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모델 기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기준 모델 설계

        변경석,Byun, Kyung-Seok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7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8 No.4

        모델 기준 제어(MRC)는 플랜트가 주어진 기준 모델의 거동을 추종하도록 플랜트를 제어하는 제어 기법이다. 기준 모델은 플랜트가 추종할 이상적인 궤적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많은 종류의 MRC가 제안되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모델 기준 슬라이딩 모드 제어(MRSMC)에 대해 제어 대상 플랜트가 불확실성을 갖는 단일 입출력 2차 시변 선형 시스템인 경우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MRSMC를 위한 기준 모델의 설계 방법이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제한된 제어 입력, 기준 입력, 시스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모델을 선정한다. 이러한 선정 결과는 고정된 기준 모델의 선정, 계단 입력 인가시의 가변 기준 모델 갱신, 매 샘플링 시간마다 순간 기준 모델의 갱신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모터의 위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보여준다. Model reference control is control method such that overall response of a plant plus controller approaches that of a given reference model. The reference model provides desired trajectory the plant should follow. There are many kinds of control methods in MRC.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Model Reference Sliding Mode Control. The plant of these controls is an uncertain and linear system varying in time, of second order, and with SISO. In this paper, a design scheme of reference model is proposed for MRSMC. The scheme determines reference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bounded control inputs, reference inputs and system parameters. It is used to choose a Fixed Reference Model in the process of controller design, to update Variable Reference Model when stepwise reference inputs change and to update Instant Reference Model at every sampling ti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better control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MRC subject to the stepwise reference input when applied to the position control system for motor system.

      • PID제어를 위한 실용적인 기준 모델 제안과 성능개선

        허정규(J. G. Hur),양경욱(K. U. Yang)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07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study proposed new method to decide the reference model necessary for design PID controller. In generally, control design problems which uses the reference model have the following two factors. One factor is that numerical model of the controlled system can be obtained extremely, and the other is that specification for the closed-loop dynamic performance is pure moderate. Therefore, the control design procedure is essentially based on the partial reference model matching which offers a reasonable method to simplify the design and the controller configuration under the controlled system uncertainty. ITAE(Integral of time-multiplied absolute error) performance index and Kitamori method etc. which were used a reference model method had a limit to settling time and rising time of reference model that it arrived to steady state response according to the controlled system. On this study, if it only knew peak time of overshoot and settling time by measurement signal of the controlled system, it can be made the reference model easily. We proposed new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index of the reference model superior to existing reference model index and illustrate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control method design.

      • 인공위성의 연성체에 대한 모델기준제어 및 강인제어

        노영환 우송대학교 1998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3 No.-

        온라인 프로세싱을 이용한 모델기준 제어기법이 플랜트 모델의 계수들을 인식(identification)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 시스템은 시간 및 외란 등에 다이나믹 모델이 변화될 수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보다 정확한 모델이 필요하다. 여기서, 모델 기준 적응제어기법을 활용할 때 적절한 파라메트릭 모델 및 정량화 신호를 고려 하면서 플랜트 모델을 구한다. 모델을 구한 후 강인제어기는 위성체의 강체(rigid body) 및 연성체(flexible body)를 안정화 시키고 강인제어기로 설계된 결과는 위성체에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P.I. 제어기와 비교 되었으며 수렴성면에서 우수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The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using on-line processing method is used to identify the coefficients of the model. The better precise model is required to improve performance and to stabilize the given dynamic system like satellite, for example, varying over time and the coefficients change due to disturbance, etc. Then a Robust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Scheme is designed for the plant, paying attention to the derivation to the appropriate parametric model and the design of the normalizing signal to guarantee that it has the desired properties. After model identification. the Robust Controller(??) is designed to stabilize the rigid body and flexible body of satellite. which can be perturbed due to disturbance, etc. The result obtained by ?? controller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PI(Proportional and Integration) controller which is commonly used for stabilizing satellite.

      • KCI등재

        A model reference adaptive fuzzy control for MIMO Takagi-Sugeno fuzzy model

        조영완(Young-Wan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1

        In this paper, a direct model reference adaptive fuzzy control (MRAFC) scheme is developed for the plant model whose structure is represented by the MIMO Takagi-Sugeno fuzzy model. The MRAFC scheme is proposed to provide asymptotic tracking of a reference signal for the systems with uncertain or slowly time-varying parameters. The developed control law and adaptive law guarantee that all signals in the closed-loop system are bounded. In addition, the plant state tracks the state of the reference model asymptotically with time for any bounded reference input signal.

      • Automatic CAD model retrieval based on engineering document using semantic representation and ontology reasoning

        Sang-Min Jeon,Hyo-Won Suh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CAD/CAM학회 국제학술발표 논문집 Vol.2010 No.8

        Most of new designs are generally based on previous design so that efficient CAD model retrieval is important issue. For the efficient retrieval, engineering document can be used as input query. There has been several research works related to CAD model retrievals. However, the approaches using engineering documents directly as input are limit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pproach of automatic CAD model retrieval with engineering documents. For automatic retrieval, an engineering document with new design information is used as input query and the desig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existing CAD models. In this procedure, semantic representation of new design information and existing CAD models are necessary. Thus, the semantic reference model of domain (SemREM) is firstly defined. Based on the SemREM, the semantic model of CAD model (SemCAD) and semantic model of document (SemDoc) are defined. Then, the semantic processing including ontology reasoning and similarity evaluation are applied to SemCAD and SemDoc. The case study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oach

      • 스마트팩토리 참조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Rami 4.0, IIRA, 한국형 모델을 중심으로

        우기훈(Kihoon Woo)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1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3 No.1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래,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들은 제조업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011년 독일에서 제조업 4.0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의 실행 방법들 중 하나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과 확산이다. 각국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모델이 독일의 RAMI 4.0과 미국의 IIRA이다. 한국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추진단도 2014년 산업 부문별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발표하고 기업들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IRA, RAMI 4.0과 지금의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델을 비교하고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문헌 연구를 위주로 이루어 졌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형은 현장 중심의 실용적 모델로서의 장점은 있으나 다른 모델과는 달리 기초 아키텍처와 표준이 모호하다. 둘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체계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연결된 세상’과 ‘스마트 제품’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공장 자동화’와 ‘공급사슬관리’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를 통하여 기술경영학적 관점에서 보다 수준 높은 기초 아키텍처를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countri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strong in manufacturing have been striving to revive manufacturing.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manufacturing 4.0 emerged in Germany in 2011, and one of the methods of implementing it is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mart factories. Countries seeking to build smart factories have developed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and used them as guidelines for manufacturing firms, the best known of which are RAMI 4.0 in Germany and IIRA in the United States. Korean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reference model for Korean smart factories by industry sector in 2014 to support Korean manufactu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Korean model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n IIRA, RAMI 4.0 and Korean smart factory models. As an exploratory study, extensive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chieve its objectiv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Korean smart factory model has advantages as a field-centered practical model, but unlike other models, the underlying architecture and standards are ambiguous. Second, in the Korean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connected world” and “smart product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mart factory, are not clearly management”. As a result, follow-up studies are believed to be needed to develop higher-quality basic architectures from a technology-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준거점 의존에 따른 묶음제품의 선호이행: 준거 제시와 할인가격제시방법을 통한 초점화 효과

        강윤희 ( Yoon Hee Kang ),김재휘 ( Jae Hee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소비자가 묶음제품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 준거점 의존에 따라 효과적인 할인가격제시방법이 달라짐을 확인하고, 다른 평가 준거가 제시됨에 따라 선호가 이행됨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묶음제품에서 주제품 혹은 부제품 중 어떠한 대상이 초점화를 통한 평가준거(판단의 기준점)가 되었는지에 따라 묶음제품 할인제시의 효과 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묶음제품의 구성요소 중, 특정 대상에 대한 평가준거의 제시가 할인가격제시조건에 따라 묶음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주제품 준거를 제시한 조건에서는 부제품 할인이, 부제품을 준거를 제시한 조건에서는 주제품 할인이 효과적일 것이라 가정하 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135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묶음제품의 준거제시(주제품/부제품)와 할인가격제시방법 (주제품 할인/부제품 할인)의 2x2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묶음제품내의 구성품 준거제시 와 할인가격제시방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제품 준거제시 조건에서는 부제품 할인조건이, 부 제품 준거제시 조건에서는 주제품 할인조건에서 더 높은 묶음제품 선호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를 확장하여, 직접적인 준거제시 뿐만 아니라, 다른 비교대안을 통한 준거제시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해보았다. 즉, 묶음제품 외의 다른 비교우위 주제품 대안을 준거로 제시하여 준거점에 의한 묶음제품 할인가격 제시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12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다른 비교우위 주제품의 준거제시 유무에 따라 묶음제품의 주제품 가치지각과 묶음제품의 구매의도, 그리고 비교우위 주제품의 준거제시 유/무와 할인가격제시방법(주제품 할인/부제품 할인)이 묶음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비교우위 주제품 대안이 있는 조건이 없는 조건에 비하여 주제품의 가치지각과 묶음제품 구매의도가 낮았으며, 비교우위 주제품의 준거제시 유/무와 할인가격제시방법이 묶음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다른 비교우위 주제품이 제시되는 조건에서는 주제품 할인이 묶음제품의 선호를 높였으며, 단독 으로 평가하는 조건에서는 부제품 할인조건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effective ways of presenting discounted price when it comes to bundle product. It assumes that preference of bundle product can be reversed depending on whether the reference point is on the focal product or tie-in product. In study1, the effect of reference point and discounted price presentation was examined. Specifically, it assumes when the focal product is presented as a reference, discounting tie-in product is more effect and when the tie-in product is presented as a reference, focal product discounting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135 participants were gathered and randomly distributed in the 2(focal product reference/tie-in product reference) X 2(focal product discounting/tie-in product discounting)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 of study 1 show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resentation of discounted price. It reveals that tie-in product discount is more effective when the reference is on the focal product, while focal product discount is more effective when the reference is on the tie-in product. In study 2, reference point was nor on the focal product or tie-in product of same bundle product rather it was on other superior product which belongs to same category of focal product in presented bundle product. To examine this, 123 participants were gathered and randomly assigned in the 2(reference product given/not given) X 2(focal product/tie-in product discounting)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reveals lower perceived product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bundle product in the condition where the superior product was present. It also show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scounted price presentation. It indicates that focal product discount is preferred when other superior product is presented while tie-in product discount is preferred when there is no superior product given as a reference. In current study, it provides the evidence for preference reversal due to how the price of bundle product is presented and it examined this by allowing participants to actually engage in evaluation of bundle product. While past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independent evaluation of a single bundle product evaluation, or its dynamics when the value of one of the tie-in/focal was fixed,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es how people evaluate, whether depending on the focal or tie-in product, can also be important aspec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in various related fields. First, it contributes to the field of bundle product studies that people facing the decision making get influenced by what is presented as a reference point and by this presented reference point, it reveals that they tend to avoid potential loss. It suggests that, the consideration of reference point and evaluation context in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effective way of presenting the price of bundle product. Indeed, this result is in line with many research that in the context of decision making, how people put their reference point is crucial factor. Lastly, this study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 to marketers by suggesting effective way of presenting the bundling product in both condition where the reference is in the focal or tie-in product. Also, further study might also consider consumer`s ow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hierarchy with regards to price-presentation of bundle product as study 2 shows that people engage in different evaluation context depending on their ow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hierarchy.

      • KCI등재

        FRBR LRM을 이용한 고전자료 서지정보의 조직에 관한 연구

        윤소영,박지영,이혜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2

        FRBR Library Reference Model is a consolidated model of FR Family Model-FRBR, FRAD, FRSAD developed by IFLA in early 2016. This means the creation of upper model for the consistency of FR individual models. It can be used for the expanding of the discussions on FRBR model in Korea that have been mainly discussed only for the first group of FRBR model. In addition, it can b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whole FR Family model to domestic literature in a comprehensive mann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raft of FRBR LRM and apply the model to the Korean classic materials. There are various work, expression, and manifestation related to a work of korean classic material, so it is good to represent the structure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FR Family model. We built on our experiment using Protégé to design korean classic materials’ ontology modeling, which propose a new orientation of korean classic materials’ organizing based on FRBR LRM. As a result, we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the FRBR LRM model on upcoming bibliographical data control environment. IFLA에서는 2016년 초에 기존의 FR Family에 속한 개별 모형인 FRBR, FRAD, FRSAD의 통합 모형인 FRBR 도서관 참조모형을 발표하였다. 20여년에 걸쳐 발표된 FR Family 모형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모형을 아우를 수 있는 상위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합 모형은 FRBR 모형의 제1집단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국내의 FRBR 관련 논의를 확장하고, FR 개별 모형을 포괄적으로 국내 문헌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BR LRM 초안을 분석하고, 고전자료의 서지정보를 대상으로 이 모형을 시범 적용하였다. 고전자료는 하나의 저작에 풍부한 관련 저작과 표현형, 구현형을 지니고 있고, 저작 간의 관계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FRBR 모형 적용에 적합하다. 또한 FRBR LRM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의 관계나 대표 표현형의 사례를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BR LRM을 기반으로 한 고전자료 조직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protégé을 사용하여 고전자료 온톨로지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서지 데이터 관리 환경에서 FRBR LRM의 국내 문헌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참고문헌의 유무가 LDA를 사용한 토픽 모델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백주해 ( Juhae Baeck ),권형일 ( Hyungil Kwon ),최미화 ( Mihwa Choi ),( Yi-hsiu Lin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는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에서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인 참고문헌 제거 여부에 대한 필요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내용만을 텍스트에서 정확하게 제거하는 명령어나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참고문헌을 제외한 텍스트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자 하였을 때에는 연구자가 모든 텍스트에서 일일이 참고문헌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렇게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참고문헌 제거 과정이 연구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참고문헌의 존재가 토픽 모델링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토픽 모델링에 더욱 적합한 텍스트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포츠산업경영 분야의 국제 저널 SMQ, ESMQ와 JSM에서 최근 10년간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 참고문헌이 포함된 텍스트와 참고문헌이 제거된 텍스트의 토픽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였다. 스포츠산업경영 및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지고 세 가지 저널의 특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5인의 평가로 결과 비교가 이루어졌다. 비교 결과, 참고문헌을 포함한 전문을 사용하였을 때 더욱 해석이 용이한 토픽 모델링 결과가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에 참고문헌이 포함되었을 때에 토픽을 산출하는 데 할당되는 논문 간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연관성이 높은 논문들로부터 산출된 토픽의 해석가능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참고문헌의 존재가 토픽 모델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에서 참고문헌을 제거하는 추가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됨을 뜻한다. 이에 따라,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에서는 참고문헌의 존재가 미칠 수 있는 토픽 모델링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고민을 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the reference removal procedure during the text pre-processing in topic modeling by comparing the topic modeling results using the text with reference and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use of full-text article for the topic modeling may cause extra work on removing the subsidiary part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article, because it is not able to selectively extract the certain part of the text that researcher wants to include in the analysis has not yet been developed. Therefore, manual work by the researcher is required to remove the subsidiary information and it takes a great amount of labor and time to perform the text pre-processing rather than the actual topic modeling analysis process.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topic modeling result of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and of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research articles has been published from three major sports management and marketing journals from 2009 to 2018 were collected. JSM, ESMQ, and SMQ have been selected based on their reputation and status in the academic field. Five sport management/marketing experts were hi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opic modeling resul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produced a better topic modeling result than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relevance between the articles which were used to generate certain topic was higher when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quality of the topics is also high when the relevance of the articles is high. Based on this result, reference removal procedure is not necessary for the topic modeling using research articles. It can reduc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labor that the researcher needs to spend on pre-processing.

      • KCI등재

        Developing a Reference Terminology Model for Health Care Using an Object-Oriented Approach

        Seung-Hee Kim,Yoo-Kyung Boo,Yoon Kim 대한의료정보학회 2007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3 No.2

        Objective: A reference terminology is essential to achieve semantic interoperability and enhance the quality of health care. Reference terminologies that have achieved common acceptance contain many concepts that clinicians would not want in healthcare, which preclude their practical use in documentation of patient information. To solve the problems, this document proposes a reference terminology model which contains concepts that physicians can use satisfactorily. Methods: We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UMLS and SNOMED CT. We also analyzed health care terms which had been collect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Information Standard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eveloped an object-oriented reference terminology model. And, we designed database schema with the model. Results: Eight components of the UMLS and six components of the SNOMED CT were analyzed. The collected terms had various properties and mapping vocabul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domains. A reference terminology model was developed from a three-level view using UML. A database schema was developed using ERD. Conclusion: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reference terminology modeling. It is hoped that this reference terminology modeling helps the semantic interoperable exchange of clinical documents as the basis of common EM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3-2, 83-89,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