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3G 환경에서 QoS 보장 방안

        이종찬,Lee, Jong-Chan 한국융합보안학회 2007 융합보안 논문지 Vol.7 No.1

        이종의 이동통신 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보장하는 것은 B3G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이슈이다. 특히, 셀 부하와 무선 링크의 에러율 때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동안 QoS 저하가 발생한다면,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에 의하여 QoS를 보장할 수 없으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QoS 보장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보장하기 위한 D-ISHO를 다룬다. 이를 위하여 D-ISHO 시, QoS 보장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제시한다. 각 모듈간의 상관관계를 갖는 순서도를 기술하고, D-ISHO 시나리오가 고려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평균 지연과 패킷 손실율을 평가한다. 제안된 QGRM를 적용한 시스템이 기존의 망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QoS) for multimedia services in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is a part of key issue for Beyond Three Generation (B3G) development. In particular, if QoS degradation are occurred because cell overload and error late patterns of wireless links during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the efficient QoS managemen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ame QoS of transmitted multimedia data because the QoS may be defected by some delay and information loss. This paper deals with QoS Degradation reason Intra-System Handover (D-ISHO) for handling QoS of multimedia services over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For this aim, the function modules for supporting QoS of D-ISHO are proposed. The sequence diagram showing interaction between the modules is described and then a scenario for D-ISHO is considered. Simulation is focused on the average delay and packet loss rate. The proposed heterogeneous mobile system using the QoS-Guaranteed Resource Management (QGRM) provides a better performance than each different access system.

      • KCI등재

        QoS 레벨 3: 사물인터넷에서 MQTT 프로토콜의 동기식 통신 메카니즘

        임민규,임예린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Vol.70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Quality of Service(QoS) Level 3 mechanism of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MQTT). It ensures synchronous communication between a publisher and subscribers. In QoS3, a publisher can check message reception of subscribers, while traditional QoS Levels can only check reception between the publisher and the broker asynchronously. After sending a QoS3 message, the publisher waits until it receives a predetermined number of response message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QoS3 through delay and packet size measurements in various situations. QoS3 was slower than QoS2 because of synchronous communication. However, if interaction with lots of receivers is required, QoS3 was faster than QoS2. For the packet size, QoS3 was bigger than QoS2 because of the additional field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QoS3 can be effectively used in cases when the publisher needs to perform the following tasks after verifying message reception of subscribers.

      • KCI등재후보

        WiMedia 기반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QoS를 고려한 경로 설정

        박성우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3

        WiMedia provides the transmission rate of up to 1Gbps, but the transmission range is restricted to approximately 10 meters. When constructing a multi-hop WiMedia network to extend its coverage, conventional hop-based routing may not guarantee satisfactorily the required QoS. We propose QoS routing techniques for WiMedia wireless mesh network. The proposed QoS routing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DMA-based WiMedia MAC and develops QoS extensions separately for on-demand routing and table-driven routing. Through simulations, we identify that the QoS routing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hop-based routing. It also turns out that QoS on-demand routing and QoS table-driven routing show conflicting performance result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power. WiMedia에서는 최대 1Gbps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하나, 디바이스 간의 전송 범위가 대략 10m 이내로 제한된다. 네트워크의 영역 확장을 위해 멀티-홉 형태로 구축할 경우 기존의 홉-기반 라우팅으로는 QoS를 보장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WiMedia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QoS 라우팅 방안을 제안한다. TDMA를 사용하는 WiMedia MAC 특성을 반영하여, 주문형(on-demand) 라우팅과 테이블-구동형(table-driven) 라우팅 각각에 대해 QoS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QoS 라우팅 방식이 홉-기반 라우팅 방식에 비해 성능 면에서 우수함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QoS 주문형 라우팅과 QoS 테이블-구동형 라우팅은 전송 전력에 따라 각각 상반된 성능 결과를 보여 주었다.

      • KCI등재

        접속품질과 전송품질을 기반으로 한 IP QoS(Quality of Service) 측정 메트릭스 정립

        노시춘,김점구 한국융합보안학회 2015 융합보안 논문지 Vol.15 No.2

        IP QoS는 인터넷 트래픽의 폭증을 수익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기존의 Best Effort Service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필수이 다. 차세대 통신망의 필수요건으로 IP QoS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IP망은 QoS 보다는 유연성과 확장성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해왔다. 따라서, IP망에 QoS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 IP 기술에 여러가지 품질확보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접속품질과 전 송품질을 기반으로 한 IP QoS(Quality of Service) 품질 메트릭스를 정립 한다 면 통신품질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통신품질 수준을 파악하면 품질 취약지역 및 품질 저해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효율적인 품질 메트릭스 정립은 문제점에 대한 품질개선으로 통화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 만족도를 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P QoS is not requi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Best Effort Service to connect to the explosion of the Internet traffic revenue. To IP QoS requirements of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Metric Sizing Methodology is very important. However, IP networks have been developed with a focus gender flexibility and scalability than the Qo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quality measures for different existing IP technology to apply QoS in IP networks. When establishing the connection quality and transmission quality, based on the IP QoS(Quality of Service) objective data quality metrics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quality hindrance.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quality level may evaluate quality sensitive area and quality hindrance. Establish effective quality metrics can be expected to promote effectiv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improved quality, improved call quality for this issue.

      • KCI등재

        3-메트릭 기반 군 통신망 QoS 구현 사례 및 개선 연구

        박규동,전호철,이규명,전병천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7

        Most weapon systems depend on the communication networks as an essential infrastructure. Korean military is using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s for each system, therefore there is no or less need for QoS until now.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r others, it is required to transform from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s to shared communication networks, and QoS application would be essential for this in near future. Basically, QoS provides differenti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traffic in a congested situation. Performance, importance and urgency are priority criteria, so called triple-metric which are used a lot specially in military area.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QoS implementations of the DiffServ standard, an US military’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Korean military’s communication network focusing on the triple-metric, and diagnoses the status and level of the Korean military’s QoS implementation comparing with the US’s, and suggests some improvements specially for the tactical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is paper showed that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ions based on some experiments. 통신망은 대다수 무기체계들이 의존하는 핵심 기반구조다. 한국군의 경우 체계별 전용 통신망 구축으로 QoS 적용 필요와 요구가 아직까지 높지 않지만,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해 전용 통신망 운용에서 공통 통신망 공유로 발전이 요구되므로, 가까운 미래에 QoS 적용이 필수가 될 것이다. QoS는 혼잡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우선순위에 따른 차등화 처리를 제공한다. 특히 군 통신망 QoS에서 널리 쓰이는 우선순위 기준으로 성능, 중요도, 긴급도의 3- 메트릭이 있다. 이 논문은 3-메트릭을 중심으로 DiffServ 표준, 미군 통신망, 그리고 한국군 통신망에서의 QoS 구현을 분석하여, 한국군 QoS의 선진국 대비 구현 현황과 수준을 진단하고, 특히 전술망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그에 대한 타당성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보안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보안 QoS(Quality of Service) 측정방법론 연구

        노시춘 한국융합보안학회 2011 융합보안 논문지 Vol.11 No.1

        QoS(Quality of Service)는 ITU-T Rec. E.800에 의해 서비스를 사용하는 형태, 특성 그리고 요구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성능지표로 표현된다.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정보시스템에서 최종적인 목표는 요구되는 시간내에 목적하는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보안 QoS 프레임워크는 측정 메트릭스, 측정스케쥴, 측정도구, 측정의순서, 측정 결과분석에 관련된 사항으로 구성된다. 보안 QoS에서 네트워크보안의 정보보호기능과 시스템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고 연계하여 종합 메커니즘으로 구성및 적용할 경우 종합적인 정보보호 효율은 시너지효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정보보호기능과 제반 시스템기능을 연계하여 정보보호기능을 적용했을 경우의 연동메커니즘 구현방법 개발과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네트워크 보안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보안 QoS측정방안 연구 방법론을 통해 체계적인 측정환경을 설계할 경우 운용시스템상에서 보안 효율성 측정이 가능함이 입증되었고 측정 메커니즘을 통해서 개선된 네트워킹기능과 정보시스템 기능을 위한 효율성제고 방법론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QoS(Quality of Service) is defined "The collective effect of service performance which determin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a user of the service" by ITU-T Rec. E.800.The final goal of information system is to secure the performance efficiency within the required time. The security QoS framework is the modeling of the QoS measurement metrics, the measurement time schedule, instrument, method of measurement and the series of methodology about analysis of the result of measurement. This paper relates to implementing issue and performance measuring about blended mechanism between networking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We got more effectiveness in overall network security, when applying and composing amalgamated security mechanism between network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In this paper, we suggest techniques being used on infrastructure system and also offers a security QoS methodology as a model of more effective way.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research has proven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response time through the scheduled method.

      • KCI등재

        QoS를 고려한 단위변환기의 변환 경로 생성 방법

        류동엽(Dong-Yeop Ryu),전성미(Sung-Mi Chon),임영환(Young-Hwan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1

        자신의 환경에 적합한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변환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만약 자신의 요구조건에 맞는 데이터생성이 안 될 경우는 다른 변환기를 이용해 또 변환을 해줘야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변환기들은 소스QoS와 목적QoS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기 때문에 원하는 변환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제한 없는 멀티미디어 접근(UMA, Universal Multimedia Access)에 제약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QoS와 목적QoS를 고려해 디지털아이템(DI, Digital Item) 변환을 수행하기 전에 적합한 변환경로를 미리 생성한다. 생성된 변환경로는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단위변환기들을 이용해 적응변환을 수행한다. QoS를 고려함으로서 사용자는 쉽게 멀티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안 모델은 단위변환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QoS에 대한 적응 능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A multimedia converter is used to create media suitable for own environment. If the data complying with own demands can not be created, it may accompany with a problem that has to convert the data with another transcoder. In addition, conventional converters do not consider source QoS and target QoS sufficiently, meaning that users should have a significant knowledge base about various media in order to obtain desired results. These problems become limits on the UMA(Universal Multimedia Acces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create a suitable transcoding path before performing the Digital Item conversion in consideration of source QoS and target QoS. The created transcoding path performs the adaptive transcoding using unit exchanges featuring connectivity. The consideration of QoS allows users to use the multimedia easily. Since the proposed model, in addition, use the unit transcoder, it provides a excellent adaptive capability for new QoS.

      • Towards a Comprehensive View of Web Services QoS Models

        Jokha Al-Kalbani,Naoufel Kraiem,Zuhoor Al-Khanjari,Yassine Jamoussi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0 No.10

        In a growing web services environment, the usage, design and composition methods of web services require proper and reliable information about web services quality. Quality- of- Service (QoS) is usually referred to the non-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web services which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ole to differentiate between different web services. In order to select the best web services among those with similar functionality, it is important for the web requester to have a mechanism to rank them and also from the service providers side to ensure that their web services are according to the agreed QoS. Currently there is no standard manner to define the QoS characteristics of web services. Many studies have shown different categorization of QoS which led to the issue of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QoS. One way to understand the QoS, is to identify all its possible requirements for web servic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some of the QoS issues which are essential for web services. It first proposes a QoS framework which suggests considering QoS for web services along four different views. Each view is representing a particular relevant facet of QoS model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re is a big quantity and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various service quality concepts and models and gives the reasons why there is no holistic QoS modeling approach.

      • KCI등재

        차등 서비스를 위한 EJB 기반 QoS 관리 시스템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차시호,이종언,안병호,조국현,Cha Si ho,Lee Jong eon,Ahn Byung ho,Cho Kuk hyun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4B

        차등 서비스 모델은 개별적인 플로우들 보다는 집합적인 트래픽 클래스들을 지원하므로 IP 망 내의 다양한 패킷 클래스들에 대하여 다양한 QoS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등 서비스 모델은 완전한 QoS 관리 프레임워크와 그의 구현 모델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차등 서비스 망에서의 QoS 보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망 및 서비스 관리의 지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차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EJB 기반 QoS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구현되는 QoS 관리 시스템은 상위 레벨 QoS 정책들은 유효한 XML 문서로 표현되며 하위 레벨 QoS 정책들인 EJB 기반 정책 서버 내의 EJB 빈들로 사상된다. 하위 레벨 QoS 정책들은 SNMP 차등 서비스 MIB를 통해 차등 서비스 라우터들로 분배되고 감시된다. DiffServ supports aggregated traffic classes to provide various QoS to different classes of traffics. However, current DiffServ specifications do not have a complete QoS management framework. It is possible to lead to serious QoS violations without a QoS management support. From this reasoning, a QoS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differentiated QoS provisioning is required. This paper proposes and implements a policy-based QoS management platform for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s, which specifies QoS policies to guarantee dynamic QoS requirements.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platform is built on W framework and uses XML to represent and validate high-level QoS policies. High-level QoS policies are represented as valid XML documents and are mapped into Em beans of the EJB-based policy server of the platform. The policy distribution and the QoS monitoring are processed using SNMP.

      • KCI등재

        모바일 와이맥스 시스템에서의 종단간 서비스 품질 향상

        추상민(Sang-Min Choo),오성민(Sung-Min Oh),조성현(Sunghyun Cho),김재현(Jae-H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5 No.5

        본 논문에서는 종단간 QoS 성능 향상을 위해 모바일 와이맥스 시스템의 망 구조에 따른 성능 개선 방안에 대해 분석하고 그 중 계층간 QoS 파라미터 매핑과 IP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종단간 QoS에 관한 성능 평가를 위해, OPNET을 이용하여 모바일 와이맥스 시스템의 종단간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계층간 QoS 파라미터 매핑 기법을 이용한 경우 매체접근제어 계층에서의 VoIP 패킷 평균 지연이 감소하며 상향링크 자원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제안한 IP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VoIP 서비스의 종단간 패킷 평균 지연은 FIFO와 WRR 스케줄러보다 44%에서 67%정도까지 감소하였다.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QoS performance enhancement schemes according to the network architecture of mobile WiMAX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end-to-end QoS performance and propose QoS parameter mapping method and IP packet scheduling algorithm. To evaluate the end-to-end QoS performance, we implemented an end-to-end simulator of mobile WiMAX system using OPNE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QoS parameter mapping scheme reduces the average delay of VoIP packet and improves uplink resource efficiency. And also, when the proposed IP packet scheduling algorithm is applied to the system, the end-to-end packet transmission delay of VoIP service can be reduced by 44-67 percent compared to FIFO and WRR schedu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