrying out research and networking activities to identify solutions for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in East Asia, thereby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 Purpose ㅇ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East Asian environmental commun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artnerships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exchanges as well as the survey and research activities on the key environmental issues of the region, so a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st Asia. Ⅱ. Network Activities 1. Domestic network ㅇ Regional forums such as the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China Environment Forum, and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were organized and arranged to interact with the local experts and discuss the demand and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y each region with them, □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is to discuss strategies for promoting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The forum has been convened four times under the theme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especially pertaining to the Han River and Han estuary and the demilitarized zone (DMZ). □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on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environmental resources, focusing on biological resources,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New Southern Policy. ㅇ The forum was held twice under the theme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PPP) for the environment of the Mekong region and also the conservation and use of ecosystem services. □ Chin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China Environment Forum is to study China’s one-on-one initiative in order to explore ways to cooperate in linking the New Southern and Northern Policies. ㅇ The forum has been held twice on the construction of a Korea-China ecological civilization, green trans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ne-on-one research center. 2. International network ㅇ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in East Asia and discuss ways to strengthen cooperation, the joint seminars and workshops were held with major institu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 Southeast Asia ㅇ KEI contributed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New Southern Polic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through hosting 2019 KEI-VASS-RAC-LASS joint seminar and the Third Korea-ASEAN Environment Forum with partner organizations from major Southeast Asian countries. - KEI has been promoting joint research and exchange activities especially with the Vietnam Academy of Social Sciences (VASS), the Cambodian Royal Society (RAC), and the Laoti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LASS) since 2012, and has held annual knowledge sharing semina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in Southeast Asia. □ Northeast Asia ㅇ KEI had opportunities to discuss environmental cooperation methods with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holding or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workshops and seminars. These included the KEI-BINM-IGG joint seminar with Mongolian and Russian partner organizations, One Belt, One Road International High Level and Green Silk Road Forum with China, Northeast Asian Environmental Cooperation Seminar with experts from Russia, Germany and North Korea, and Korea-China Air Policy-Science Dialogue. - KEI has been communicating with major research institutes in Russia’s Far East, including the Baikal Natural Management Institute (BINM) since 2012. - Since the early 2000s, KEI has networked with major Chinese research institutes. Particularly in 2019, KEI and Chinese partner institutes dealt with issues of one-on-one cooperation and Particulate Matter. - KEI participated in a seminar hosted by Russia’s Primorsky Argyn on the theme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Ⅲ. Environmental Information Sharing and Dissemination □ China Environment Brief ㅇ KEI published four volumes of its China Environment Brief, which provides the latest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status, key environmental issues and new environmental polices in China. □ Environmental Trends in North Korea ㅇ KEI published ‘Environmental Trends in North Korea’, a report providing information on key environmental issues and research themes in North Korea.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newspapers and medias of North and South Korea, including the Rodong Sinmun, Minju Choson, and Choson Sinbo and North Korean academic journals. Ⅳ. Research and Survey 1. Northeast Asian paradox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 Background ㅇ Reg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ssential for Northeast Asian countries as they share similar environmental concerns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ㅇ However, historical and political peculiarit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s between Northeast Asian countries, military confrontations, and territorial conflicts, are hindering regional cooperation even for the environment. ㅇ It is necessary to seek environmental cooper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is paradox of Northeast Asian region. □ Direct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ㅇ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countries in Northeast Asia constitute an environmental community facing similar environmental problems.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trengthen cooperation by utilizing the existing cooperative framework, and jointly design a new comprehensive multi-environmental cooperation framework that is effective in the long run. - A transnational epistemic community involving scientists in the reg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ecure scientific objectivity and legitimacy in environmental cooperation. - The Korea-China-Japan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TEMM) shall be the basic framework for cooperation,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diversified cooperative model involving private companies, civic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government. 2. Survey on perception of transnational particulate matter □ Background and purpose ㅇ Recently, particulate matter (PM) has emerged as not only an environmental problem but also a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and controversy has arisen over the domestic impact of PM from abroad and how to deal with it. ㅇ A survey on PM was conducted to gauge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M, generated abroad and then made its way to South Korea.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M between the two groups. ㅇ KEI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and causes thereof,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public support and trust in government measures on overseas PM-related issues. □ Results ㅇ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the perception of the foreign effects of PM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 groups. - Compared to experts, the higher percent of general public believed that the domestic PM was caused by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ㅇ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were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information sources. - The majority of the general public was highly dependent on the media and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oreign effects of PM with high confidence. - Experts, on the other hand, showed low confidence in media reports and tended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institutes or academic databases. ㅇ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indicate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effects and response measures regarding PM, which acts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relevant governmental policies. ㅇ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wo groups, they shared similar views on the main entities and their roles in dealing with PM. -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were of the views that the government was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PM, and that it was important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establish response measures based on accurate and scientific evidence. ㅇ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response measures to cope with PM based on accurate and scientific evidence, and also need to share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with the public.

      • SSCISCOPUSKCI등재

        Cooperation on Counter-Piracy in the Gulf of Aden among China, Korea, and Japan: Implications for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Dae Won Ohn ),( Mason Richey ) 한국국방연구원 2014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6 No.1

        Northeast Asia`s regional cooperation is abysmal. Although China, South Korea, and Japan have generally compartmentalized bilateral trade relations in order to ensure continuing prosperity of their respective economies, regionally institutionalized cooperation remains weak, even in this domain. Trilateral political and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ese states is virtually nonexistent. China`s disinclination (as an emerging regional hegemon) toward regional cooperation and Japan`s failure to settle its historical problems are regarded as the key reasons for the lack of such a development. Yet despite this fraught situation the prospects for regional cooperation among the three main Northeast Asian powers have seen glimmers of hope. This paper argues that security is surprisingly one of the areas where scholars and practitioners envision a foundation for increased opportunities for regional cooperation. The most noteworthy case is the ongoing coordination among China, Japan, and South Korea (along with some others) to fight piracy in the Gulf of Aden area. Beyond the result of reducing piracy on commercial shipping, the counter-piracy effort has fostered cultural exchange among the region`s different navies and coastguards, offering opportunities for growing the spectrum of maritime security expertise beyond what each country would be able to do alone. This paper looks at the implications of this combined effort for other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among the Northeast Asian states.

      • KCI등재

        아세안의 발전주의적 지역개발협력과 역외의존적 지역개발

        현민 ( Min Hy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3

        본 논문은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역외의존성 및 다층성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공식적 논의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도출하는 아세안방식에 근거한 아세안의 지역개발협력은 국가주도의 발전주의적 지역협력을 특성으로 한다. 이를 배경으로 아세안은 사회적 의제에 대해서는 취약한 구조를 지닌 반면 개별국가의 ‘발전주의’와 결합된 지역경제협력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아세안의 발전주의적 지역개발협력은 성장을 통한 개발격차 해소를 주요한 과제로 삼는 한편, 역내 준지역의 물리적 연계를 중심으로 한 발전주의적 공간을 형성하고자 한다. 해양부아세안의 BIMP-EAGA와 대륙부아세안의 GMS로 대표되는 발전주의적 공간은 글로벌가치사슬로의 연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한 인프라 구축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개발재원의 필요성, 역외행위자들과의 이해관계, 그리고 아세안 방식의 유연성 등이 결합되어 아세안의 지역개발협력은 다층적이고 역외의존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이러한 특징은 아세안 지역의 개방성과 활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아세안이라는 공간에 대한 역내·외적인 경쟁과 그로 인한 분절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causes of external dependence and multilaterality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EAN’s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e ASEAN way, which makes decisions through informal discussion process, is characterized by state-leading developmental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context ASEAN has weakly bounding structure on the social agenda, whil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combined with “developmentalism” in member countries is very dynamic. On the ond hand ASEAN’s developmental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es on narrowing the development gap through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pursuing a developmental spaces centered on the physical linkage of regional subregions. The building of developmental spaces represented by BIMP-EAGA of maritime ASEAN and GMS of continental ASEAN appears in the form of linkage to global value chains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entered on border areas. In this process, Combined the need for development financing, interests with external actors, and flexibility of the ASEAN way, ASEAN’s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a multi-layered and external dependent characteristic. This feature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monstrates the openness and vitality of the ASEAN region,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ons for the ASEAN spaces and also the possibility of its fragmentation.

      • KCI등재

        ASEAN+3 협력과 동아시아 정체성

        배긍찬 한국동남아학회 2003 동남아시아연구 Vol.13 No.1

        Recently, East Asia is witnessing the emergence of a new regional cooperation framework, namely, ASEAN+3. The ASEAN+3 framework is certainly taking root as the central mechanism for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However, what it lacks is regional identity as a prerequisi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closer regional unity and cooperation. Fostering a strong sense of East Asian identity and congeniality is essential for expediting genuine regional cooperation and, moreover, for helping reach the ultimate goal of East Asian integration. Yet, it is no easy task to develop a regional identity in a region like East Asia with huge diversities in it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hile disparities between Southeast and Northeast Asia are even more conspicuous. Nonetheless, regional identity is an evolving rather than a fixed concept, such that regional identity in East Asia has and is undergoing change. It is important to begin with a fresh review of East Asian history based on a maritime identity of the region, which offers a useful context for exploring the shared historical background. In order to create a new East Asian regional identity, the history of the region needs to be rewritten with a special attention to the various life experiences of the peoples of East Asia. In this regard, East Asian countries need to consider the creation of an "East Asian Forum for Regional Identity" in which historians and scholars from different countries can rewrite East Asian history through active exchanges their knowledge and ins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