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수행에서의 인터뷰 쟁점과 전략

        김경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5 No.1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issues and difficultie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bout trauma experiences in young age subjects, and tried to suggest some strategies to handle these issues. To this end, several issues were raised and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raised issues include the role divis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ractitioner and the subjects' difficulties in remembering and talking about traumatic experience. The suggested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ime of occurrence,duration of the incident and the severity of trauma felt by the subjects. Second,to help the child subjects to remember and talk without serious complication, the subjects' developmental stage and the overall environmental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Third, step-by-step strategies to promote the subjec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areful exploration were suggested. Lastly, several practical methods to prevent or reduce emotional burden of researchers were suggested,such as writing research journals and formal supervi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s to promote researchers' self reflection and help to conduct qualitative trauma research more safely and eth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트라우마 경험 질적연구 수행 과정에서 연구자가 직면하는 쟁점을 인터뷰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처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에서 참여자의 트라우마 경험과 회상의 문제, 아동 참여자, 연구자와 실천가 사이에서의 역할 갈등과 관련된 주요 쟁점이 논의되었다. 이에 따라 이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첫째, 참여자의 선정과 트라우마 경험에 따른 연구 초점의 구분, 참여자의 권리 고지 및 연구자의 자기반영적 지침을 제안하였다. 둘째, 아동과의 인터뷰 전략으로서 아동의 발달과정과 환경적 맥락 고려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구체적으로 회고 및 표현을 돕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 인터뷰에서 탐색을 촉진하고 참여자를 지지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넷째, 연구자의 이차 피해 방지를 위한 지지체계 확충의 필요성과 함께 연구자의 개인 일지 쓰기와 공식적인 슈퍼비전 등의 전략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가 인터뷰 쟁점에 대한 민감성을높이고 이를 준비하게 함으로써 보다 윤리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함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 질적 성과의 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권지성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logically and empirically the qualitativ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search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qualitativ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and collected opinions on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for researchers specializing in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se analyzes were integrated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in an inductive way. The concept of qualitative outcome revealed through integrated analysis and discussion includes six elements including contextual outcome, outcome showing qualitative difference, outcome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social work practice, outcome reflecting client's perspective, outcome including various stake-holders, and unexpected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seizing and presenting the outcome of social work practice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성과를 논리적, 실증적으로 개념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성과와 관련된 문헌들을 탐색하고 검토하였으며, 질적 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질적 성과의 개념에 대한의견들을 수렴하였고, 이러한 분석결과들을 통합하여 귀납적으로 사회복지실천 질적 성과의 개념을 재구성하였다. 통합 분석과 논의를 통해 드러난 질적 성과의 개념에는 맥락을 반영한 성과, 바탕이 달라진성과, 사회복지실천 관점을 반영한 성과, 클라이언트 관점을 반영한 성과, 다양한 이해당사자를 포함한성과, 예상하지 않은 성과 등 여섯 가지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의 성과를 제대로, 풍부하게 이해하고, 파악하고, 제시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제도적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1회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GCQHR):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Janice M. Morse 질적연구학회 2011 질적연구 Vol.12 No.2

        이 총회 연설에서는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Global Congress f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와 그 목적 및 국제적 역할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이와 관련해 저는 질적 건강 연구(qualitative health research)의 기원과 발전, 그 내용 및구성요소, 건강 연구에 기여한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질적 연구가 현상 탐구 및 기술부터 개념 파악, 양적 연구를위한 이론적 토대, 질적 이론 개발, 활용,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8단계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점진적 발전은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주제에 관해 여러 질적 연구 접근법과 방법을 이용한 많은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하나의 연구로 획기적인 변화가 생기기는 힘듭니다. 오히려 많은 질적 연구가 모여 그 유효성과 영향력을 인정받아야합니다. 세계 질적 건강 연구 학술대회는 질적 건강 연구 발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것입니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 연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조소연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2

        The study aims to delineate the research experienc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r who is a social worker in the field of social work and to identify its implication. I recalled what I experienced during my doctoral dissertation process, and wrote it through an autoethnography.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collected and rearranged the related data, and then analyzed the data through self-reflection. This result introduces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such a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topic, entering the research field, and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shows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qualitative research eth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readers to see how a qualitative researcher entered and adapted the field of social work. Furthermore, some of the principles found in this process can help researchers who feel confuse or have ethical conflicts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hile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인 질적연구자의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연구 경험을 기술하고 함의를 알아보는 것이다. 나는 나의 박사학위 논문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일을 회고하고 자문화기술지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재정리하였으며, 이 자료를 자기성찰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주제 선정과 연구현장 진입, 자료수집 등 질적연구 과정을 소개하고,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 관계 맺기와 질적연구 윤리에 관한 함의를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독자는 한 질적연구자가 어떻게 사회복지현장에 진입하고 적응하며 연구참여자와 관계 맺어 갔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견된 몇 가지 원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질적연구를 하면서 연구참여자와의 관계 수립에서 혼란과 윤리적 갈등을 느끼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뉴럴 메모리의 리콜 기능에 관한 탐구

        김태환(Taehwan Kim),박정호(Jeongho Park),이주원(Juwon Lee),박주영(Jooyoung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들어 딥러닝은 컴퓨팅 기술의 발달과 이론 분야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화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뉴럴 메모리(neural memory)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뉴럴 메모리는 고전적인 컴퓨터의 메모리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구글 딥마인드에서 발표한 미분가능 뉴럴 컴퓨터 기술인 DNC를 발표한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DNC 이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응용 목적에 특화된 형태의 현대적 신경망 기반의 메모리 분야는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DNC의 주요 특징을 계승하는 동적 카네르바 머신(dynamic Kanerva machine, DKM)의 현대화된 연상 메모리 기능에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 메타-학습(meta-learning) 분야에 메모리를 활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 변분 의미론적 메모리(variational semantic memory) 방법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장기메모리에 대한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잡음이 포함된 데이터와 새롭게 목격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고, 스토리지의 메모리 효율 면에서도 가볍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 질적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 ‘질’적 자료 확보의 문제

        홍수정 행정언어와 질적연구학회 2012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Vol.3 No.1

        이제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평가에서 양적 연구방법을 선호해 왔지만, 양적 평가에서 의 한계와 더불어 질적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질적 평가를 하면서도 질적 연구에서의 질 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평가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질’적인 문제와 ‘질’적 자료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질적 자료 수집방법으로는 인터뷰, 참여관찰, 그리고 현장노트 세 가지를 제시하였으며, 객관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기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질적 자 료가 평가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립서울병원 갈등조정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양적 평가가 가질 수 있는 설명 력의 한계와 질적 자료의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지원 경험

        유하얀,김미옥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support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residential facilitie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r this purpose, an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6 social workers from 4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natural right to choose and decide on their own what they want to do’. Meanwhile, it was found that social workers were going through practical dilemmas due to limits of communication, confusion of rights with responsibilities, conflicts between practices and various values, physical constraints of residential facilities, obligation of protection and responsibilities, and so on. With all the difficulties above, showing interest in and affection to the users, and cultivating wisdom of practices, building collaborative relations based on self-reflection, and expanding the scope and opportunities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were emphasized to exp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efforts to suppor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cluded the changes in users’ daily lives and their more facial expressions. And it was found that service providers recognized the boundary which they solidified themselves and had a tendency to move toward the user-centered practices. In addition, attempts were being made to change the service environment and procedur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that support fo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지원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4개소의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하고 싶은 것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한계, 권리와 책임에 대한 혼돈, 다양한 실천가치의 충돌, 거주시설의 물리적 제약, 보호와 책임의 의무 등으로 인한 실천적 딜레마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에 대한 관심과 애정, 실천의 지혜를 쌓고, 자기성찰에 기초한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맺으며, 자기결정권 보장의 범위와 기회를 확대해야 함이 강조되었다. 자기결정권 지원 노력의 결과로는 이용자들의 일상이 달라지고 표현이 많아졌으며, 서비스제공자들은 스스로 고착화시킨 경계를 인식하고 이용자중심실천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조직차원에서는 서비스 환경과 절차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 확대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당사자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

        송은주,김경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2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recovery experiences of the people with mentally disabilities who had participated in “Research and Mutual Help” program. Through continuous exchange with the House of Bethel in Japan, the “Research and Mutual Help” model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House of Bethel was adapted and applied to several Korean rehabilitation centers.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se Korean and Japanese centers among whom ha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personal experience of recove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 the recovery experiences of people with mentally disabilities during “Research and Mutual Help”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5 sub-topics, which were ‘speaking and being accepted my symptoms’, ‘Accepting me as i am’, ‘Moving from separation to connection through peer-to-peer alliances’, ‘Integrating the past and moving forward into the future’, ‘Regaining my strength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With this results, we suggest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promotion of “Research and Mutual Help” model which is an effective model for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당사자 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당사자 연구의 모태인 일본 베델의 집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그 모델을 적용하고 있는 국내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며 당사자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과 일본 베델의 집에서 당사자 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여 회복경험에 대한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당사자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은 ‘나를 드러내고 인정받음’,‘내 병을 수용함’, ‘동료관계를 통해 분리에서 연결로 나아감’, ‘과거를 통합하고 미래를 바라봄’, ‘주체적 참여를 통해 나의 힘을 되찾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촉진하는 당사자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과 실천적 접근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 운영 과정에 관한 연구: K아동양육시설을 중심으로

        김을수(Eul Su Kim),조소연(So Yeun Cho)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의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READY? ACTION!) 운영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면접,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일반적 질적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질적이지 않은 체험: UNReal Expierence’, ‘목적없는 의무: Aimless Duty’, ‘매년 하는 일: Yearly ACTION’이라는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UNReal Experience’는 진정성이나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한 활동을 뜻하며, ‘Aimless Duty’는 명확한 목표나 중요성이 없는 책임이나 의무, 마지막으로 ‘Yearly ACTION’은 매년 수행되는 의미없는 활동을 의미한다.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발견한 중심의미는 ‘UNREADY! ACTION?’이다. 연구자는 이 결과를 토대로 보호대상 아동의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자립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그리고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Standardized Self-reliance Support Program(READY? ACTION!) in Child care institution. To achieve this,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and delves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of ‘UNReal Experience’, ‘Aimless Duty’, and ‘Yearly ACTION.’ ‘UNReal Experience’ focuses on activities lacking authenticity or substantive content. ‘Aimless Duty’ refers to responsibilities or oblig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or significance. Lastly, ‘Yearly ACTION’ signifies meaningless activities performed annually. Through the analysis, the central meaning ultimately discovered is ‘UNREADY! 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along with improvements in self-reliance support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