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공재로서의 지역문화예술: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김도희,김동일 한국지역문화학회 2022 지역과 문화 Vol.9 No.4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발맞춰 정부는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문화예술에 관련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정작 지역에서는 문화예술의 사회적 요구를 실천하기 위한 공적 책임과 권한을 갖춘 합법적 전담인력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수도권과 지역의 양극화로 인해 발생하는 수도권 위주의 지원사업, 관과 지역의 예술가와 주민들 간의 문화예술에 대한 협치의 부재, 문화예술 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들의 문제와 한계점 등에 대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예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방안과 함께 지역문화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에서 문화예술을 공공재로서 다루고 관리할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제도의 필요성과 그들이 갖춰야 할 필요 역량과 양성방안을 검토하였다.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는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조성, 지역문화예술 조직간 성장 및 네트워크 형성지원, 지역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시스템 구축, 지역문화예술 신규주체 및 의제발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크게 4개로 분류하고 그 아래 29개의 소역량으로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수직적 정책 체계로 이루어졌던 지역문화예술 관련 사업들과 달리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가 활동할 수 있는 중간거점 조직으로써 지역문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지역정체성의 구성 요소와 내용 연구 - 초기 문화도시의 비전을 중심으로
정정숙 한국지역문화학회 2025 지역과 문화 Vol.12 No.1
지역정체성은 지역민들을 단합시키며, 지역 이미지를 좌우하는 효과를 발휘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비전이나 슬로건, 혹은 마스코트나 캐릭터 등을 통해 지역정체성을 대표적이고 압축적으로 표현한다. 본 논문은 2014년 제정된 지역문화진흥법의 제15조 ‘문화도시’ 조항에 근거해 2019년 이래 지정 된 초기의 18개 문화도시 비전에 표방된 내용을 중심으로 추상적이거나 이미 지로 연상되는 지역정체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요소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 해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모든 지역은 문화도시를 보편적으로 지향하면서도, 동시에 그 지역만의 매력에 근거한 고유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18개 의 문화도시들이 지역정체성으로 확고해질 미래상인 비전에서 추구하는 보편 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기준으로 공간과 시간, 도시 내·외관계, 추구하는 가 치, 시민 주역화 수준 등을 설정하였다. 해석의 결과, 지역정체성은 시간적 차 원에서 과거의 역사문화적 자원과 직접 연동되고, 기능 및 산업적 공간보다 시 민의 일상적 공간이 중시되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문화도시라는 궁극적 목표 실현을 위하여 획일적인 도시개발이 아닌 문화권 향유와 공동체 문화의 확산이라는 연대의 가치를 보편적으로 추구하고 있었으며, 한편 시민이 문화활 동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도시가 18개 도시의 과반수에 달했으나, 여전히 시민 이 대상화되어, 주체적 역할이 다소 희박한 도시도 존재했다. 본 연구는 비전 에 표명된 용어를 중심으로 지역정체성의 내용을 탐구하였기 때문에 몇 가지 한계점과 그에 따른 과제를 안고 있다. 비전 수립 시 갈등과 조정의 맥락, 지 역의 정치경제적 상황과의 연계성, 사업수행의 실행지(practical intelligences)에 의한 비전의 변화 양상에 대한 후속 탐구가 요청된다. Local identities have united local people and shaped the perceptions of tourists and outsiders. Therefore, local identities have been expressed through local visions, slogans, unique mascots, and distinctive characters. An analysis of the elements and content on the local identities was based on the local vision, particularly on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18 cultural cities designated by government in Korea from 2019 to 2021,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cultural cities focus their development on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originality rather than applying uniform standards for only economic purposes. Also, the cultural cities are focusing on peoples’power to build the city development instead of local government administers or specialists of architects & planners. There is a lot of symbolic language used in the visions of the 18 cultural cities that conveys the purposes of the cultural cities and their local identities. The results of analyzing of these visions about the time and space concepts of cities, their values and relationship with other areas, and their level of active participation of city people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linked with the future images of these 18 cultural cities. Second, cultural cities aim to change their functional and industrial spaces into daily life spaces for city peoples. Also, there are positive and active city peoples above half of cities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ir cities. However some cities still put their city peoples in passive positions to make cultural citi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a bit of limitations because of analyzing the words itself on the visions of the 18 cultural cities without considering the local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Moreover, the visions including their local identities can not be fixed in one moment. The visions can be newly composed through practical intelligence during the practicing process of projects in cultural cities. So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turning points or transition periods of visions in cultural cities in the future continuously.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이정은 한국지역문화학회 2020 지역과 문화 Vol.7 No.2
지역문화진흥법의 시행과 함께 문화매개 영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 자는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해 온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기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사례 연구를 모색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의 문화매개 활동을 지역과 문화를 둘러싼 능동적인 의미 생산 활동으로 의미화하고, 기존의 가치와 인식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 하고 지역의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하는 문화매개자 역할을 조명하 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피에르 부르디외의 개념을 경유하여 지역을 둘러싼 의미 생산에 기여하는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지역과 문화의 매개가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문화생산 구조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고, 도시재생의 국면에서 지역의 구 체성을 드러내는 로컬 기획이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는 점을 논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인천에서 활동해 온 로컬 기획자(스페이스빔, 임 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각각의 사례는 1) 주민들과 이슈를 공유하고 지역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삶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역할 2) 지역의 전문예술 영역을 공적인 장으로 재구성하는 역할 3) 독립출판물을 통해 지역의 일상문화를 드러내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각자의 영역과 관심 속에서 지역의 다양 한 면모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인천에서 문화를 둘러싼 공적 영역의 구성에 관여하고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는 지역문화의 자율성과 다양성의 확보라는 과제를 둔 상 황에서,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지역에서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는 활동주체로 의미화하고 각 각의 매개 실천들의 특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Landau의 가외성에 따른 지방문화원과 지역문화재단의 협력 방안 연구
한상진,김선영 한국지역문화학회 2024 지역과 문화 Vol.11 No.3
지방문화원과 지역문화재단 간 기능의 유사·중복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주로 기관 통폐합이나 구조적 재편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M. Landau의 가외성(redundancy) 이론에 따르면 중복적 구조는 상호보완적 협력과 제도적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잠재력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례를 통해 지방문화원과 지역문화재단 간 유사 중복 사업을 가외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중 첩성’의 관점에서 대덕문화원과 대전문화재단은 상호보완적 협력을 통해 시너 지를 창출함으로써, 중복된 역할에서 오는 부담을 해소하고 상호의존성을 강화 하였다. ‘중복성’의 경우, 부천문화원과 부천문화재단은 문화도시라는 공통 목 표 하에 ‘10만 문화벨트’ 사업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결과,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사업의 규모와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또한, ‘동등잠재성’의 경우, 춘천문화원과 춘천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수행한 ‘디지털기록관’ 사업은 지방문 화원의 자료와 역사적 자산이 디지털화 작업과 결합하여, 지역 문화재의 보존 과 활용을 확대하였으며, 김포문화원과 김포문화재단의 ‘김포아트빌리지’ 사업 역시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은 주로 단발성에 그쳤으며, 향후 지속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Discussions on the similarity and duplication of functions between local cultural centers and local cultural foundations have been ongoing for a long time, and these discussions have mainly focused on institutional consolidation or structural reorganization. However, according to M. Landau's theory of redundancy, a redundant structure can be interpreted as the potential to strengthen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institutional flexibility rather than simple in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imilar overlapping projects between local cultural centers and local cultural foundations in terms of extraneousness using multiple case studies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overlapping', Daedeok Cultural Center and Daejeon Cultural Foundation can resolve the division of overlapping roles and strengthen interdependence by creating cooperative synergy through complementary cooperation while classifying their unique roles. In the case of 'overlapping', the Bucheon Cultural Center and the Bucheon Cultural Foundation established a cooperative system through the '100,000 Cultural Belt' project under the common goal of being a cultural city, minimized waste of resources, and expanded the scale and influence of the project. In addition, in the case of 'equivalence potential', the 'Digital Archives' project jointly carried out by the Chuncheon Cultural Center and the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confirmed that the data and historical assets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can be combined with the digitization work of the Chuncheon Cultural Foundation to maximiz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assets. The Gimpo Art Village project of the Gimpo Cultural Center and the Gimpo Cultural Foundation also show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cooperation. However, such cooperation was mainly one-off,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tinuous and systematic cooperation system in the future.
섬 지역 문화향유 격차 연구 - 섬 지역 문화시설 현황과 문화향유 경험 특징을 중심으로
육수현,강찬영 한국지역문화학회 2024 지역과 문화 Vol.11 No.4
본 연구는 섬 지역의 문화시설 현황과 섬 주민의 문화향유 경험의 특징을 분석하여 섬 지역의 문화향유 격차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첫째, 섬 지역 문화 시설 현황을 주소를 기반으로 현황과 GIS 버퍼분석을 수행하여 인접성을 파악 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섬 지역에는 문화기반시설 101개소, 작은도서관을 포 함하면 총 200개소가 있다. 둘째, 섬주민의 문화향유 환경의 실태를 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문화향유 경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앞 서 살펴본 것처럼 섬 지역은 문화사막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수 자체 도 부족하고, 섬 주민의 문화향유를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은 작은도서관으로, 종합적 문화예술 활동을 보급하기에 역부족이다. 시설의 부족은 섬 주민의 문 화활동에서도 드러난다. 시설, 강사의 부족은 섬 주민 수요에 응답하기보다 공 급에 맞춰져 있다. 주민은 스스로의 재능과 노력으로 공간과 프로그램을 만들 어내거나 먼 거리를 이동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섬 주민들에게 문화향 유는 우선순위가 아니고, 문화활동이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 지 못하는 환경에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있는 시설들의 지속가능한 운영 및 관리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작은 규 모의 문화시설을 보급하여 문화향유 소외지역의 범위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수요응답형 대안시설을 발굴하여 문화서비스를 공급해야 한다. 넷째, 심 리적 거리감을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섬 주민의 문화 활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섬 주민 문화 향유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njoyment experiences among island residents, revealing the cultural enjoyment disparity in island areas. To do so, the study follows two main approaches: First,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in island areas was conducted based on address data and GIS buffer analysis to assess proximity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There are 101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island areas, and when including small libraries, the total number rises to 200. Second, to qualitatively understand the cultural enjoyment environment of island resi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ultural enjoyment experiences. As observed, island areas can be described as cultural deserts.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is insufficient, and the facilities available to support the cultural enjoyment of island residents are small, such as small libraries. These facilities are inadequate to promote comprehensiv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 lack of such facilities is reflected in the cultural activities of island residents. The lack of facilities and instructors is tailored more to supply than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island residents. Residents often create spaces and programs on their own or travel long distances to access cultural services. However, for many island residents, cultural enjoyment is not a priority, and they are unaware of the potential for cultural activities to enrich their lives. To improve this situ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Establish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for the existing facilities. Increase small-scale cultural facilities to reduce areas excluded from cultural enjoyment. Develop demand-responsive alternative facilities to supply cultural services. Address psychological distance by improving the emotional connection to cultural services. Strengthen the cultural activity capabilities of island residents. Ensure a stable supply of instructors to improve the cultural enjoyment environment for island residents.These suggestions aim to enhance the cultural environment in island areas, reduce disparities, and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gagement and enjoyment.
복잡계이론 관점으로 본 부천문화도시 문화마을지원사업의 창발현상
안지연,증신,김영주 한국지역문화학회 2025 지역과 문화 Vol.12 No.1
본 연구는 부천시 문화도시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운영하고 있는 문화마을지 원사업의 사회문화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문화마을 사례를 마을기업형 <산제로 상점>, 협동조합형 <바람>, 거점중심형 <공유지를 만드는 사람들>으로 유형화 하고 유형별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 기록지 를 비롯하여 개인심층인터뷰, 그룹인터뷰, 관찰, 공공문서 등의 자료를 포화상 태에 이르기까지 수집한 다음, 복잡계이론의 분석 틀에 의해 시간적 흐름에 따 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형별 세 사례 모두 시간적 흐름에 따라 안정기, 혼 돈기를 지나 임계점에 해당하는 사건을 거치면서 자기조직화와 자기유사성, 공 진화 등의 특징을 갖는 다양한 창발현상들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창발현상은 마을지원사업의 사회문화적 성과로 볼 수 있으며, 지역주민 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으로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사회적 자본) 형성, 마을의 공공성을 위한 지역 문제해결 모색, 독창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문화 콘텐츠 확산으로 지역정체성 강화, 문화활동 주체로서 지역주민의 문화향유 일 상화 실현을 주요 성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내에서 풀뿌리 역할을 하는 작은 커뮤니티들이 공동체 안에서 사회문화적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복잡계이론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ocio-cultural outcomes that emerge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ultural Village Support Project, which is part of Bucheon’s Cultural City. To conduct this analysis, cultural villag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village enterprise type (Sanjerosangjeom), cooperative type (Baram), and hub-centered type (People Creating Shared Spaces). Cases corresponding to each type were selected and examin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eld notes,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group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complexity theory in a temporal sequence. The study found that all three cases exhibited various emergent phenomena through sequential phases of stability, chaos, rapid transformation, and emergence over time. These emergent phenomena can be seen as socio-cultural achievements of the Cultural Village Support Project. The key outcomes identified include: the formation of community networks (social capital)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local residents, efforts to address local issues to enhance public value, the development of unique and diverse programs and the dissemination of cultural content to strengthen local identity, and the realization of cultural enjoyment as an everyday practice among local residents as cultural 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direction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stability,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of the project. These include tailored support methods according to project types, foster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diverse and low-barrier experimentation, operating exchange programs among communities,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legal consulting and suppor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qualitative confirmation that small grassroots communities within a region are generating socio-cultural outcome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지역문화역량 개념으로 접근한 서울시 자치구의 지역문화 수준 측정 및 유형화
성연주 한국지역문화학회 2022 지역과 문화 Vol.9 No.1
이 연구는 도시의 지역문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지역문화역량(Community Cultural Capacity)을 제안하였다. 지역문화역량은 제도, 시장, 시민역량의 세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관계적 프레임을 의미한다. 세 가지 역량을 총 13개의 변수로 구성하고,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해 서울시 자치구의 지역문화 수준을 측정하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세 가지 역량이 교차해 만들어지는 퍼지셋의 이념형은 총 8개로, 클러스터형, 문화생산형, 제도기반형, 민간주도형, 제도역량형, 시장역량형, 시민역량형, 활성화형이다. 분석 결과, 서울시 자치구의 지역문화역량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세 영역이 모두 충족된 클러스터형은 강남구, 마포구, 서초구, 성동구, 영등포구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역문화 수준을 측정하는 지역문화지표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세 역량이 모두 충족될 때 지역문화역량이 종합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엔트로피 지수를 활용한 국가 및 지역별 문화재정지출의 불균등도 분석
오주현 한국지역문화학회 2024 지역과 문화 Vol.11 No.4
본 연구는 엔트로피 지수를 활용하여 한국의 문화재정지출의 수준을 OECD 국가들과 비교하고, 한국의 지역별 문화재정지출의 불균등도를 평가하고자 한 다. 분석 결과, OECD 국가 대비 한국의 경우 평균 문화재정지출 규모에 비해 1인당 재정지출 규모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균등도는 글로벌 금융 위기와 코로나 팬데믹의 기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불균등도를 분석한 결과, 2009∼2013년 기간에 높은 수준의 불균등도를 보이다, 2014년 이후 급격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4년 이후로 증가한 문화재정지출이 불균등도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 불 균등도 역시 2014년을 기점으로 불균등도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2009∼2014년 기간에는 지역별 엔트로피 지수에 큰 차이가 있었으나, 2014∼ 2021년 기간에는 지역별 차이가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지역 내 불균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문화재정지출의 증가와 함께, 불균등 도의 개선도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nequality in fiscal expenditure for the culture and arts sector, using the entropy index. It specifically focuses o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inequality both between OECD countries and within regions of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South Korea's per capita fiscal expenditure on culture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OECD countries, but the inequality has consistently improved, except during the periods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inequality was high during the period from 2009 to 2013 but sharply decreased after 2014, which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d cultural fiscal expenditure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in inequality since 2014. Regional inequality also showed improvement starting from 2014,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gional entropy index during the period from 2009 to 2014, but these differences diminished between 2014 and 2021. In South Korea, overall, it appeared that the increase in cultural fiscal expenditure after 2014 contributed to an improvement in in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