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재 서병오(1862~1936)와 ‘교남시서화연구회’의 재인식

        이인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Seok-jae Seo Byeong-o(石齋 徐丙五, 1862~1936) was a painter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ho was active mostly in Daegu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e left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such as poems, calligraphies, and four gracious plants(bamboo,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he was involved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Seo Byeong-o’s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is great achievement such as fostering younger generations and richening contemporary culture by founding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嶠南詩書畫硏究會)’ had a great influence in Daegu and Youngnam area. Nevertheless studies on it is very negligent. Therefore on this thesis, I tried to raise the importance of them by recognizing the meanings of Seo Byeong-o and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ew. Seo Byeong-o was a multi-talented person, who was called after ’8 capacities [poems, calligraphy, paintings, a game of go, Janggi(Korean chess), geomungo, medical treatment, medicine]. As a man of taste who enjoyed life with alcohol, women, travel, companionship with various persons, as an intellectuals and publisher who participated local cultural activities, as a poet who was magnanimous and robust leaving beautiful and excellent poems, as a calligrapher who achieved his own calligraphic quality, which is freewheeling and unsophisticated, and as a painter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ho left inexorable and magnanimous China-ink paintings that depicts bamboo, Seo Byeong-o’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his achievements need to be recognized. Seo Byeong-o founded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ith some culturally related figures in Daegu, and he played the leading role there. The association was a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teach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re ‘poems’ was taught as well. And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institutions, and so an attention needs to be given for that. Kyonam association became a foothold, invigorating local culture, so that it needs to be excogitat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stering younger generations. Through his ow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rough some painters from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eo Byeong-o had a great influence on contemporary and future generation in the work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Daegu. Especially Juknong, Seo Dong-kyun, a painter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in Daegu was produced by Seo Byeong-o, and he has carried on the tradition, and since then the disciples of Seo Dong-kyun and disciples of disciples of Seo Dong-kyun are forming quite a part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t present in Daegu. By considering Seo Byeong-o and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is study was done to renew the recognition of them in many different fields. Seo Byeong-o and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ould be considered as a root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Daegu, and the importance of them should be recognized anew. 石齋 徐丙五(1862〜1936)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서화가로 시와 서예, 문인화를 남겼으며 다양한 문화 활동을 하였다. 서병오가 남긴 시서화 작품과 ‘嶠南詩書畫硏究會’를 창설해 당대의 문화를 환경을 풍요롭게 하고, 후진을 양성한 업적은 대구를 비롯한 영남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본고는 서병오와 교남시서화연구회의 의의를 다시 인식해 봄으로서 그 중요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서병오는 ‘八能[詩・書・畫・碁・棋・琴・醫・藥]’으로 불렸던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다. 술, 여성, 여행, 다양한 인물들과의 교유 등을 통해 삶을 즐긴 풍류인으로서, 지역 문화 활동에 참여한 지식인이자 출판인으로서, 豪健하고 艶逸한 시를 남긴 시인으로서, 개성적인 서풍을 형성한 서예가로서, 호방한 묵죽화를 남긴 문인화가로서 서병오의 다양한 인물상과 업적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서병오가 대구의 문화계 인사들과 함께 설립하여 주도적으로 이끈 교남시서화연구회는 근대적인 서화교육기관으로 비슷한 다른 단체들과 달리 ‘詩’를 포함한 점은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교남시서화연구회는 지역의 문화를 활성화 시킨 거점으로서, 여러 분야의 후진을 양성한 교육기관으로서 충분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서병오가 자신의 서화활동과 교남시서화연구회를 통해 당대와 후대의 대구 서화계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특히 죽농 서동균을 배출함으로서 대구 문인화의 맥을 형성하여, 이후 서동균의 제자들과 재전제자들은 대구 서화계의 많은 부분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 연구가 미흡한 서병오와 교남시서화연구회의 의의를 전반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서병오와 교남시서화연구회는 근현대 대구 서화의 뿌리로서 그 중요성이 재인식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息山 李萬敷의 ‘書畵論’ 연구

        신두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This paper is a study on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 1732)’s discourse on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 styl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clude naturalism,expressionism, advocate nationalism. the consonance with an art and the Sung Confucianism(藝道一致)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re in consonance with the Sung Confucian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was a great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ho got over suffering from party dispute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He was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academic aspact as well as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 It was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How to enjoyment art and cultur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is term derives from ancient chinese a philosophy.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accomplished on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aesthetics of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poetic critic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valued the dignity of JeonAh(典雅), be concerned in the Moral philosophy and an Aesthetics. A discussion on the Sung Confucianism(性理學)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1664-1732)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이 논문은 조선후기 당대 성리학의 종장으로 평가되고 있는 식산 이만부의 서화에 대한 미학 담론을 조명한 것이다. 식산의 집안은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가학이 이어져오고 있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어릴 적부터 서화를 접하게 된 식산은 서화에 일가견이 있었던 사람이다. 그는 서예뿐만이 아니라 인물화를 비롯하여 산수화 등의 그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서화비평에는 성리학적 예술철학과 민족예술의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이 들어 있었다. 식산 이만부의 ‘고전팔분체’의 글씨에는 枯淡의 풍격이 들어 있으며, 그가 남긴 <무이도>, <오현도>, <상산사호도>, <누항도> 등의 그림에는 교화와 인륜을 위한 위대한 사상과 미의식이 들어있다. 그의 서화예술과 서화에 대한 비평에는 다양한 미의식이 들어있으며 조선 선비의 민족적 기질이 함의되어 있다. 그의 서화 작품과 비평에는 성리학의 오묘한 理趣와 고도의 예술성이 포함되어 있다. 식산은 서화에 대한 호사가로서 날카롭고 섬세한 예술 감상과 비평의 능력을 구비하고 있었다. 식산은 18세기 초, 조선 서화예술에 대한 비평의 거장이었다. 그는 藝道一致의 성리학적 서화관과 우리 서화의 자긍심을 주창한 민족서화론을 피력하고 있었다. 오늘날 전하여오는 그의 필적만 보아도 그의 書畵風은 성리학적 예술철학의 풍격이 깃들어 典雅하고, 집안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인물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던 연안이씨의 귀족적인 기품이 높다.

      • 기획논문 : 상주지역 퇴계학파(退溪學派)의 학문과 사상 ;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의 "서화론(書畵論)" 연구

        신두환 ( Doo Hwan Shi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당대 성리학의 종장으로 평가되고 있는 식산 이만부의 서화에 대한 미학 담론을 조명한 것이다. 식산의 집안은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가학이 이어져오고 있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어릴 적부터 서화를 접하게 된 식산은 서화에 일가견이 있었던 사람이다. 그는 서예뿐만이 아니라 인물화를 비롯하여 산수화 등의 그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서화비평에는 성리학적 예술철학과 민족예술의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이 들어 있었다. 식산 이만부의 ``고전팔분체``의 글씨에는 枯淡의 풍격이 들어 있으며, 그가 남긴 <무이도>, <오현도>, <상산사호도>, <누항도> 등의 그림에는 교화와 인륜을 위한 위대한 사상과 미의식이 들어 있다. 그의 서화예술과 서화에 대한 비평에는 다양한 미의식이 들어있으며 조선 선비의 민족적 기질이 함의되어 있다. 그의 서화 작품과 비평에는 성리학의 오묘한 理趣와 고도의 예술성이 포함되어 있다. 식산은 서화에 대한 호사가로서 날카롭고 섬세한 예술 감상과 비평의 능력을 구비하고 있었다. 식산은 18세기 초, 조선 서화예술에 대한 비평의 거장이었다. 그는 藝道一致의 성리학적 서화관과 우리 서화의 자긍심을 주창한 민족서화론을 피력하고 있었다. 오늘날 전하여오는 그의 필적만 보아도 그의 書畵風은 성리학적 예술철학의 풍격이 깃들어 典雅하고, 집안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인물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던 연안이씨의 귀족적인 기품이 높다. This paper is a study on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 1732)`s discourse on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 styl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clude naturalism, expressionism, advocate nationalism. the consonance with an art and the Sung Confucianism(藝道一致)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re in consonance with the Sung Confucian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was a great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ho got over suffering from party dispute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He was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academic aspact as well as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 It was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How to enjoyment art and cultur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is term derives from ancient chinese a philosophy.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accomplished on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aesthetics of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poetic critic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valued the dignity of JeonAh(典雅), be concerned in the Moral philosophy and an Aesthetics. A discussion on the Sung Confucianism(性理學)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書畵題跋 연구 ― 小道論을 중심으로 ―

        이은혁 ( Lee Eun-hyuk )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0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학자들이 문인예술로 지칭되는 서화를 어떻게 인식했는지 서화제발에 나타난 소도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화가의 작품연구나 서화론을 탐구하는 이론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조선후기 서화제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제발은 순수하게 서화를 논한 서론(書論)이나 화론과 달리 작품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감상평을 적은 것으로 일종의 감상문이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서화감상을 하나의 문화적 담론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서화제발은 서화의 가치를 품평한 중요한 기록임과 동시에 개인의 서화인식을 넘어 시대적 미의식과 문화 관념을 일별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서화를 여기(餘技), 여사(餘事), 소기(小技), 소도(小道) 등으로 인식했으며, 나아가 서이재도(書以載道)를 제기하여 서의 효용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지식인들의 보편적 서화관념인 소도론은 체용과 본말의 관점에서 제기된 것으로 학문과 더불어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다. 결론적으로 조선후기 서화제발은 조선의 축적된 문화 역량과 예술성과가 빚어낸 조선문화의 결정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As a new academic trend called Bukhak was added to the cultural foundation that had been in full bloom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eople had more and more interest in epigraphs and developed a greater taste in paintings,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es. Those days it was common among intellectuals to creat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ppreciate them, engage in discourse about them, and further criticiz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the past and also their contemporary Yedan even though they were not professional painters or calligraphers. In Joseon, intellectuals were thus able to equip themselves with the basic refinement about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ssentially. Jebal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ich are records about episodes or review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other cultural products of literary people in Joseon. They calle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o-called the remaining talent and work or little talent and craft, voicing their opinions about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Sodo theory in Jebal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as cultural discourse to understand them as a cultural concept of implementing truth from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 of Bonmal theory called Dobonyemal and practicing it personally.

      • KCI등재

        尙古堂 金光遂의 古董書畵 趣味와 繼承에 대하여

        오상욱(Oh, Sang-uk)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고에서는 尙古堂의 家系와 당시 교유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와 그가 조선의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고동서화 수집가로 알려진 김광수는 명나라 尙古 華珵(1438~1514)을 私淑하고 본받았다. 好古에 마음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벼슬을 버리고 유불도[三敎]에 몰두한 것과 고동서화를 소장하고 감상하는 공간을 따로 마련한 것들을 비교해보면, 그는 화정을 닮아가려하였다. 그리고 수집벽은 가문과 부친 金東弼(1678~1737)의 영향을 받았고, 조선후기 고동서화의 취미에 대해서 후대에 여러 문인들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다. 李德履, 南泰寬, 李匡師, 李德懋, 柳得恭, 朴齊家, 徐常修, 李廷燮 등의 문인들에게 고동서화의 취미를 유행시키고 전파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나아가 「청명상하도」라는 서화를 통해 朴趾源, 李德懋, 洪大容, 李東山, 趙榮祏, 金昌業, 曹命采등 고동서화의 취미 소장자를 밝히고, 훗날 「청명상하도」가 서상수에게 계승되었듯이 지식층의 고품격문화인 고동서화 취미를 계승한 것에 큰 공이 있다. 18, 19세기에 많은 수집가와 감식 전문가들이 등장하지만, 고동서화 개척자 겸 수집가이면서 옛것에 탁월한 재주와 취미를 겸비한 자는 金光遂였다. 특히 그는 서화 그리고 청동 골동품을 소장하고 수집하는 癖이 있었는데, 그의 호 ‘尙古堂[옛 것을 숭상하다]’을 보면 얼마나 옛것을 좋아하였는지를 단적으로 잘 알 수 있다. “세상 모두가 나를 버렸듯이 나도 세상에 구하는 것이 없다. 그러나 내가 風雅를 선양하여 태평시대를 서로 이어놓음으로써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꾸어놓은 일은 먼 훗날 혹시라도 나를 알아주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며 스스로 300년 조선의 풍속을 바꾼 일, 즉 조선후기 문인들에게 고동서화 수집벽으로 확실하게 각인시킨 김광수였다. 18세기 고동서화가 갖는 의미는 골동품을 단순한 사치품으로 여기지 않고, 선인들의 고아한 格調와 韻致가 깃든 高玩品으로서, 性情과 好古의 趣味를 길러주고, 風流와 情趣 있는 생활을 느끼게 하는 媒介物이었다. 또 단순한 수집보다는 그 眞髓를 향유할 수 있는 안목과 진위를 가릴 수 있는 정확한 감식력을 갖출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고동서화의 완숙한 취미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집욕과 소장욕이 필요하며, 문인 취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전개되었던 고동서화의 수집에서 김광수라는 인물이 여러 고동서화를 소장하고서 문인들 사이에 볼거리로 제공하고, 함께 감상하면서 고동서화에 대한 인식은 더욱 높아져 갔다. 나아가 고동서화 취미는 한층 豊饒해졌고, 문인들의 격을 높이는데 일조하였으니, 상고당이라는 고동서화 수집가의 작은 행동이 조선의 문인생활에 큰 변화를 일으켰으며, 고동서화 취미 유행에 있어 교두보 같은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meaning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will be placed on the collector Sanggodang Kim Gwang-su(1699-1770) and the influence he had on the literary men with whom he interacted. Kim Gwang-su, well known in the late Joseon as a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ook the Ming literatus Hwajeong (Hua Cheng 華珵, 1438-1514) as his model. His decision to resign his office, immerse himself in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enjoy antiquities and establish a separate place in which he could both store and appreciat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was modeled on Hwajeong’s life. His mania for collecting was probably influenced by his father Kim Dong-pil (1678-1737). Kim Gwang-su in turn influenced future generations by his taste in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particular, his mania was taken up by Lee Deok-ri, Nam Tae-gwan, Lee Gwang-sa, Lee Jeong-seop, Lee Deok-mu, Yu Deuk-gong, Park Je-ga, and Seo Sang-su. The painting Spring Festival along the River (cheongmyeong sanghado) made a great contribution by transmitting high cultural tastes to intellectuals such as Seo Sang-su as well as Park Ji-won, Lee Deok-mu, Hong Dae-yong, Lee Dong-san, Cho Young-seok, Kim Changeop and Cho Myeong-chae. Among many collectors and connoisseur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Kim Gwang-suwas known as a pioneering collector of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o had remarkable taste. In addition to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lready mentioned, he also collected bronze antiquities. His pen name, Sanggodang (Hall of Reverencing Antiquity), reflects this interest. His collecting mania changed 300 years of literati custom. He commented on this himself, saying: “Just as the entire world abandoned me, so I have nothing to seek from the world. But someone far in the future will probably recognize me for changing three hundred years of Joseon customs by taking the lead in connecting peaceful eras.” The antiques were regarded not only as simple luxuries but also as works of art transmitting the nobility and refinement of their predecessors, which served to help people develop their character, arouse their interest in enjoying old items and provide refined tastes and an elegant life. Emphasis was placed on training artistic judgment in enjoying the essence of the art and on developing a correct appreciation in ascertaining the truth rather than simply collecting items. A strong desire to collect and possess items was required to obtain maturity in taste with regard to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xcept for Kim Gwang-su, almost nobody had collected and appreciated paint,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ities on the basis of wide-ranging knowledg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e set off a boom for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Joseon period. He served as a bridge, connecting contemporary literati with the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at had come into fashion. It is a considered opinion that the simple fact of Kimg Gwang-su’s collect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made a huge difference in Joseon.

      • KCI등재

        18세기 소론계 문인들의 윤두서서화 수장

        차미애(Cha Mi-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18세기 초 恭齋 尹斗緖(1668-1715)書畵에 대한 관심을 점검해 보고, 윤두서서화를 소장하고 향유한 小論系 서화감상우들의 인적 구성과 역할, 그리고 그들의 윤두서서화의 수장 양상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18세기 초 서화고동취미 풍조의 확산과 맞물려 서화애호가들 사이에 윤두서서화에 대한 수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윤두서의 서화 애호층이 등장한 동인은 다작을 하지 않아 희소성의 가치가 높았던 점, 상대할만한 뛰어난 화가가 없어 당시 화단의 제1인자로 급부상한 점, 이전 시기의 화풍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회화를 추구한 점 등이다. 여러 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윤두서의 西人系 서화감상우의 인적 구성은 李夏坤(1677-1724), 柳澔(柳竹?), 李師亮(1660-1719), 閔龍見(혹은 閔龍顯, 1668-1723), 沈齊賢(1661-?), 李明弼(1664-?) 등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윤두서가 46세(1713)까지 한양에 살았던 시기에 긴밀하게 교유했던 인물들로 서인 중에서도 소론 출신이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유호가 윤두서서화를 가장 많이 소장하였으며, 이사량, 이하곤, 민용현은 윤두서서화를 각각 서너 첩 이상을 수장하고 있는 점이 확인된다. 이들이 소장한 윤두서 그림들은 함께 예술 활동을 펼쳤던 李淑(1662-1723), 李萬敷(1664-1732) 등 근기남인 서화가들, 가족과 친인척들에게 그려준 그림의 수량보다 훨씬 많다. 윤두서의 서화를 가장 잘 이해하고 애호했던 인물은 이하곤이다. 1708년-1710년 사이에 윤두서와 교유했던 그는 윤두서의 산수인물도, 노승도, 말 그림을 수장하였다. 평생토록 가장 뜻이 맞는 친구였던 유호는 서인계 감상우 가운데 윤두서의 그림을 가장 많이 수장한 인물이었으며, 사대부들은 그를 통해서 윤두서의 풍류가 또한 평범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조선 후기 서화평론가 이하곤과 李龜命(1693-1737)은 유호 집안에 소장된 《尹孝彦扇譜帖》을, 趙裕壽(1663-1741)는 《恭齋扇譜冊》을 완상하고 각각 제발을 남겼다. 이사량과 민용현은 사돈지간이다. 이사량은 윤두서와 20년 동안 교유한 서화감상우였으며, 민용현과 그의 장남이자 윤두서의 족질인 민창연도 윤두서의 그림을 수장하였다. 강경파 소론의 영수인 심수현의 동생 심제현과 서예를 잘 했던 이명필은 단짝이었는데, 이들도 윤두서와 서화모임을 빈번하게 가지면서 윤두서로부터 그림을 얻으면 보배로 여겼다고 한다. 윤두서는 감식안이 높은 소론계 서화감상우들과의 예술적 교유를 통해서 그의 명성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면서 18세기 초 화단의 제일인자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nthusiasm to collect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by Yun Du-seo(尹斗緖, 1668-1715) in early 18th century, personal composition and roles of the Soronn(小論) people who gathered to appreciate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aspects of collection. Along with expansion of the trend to encourage panting and calligraphic works in early 18th century, Yun Du-seo’s devotees were enthusiastic about collection of hi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 reasons why such enthusiasm increased rapidly were as follows: his works were rare, he was considered as the most outstanding painter in painting circles of that time, and he pursued for a new painting style which wa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inting styles. The people from Seoin Party who liked his paintings were Lee Ha-gon (李夏坤, 1677-1724), Yu Ho(柳澔), Lee Sa-rang(李師亮, 1660-1719), Min Yong-hyun(閔龍見 or 閔龍顯, 1668-1723), Shim Je-hyon(沈齊賢, 1661-?) and Lee Myeong-pil(李明弼, 1664-?). Most of them belonged to Soron(小論) Party of Seoin Party who were friends with Yun Du-seo when he lived in Hanyang(漢陽). According to Nam Tae-ung(南泰膺), Lee Sa-ryang, Lee Ha-gon and Min Yong-hyon collected more than three or four packs of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ich were more than the works Yun Du-seo gave to painters and calligraphers in Geunkinamin(近畿南人) including Lee Seo(李淑, 1662-1715) and Lee Man-bu(李萬敷, 1664-1732) and his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Lee Ha-gon understood and loved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 most. He made a friend with Yun during 1708 and 1710 and collected paintings with mountains, rivers and persons, an old monk and horses. Yu Ho, the best friend for his whole life, collected the most paintings by Yun Du-seo among members of Seoin Party and noblemen realized Yun Du-seo’s art was not usual through Yu Ho. Lee Ha-gon and Jo Gwi-myong(趙龜命), critic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late Joseon period, admired 《Yunhyoseonbochop(尹孝彦扇譜帖)》 collected by Yu Ho and Jo Yu-soo admired and recorded 《Gongjaeseonbochaek(恭齋扇譜冊)》 in an official report. Lee Sa-ryang and Mim Yong-hyon were related by marriage. Lee Sa-ryang was a friend with whom to appreciate artistic works with Yun Du-seo for 20 years and Min Yong-hyon and his eldest son and Yun Du-seo’s nephew Min Chang-yeon collected Yun’s paintings. Sim Je-hyon, a younger brother of Sim Su-hyon who was a head of Soron Party, and Lee Myeong-pil were close friends, and they had painting gatherings with Yun Du-seo. Through artistic relations with the people of Seoin Party who had good eyes to judge artistic works, he became famous to the world and considered as the best in painting circles of early 18th century.

      • KCI등재

        신사임당(申師任堂)과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서화(書畵) 예술철학(藝術哲學)

        유정은 ( Yu Jeong-e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본 논고는 조선시대 여류예술가 申師任堂(1504~1551)과 그녀의 넷째 아들 玉山 李瑀(1542~1609)의 書畵 예술작품을 고찰하여 작품 안에 살아 숨 쉬는 예술철학의 정신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신사임당은 우리 국민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500여 년 전 성리학 사상이 팽배해있던 조선사회에서 여성의 몸으로 태어나 현모양처의 대명사이자 詩·書·畵에 능한 예술인으로 지금까지도 칭송받고 있는 대표적인 여성인물이다. 이에 비해 옥산 이우는 어머니 신사임당과 형 율곡 이이에 비해 그의 행적이나 업적이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사임당의 예술적 자질을 그대로 물려받아 16세기 말 詩·書·畵·琴에 모두 뛰어나 `四絶`로 명성이 높았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사임당의 서화 작품에서 보이는 예술적 능력이 옥산 이우에게 어떻게 형상화 되어 나타났는지 같은 주제에 관한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또 예술작품으로 전하고자 했던 예술철학의 정신까지도 살펴보았다. 먼저 書에 있어서는 사임당의 「초서병풍」과 옥산의 「옥산서병」의 초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畵에 있어서는 사임당과 옥산이 같은 화목으로 그렸던 소재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소재가 갖고 있는 상징적 의미까지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사임당과 옥산의 작품이 지금까지 높은 예술성으로 회자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의 예술적 재능은 물론 仁과 德으로 완성된 인격이 합치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모든 예술작품에는 그 작가의 재능만이 담기지 않는다. 작가 자신의 몸과 마음, 그리고 생각, 인격까지 모두 담겨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예술가의 작품은 곧 그 작가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사임당과 옥산의 예술작품 속에 드러난 그 정신은 화해와 사랑의 마음이 바탕이 된 儒家의 仁의 미학이라 판단된다. 세월에 먹빛은 바랬지만 그 안에서 예술적 역량을 발휘했던 사임당과 옥산이 품었던 화해와 사랑의 마음과 함께 仁과 德으로 완성되었던 올바른 인격까지 같이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spirits of vivid artistic philosophy of woman artist Shin Sayimdang in Chosun dynasty and her son Oksan Lee Woo(1542~1609) by evaluating thei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hin Sayimdang, as well-known to us, born as a woman in Chosun dynasty overflowing with Neo-Confucianism about 500 years ago, became a good wife and wise mother and grew as an artist who was proficient in poetr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till praised for her talents and personality. On the contrary, although his past and achievement were not so much more known than his mother Shin Saimdang or his brother Yoolkok Lee Yi, Oksan Lee Woo was an artist who was famous for poetr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Qin music, known as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since he inherited the artistic talents from his mother and showed a great artistic ability in the end of the 16<sup>th</sup> century. This study will explain how the ability of his mother was embodied in his works by evaluating their works of art on the common subjects and discuss the spirits of their artistic philosophy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their works. As for calligraphic works, evaluating her "Choseo Byeongpung(Cursive Characters on Folding Screen)" and his cursive characters on "Oksan Seobyeong(Oksan`s Cursive Characters on Folding Screen)", we will discuss their influences, since later their works formed "Sayimdang Calligraphic School." As for paintings, focusing on their common subjects and material, we will discuss the symbolic meaning of their material. Their works are still praised for the high artistic value, since their artistic talents are combined with their benevolence and virtue. Every piece of artistic works contains not only the talents of the artist, but also the body and mind, thoughts and personality of his. Therefore, that piece can represent the artis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pirits of their artistic works are the ultimate of the Confucius esthetics based on reconciliation and love. It will be possible that, from their works, we can find their right personality completed by their benevolence and virtue as well as their minds of reconciliation and love, although their works lost color as the years went.

      • KCI등재

        태극건곤(太極乾坤)의 서화미학적(書畵美學的) 고찰(考察)

        김응학 ( Eung Hak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太極乾坤’에서 출발한 ‘陰陽之道’는 易의 기본원리로 그것은 무한하게 生生變化하는 만물의 유기적 관계를 의미한다. 이는 물론 예술과 관련된 언급은 아니지만, 분명히 예술과 통하는 점이 있다. 훌륭한 예술작품이 탄생되기 위해서 작품은 기운생동 해야 하는데, ‘陰陽之道’는 동양미학사에서 광범위하게 그 영향을 준다. 서화예술도 예외가 아니다. 陰陽의 二氣는 서로 뿌리가 되어 ‘和’에 관한 철학적 문제까지도 제시한다. 특히, 동양미학과 예술에서는 陽剛美와 陰柔美의 개념을 이끌어 낸다. 때로는 자연이나 사회현상뿐만 아니라, 예술의 창작, 감상, 그리고 비평까지도 설명한다. ‘太極乾坤’은 ‘道와 氣’, ‘絶對와 相對’, ‘원리와 작용’, ‘본질과 현상’, ‘종합과 분석’, ‘본체론과 인식론’의 원리이기도 하다. 그것은 『주역』에서 ‘一陰一陽之謂道’의 원리를 파생시켰으며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서화의 각종 점ㆍ획은 하나의 太極이며 道이다. 점ㆍ획의 道는 陰陽을 포함하면서 작품 속에 生生不息의 무한한 생명의 과정으로 표현된다. 이 ‘太極乾坤’은 곧 우주의 근본법칙이며, 그 生命美는 ‘陰陽之道’로서 창조된 것이다. ‘太極乾坤’에서 파생된 陽陰은 바로 氣이다. 氣의 서화미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는, 서화의 본질을 개괄하는 ‘우주의 氣’이다. 둘째는, 서화가의 생명력으로 ‘심미주체의 氣’이다. 셋째는, 서화작품 속에 나타나는 예술성 즉, ‘생명의 氣’이다. 넷째는, 서화가의 氣와 자연의 氣가 서로 감응하면서 ‘和’를 이루며, 書畵작품에서는 陽剛美와 陰柔美가 조화를 이루어 和諧美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서화예술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의 과정이다. 우주자연과 작가의 생명의 氣가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되어 작품속의 생명이 된다. 그러므로 동양의 서화예술은 오직 시각적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의미 있는 형식’이며 眞美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것은 ‘太極乾坤’에서 파생된 ‘陰陽之道’가 여백 속에 잘 반영되어야 한다. 기운생동 하는 서화작품을 ‘神品’이라고 말해지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Tao of the Yin-yang generated from the Great Ultimate and the Heaven-earth (太極乾坤) is the basic principle of change, which means organic connection of all things with the constant changes. Of course, this is not about art, but is definitely related with it. In order to createa great art work, an artist has to hold the vitality of natural energy (氣韻生動, The supreme stage of artistry in East Asian thought) on the artist’s work. Tao of the Yin-yang has extensively influenced on art includ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history of aesthetics in East Asia. The two ways of Qi, Yin and Yang act as a root for each other. This principle even presents the philosophical issue about harmony and balance. Especially, the principle causes the idea about the beauty of Yin with fluidity and the beauty of Yang with solidity in the field of art and aesthetics, and deals with natural, social phenomenon as well as creati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rt. Also, the Great Ultimate and the Heaven-earth is the principle of Tao and Qi, absoluteness and relativeness, principle and action, substance and phenomenon, synthesis and analysis, ontology and epistemology. Each dot or stroke of the brush i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becomes the Great Ultimate, and at the same time, Tao. Encompassing the Yin-yang, Tao of a dot or a stroke of the brush is expressed as infinite process of the constant changes in an art work. The Great Ultimate and the Heaven-earth is the fundamental law of the universe. The beauty of life is created as Tao of the Yin-yang. The Yin-yang which stems from the Great Ultimate and the Heaven-earth is Qi. The aesthetic meanings of Qi are as in the following. 1. Qi of the universe becomes an outline for the essence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2. Qi of the aesthetic subject is vitality of the painter and the calligrapher. 3. Qi of life is artistry expressed in an art work.4. Influencing each other, Qi of the painter and the calligrapher, and Qi of nature appear as the beauty of Yin with fluidity, the beauty of Yang with solidity and the beauty of harmony.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re the process of life with the constant changes. Qi of life is fully reflected in art works and finally becomes life for them.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not only follow thevisible beauty, but also hold Tao of the Yin-yang based on the Great Ultimate and the Heaven-earth. That’s why art with the vitality of natural energy are called the art of virtuousness.

      • KCI등재

        金逌根과 金正喜의 交遊 및 書畵活動

        朴徹庠,Park,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김정희는 학문과 예술에서 19세기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리고 그의 친구 김유근은 19세기를 대표하는 勢道家 安東金門의 중심인물이다. 이 두 집안의 관계는 결코 우호적이지 않았다. 김정희와 그의 부친 김노경이 안동 김문에 의해 流配의 고초를 겪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김유근과 김정희는 어려서부터 石交로 불릴만큼 단단한 우정을 과시하였다. 이들의 교유에는 정치적 得失과 인물의 是非가 배제되었다. 오로지 ‘商略古今’과 ‘品評書畵’ 만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교유를 ‘商略古今’과 ‘品評書畵’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들의 교유에는 늘 서화가 수반되었다. 김정희는 김유근을 위해 글씨를 써주곤 했으며, 김유근은 김정희를 위해 그림을 그려주었다. 이들의 교유는 김정희의 제주도 유배기간에 김유근의 죽음으로 끝이 났지만, 두 사람의 문집이 김유근의 甥姪인 南秉吉의 손에 정리되는 기인한 인연이 이어졌다. 이들의 우정 속에서 피어난 서화활동은 19세기 문화에 활력을 불어넣어주었다는 점만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Kim Jeung-hui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academic study and art in 19th centuries. Kim Yu-guen, his friend, was a key man of Andong Kim family in power. Although their friendship, two Kim famalies did not have a friendly attitude. Kim No-gyeong and Kim Jeung-hui were exiled by Andong Kim family. But two Kims shared a lifelong friendship because the political gains and losses were excluded in their relation. Only the thinking the ancient and modern ages, and evaluat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the subject of friendship. This thesis examined their friendship as a kind of the thinking the ancient and modern ages, and evaluat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Kim Jeung-hui did calligraphic works for Kim Yu-guen, Kim Yu-guen did painting for Kim Jeung-hui. Their realation was ended by Kim Yu-guen’s death during the other Kim’s exile in Jeju island, but their connection was continued by Nam Byeong-gil’s publishing each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them.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me out from their friendship put the vitality in the 19th century culture.

      • KCI등재

        근대기 평양지역 동양화단(東洋畵壇)의 형성과 전개

        김취정(Kim Chwi-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4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8 No.-

        Since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eoul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e and art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regard to formative arts, Seoul was dominated in the quality, sophistication, and quantity in the comparison with other provinces. Such situations became changed in modern times. During the modern period, local artistic communities that could be compared with artistic communities in Seoul were established. Among local artistic communities, Pyongyang painting circle was the most characteristic. Pyongyang was the base city of art equivalent to Seoul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left distinctive traces beyond the meaning of a local painting circle. Pyongyang was the most representative space of entertainment and culture and arts. The rich social and economical circumstances of Pyongyang became the background to establish Pyongyang painting circle and to increase artistic capability. Pyongyang was the place that had artistic capability to allow painting activities and to produce high quality painting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painting circle can be found at the point that it kept a more close relationship with Seoul painting circle than local artistic communities. The painters in Pyongyang painting circle during the modern period actively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sale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participated in art education and exhibition. It is noticeable that Pyongyang painting circle showed distinctive special aspects as it promptly accepted the new style of painting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s for Pyongyang painting circle can be found in the wide objects and fields. The figures who continuously supported culture in local areas were rich and intelligent classes and had awarenes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local culture and arts. Such points were deeply related to the fact that consumers for culture and arts in local artistic communities were limited in comparison with Seoul painting circle. This thesis is meaningful since it examines the history of the supports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history of distribution, reveals the features of local artistic communitie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based on that, allow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during the modern period from al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