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상학적 질적연구 심사자를 위한 "현상학과 질적연구"

        이남인 질적연구학회 2019 질적연구 Vol.20 No.1

        The level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steadily improving. Nonetheless, recent papers o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still have some problems in terms of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ers must have a strong consciousness of methodology when they carry out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es. In addition, reviewers need to encourage researchers to revise manuscripts and upload it by pointing out problems related to research method in details.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ith aim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and propose the mission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viewers. Reviewers should encourage researchers to revise manuscripts into a more complet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thesis by rectifying problematic research processes and methods. They should have an open-minded and creative attitude based o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4 No.-

        지난 50-60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수학적인 정량적 분석의 방법이 지니는 한계 및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을 개발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은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썰에 위해 정초된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는 “체험연구"(lived experience research)를 위한 방법인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은 심리학, 간호학, 교육학 등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이 이처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과연 현상학적 철학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있는 타당한 방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그동안 개발된 여러 가지 유형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활용하면서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군의 연구자들은 그러한 방법이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처럼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과 관련된 논의는 현재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는데, 그 일차적인 이유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이 아직도 튼튼한 철학적인 토대 위에 정초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상학적 칠적연구방법과 관련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표는 바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를 검토하변서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In the past 50-60 years, pointing out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metho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ome researchers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ne of them is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founders of this method consider it to be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that is developed by such phenomenologists as E. Husserl, M. Heidegger, M. Merleau-Ponty. The most well know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is the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It is widely used by many researche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some challenge that this kin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ne can say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s not yet founded on a firm philosophical grou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lived experience research could be considered to be really rooted in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후보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

        박승억 ( Seung Ug Park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In these days, the expression, ‘scientific’ is a synonym for ‘objective’ or ‘reliabl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examine of the scientific character of so-called ‘qualitative research’ which became a major alternative method in the various social sciences. There are many kinds of methods in the qualitative researches: narrative research, phenomenological research, grounded theory research, ethnographic research and case study etc. Each method has a specific character. However, it means that it is hard to grasp the identity of qualitative research itself. Generally speaking, the qualitative research is regarded as a non-quantitative research. The quantitative researches have a common identity by using a mathematic of statistical method, whil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many differences in each research domain. Despite of methodological ambiguousness qualitative research has to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method in various social researches, because the meaning of actions of human being and of social relations could not be explicated by a quantitative method. However, it is not obvious, how qualitative researches satisfy of the criterion of scientific research: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I have argued that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s a good candidate to satisfy the criterions.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돌봄’(caring)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현상학이 간호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방법론으로 응용되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반부에서는 간호학과 현상학의 관계, 즉 간호학이 현상학을 어떻게 연구 방법론으로 응용하고 있는가를 다루게 된다. 간호학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상학 역시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수용된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 표준화된 관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질적 연구는 현상학이나 해석학적 방법, 근거이론, 사례연구 또는 역사연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수행된다. 간호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자인 환자나 보호자, 혹은 간호사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밝히고자 시도한다. 후반부에서는 간호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생활세계적 지평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과학화나 전문화 이전에 이미 돌봄은 생활세계에서 일상적이고 자연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돌봄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 내려오는 ‘정’개념을 통해 해명된다. 한국문화의 특징을 ‘정’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만큼, ‘정’은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은 타자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타자와의 관계적 구조를 지닌 돌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이 담겨져 있지 않은 돌봄을 통해 환자나 보호자는 정서적 만족감이나 위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돌봄은 근원적으로 대인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정’의 표현이며 ‘정’은 궁극적으로 하나가 됨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돌봄은 돌봄을 행하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하나가 되는 통일적 경험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cipline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for methodological inspirations. This paper will unfol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main topics; first, the meaning of phenomenology as a research method in nursing science; and secon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ing as a core concept in nursing science. The former is about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focusing on laboratory experiments, formal methods and numerical method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to enable researcher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most frequently used in social sciences are ethnographic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ritical social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The latter takes the form of shedding a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aning of caring. Phenomenology helps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through procedures geared toward an understanding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caregivers (nurses) and patients or their caretakers (e.g., members of family). In Korean society, jeong brings the members of a group together to the point where a collective and communal inclination among the members is readily perceptib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Caring means not simply a meeting between individual subjects: patient and nurse, but the practice of jeong as an ultimate found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becoming ‘one’ A separation between care-providers and care-recipients would disappear if jeong took ho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 Korea Professional Baseball History Approached with Diverse Research Methods

        ( Ji Yong Kim ),( Woong Yong Ha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ultilateral research method with escaping from a documentary research, which is a basic research of the sport history. It is actually difficult to find an example of having applied diverse research methods in a study. Thus, this study suggested research methods that had utilized personal own studies o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history and arranged merits and demerits of each research method through the analysis. Method: This study performed a documentary research based on researcher personal 6 pieces of the theses related to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history,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Physical Education, Sports and Dance. Result: First, < MBC blue dragon, Korea Pro Baseball, LG Twins > which had been loyal to a documentary research, had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research results related to professional baseball. Accordingly, a research was progressed by adjusting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eriod, which had not been addressed in other researches. Second, < Cultural Icon, Choi Dongwon, Korea Pro Baseball, Lotte Giant >, which had more concentrated basically on in-depth interview based on a documentary research, had a significance of research in having been able to elicit an individual``s history from a surrounding person. Third, < Lotte Giant Business-Sponsored Baseball Team, Prometheus, Korea Pro Baseball >, which performed a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could elicit an inner history through a baseball-team situation and an individual conflict that had not been known. Fourth, < Hae Tae Tigers, Korea pro baseball, Legend of Mt. Mudeung > of comprising a story of diverse people relevant to a baseball team is a research that attempted the narrative writing. But a slightly unreasonable selection of interview subjects is indicated to be a problem. Fifth, the < Korea professional baseball, Oral history, Phenomenological research >, which was conducted a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through interview, utilized a new research method, but is insufficient in a systematic aspect such as researc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ixthly, the < the Factional Analysis of Sport Movie ‘Perfect Game’ >analyzes movies and baseball-related cases, which actually took place through documents and interview with relevant persons, and analyzes the virtual and the real. Conclusion: Research methods such as oral history, faction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were raised in this study, is in the beginning level unlike the existing documentary research. Hence, a limitation of a documentary research will be able to be supplemented given being continued a discussion about systematic and rational research process or technique.

      • KCI등재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박승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Rec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field of counseling research. Contrary to quantitative methodology, qualitative methods aim to underst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vivid experiences, and more and more researchers use the qualitative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s from now on. The KCI listed 81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11, were analysed wit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Secondly, depending on research purpose, change process or intervening factor took the biggest part. Grounded theor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was followed by phenomenology, CQR, narrative, ethnography. Thirdly, amo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6~10 participants was the most frequent occasions. Based on each finding,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상담 연구에서 질적연구방법은 최근 각광받는 방법론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양적연구와 달리 질적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과 본질을 생생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상담학 분야 연구에서 그 사용정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담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상담학 분야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의 가치와 고려점,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질적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논문 81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한 결과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의 종류별 동향으로는 ‘변화과정 또는 개입요인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사용한 질적연구방법론은 근거이론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현상학, CQR, 내러티브,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수는 6~10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 내담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는 경우와 객관적 척도를 연구참여자 선정 방법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국내 질적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지방구술사 조사과정의 연구방법론 고찰-지역 역사관광자원 연구의 확장을 위하여

        김옥희,민웅기 한국지역문화학회 2023 지역과 문화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different orders of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the local oral history study for local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in terms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When entering the postmodern society, researchers of local culture need to pay attention to local oral history which can be developed as one type of tourism resources based on local history and culture. Recently, tourism researchers started to discuss local oral history as a study theme in terms of develop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attract tourists. Also, local communities are trying to discover and develop local culture and tourism content based on local oral history with the region's authenticity that they have overlooked.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one on how to define th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are conducted between investigators and subjects in local oral history research in terms of a research methodology. The oral history research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can be conducted by combining both phenomenological and semiotic research methods. These research metho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cultural phenomena related to local historical and tourism resources in the postmodern er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local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using local oral history in order to mitigate and overcome th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The academic discussion of the research methodologies for local oral history analysis explor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xpand the application of local historical and tourism resources study.

      • KCI등재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겪은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경험

        김영진(Yeongjin Kim),김명찬(Myeo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상담을 전공하고 학위논문을 작성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하위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연구에 대해 알지 못해 막막함을 느낌>, <학교에서 연구와 관련된 구체적인 도움을 받지 못함>, <연구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 과정에서 내적 위기감을 느낌>, <연구에 대한 내적 동기로 인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게 됨>, <지지와 격려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됨>, <연구를 위한 공부를 스스로 함>, <주변 사람들에게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한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대학원에서 연구와 관련된 교육이나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에게 연구 경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혼란과 불안을 견딜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를 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research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studying counseling in the master’s course, To this end, eight participants who majored in counseling and wrote their dissertations at graduate schools were interviewed in depth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2 subcomponents and 8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result of study are defined as <Feeling hopeless because you don’t know what to do with the research>, <Not getting substantive help for the research at school>,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with research methods>, <Feeling a sense of inner crisis in the course of the study>, <I Internal motivation to keep going and not giving up>,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support and encouragement>, <Self-directed studying for research>, <Get practical help from people around for research>. The study is meaningful in learning about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or support related to research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research experience to help them overcome confusion and anxiety. Lastly, suggestions were made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배상식(Bae, Sang-sik)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나타나는 연구자들의 한계와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학적 현상학'은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현상(사태)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이러한 응용현상학(교육학적 현상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적 연구의 논리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학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든가 아니면 지오르기(A. Giorgi)나 반 매넌(M. van Manen) 등 외국학자들의 연구절차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연구자는 연구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단순히 고정된 연구절차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연구자 자신의 삶과 결부시켜 그것의 본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and problems of researchers that appear in the papers of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by phenomenological method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edagogical phenomenol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 of practice(the pedagogical phenomenol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research logic and research techniq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if a researcher carry out a qualitative study b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she or he needs insights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the essence of the various phenomena appearing from the participants by comparing in with her or his own lives.

      • KCI등재

        ‘현상학적 교육학’의 의미와 연구방법의 문제

        배상식(Bae, Sang-sik)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본 연구는 ‘현상학적 교육학’이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해명해 보면서,국내 교육학 관련 연구자들이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 할때 범하는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 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현상학적 교육학은 교육학 분야에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한 것으로써,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자체(본질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한다. 그런데 문제는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응용현상학(현상학적 교육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현상학의 본질적 의미가 오해되거나 왜곡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국내의 연구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로는 현상학 관련 개념에 대한 기본이해 부족과 순수 현상학자들 간의 차이성에 대한 이해 부족, 그라고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차이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me problem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accepting phenomenological methods by domestic researchers majoring in Pedagogy while explaining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Pedagogy'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research.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henomenological pedag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phenomenological pedag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phenomenological concepts, lack of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pure phenomenologists and lack of knowledge about methodological difference between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