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에 대한 개요와 활용방안

        이영면(Young-Myon Le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영학, 특히 인사조직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 온 직무 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한 논문이다.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중요하게 안정되고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수행된 직무만족도에 대한 실증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충분한 검토 없이 활용하고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실증연구결과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외국에서 주로 영어를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해 충분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번역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원래의 측정요인이나 측정문항수를 임의로 변경함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확인하는 작업도 생략된 연구가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측정도구에 대응해 국내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외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어온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하여 제시하고 측청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활용에 필요한 사전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활용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외국 측정도구의 번역, 측정요인과 측정문항수, 그리고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해가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Researches on job satisfaction in Korea have invariably used measur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without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as to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used in a foreign context. Such practice can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Korea. Out of 296 researches, 31 researches measured overall job satisfaction although many of them did not provide the sources of those measures quoted. Researches done in other countries on job satisfaction in 2003 and 2004 were also surveyed, using EbscoHost. Forty-five papers out of 257 using job satisfaction measures referred the sources and questionnaires of job satisfaction. Thirty-one papers used overall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A recent trend in using measures for overall job satisfaction in those empirical analyses was explained and summarized. The next step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and present the commonly u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Some measures presented here in the appendix include only a couple of example questions because of copyrights. This, however, is an effort to improve the process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by presenting well-known and frequently used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presented here include those developed by Hoppock (1935); Brayfield & Rothe (1951) [Job Satisfaction Index, JSI]; Bullock (1952);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Taylor & Bowers (1972); Hackman & Oldham (1975); Quinn & Staines (1979); Cammann et al.(1979)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MOAQ]; Vroom (1960) [Attitude towards the Job]; Warr, Cook, and Wall (1979); and Ironson et al.(1989) (Job in General, JIG). Most of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not presented here due to the limitation on space. Those measures are the next research topic for the author. Discussions on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ach measure are collected from books and papers and presented. Some are provided by the measure developers and some by users. All of the measures presented here have shown at least the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explains why these measures have been used for decades. However, a caution is called for when these measures are going to be used in Korean context. Although strictly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had to be omitted here, facet-based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ese measures are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facets to measur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Five facet-specific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include measures developed by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Smith, Kendall, & Hulin (1969) [Job Description Index, IDI]; Hackman & Oldham (1975) [Job Diagnostic Survey, IDS]; Spector (1985) [Job Satisfaction Survey, JSS]; Smith (1976) [Index of Organizational Reactions, lOR] and the Index for Organizational Health and Personnel Management (IOHPM). Comparing facet-based measures of the kind I present with facet-only measures would be good research topic, since the researches using facet-based measures are increasingly in demand. We may use existing measures i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We may, however, try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When existing measures are used, the translation should be done accurately and rigorously, while issues such a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riginal measures need to be given sufficient consideration. Copyright is also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surveys and survey processes should be devised in such a way that respondents can feel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e-Satisfaction 결정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윤남수 ( Nam Soo Yoon ),배영금 ( Yong Qin Pei ),박종현 ( Jong Hyun Park ),이용기 ( Yong Ki Lee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만족 결정요인들이 전반적 품질, 전반적 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한국/중국)간 차이점을 밝히고, 한국기업의 중국 인터넷 쇼핑몰 시장 진출에 따른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은 보안 요인과 검색용이성 요인이 전반적 품질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품정보 요인은 한국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이 초기 성장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소비자 피해가 빈번하여 이용자들이 웹사이트 자체의 제품정보를 신뢰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한국에서는 검색용이성 요인이 전반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은 보안 만족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은 편리한 화면 인터페이스, 빠른 검색경로 등 검색 용이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며, 중국의 경우는 다양한 보안기술 적용과 보안에 대한 법적 제도 구축 등 보안요인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전반적 만족에서 한국과 중국 소비자 간 집단차이가 나타났는데, 한국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는 중국보다 검색용이성 요인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는 한국보다 보안요인을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에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할 때는 한국에서 보다 보안을 더욱 강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shoppers` customer satisfaction, overall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in Korea and China context.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s that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which impact overall quality and satisfaction, are different in Korea and China, It helps building global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countrie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search shows security, easy browse, and product inform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quality perception in Korean shopping malls, whereas only security and easy browse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quality perception in Chinese setting. This implies that Korea, one of the nations with wide internet services, bases on security factor, and easy search, and manufacture information as determinants of overall qu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Meanwhile, since internet shopping is just starting in China, customer perception is often influenced by security and easy search factors.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only the easy browse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in Korea while only the security factor affects overall satisfaction in China. Therefore, Korean shopping mall companies need to increase the easy web-searching using RIA, Web 2.0 technology. This provides the suggestion increases the company`s profits by supplying comfortable screen, interface, and fast search route. Chinese companies operating internet shopping mall need to establish online shopping laws and build up various security systems such as authorized certification, hacking prevention tools, and escrow service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Lastly,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online shoppers is influenced by the ease of search, while that of Chinese users are influenced by the security factor. This difference is deriv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infrastructure and online shopping technology and service quality. Korea, due to its well established internet infrastructure with well designed internet system and higher internet supply, makes users expect more services from internet shopping mall. Therefore, Korean online shoppers prefer their satisfaction in ease of search to security factor that Chinese users prefer. However, Chinese internet shopping malls are growing rapidly but due to China`s lack of adequate internet infrastructure and other reasons, online market size is smaller and the online markets are not well supplied. In China, COD (Cash on Delivery) that works as ``pay first then deliver``, is still being used so Chinese web shoppers must risk when purchasing online.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an online shopping mall in China, security factors needs to be firmly organized to satisfy customers.

      • KCI등재

        조직몰입에 대한 일자리 만족의 영향 -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

        배병룡 ( Bae Byung-ryong ),채도운 ( Chae Do-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3

        이 논문에서는 일자리에 수반된 세 가지 유형의 요소(내재적, 외재적, 지역 환경적)에 대한 만족이 전반적 일자리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적 경로 분석 모형을 설정하고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일자리 만족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여러 문헌들에서 제시한 바를 재검증해준다. 둘째, 내재적 요소 만족은 전반적 일자리 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전반적 일자리 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외재적 요소 만족은 전반적 일자리 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전반적 일자리 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설에서와는 달리 지역환경적 요소 만족은 전반적 일자리 만족이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외재적 요소 만족과 전반적 일자리 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조직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반적 일자리 만족 뿐 아니라 일자리에 수반된 내재적 및 외재적 요소에 대한 만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새롭게 고려된 지역 환경적 요소에 대한 만족이 조직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간접적인 영향은 나타내 보인 점에서 그것을 통한 조직몰입의 증대와 이직 감소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a path-model of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supposed in that model that three types(intrinsic, extrinsic, and local environmental) of satisfaction of elements accompanying job will directly influenc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ach of them will indirec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verifying are followings. Firstly,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two types(intrinsic, extrinsic) of satisfaction of elements accompanying job directl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two types(intrinsic, extrinsic) of satisfaction of elements accompanying job indirectly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verall job satisfaction. Thirdly, one type(local environmental) of satisfaction of element accompanying job does no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ndirectly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ne type(extrinsic) satisfaction of element accompanying job. Fourthly,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reduce turnover by it, we need to increase three types(intrinsic, extrinsic, and local environmental) of satisfaction of elements accompanying job as well as overall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외래관광객 쇼핑만족속성이 전반적 쇼핑만족과 구전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정임,강숙영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verify shopping characteristics with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nd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WOF in shopping and tourist satisfactio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urvey, and a total of 410 surveys(Chinese 205, Japanese 205)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hopping satisfactio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All the established hypotheses have been adopted, the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and the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 shopping, and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conclusion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hopping satisfaction for tourist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쇼핑 특성을 비교 검증하고, 쇼핑만족속성, 전반적 쇼핑만족, 쇼핑구전, 관광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적별 쇼핑특성의 비교를 통해 쇼핑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가설 검증이 실시되었으며, 총 410부의 설문(중국인 205부, 일본인 205부)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 사이에는 쇼핑만족속성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쇼핑만족속성과 전반적 쇼핑만족, 전반적 쇼핑만족과 쇼핑구전 및 관광만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설정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에서 외래 관광객 유치 및 쇼핑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호텔 브랜드 경험이 전반적 만족과 교차구매의도 및 상향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전환비용의 조절효과-

        한나영 ( Han Na-young ),김형태 ( Kim Hyung-tae ),전창현 ( Chun Chang-hyun )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1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기업들은 다양한 마케팅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도록 유도하여 지속적 충성도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 브랜드 경험이 전반적 만족과 교차구매의도, 상향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전반적 만족과 교차구매의도 간, 전반적 만족과 상향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전환비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부산에 위치한 호텔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 중 감성적 경험, 인지적 경험, 행동적 경험이 모두 전반적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 만족이 교차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전반적 만족이 상향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반적 만족과 교차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전환비용의 조절효과는 나타났으나 전반적 만족과 상향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호텔의 경우 고객들의 만족감과 교차구매의도, 상향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경험요인의 중요성과 전환비용 구축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companies are marketing their customer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various marketing programs, and are trying to secure continued loyalty by encouraging them to positively evaluate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hotel brand experience on overall satisfaction, cross-purchase intention, and upward-purchase intention,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switching co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cross-purchase intention and overall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up-purchase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hotel customers located in Busan, an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brand experience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s all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Second, overall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ross-purchase intentions, and thirdly, overal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pward purchase intentions. Fourth, there wa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cross-purchase intention,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up-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hotels, we can se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 factor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witching costs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cross-purchase intention, and up-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복합영화관 서비스품질이 전반적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및 관객 평가의 차이 검정

        이찬도(Lee, Chando)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첫째 복합영화관의 서비스품질과 전반적 만족도 관계, 둘째 복합영화관 및 충성도 관계, 셋째 관객 일반적 특성과 복합영화관 서비스품질 및 전반적 만족도, 고객충성도 관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t-검정, ANOVA,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가설_1]의 영화관 서비스품질의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반응성, 품질성 및 유형성은 전반적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뢰성에 대해서는 인터넷 예매를 통한 영화관람이 많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창구구매는 전반적 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공감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은 자동화시스템 등으로 인적서비스의 중요성이 낮아진데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가설_2]의 경우 전반적 만족도와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전반적 만족도는 재이용 및 주변 추천의사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_3] 관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화관서비스품질의 차이검정을 보면 성별의 경우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품질설, 유형성 등 서비스품질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및 직업별로는 공감성을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품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화관별로는 모든 서비스품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설_4] 일반적 특성별 전반적 만족도의 경우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별 및 직업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영화관별 및 관람동기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설_5] 재관람 의향의 경우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별 및 직업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영화관별 및 관람동기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주변추천의 경우 성별 및 영화관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별, 직업별, 관람동기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division like first,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of cineplex, second, the relation between cineplex and loyalty, and third, the rela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audience, service quality, overall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of cineplex. For this, the t-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service quality in [Hypothesis_1], the responsiveness, quality, and tangib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reliability, a lot of movie tickets were purchased in advance online, so the ticket purchase at counter in site did not have great effect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Also, the empathy did not have effect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lowered importance of human service due to the automatic system. In case of [Hypothesis_2], the overall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the relation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the theater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udience in [Hypothesis_3], the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such as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quality, and tangibles. The age and occu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except for empathy while the thea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In case of the overall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general characteristic in [Hypothesis_4], the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age and occu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theater and motivation for viewing. Regarding the reviewing intention in [Hypothesis_5], the se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age and occu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theater and motivation for viewing. Also, in case of recommendation to others, the sex and thea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age group, occupation, and motivation for viewing.

      • KCI등재

        커피전문점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채명수(Chae, Myung Su),김미정(Kim, Mi Jung),정갑연(Jeong, Gap Yeo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1 소비문화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날이 갈수록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기존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커피전문점의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 그리고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Aaker(1997)의 브랜드개성을 기초로 기존 외식업체 선택속성 차원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선택속성을 바탕으로 한 브랜드개성 차원의 커피전문점 브랜드이미지를 효용성, 신뢰성, 호감성, 상품성, 편안함, 그리고 차별성 등의 다차원적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고객만족을 전반적 만족, 속성만족, 그리고 정보만족으로, 또한 브랜드충성도를 태도적충성도와 행동적충성도로 구분하여 이러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커피전문점을 이용하고 있는 189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MOS(7.0 version)과 SPSS(15.0 version)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커피전문점 브랜드이미지는 여섯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커피전문점 브랜드이미지는 전반적 만족, 속성만족, 그리고 정보만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고객만족 중에서 속성 만족은 전반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 만족은 전반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 만족은 예상했던 바와 같이 브랜드 태도적, 행동적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in specialty coffee shop. First of all,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specialty coffee shop’s brand image composed of utility, sincerity, liking, merchantable quality, comfort, and distinction based on the study of brand personality proposed Aaker(1997). Also, in this study, customer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ttribute satisfaction,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Brand loyalty was also divided into two sub-concepts: brand attitudinal loyalty and brand behavioral loyal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created structural model regarding specialty coffee shop’s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The survey was completed by 189 current coffee shop customers and the data was analysed with AMOS(7.0 version) and SPSS(15.0 version). In order to verify measures and hypothe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s it is supposed in the paper, the brand image of specialty coffee shop was identified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lso,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specialty coffee shop’s brand image positively influenced on attribute and information satisfaction as well as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Attribut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while information satisfac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on it. Additionally, overall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impacts both on brand attitudinal and behavioral loyalty.

      • KCI등재

        서비스 만족도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형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신창환 ( Chang Hwan Sh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바우처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서비스 성과가 강조됨에 따라 성과평가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조사가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지역개발형)의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만족도 지표를 개발하려는 연구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09년 5월 현재 지역개발형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 18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만족도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만족도의 유형과 측정방식, 측정도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바우처 특성을 반영한 요소만족도 지표를 구성하였다. 우선 요소만족도 구성문항들은 문항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동질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요소만족도와 체감만족도를 활용하여 종합만족도를 도출하였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평가를 통해 만족도 평가도구로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종합만족도를 산출하는 방식에 있어 체감만족도를 요소만족도의 가중치 선정에만 활용하는 방식과 체감만족도를 요소만족도의 가중치 선정뿐만 아니라 종합만족도 합산시에도 중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간에 있어서 만족도 지수의 차이가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With the expansion of Voucher program, academic and practical concern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voucher service has been more emphasized. Accordingly, client satisfaction survey are expanding these days, but the study of client satisfaction as a performance indicator aimed at service client has not been yet conducted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atisfaction Index, targeting at client of community-development voucher program in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ata were collected from 1800 client of community-development voucher program. This study summarized theoretically many kinds of satisfaction measurement and composed the Satisfaction Index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Voucher. By the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element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homogeneous items. General satisfaction were obtained using element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it was found to be valid through the evaluation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tool for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 using the ``1 step weighted approach`` than ``2step weighted approach`` having weakness of complex overlapping manner.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과 미래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전반적인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유수연,박윤현,김진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overal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ption of the future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13th (202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and total of 1,357 students who responded to 13th PSKC are examined by measure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e, future expectation, overal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Path analysis is conducted to test the serial multiple meditation of overal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Firstly,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future expectation, overal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overal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may serial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future expectation. Last but not least, overall happiness have the greatest meditation impact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future expectation while testing differences among effects of meditation. Conclusions A student’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verall happiness, then with life satisfac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contributed to future expectation. Especially, identifica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overall happiness may support a 6th grade student who think his/her socioeconomic status low to have high future expectation.

      • KCI등재

        생산연령 근로자의 전반적인 일자리 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김재남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8

        This study analyzes and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by facto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working-age worke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data used the 24th data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24 workers in the production age of 15 to 64 as of 2021 among 9,132 people who correctly marked the values of the observatio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by factor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work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work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unique problems faced by various types of workers in the labor market, ultimately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and policy makers to provide workers with an 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