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일 쿠퍼의 오프닝타이틀에서 표현되는 이미지 정보의 스토리 전환기법 연구

        남성목(Nam, Sung M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카일 쿠퍼(Kyle Cooper)는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가장 각광받는 타이틀디자이너로서, 그는 변증법을 기반으로 한 몽타주기법을 이용해 오프닝타이틀이 영화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이끄는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가 제작한 대표적인 오프닝타이틀을 단일 영상으로 분리하여 전통적 영화 구조인 3막 구조와 일본의 각본가인 후나바시 카즈오(舟橋和?)의 스토리 구조 및 7가지 시나리오 형식에 대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편과의 상관관계를 1) 순차적 진행을 통한 영화 전체의 스토리 암시 2) 나열되는 정보를 통해 이미 벌어진 갈등요인이나 사건의 암시 3) 나열되는 정보를 통해 앞으로 벌어질 사건에 대한 암시 4) 나열되는 정보가 본편의 과거 상황이나 프롤로그의 역할. 이상 4가지 형식으로 분류를 한 뒤, 감독의 의도에 부응해 그가 어떻게 관객으로 하여금 보다 더 본편에 몰입하고 집중할 수 있도록 시각적 구성을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분류를 통한 사례 분석에서 카일 쿠퍼가 제작한 오프닝타이틀의 이미지 정보가 어떻게 스토리로 전환되는지를 알 수 있었으며, 그의 오프닝타이틀이 영화의 부분적 요소가 아닌 통합적 요소로써 뿐만 아니라 기-승-전-결의 드라마 구조를 가진 독자적인 영상콘텐츠로써의 가치도 지니게 됨을 알 수 있었다. Kyle Cooper is the most respected title designer since mid-1990s. His opening title guides the movie’s storytelling by using the montage sequence that is based on the dialectic. I separate opening title from various his main titles as individual works and apply traditional three-act structure, Japanese screenwriter Kazuo Funabashi’s story structure and 7 scenario formats. Based on the result, I tried to classify the correlation with movie into four categories as below. 1. The allusion to the whole story of the movie through the sequential approach. 2. The allusion to the conflicting factors or incidents already occurred through the listed information. 3. The allusion to the incidents that would happen through the listed information. 4. The role of the listed information is indicating past events, or prologue. I have analysed how he made the audience concentrate on the movie with visual components in response to the director"s intentions. From this case analysis, I have found how the visual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story of the main title. And his opening title is worth while in itself like not only as an integrated element but rather than a partial element of the movie which has dramatic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 KCI등재

        국내 지상파 3사 News 오프닝 타이틀의 문제점 및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뉴스와 채널 지표의 표현형식 및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전광실 ( Kwang Sil J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영상을 구성하는 요소는 저마다의 실체를 통해 일차적으로는 지시적인 의미를 전달하지만 그 형태, 움직임, 배치, 구성 등을 통해 함축적 의미를 담는다. 또한 그들은 각각이 부분적 요소가 아닌 서로와 전체의 관계구조를 통해 보다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의미를 창출하게 된다. 특히 뉴스 오프닝 영상에 주요소인 타이틀 Logo와 Back은 뉴스와 채널의 직접적인 지표가 되기 때문에 문자와 이미지로서 갖는 각각의 지시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은유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보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구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관계구조는 뉴스와 채널 간에 내적관계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하기 때문에 이들을 표현하는 형식에서부터 요소를 연결하는 메커니즘까지 그 의미를 구조화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 의미화 과정에서 발생한 상징적 이미지는 우리의 뇌리 속에 깊이 남게 되며, 이후 오랜 시간 채널의 사회, 문화 활동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와 함께 누적된 결과로 채널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 채널이 갖는 고유한 특징인 채널 아이덴티티는 채널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근본요소가 되는데 뉴스 오프닝 타이틀에서 그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타이틀 Logo와 Back이라 하겠다. 따라서 논자는 지상파 3사의 뉴스 오프닝 타이틀에서 채널과 뉴스의 지표로서 타이틀 Logo와 Back의 표현형식 및 이들을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이들이 언어와 이미지로서 갖는 일차적 의미에서 벗어나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표출하고 상징적 채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오프닝 타이틀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원인에 따른 제고방안을 논의해 보기로 한다. The components of video primarily convey referential meanings through their own substance and contain implicative meanings through their forms, movements, arrangements, and compositions. They also create more symbolic and implicative meanings through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each other and of the whole rather than each partial component. The title logo and back,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a news opening clip, become the direct indexes of news and the channel, thus pursuing more implicative meanings through metaphors and symbolic expressions beyond their referential meanings as characters and images. Since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them symbolically visualizes the internal relations between news and the channel,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tructurize the meanings from the forms to express them to the mechanisms to connect the components. Symbolic images created in the signification process remain deep in the memory and form the image of the channel through their accumulation along with messages delivered via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channel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process, the channel identity, a unique characteristic to the channel, serves as a fundamental element to create a channel image. It is the title logo and back that play the principal roles in a news opening title. The investigator thus set out to analyze the expressive forms and connecting mechanisms of the title logos and backs as the indexes of the channel and news in the news opening titles of the three terrestrial channels and further their actions to express the channel identity and form a symbolic channel image beyond their primary meanings as language and image, thus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opening titles and discussing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causes.

      • KCI등재

        Opening Title Production of ‘DMZ Coexistence’, Global 4K Special Documentary of KTV

        Hyunhee Cha,Hakjae Le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0 No.4

        The most dangerous and safest place, the busiest and most serene place, the DMZ where the wounds of the bitter war melt away, but at the same time contain life and healing. In this space of paradox, we now want to look at 'peace'. The KTV documentary 'DMZ Coexistence' is made in the form of a human road documentary that consists of various perspectives looking at the DMZ, various characters, and the most unknown Korean story materials, and the stories related to the performers in UHD 4K. In this study, we will show the process of creating an 'opening title' of ‘DMZ Coexistence’ captured in 4k and make it usable in academia and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천만 영화의 메인타이틀 경향 분석

        이강준(Lee, Kang Joon),김영찬(Kim, Young Cha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7 한국디자인리서치 Vol.2 No.2

        한류를 이끄는 대중문화 중 하나인 영화는 대표성을 띠므로 영상미와 내용의 완성도가 높아야 하고 영화의 첫 인상을 좌우하는 메인타이틀의 타이포그래피는 영화의 독특한 성격을 그대로 반영하며 차별화된 고유의 특성을 이미지로 표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천만영화의 오프닝타이틀을 분석하였다. 할리우드는 그래픽 디자이너인 솔 바스가 1955년 오토 프레밍거 감독의 영화 <황금팔을 가진 사나이>의 영화 포스터와 타이틀 디자인을 제작한 이후 많은 영화에 표현되었고 은유적, 함축적 영상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 그리고 멀티미디어의 확산과 더불어 텍스트만의 연출로 여겨졌던 부분을 기술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발전하였다. 한국의 천만 영화는 타이포그래피에선 영화의 특성을 잘 살려 독특하고 차별화되게 표현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시퀀스는 독특하고 독자적인 시퀀스보다는 대부분 프롤로그의 역할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 탄생할 새로운 천만 영화는 한국적 메인타이틀의 디자인적 차별화와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One of the popular culture that leads the Korean wave is representative, so the visual quality and contents must be high, and the typography of the main title, which influences the first impression of the film,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 of the film, Should b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opening titles of 10 million viewers in Korea. Hollywood has been featured in many films since the graphic designer Saul Bass produced the movie posters and title designs for Otto Preminger s movie The Man with Golden Arm in 1955, and the development of metaphorical and implicit video and digit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unique technology and unique technology which was considered as the production of text only. In the typography of 10 million viewers in Korea, the character of the film is unique and differentiated. However, the whole sequence plays the role of prologue rather than a unique and unique sequence, so that the new 10 million viewers One film needs to study the differenti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design of the main title.

      • KCI등재

        모션그래픽에 나타난 메타포 표현 - 솔바스와 카일쿠퍼의 영화 오프닝 타이틀을 중심으로 -

        왕사평 ( Shi-ping Wang ),김해태 ( Hae-ta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모션그래픽은 정보를 재설계하고 평면, 광고전파, 애니메이션, 영화 등 많은 분야에서 융합되어 활용되어 지고 있다. 특히 영상에 표현된 메타포는 정보 전달 수단이자 인지를 간소화하는 방법이다. 메타포 이론으로 영상을 분석하면 영화를 더 잘 해석하고 본질을 발굴해 규율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방법 영화 오프닝타이틀의 대표적인 디자이너 솔바스(Saul Bass)와 카일 쿠퍼(Kyle Cooper)의 작품이 분석 대상이다. 방법은 영화 오프닝 타이틀의 구성요소와 모션그래픽의 조형요소로 구분하여 메타포의 유형별 특징을 근거로 메타포 언어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영화 오프닝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메타포 표현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영화 오프닝 타이틀은 메타포를 활용하여 다소 무거운 주제와 답답한 배경을 결합하고 고도로 감정을 파고드는 표현으로 영화 속 은유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내면의 열광적인 예술적 특성까지 드러내며 뛰어난 예술적 상상력과 표현력을 보여주었다. 결론 영화의 오프닝 타이틀은 모션그래픽의 표현으로 감각적 자극과 무한한 상상을 관객들에게 보여주었다. 또한 영화 오프닝 타이틀의 발전과 맥락을 맞추거나 보완하면서 음악, 문자, 메타포 등 디자인과 영화언어의 조합을 통해 보여주는 새로운 시각적 표현방식을 실감케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의 발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고 미래 모션그래픽의 효율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확장된 사고를 통하여 미래 정보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Motion graphics are being redesigned and used in many areas, including planar, advertising, animation, and film. Metaphor in particular expressed in images, is a means of information delivery and a method of simplifying recognition. Analyzing images with metaphor theory helps to better interpret movies and explore discipline by discovering the essence. Methods The works of leading designers Saul Bass and Kyle Cooper in the opening title of the films are always subjected to analysis. The method breaks down the components of the film opening title and the formative elements of motion graphics to analyze the metaphor representation of the film opening through the metaphor language and image analysis based on the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etaphor. Result The opening title of the film combines a rather heavy theme with a stuffy background using metaphor, which reveals not only the metaphorical elements in the film but also the enthusia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imagination and expression of this outstanding artistic. Conclusion The opening title of film is an expression of motion graphics, showing the audiences’ sensory stimulation and infinite imagination. It also shows a new way of visual expression through a combination of design and film language, such as music, text, and metaphor, while matching or complementing the development of the opening title. Therefore, this work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graphics. We hope to present efficient development directions for future motion graphics, and ultimately influence the future information diffusion through extended thinking.

      • KCI등재

        영상미학 관점에서 모션그래픽의 시각 표현기법 분석연구-지상파 메인뉴스 오프닝 타이틀을 중심으로-

        김기범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is study introduced Herbert Zettl's theory of visual aesthetic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visual expression techniques of motion graphics, set analysis items by color, size, depth and viewpoint, time and motion according to aesthetic classification, and the analysis target was opening title of the Terrestrial main n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that emphasizes the sense of stability and depth, and the setting of time and motion elements using the depth and inductive editing flow were analyzed as a common expression technique, and 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s work organically to create a specific visual expression. Therefore, when creating motion graphics as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understanding the aesthetic meaning of components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expressions shall be discussed. In addition, it is inferred that attempts and detailed strategies are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consensus of the viewers, along with visual expression techniques suitable for the medium.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미국 TV 드라마 시리즈 오프닝 타이틀의 역할과 경향

        남명희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19 디지털영상학술지 Vol.16 No.2

        The basic function in film or TV shows’ opening titles is introducing of film makers and actors. Now opening titles sequence of TV shows helps viewers to understand the story with symbolic images. There are four elements in opening credits: traditional way of cast credits lists, emphasizing of imaginary motive, and reflection of mid or short-term subject. In 21st century, these elements tend to be mixed. Since 1990s, opening credits sequence of cinematic TV shows develops the tendency that imaginary images support the story or theme of the show. And its running time gets shorter than before times, so the title cards form is introduced. It is a form of only title or title and creator names, and the title logo itself becomes a brand one. There is no standard form or rules in opening credits. But now opening titles sequence can build the mood as a part of drama, and also control the pace and tempo in storytelling with the teaser part as a pre-title sequence. Now opening titles sequence on TV assures the quality of the show.

      • 영화 타이틀 디자인의 몽타주 기법 비교 연구

        고은영(Koh, Eun 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6 No.-

        본고에서는 카일쿠퍼와 스테판 프랑크푸르트의 작품 세계 형성에 근원적 역할을 담당했던 몽타주 이론을 통해서 몽타주 이론이 어떠한 형식과 의미로서 그들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는가, 그리고 이를 통해 그들의 작품들에서 볼 수 있는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카일 쿠퍼는 <세븐 Seven>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를 스테판 프랑크푸르트의 <앵무새 죽이기 To Kill A Mockingbird>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에 바치는 오마주라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몽타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증하고, 연결몽타주 이론과 충돌몽타주 이론이 <앵무새 죽이기>와 <세븐>의 오프닝타이틀 시퀀스에 적용되었을 때 어떠한 시각적 효과를 갖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영화 타이틀의 궁극적인 목적은 본 영화의 의미전달이라는 역할에 있을 뿐 아니라, 여타의 모든 예술 작품들이 그러하듯이 뚜렷한 극적 구성이 있다 할지라도 시각적으로 강한 효과를 주지 못한다면 관객에게 그 주제를 전달하기 힘들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시간적 공간적 배열에 따라 타이틀이 주는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효과적인 의미전달이 가능해지는 까닭에 본고에서는 이들 작품을 내러티브적 차원과 시각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ontage theories that have fundamentally affected Kyle Cooper"s and Stephen Frankfurt"s work and provide glimpse into in what manner and form those montage theories have influenced their designs. Kyle Cooper explain that <Seven> pay homage to the genius of <To Kill A Mockingbird.>"s opening title sequence design by Stephen Frankfurt This study examines montage theories that are shown in the <Seven> and <To Kill A Mockingbird>"s opening title sequence and studies what kinds of visual effects have when linkage montage theory and collision montage theory are applied to <Seven> and <To Kill A Mockingbird.>" s opening title sequence. The ultimate objective of a title is to deliver the theme of the movie it is decorating. As in cases of all other artistic work, a movie can not deliver it theme to its audience of it lacks strong visual impacts, even if it has a strong plot and climax. in its time and spatial arrangements of movie components, a title conveys not only a visual please, but also the meaning and overall theme of movie quite effectively. This is the principal reason that this study focused in analyzing Kyle Cooper"s and Stephen Frankfurt"s work from both the narrative and visual perspective.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to accomplish its principal objective : that i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progressive studi es on film opening title sequence

      • KCI등재

        영상 OAP의 오프닝 타이틀에 적용된 수사법과 시각적 분석의 연구

        이준오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4

        As online-based video content platforms such as cable, OTT, and social media have diversified in recent years, a phenomenon different from the content market structure of existing traditional media has emerged. As media changed to a freer and more granular structure, the boundaries of content producers became blurred and the amount of content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the core leadership of media transferred from a handful of producers supplying content to consumers. Therefore, content producer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increase the program awareness of viewers who take the lead. The importance of the opening title, which shows the program concept in a short time,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it often remains in simple motion graphic production or is only a one-off due to reproductive factors. In order to create a high-quality opening tit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language and analyze various applications of rhetoric for high-quality expre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which linguistic symbols and visual analysis elements of rhetoric can be expressed in order for the opening title to attract viewers' attention, focusing on entertainment programs with a relatively clear concept in Korea. As a result of thisstudy, it was found that metaphors were commonly expressed in storytelling in the entertainment opening title, and emphasis or exaggeration were often used for motion graphic effects or screen conversions. It was also found that symbolism and connotation were the main components of visual analysis. Another finding was that iconographic messages and visual enjoyment were applied through various font production and color change methods. In the future, if those who wish to take an OAP job understand the interpretation of rhetorical expressions and apply this understanding to production, they will produce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opening title and thus enhance the genre development of OAP. 최근 몇 년간 케이블, OTT,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 콘텐츠 플랫폼이 다양화되면서 기존 전통 미디어의 콘텐츠 시장구조와 다른 현상이 나타났다. 미디어가 보다 자유롭고 세분화된 구조로 변화하면서 콘텐츠 제작사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콘텐츠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미디어의 핵심 주도권은 콘텐츠를 공급하는 소수 제작사에서 수요자인 소비자에게 이전되었다. 그리하여 콘텐츠 제작사들은 주도권을 쥔 시청자에게 프로그램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프로그램 컨셉을 짧은 시간 내에 보여 주는 오프닝 타이틀의 중요도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단순 모션그래픽 제작에 머무르거나 재현 주의적 요소로 인해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양질의 오프닝 타이틀을 만들기 위해서 영상언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수준 높은 표현을 위한 수사학의 다양한 적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비교적 컨셉이 명확한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프닝 타이틀이 시청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수사학의 언어기호와 시각적 분석요소가 표현되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예능 오프닝 타이틀에서 스토리텔링에는 은유법이 공통적으로 표현되었고 모션그래픽 효과나 화면전환에는 강조법 혹은 과장법이 많이 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각적 분석요소로는 상징성과 함축성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서체 제작과 색상의 변화법으로 도상적 메시지와 시각적인 즐거움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OAP 직군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해석된 수사적 표현을 이해하고 이를 제작 시 적용한다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오프닝 타이틀을 제작할 것이라 판단하며 나아가 OAP의 장르적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그림책 속표지의 특성 연구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이서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4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refers to the page before the picture book is developed in earnest. It plays the same role as the opening sequence of a movie and leads readers to the world of picture books by introducing titles and auth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title page and 9 books of domestic picture books are analyzed. Analyzing the articles and pictures in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analyzed picture book, the analysis result categorized as the intro role of the text,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ext, and the link between the endpaper and the 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was the intro that opened the beginning of the tex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itle sheet was linked to the end of the text and that the subject was effectively conveyed. Third,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was the link between the endpaper and the text. Therefore, it should be presented as a way to communicate with a picture book because the inside title page of a picture book has meaning as an important reading object as well as text. 그림책의 속표지(inside title page)는 본격적으로 그림책이 전개되기 전 페이지를 가리킨다. 이것은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와 같은 역할을 하며, 제목과 작가를 소개하면서 그림책의 세계로 독자를 이끈다. 이러한 그림책 속표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분석대상 그림책은 국내 그림책 9권이다. 분석대상 그림책의 속표지에 나타난 글과 그림을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 본문의 도입부(intro)역할, 본문의 마지막 부분과 연결되는 구조, 면지와 본문과의 연결고리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그림책의 속표지는 본문의 시작을 열어주는 도입부(intro)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속표지가 본문의 마지막과 연결되면서 주제의 효과적인 전달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속표지가 면지와 본문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림책의 속표지도 텍스트 못지않게 중요한 읽기의 대상으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그림책과 소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