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연체율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대한 고찰

        이유태 ( You Tay Lee ),이성백 ( Seong Baek Y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인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금융지원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 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2008년을 제외하고는 정책자금의 연체율이 일반 은행 대출의 연체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 둘째,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 두 지원방법 다 지방은행의 실질연체율이 시중은행의 실질연체율보다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별도로 자영업지원센터를 운영하는 지방 P은행의 경우 다른 지방은행과 비교해서도 낮았지만, 특히 시중은행과는 더욱 현저히 차이가 나서 그 차이가 일반 은행 대출의 경우 0.82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상공인을 금융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 하면 소상공인을 지원함에 있어 컨설팅과 교육을 연결하여 대출을 실시하고 자율적이고 시장 원리에 맞는 지역 금융시스템을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 은행은 지난 10여 년간 일선에서 소상공인을 지원하면서 많은 경험과 인프라를 축적한 소상공인 지원센터 시스템 및 상담사의 상담 능력을 벤치마킹하여 대출과 연계하고 현재 정책자금을 실시하는 중요 주체인 소상공인 진흥원 및 소상공인지원센터는 보다 효율적인 금융지원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컨설팅 및 교육 인프라를 확충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y for efficient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loan default rates between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for small enterprise in light of national balanced economy.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default rate of the policy fund is lower than that of the banks loan for small enterprise except the year of 2008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default rates fetches to 0.243%. The difference in the default rates outstands in 2011.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policy fund changes to the priority system which subsidizes the people first who took education and consulting courses beginning 2010. The financial support associated with education and consulting is expected to perform better than that without education and consulting in terms of the loan default rate. The fact that the interest rate of the policy fund is lower than that of banks loan could result in the lower default rate for the policy fund. Yet low interest rate turns out to be not related with low default rate in this analysi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associated with education and consulting is superior to the other case. 2) The loan default rate of local banks is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across the policy fund and the bank loans. The difference in the loan default rate by local banks and nationwide banks amounts to 0.384% for the policy fund and 0.605% for banks loa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oan to small enterprise is regionally oriented since small enterprise is based on the region. 3) 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which operates the consulting center on its own for small enterpris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The difference in the default rates amounted to 0.822%. Besides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across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for ``P Bank.`` 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local banks, too. Therefore, the lower default rate of the policy fund is attributable to consulting and education system, not to lower interest rate set by the policy. It is conclud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for small enterprise works better with the appropriate consulting and education and local financial system needs to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finding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licy fund increases the sales volume of small enterprise and the fund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for small enterprise. But the policy fund can`t accomodate all of 2.7 million of small enterprise in Korea. Banks loan take most of loan to small enterprise. Therefore, The financial support under frequent start and closure of small enterprises these days needs to be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 consulting and education for the balanced economy as a whole. The outstanding banks loan to small enterprise now reached over 100 trillion won. If the default rate of bank loan ever rise, it gives much more financial distress to the banks. As a result, the national economy will surely suffer. The banks need to benchmark the expertise of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has been accumulated over the last 20 years by serving numerous smal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oversees the policy fund also needs to intensify the consulting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efficient financial support to small enterprise in Korea. This paper finds that the superiority of the policy fund to the banks loan is attributable not to the lower interest rate of the policy fund, but to the role of the counsellor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provides the consulting and education and shows the way to the efficient financial system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in the future. When small enterprise borrows take loan from banks, the criteria for loan decision by banks should be based on its pure creditability. For regional financial system in accordance with spontaneous economic principle to work properly, the banks need to develop credit rating model associated with stylized and standard abilities of the counsellors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It is crucial since small enterprise, especially at the beginning stage in its business, does not have enough sound financial data for applying for banks loan. As a matter of fact, many of start-ups are excluded even from the policy fund since the lending process of the policy fund also puts a lot of emphasis on quantitative figure such sales volume, net income, etc. Therefore the policy fund tends to be not properly served according to its original purpose of aiding start-ups of small enterprises. The policy fund rather subsidizes mature small enterprises with good financial status. Considering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money at the beginning stage of small enterprise,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need to be allocated more to start-ups rather than to growing enterprise with better statistics in terms of sales volume and managerial environment. The appropriate credit rating model needs to be developed by incorporating the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by the counsellors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The banks loan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small enterprise and an individual or self-employed although the government puts much energy in supporting small enterprise including making the law for small enterprise explicitly. Therefore, banks loan system needs to be coordinated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policy for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in light of national balanced economy, which in turn makes the aid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is study yet has limitations in that the differences in default rates between the banks loan and the policy fund are compared in univariate way for each category of industries, interest rates, gender, age, the business history, etc.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default rates of loan in more comprehensive wa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needs to be employed by designating the default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ustries, interest rates, gender, age, ways of supporting aids, the business history, etc.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ata including financial statements for small enterprise in Korea is hardly availabl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Small sample of 7 banks analyzed, missing data, outliers, etc. are also restrictions for this analysis. It is advised that in future study more number of banks and more data after 2011 need to be analyzed to reach more meaningful conclusion for efficient way of financial support to small enterprise in terms of national economy.

      • KCI등재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을 통한 국내 스타트업 대상의정부 자금지원 개선 방안 제언: 신용보증기금을 중심으로

        박준수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1

        본 연구는 신용보증기금이 지원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을 중심으로 정책자금 활용성 증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제시하고자 한다. 그래서 현재 신용보증기금은 스타트업들의 정책자금 활용성을 높이고 지원받는 스타트업들이 중장기적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는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으로 개방형 혁신인 ‘Living Lab’을 통해서 새로운 혁신이 나타났다. 그렇지만 실제 사업화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은 국내 스타트업들이 실제 정책자금을 지원받는 주체가 되도록 하고, 또한 필요한 자금을 언제든 자유롭게 사용자 중심으로 자금지원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신용보증기금은 고객맞춤형으로 지원하게 되는 지원모델로서 ‘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의 실제적인 상황 인식과 애로사항들을 모두 수용에 한계가 있기에사용자 중심의 정책자금 지원 모형의 과학적 접근을 위하여 신용보증기금과 관련 지원기관 등이 스타트업의 정책자금 실태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through the utilization of policy funds, especially in the start-up companies supported by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And then,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should develop 'user-centered policy funding model' in order to increase start-up‘s utilization of policy fund and support start-ups that are supported in the long ru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tart-up companies has been strengthened by 'user-centered policy funding model' and new innovation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Living Lab', an open innovation. Bu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aching the stage of commercialization, the 'user-centered policy fund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enables start-ups to be the subject of actual policy funding, and also allows users to freely apply for necessary funding at any time. Therefore,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has a significance in suggesting 'user-centered policy funding model' as a support model to be customized. However, since SMEs recognize the actual situation and limit acceptance of all the difficulties,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olicy funds of the start-up by the credit guarantee fund and the related support institutions for the scientific approach of the user-oriented policy funding model need.

      • KCI등재

        글로벌콘텐츠펀드 영화정책 연구

        송낙원(Song, Nak-W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4 영상기술연구 Vol.- No.2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announced and worked on roadmap for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since 2011. As a result, ‘Global Contents Fund’ was created and 40 billion won was invested to Sovic Global Contents Investment Cooperative via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managed fund of fund by the Government in April 2011. Along with it, around 123.6 billion won Global Contents Fund has finally been crea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investors. This has been the largest scale of single contents fund. The Second Global Contents fund was even harder to be organized. Leading Investment, which Korean Venture Investment decided to invest had organized ‘Leading NEW-GEN Global Contents Investment Cooperative’ which was around 135 billion won. Nevertheless, it gave up the right as a Trust management company(GP) because it failed to attract investment from LP, which were foreign investors. Ministry of Culture tried to reorganize this unfinished the second fund with Daesung Private Equity, Inc. - Company K Consortium. However it failed to raise the investment of 100 billion won and gave up GP as well. At that time, CJ Private Equity, Inc. which took the second rank has taken over the right of operation. It failed to form the fund eventually in the end of 2013. In these reasons, as of yet, 2014, the Second Global Contents Fund is far from certain for two years since the Government planned it. The wrong policy by the Government caused this problem. The Government failed to form fund because of excessive regulations although it planned to launch Korean cultural industry abroad by Global Contents Fund. This thesis discusses fund and fund polic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contents industry including film.

      • KCI등재

        정책의 연속과 변동: 전국민 재난지원금 아이디어와 채택요인 분석

        김성수,이창율,김주상 한국공공관리학회 202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formula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lementary budgets in 2020 from the aspects of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policy tool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first supplementary budget in March 2020 had continuity with that of the financial crisis times. However, in the second supplementary budget bill of April 2020, a Covid-19 assistance fund was proposed as a new innovative policy tool.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roduction of Covid-19 assistance funds as a policy change. It analyzed the policy-mak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deas in policy change. In order to identify the idea of a disaster assistance fund, this study used quantitative text mining techniques to extract keywords that appeared in the discourse. This study found that three factors have influenced policy change: 1) the existence of policy entrepreneurs (the heads of regional governments), 2) a political event (the general election on April 15), and 3) political control over the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competed for the ideas of selective and universal support, and finally, universal support for all people was adopted.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supplement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more firmly by combining quantitative text mining analysis in researching policy cas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본 연구는 2020년의 제1차 및 제2차 추가경정예산의 편성과정을 정책의 연속과 변동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20년 제1차 추경예산안은 심각한 경제위기였던 2008년의 금융위기 때에 정부가 활용했던 정책수단과 비교할 때 기존의 정책과 연속성이 있고, 제2차 추경예산안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현금성 긴급재난지원금이라고 하는 새로운 수단이 제시된 것에 착안한 것이다. 현금성 재난지원금 도입을 제도변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신제도주의의 이론 중에서 아이디어를 강조하는 담론제도주의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사례연구의 질적인 접근에 텍스트 마이닝 분석의 양적인 내용분석을 접목하여 사례연구의 방법론을 보다 견고하게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담론을 둘러싼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재난지원금이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채택될 수 있었던 요인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정책선도가의 존재(광역자치단체장), 정치적 사건(4.15 총선), 행정에 대한 정치적 통제 등이 주요한 영향변수임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통합관리기금의 채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 확산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김상돈,김대진 한국지방재정학회 2015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0 No.3

        A integrated management fund is a newly established fund in order to integrates excess cash of each fund for using efficiently. By 2013, 76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the integrated management fund and this case is seen as having a meaning as policy diffusion case. The study targeted 228 local governments from 2000 to 2013. In addition, 76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adopted integrated management fund are analyzed by Event History Analysis(EHA) for finding influence factors of Policy diffusion. Followings are analysis of results. First, adoption by high government and diffusion of geographical show positive(+) influence on policy diffusion. This indicates when the local government has adopted the integrated management fund, have received the influence by high government and neighbors. Second,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number of funds show positive(+) influence on policy diffusion. Therefore,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a lot of funds and high financial independence rate have adopted integrated management fund. 통합관리기금은 기존에 운영되던 기금운용방식과 달리 개별기금들의 여유자금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도입된 기금의 형태로 2013년 현재 76개 기초자치단체가 관련조례를 채택하였다. 기금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할 때 통합관리기금 조례의 채택은 일종의 재정관리 혁신의 도입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정책혁신과 확산의 모형을 사용하여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한 통관리기금 조례의 채택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기간과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228개 기초자치단체들이며, 사건사분석(EHA)을 통하여 통합관리기금의 정책 확산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요인에서는 광역자치단체 채택 변수와 지역확산 변수가 통합관리기금의 채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관리기금을 채택할 때 광역자치단체와 주변 자치단체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내부결정요인 중 재정자립도변수와 기금의 개수에 관한 변수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상했던 대로 재정자율성이 높아 기금투자가 용이하며, 다수의 기금을 운용하여 통합의 필요성이 높은 기초자치단체들이 통합관리기금을 채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 KCI등재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의 법적 과제 -기업의 자금조달 기능 강화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안수현 ( Ahn Soo-hyu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5

        무릇 금융정책 측면에서 자금공급기능은 단순히 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원활화 및 경제위기 대응책수준에 그쳐서는 안되고 금융행정 전반의 기본 목표가 되어야 한다. 특히 경제환경이 과거와 크게 다른 상황에서는 자금공급기능의 강화는 종래보다 더 요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8년간의 금융정책을 살펴보고 현재 `경제위기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할 목적으로 특히 `기업의 자금조달 기능 강화`측면에서 마련된 제도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 우선, 전반적으로 금융감독과 금융규제면에서 정책당국의 태도가 많이 달라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검사 및 제재개혁과 인터넷은행 인가 등의 경쟁촉진 및 소비자 편리제고방안들의 신속한 추진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반면에 이해관계자간의 이해를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거나 법개정을 수반하는 정책들은 대부분 지연되거나 결실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편 기업의 자본조달기능 지원과 강화를 위한 제도들은 신속히 도입, 개선되었는데, 이에는 크라우드펀딩제도의 법제도화와 성장사다리펀드 확충 및 사모펀드제도 개편 등이 해당된다. 먼저, 크라우드펀딩실적은 단기간에 급속도로 증가하였지만, 이들을 통한 지속적인 자금조달을 위해서는 펀딩 이후의 기업상황에 대한 대중의 감시가 가능하고 또 유효적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펀딩 이후의 기업상황에 대한 정보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의 마련 및 펀딩초기와 이후 사정이 달라진 것을 쉽게 비교할 수 있게 하는 정보제공채널들이 추가로 제공되어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중개업체 대한 투자자교육을 강화하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성장사다리펀드 역시 지원규모는 크게 증대하였으나 여전히 투자자금이 일부 기업에게만 몰리고 있어 위험이 큰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공백상태이다. 또한 사모펀드제도의 개편방안 역시 주로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기업의 구조조정과 경영 참여형 PEF에게는 큰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한다는 비판이 없지 않다. 무엇보다, 보다 근본적인 의문 즉 전문투자형 사모펀드가 과연 모험자본의 제공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미지수이다. 그간의 금융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볼 때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기 위하여 정부가 자본시장과 금융시스템 전반에서 다양한 제도 개선을 시도하려고 한 점에서 일응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기업의 체질 개선을 유도하고 시장과 그 참여자들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각자 책임하에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상세한 지원과 뒷받침을 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다 근본적인 제도 변화를 위해 법적으로 지원이 필요하고 필수적인 부분들도 적지 않기 때문에 향후 입법부의 적극적인 뒷받침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 healthy investment ecosystem for start-ups i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Finance. It is one of important financial policy`s role. In this article, I analysed the financial policy and its concrete implementation that went through since financial crisis, focused on the field of corporate financing of the start-ups venture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inancial police and its measures to implement played during the period after economic crises and the subsequent process of economic recovery. Firstly, FSC(Financial Services Commissions) make it easier for start-up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MEs) to access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from retail investors. Second, start-up companies are still often faced with funding shortage as the early stages of business. Although the government plans to address that problem using Growth Ladder Fund providing innovative SMEs & ventures companies with sufficient funds, its operation reveals its money intends to go to the a little big and solvent companies rather start-ups. Third, FSC make it easier for firms to get the licenses needed to offer pooled hedge fund and eased restrictions on the launch of new hedge funds, in the expectation of the effect that funding money go to the venture & SMEs. However, my analysis indicates that this effects is somewhat very has many doubts. Because hedge fund generally pursue the high return. The analysis suggests that Financial Policy Stimulus since 2013 has been trying and expected to contribute mostly to economy recovery and supporitng ventures & SMEs financing in terms of long-term development. However, it is still called for vigilance and use of more comprehensive measures of effective and efficient goal achievement.

      • 노후 산업단지 개선을 위한 혁신펀드 활성화 방안

        정재호 ( Jaeho Chung ),김종하 ( Jongha Kim ),백성준 ( Sungjoon Baek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4 건설경제산업연구 Vol.5 No.1

        정부는 노후 산업단지 환경개선을 위하며 QWL 펀드를 조성하였으나, 민간투자의 촉진은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QWL 펀드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산업단지 혁신펀드의 조성 및 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산업단지 혁신펀드에 대한 정부 재정 출자 및 정책펀드에 대한 효과적인 조성 o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효율적인 정책 및 재정 집행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단지 혁신펀드는 조합형 · 재간접펀드의 형태로 조성하여 구조고도화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시행 또는 대행을 위한 펀드에 투자한다. 이를 통하여 혁신펀드는 마중물의 역할을 하고, 프로젝트 펀드에 민간 자본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기본적으로 구조고도화사업이 수익성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공공자금을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민간 참여가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수익성의 정도를 평가 분류하여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민간 자본 참여를 활성화하고, 이로 인한 수익을 공공성이 높은 사업에 재투자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산업단지 혁신펀드가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구조고도화사업에 대한 정밀한 사업성 · 위험성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고, 객관적이고 투명한 사업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원활한 민간 자본의 참여를 위해서는 민관협의체의 운용을 통한 투명한 투자사업 선정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장기적 자금순환 노력을 통해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지속적으로 개량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 in QWL fund raising for improving conditions of the old industrial complex was not fully announced to the private investor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and problem of QWL fund and suggested a new innovation fund and its strategy.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 this study set the guidelines to establish and operate efficiently regarding the governmental finance investment and the policy fund. The guideline will be used to operate the policy and finance efficiently. The Innovation Fund of the industrial complex includes a combination fund and the funds of funds. The funds will be invested to implement or execute various businesses for the Restructuring Industrial Complex. In this process, the Innovation Fund will announce the private capital to the project fund. However, restructuring the Industrial Complex has low profitability. So the private investment will possibly be low. This study assessed and categorized the profitabilities of various projects. On the basis of the categorization, the private capital can be invested to the highly profitable projects and, with the profit, re-invest in the highly public projects. For safe arrival of the industrial innovation fund in the market, the potentiality and risk of the market of the Restructuring Industrial Complex should be preceded. The objective and transparent management of the business should also be required. For the effectiv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capital, the transparent selection of the investment project by the Public-Private Investment Council is important. With this long term flow of funds,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improved system for the old industrial complex could be settled.

      • KCI등재

        전북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개선방향 연구 - 미국과 비교하여 -

        박재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4

        In Jeonbook, the shut-downs of Hyundai Heavy Industries Gunsan Shipyard and GM Korea Gunsan plant forced us to focus on job creations. Therefore, in order to boost the job creating SMEs, I enunciate the improvement measures in SMEs policy fund. In doing so, I analyzed multi-regression method by using survey data. According to statistical results, first, all performance indicators in SMEs over 50 employees, show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licy fund interest rate satisfaction. Second, performance indicators in SMEs under 21 persons, improve when the internal financial situation is favorable or when the external borrowing situation is bad. In other words, SMEs under 21 persons, has a complimentary effect of policy fund against market failure but SMEs over 50 persons, have strong financial cost saving effects, rooted in low interest rate comparing to the market rate. Based on the foregoing, to maximize the performance indicator of policy fund,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accessibility of policy fund to SMEs under 21 persons. However, they could maintain the level of policy fund’s interest rate for the SMEs over 50 persons for the time being however should normalize interest rate and extend maturity simultaneously. 전북은 최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창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따라서 일자리, 매출, 생산 및 순이익 등의 관점에서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자금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지역중소기업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모든 정책자금성과는 50인 초과 중소기업에서 정책자금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금리만족여부에 기인했다. 둘째, 20인 이하 중소기업은 내부자금사정이 좋을수록, 외부 자금조달환경이 불리할수록 정책자금에 의한 성과가 개선됨을 입증했다. 즉 20인 이하 중소기업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에 따른 시장실패에 대한 정책자금의 보완효과가 확인되었지만 50인 초과 중소기업들은 시장실패 보완보다는 금융비용절감효과가 존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20인 이하의 경우, 자금의 접근성을 개선시킴으로써 경제성과를 제고할 수 있고 50인 초과 중소기업들은 정책자금의 저금리라는 금융비용절감을 통해 정책자금의 성과를 단기적으로 지속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금리정상화 및 만기장기화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국책은행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에 관한 효율성 연구

        윤미,이철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mprovement plans for policy fund support in national policy banks through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policy fund support. It target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at received policy funding from national policy banks in '17 and '18 consecutively. As for the analysis method,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ost of the financial funds were concentrat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region, the west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by credit rating, was A grade, technology grade was T5, and the use of funds was mostly concentrated on facility funds. Second, as a result of efficiency analysis, profi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otal capital return, s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compensation ratio, and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otal capital turnover.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rovement plans to support policy funds to influence the growth and distribution of fund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SME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자금 지원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국책은행에서 정책자금 지원의 실무적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책은행에서 '17년과 '18년에 연속해서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현황에 대한 특성 분석과 재무적 성과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특성 분석결과 외부에서 조성된 재정자금이 대부분이고, 업종별로는 제조업에 집중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 서부지역에, 신용등급별로는 A등급 구간이 가장 많았다. 기술등급은 T5 등급에, 자금 용도는 시설자금에 대부분 지원되었다. 둘째, 효율성 분석결과 수익성은 총자산순이익률, 안정성은 이자보상비율, 활동성은 총자본회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성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자금 배분과 성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실무적인 개선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고교다양화와 고교선택제에 따른 학교 체제 변화 연구 : 서울시 일반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환,안선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ystem since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have been adopted in Seoul in 2010. Researchers analyze how 'Hankok high school' system has been changed since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were introduced in Seoul, using the Hoy & Miskel's instructional model and interviewing school memb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ystem showed the considerable change sinc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in Seoul were adopted. Thirdly, the competi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has been greatly worsened because of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in Seoul. Finally, the analysis of policy influence on the self-funded private high schools should be executed and lots of policy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non-preferred high schools. 이 연구는 고교다양화와 서울시 고교선택제 시행에 따른 일반고등학교 체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Hoy와 Miskel의 학교체제모형을 수정하여 개발한 학교체제 변화모형을 활용하여 학교체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책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시 일반고였고,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면접을 통해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고교다양화 정책과 서울시 고교선택제에 따른 일반고 체제의 투입과 산출은 크게 악화되었다. 또한 고교다양화 정책과 서울시 고교선택제의 도입에 따른 일반고 체제Ⅰ(2010~2011)과 체제Ⅱ(2012~2013)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고 체제변화의 가장 큰 요인은 고교다양화 정책과 고교선택제의 시행에 따른 학교체제 투입의 변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정책 당국은 고교체제 변화를 가져오는 정책을 추진할 때는 학교현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자사고 등 고교다양화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과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 비선호 일반고에 대한 정부 차원의 획기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와 교육청은 다양한 정책적인 노력을 통해 학교체제 혁신을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노력을 유도, 지원, 촉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