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그램의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 개념모형에 관한 고찰;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임지연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ory-driven evaluative criteria set for the program which is validated from theoretical points of view.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How should we develop appropriate categories and subsequent items for youth activity program evaluation? As a theoretical validation process,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on is developed based upon the program theory. In order to construct evaluative criteria set, matrix is also developed. The construction of theory-driven evaluative criteria set is an on-going process and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this process by adopting theoretical framework for not only youth activity programs but any other programs evaluation.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represent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major stakeholders in youth program evaluation when applying evaluative criteria set.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riteria set developed here is very comprehensive in its scope, which means that people in youth programs or evaluation study could use the items with high level of flexibility depending upon their specific contexts as well as interests. 이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으로 타당화된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개념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프로그램의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의 영역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 가를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이론적 개념 틀로 알아보는 것이다. 평가준거체제 개념모형 고찰을 위한 이론적 타당화 과정으로서 프로그램논리를 적용한 이론적 개념모형을 구안하고 평가준거체제 개발을 위한 메트릭스를 작성하였다. 이 개념모형과 메트릭스를 활용하여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의 영역설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평가대상 프로그램의 논리를 파악하여 맞춤평가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평가준거체제의 개념 틀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평가준거체제를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프로그램의 특성,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핵심관련자의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여 필요한 준거를 융통성 있게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합적인 평가준거체제의 개념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김미숙,허수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evaluation strategy for better program in pre-test about objective, content, direction, method,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 through evaluating the program focused on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applied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Program begins in Robert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is organized beginning, processing, finishing. This study is belonged to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 method, time, evaluation stage and content of program are applied to achieve goal of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The evaluation object is constructed for improvement of program quality and contribution of society development. Time and content of evaluation are divided into 3 stages: Preparation Stage, Application Stage, After Application Stage. Evaluation strategy sample by 12 responsive evaluation procedure are charted. Evaluation method is suggested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Evaluation tools by music environment and career, recognition of school music education, diagnostic music level test of music ability,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usic class, self-evaluation of music class are developed because the perceptions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evaluation program, such as music profession, students, parents, researchers, administrators, are important to responsive evaluation.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ake의 반응적 평가단계 중 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의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프로그램의 시작, 과정, 완료 후에 이르기까지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는 사전 연구 단계에 해당하므로 프로그램의 절차와 방법, 시기 설정, 평가 단계와 내용 등이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질 개선과 사회발달에 기여하는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시기 및 내용을 프로그램의 마련단계, 적용단계, 적용 후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즉, 12가지 반응적 평가 절차에 따른 평가 방안 예시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누어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응적 평가는 음악 전문가, 학생, 학부모, 연구진, 행정가 등의 프로그램 평가와 관계된 사람들의 인식이 중요하므로 음악환경과 진로에 대한 평가, 학교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음악적 능력에 대한 음악 수준 진단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성취 및 태도 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자아 평가 등으로 평가 도구를 작성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평가의 역할

        이진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004 아동교육 Vol.13 No.2

        유아 프로그램의 실제를 이해하고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프로그램 평가는 큰 몫을 담당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프로그램 평가의 역사적, 사회적 발달 배경 및 역할을 개관한 뒤 미국에서 유아 프로그램 평가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프로그램 평가가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에도, 결과 평가에 지나치게 치중하거나 각 유아 프로그램의 상환이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한 채 일반화된 유아프로그램 기준을 강요함으로써 프로그램 평가의 제 기능은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를 토대로 하여, 필자는 우리나라에서 프로그램 평가가 보다 의미 깊고 유용하게 실시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Program evaluation can help early childhood educators deepen their understanding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Korea has not taken advantages of systematic program evaluation. This article is aimed at assisting educators to better comprehend roles and uses of program evaluation in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The author first reviews historic and social background of modern program evaluation in general, and moves to American practices regarding program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There have been persistent concerns that American program evaluation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re under-theorized when compared to the larger field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spite of the quantity of evaluation. Reliance upon outcome-oriented evaluation and standards-based monitoring can diminish potentials of program evaluation and deprofessionalize early childhood educators. Drawing upon various advanced models of program evaluation,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are encouraged to fully utilize benefits of program evaluation.

      • KCI등재후보

        HRD 프로그램 평가에의 논리주도적 평가체제 적용가능성 탐색

        박소연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verify the utility of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alternative approach, in HRD area and draw out implications for HRD program evalu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B program in A corporation was selected and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applied step by step for evaluating the program. It followed by interview about the utility, feasibility, propriety and accuracy of the theory driven evalu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was useful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The program theory reflected the unique mechanism of the program. The critical factors could inference based on the theory and the reason why the program was successful or could not become clear. Second,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improved the accuracy of program evaluation. In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questions were drawl from the program theory of its own and evaluation methods were selected to get answers on the questions. It helped to raise the validity and keep balances. Third, program theory in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vised to raise the feasibility. To adapt this model to HRD program cost-benefit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evaluator should utilize it flexibly.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ory driven approach in HRD area and suggest how to utilize it. HRD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평가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종합적인 평가 준거를 가지면서도 현장에서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평가체제로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를 채택하여 HRD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사의 B프로그램에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를 적용한 결과 유용성, 정확성, 실행가능성 측면에서 다음과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는 평가 활동의 전체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평가가 이루어지는 현상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와 함께 프로그램의 성공 및 실패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함께,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최종적으로 평가 결과를 보고받을 이해관계자의 기대 사항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적용을 통해 HRD 프로그램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평가가 한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반해 평가체제를 적용할 경우 과정과 결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정확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이 현실적으로 모두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되기에는 부담스러우므로 비용효과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 적용 상황에 있어서는 현재의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단계별 요구 활동을 최소화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HRD 현장에서의 논리주도적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적극적 활용을 위한 개선점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현장 활용의 촉진을 위해서는 평가자의 적용에의 선택과 집중, 각 평가 단계에서의 유연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허영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trend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programs.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model of factors, curriculum and selection of conten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ogram evaluation, problems related to program evaluation, school development planning and self-evaluation, and case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program.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① In program development we have to clarify the relevant factors, make a decision considering those factors, and keep in mind a set of action process including evaluation of aspects of both process and consequence. ② Because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is not a lab experiment in a strict sense, it seems to be desirable to consider a process-accompanying or formative evaluation as a better alternative. ③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programs can be expected, after all, to contribute to consolidating the fundament of legitimacy and to ameliorating quality assurance. ④ Based on the two case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program, we can identify the plausibility and usefulness of analysis and assessment of questionnaire results in the sense of above-mentioned process-accompanying or formative evaluation. 민주시민교육에서 평가는 오늘날 많은 관심을 유발하면서 동시에 논란의 소지가 적이 않은 분야이다. 특히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문이 빈번히 제기되면서 평가는 더 이상 소홀히 다룰 수 없는 문제로 우리의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글은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최근의 동향과 추세를 개관하고, 이 맥락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 반영하는 차원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사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관한 일반적인 개념 및 특징과 더불어 최근의 경향과 전개양상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어서 두 가지 주제영역에 해당하는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사례를 소개하였다. 여기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관련된 모든 요인들을 명료화하고, 그 요인들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며, 과정적․결과적 측면에서 평가를 하는 일련의 행위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가 명백한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실험실의 실험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감안할 때, 교육현장에서는 형성평가에 더 많은 기대를 걸어보자는 제안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평가를 폭넓게 이해한다면 그것은 결국 정당성의 기초를 더욱 공고히 하고 질의 관리 측면에서 보다 더 확고한 질을 담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질의 관리에 지향을 둔 접근방안은 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육현장에서는 개선점이나 건의사항을 포함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차기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동시에 그 한계에 대하여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김석우,한홍련,김성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 for middle school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To achieve the purpose, utiliz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tems for the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n an evaluation scale for middle school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was developed. The tools used for the analysis were on-line opinions,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satisfactory test, document analysis. For achieving these concrete research objects, five teacher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six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the opinion survey was carried out over instructive teachers at middle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rea, and 225 middle school teachers in cities 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First, 5 criteria and 36 items were found by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n context evaluation, 1 criteria and 8 items such as needs assessment &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object were used.. In input evaluation, 1 criteria and 8 items such as program budge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program management schedule were used. In process evaluation, 2 criteria and 17 items such as program activity(teaching-learning) and program process evaluation were used. In product evaluation, 1 criterion and 3 items such as assis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were used. As a result, the special supplemental program. evaluation tool has a function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evaluation and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student's level in light of output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의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수요자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평가체제가 미흡하다는 문제인식 하에 특별보충과정 운영의 총체적인 과정을 평가․환류․교정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교육현장의 경실증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선정하고, 1차 특별보충과정 영어, 수학 담당교사, 업무담당 및 부장교사, 2차 평가전문가 의견수렴의 2회에 걸친 문항평가를 통해 최종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해 P광역시 3개 교육청 소속 225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전화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IPP 평가 모형의 체계적 절차에 따른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유형별 평가영역은 요구 및 목표, 자원지원, 교수․학습, 과정평가, 학생변화로 명명된 5개 요인의 36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검사의 결과는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내용타당성 확보와 검사사도구의 양호도를 검증(신뢰도 .89 이상)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5개 요인을 활용하여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특별보충과정 평가척도의 개발은 자율화교육과정 운영,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교육정보공시 등과 함께 학교여건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체제 구축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당한 평가모형이나 체계적인 검증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현실에서 수준별 수업의 교육성과나 부가가치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 프로그램평가를 위한 평가역량구축 방안의 모색

        제갈돈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Program evalua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efforts of evaluators on learning to gain new knowledge for program evaluation or on creating the field of evaluation research to discover new methods and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program evaluation has gained its own domain in academic fields and established its identity as a profession. In recent years, program evaluation has evolv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scientific research to achieve the goals of making decisions, planning, and improving the level and quality of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policies. Program evaluation has evolved with strong momentum on its own, and in return for its development, policy makers, program planners, and top managers can effectively perform their functions according to a given standard. There are elements commonly encountered among countries seeking to build up the capacity to evaluate public sector program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implementing them depends on how they are mana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finding ways to build up the nation's evaluation capacity by developing lesson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drawn from experience on such common elements. This study identifie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capacity building from the real world of the evaluation, identifies what is building the evaluation capacity in practice and how the implementation programs are carried out in different organizational settings. When these components of the overall evaluation system,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interac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organization or country is likely to have a superior capacity to evaluate. 프로그램평가를 위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려는 학습에 몰두하거나 새로운 방법과 기법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평가연구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려는 평가자들의 노력에 의하여 프로그램평가는 발전되어 왔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프로그램평가는 학문 분야세서 자신만의 영역을 확보하게 되었고, 전문 직업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프로그램평가가 정책의 결정, 기획 그리고 집행과 모니터링의 수준과 품질을 높이려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과학적 연구의 중요한 부분으로 진화하고 있다. 프로그램평가는 스스로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발전하여 왔으며, 그 발전의 대가로 정책결정자, 프로그램 기획가 및 최고관리자들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자신들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공공부문 프로그램의 평가역량을 구축하고자 하는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접하게 되는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고, 평가역량구축 노력의 성패는 그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공통적 요소들에 대해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과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여 우리나라의 평가역량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모색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평가 실제로부터 평가역량구축 실제를 구분하고, 실제에서 평가역량구축이 무엇이며 상이한 조직 환경에서 어떻게 구축사업이 수행되는지를 이해하고, 그리고 평가역량구축의 언어, 개념모형 및 지표들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제반 평가시스템 구성요소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때 그 조직 또는 국가의 평가역량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sk Not What You Can Do for the Primary Intended Users, Ask What the Primary Intended Users Can Do for You: Learning from a Utilization-Focused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 Daehoi Lee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0 중등영어교육 Vol.3 No.2

        This paper is a reflective report of a program evaluation that encountered challenges of nonuse of evaluation findings and subsequently enabled use by re-applying the principles of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Patton, 2008). An initial program evaluation was carried out on the dual-purpose program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writing course in a Thai university and a teacher-training program in an applied linguistics department at an American university. To generate program knowledge for the intended use of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the evaluator investigated the stakeholders`` perceived course goals for the program in question. In the course of evaluation, however, the progress was derailed and ran into nonuse, due largely to the misidentification of the primary intended users of the evaluation. With the reapplication of the key principle of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UFE), intended use by intended users, the evaluation was put back on track and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findings was achieved and maximized. The presentation of evaluation gone astray and its revival provides an account that showcases the significance of appropriate intended user identification in the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approach. At the same time, the potential perils of evaluation nonuse are highlighted, as is the need to take careful steps into the practice of evaluation with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proper intended user identification.

      • KCI등재

        중소기업의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평가 요구 비교 분석

        김대영(Dae Young Kim),배을규(Eul Kyoo Bae) 한국경영학회 2012 Korea Business Review Vol.16 No.4

        이 연구는 중소기업 구조화된 현장 훈련(SOJT) 프로그램 평가 모형을 구성하는 각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SOJT 프로그램 평가 이해관계자 집단(경영진, 인사교육 담당자, SOJT 트레이너)의 평가 요구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중소기업 체계적 현장훈련(SOJT) 지원 사업」의 관련 문헌 분석, SOJT 퍼실리테이터, 위탁교육 담당자, 참가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SOJT 프로그램 평가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2011년 「중소기업 체계적 현장 훈련(SOJT) 지원 사업」의 SOJT 위탁교육 참가자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OJT 프로그램 평가 모형(안)의 구인 타당도 검증 및 평가 모형 확정을 위해 varimax 회전 방식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보리치 계수와 허쉬코비츠 임계함수를 활용하여 이해관계자 집단별 각 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기업 SOJT 프로그램 평가 모형은 8개 평가 영역, 47개 평가 지표로 구성되며, 이해관계자 집단에 따라 평가 요구가 높은 평가 지표는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OJT 프로그램 논리와 이해관계자들의 평가 요구에 기반을 둔 평가의 계획과 실행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valuation needs of each stakeholder group(CEO, HRD Staff, SOJT trainer) through identifying priority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OJT program evaluation. In this regard, a program logic model evaluating SOJT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documents and reports regarding 「SOJT support program for SMEs」project implemented under the auspices of Korea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interviewing projects facilitators, HRD staff and trainers in SMEs. In add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7 trainees who attended the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a series of several courses to teach how to implement SOJT in their organization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program logic model developed for SOJT program evaluation. Borich`s formula and Hershkowitz`s critical function were used to determine priority of evaluation indicators from SOJT program logic model in terms of evaluation needs of stakeholder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SOJT program evaluation model consisted of 8 evaluation criteria and 47 evaluation indicator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which be more concerned in each stakeholder group. For example, CEO emphasized ``appropriacy of trainer`s feedback`` and ‘propriety of evaluation method``. HRD Staff laid stress on ``usefulness of problem-solving``. SOJT trainer set a premium on ``trainer`s wil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KCI등재

        발명교사 PCK에 근거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이동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is focused on evaluation conformity to verify the conformity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based on invention teachers’ PC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objective’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Effects on the other education’, ‘Recognize changes in the students’, ‘Invention ability level of students’, ‘Clarity of objective’. Second,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content’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New content’, ‘Operations and conditions of invention education’, ‘Value in modern society’, ‘Reflect the student’s sentiment’, ‘Consider the student’s experience’, ‘Theoretical knowledge of teacher’, ‘Experience of teacher’. Third,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ducation method’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Ideation’, ‘Outputs’, ‘Teaching method’, ‘Problem situation’, ‘Strategy’, ‘Student Activity control’, ‘Necessary condition’, ‘Students’ configuration’, ‘Flexibility of the class’, ‘Ensure readiness of students’. Fourth, the evaluation conformity about ‘Evaluation’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re ‘Evaluation for the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Use of evaluation result’. The evaluation conformity what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nsidering on actual invention education by invention teachers who charge of invention education, and their invention education’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Eventually, it will be reasonabl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f check these evaluation conformity, when develop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사의 PCK를 바탕으로 하여 교사들이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것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목표’에 대한 평가준거는 ‘다른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학생의 인식 변화’, ‘학생의 발명능력 수준’, ‘목표의 명확성’이다. 둘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내용’에 대한 평가준거는 ‘새로운 내용’, ‘발명교육의 운영방법과 여건’, ‘현대 사회에서의 가치’, ‘학생의 심리 반영’, ‘학생들의 경험 고려’, ‘교사의 이론적 지식’, ‘교사의 경험’이다. 셋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평가준거는 ‘아이디어 구상’, ‘산출물’, ‘수업 방법’, ‘문제 상황’, ‘전략 활용’, ‘학생 활동 조절’, ‘필요한 여건’, ‘학생 구성’, ‘수업의 유연성’, ‘학생의 준비상태 확인’이다. 넷째,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평가’에 대한 평가준거는 ‘프로그램 효과의 검증을 위한 평가’,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가준거는 지금까지 발명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는 교사들이 실제 발명교육에서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발명교육들은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결국 발명교사들이 실제 발명교육에서 고려하고 있는 사항들을 점검하며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타당성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